박사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의 모색과 도스토예프스키 = The pursuit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and Dostoevsky

조시정 2015년
'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의 모색과 도스토예프스키 = The pursuit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and Dostoevsk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930년대
  • 가메이 가쓰이치로(龜井勝一郞)
  • 김남천
  • 단층파
  • 도스토예프스키
  • 무성격자
  • 문학과 정치
  • 발자크
  • 불안
  • 비극의 철학
  • 셰스토프
  • 수용
  • 실존
  • 유항림
  • 임화
  • 전향
  • 전형기
  • 지하로부터의 수기
  • 지하실
  • 최명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90 0

0.0%

'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의 모색과 도스토예프스키 = The pursuit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and Dostoevsky' 의 참고문헌

  • 綾目広治. 「不條理をめぐる論爭から: シェストフ論爭と『異邦人』論爭」. 『昭和文 學硏究』64. 昭和文學會, 2012.
  • 스토예프스키-. 현인 역. 「악마의 징계」
    『신계단』1권 5호 [1933]
  • 스토예푸스키. 도뤠미生 역. 「사랑하는 벗에게」. 『삼광』창간호
    조선유학생악 우회 [1919]
  • 스터에푸스키. 화산학인 역
    「세계명작순례(6) - 죄와 벌」. -8.20 [1929]
  • 히라노 겐. 고재석 ․ 김환기 역. 『일본 쇼와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 현덕 전집
    현덕 역락 [2009]
  • 한국현대대표소설선 1
    임형택 창작과비평사 [1996]
  • 한국근현대문학의 프랑스문학 수용
    이건우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89]
  • 한국근대문예비평사 연구
    김윤식 일지사 [1976]
  • 한국 심리 소설 연구
    김진석 태학사 [1998]
  • 한국 문인의 전향 연구
    노상래 영한 [2000]
  • 한국 모더니즘 소설론
    강상희 문예출판사 [1999]
  •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류보선 소명출판 [2005]
  • 한국 근대문학에 비친 외국 문학의 영향 — 민족의 해방과 자유에서 개인의 해방과 자유에로
    김윤식 『비교문학』56. 한국비교문학회 [2012]
  • 한국 근대 리얼리즘 문학 비판
    김외곤 태학사 [1995]
  •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권영민 문예출판사 [1998]
  • 프리들렌제르, G. M. 이항재 역. 『러시아 리얼리즘의 시학』
    문원출판 [2000]
  • 테리. 이현석 역. 『우리 시대의 비극론』
    이글턴 경성대학교출판부 [2006]
  • 탈식민의 미학
    하정일 소명출판 [2008]
  • 콘스탄틴. 김현택 역. 『도스토예프스키: 영혼의 심연을 파헤친 잔인한 천 재 1』
    모출스키 책세상 [2000]
  • 칼리니스쿠, M. 이영욱 백한울 오무석 백지숙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993]
  • 칼 ․ 엥겔스, 프리드리히. 최인호 외 역.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 작선집 6』
    마르크스 박종철 출판사 [1993]
  • 최명익론: 자의식의 갈등과 그 해결의 양상
    전영태 『선청어문』10.1.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과 [1979]
  •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의 경험 양상
    진정석 『민족문학사연구』8.1. 민족 문학사학회 [1995]
  • 책의 탄생과 이야기의 운명
    박진영 소명출판 [2013]
  • 지하실의 수기 -어리석은 자의 독백 일척(一齣)
    한설야 『조선일보』 [1938]
  • 지마, 페터 V. 김태환 역. 『모던/포스트모던』
    문학과지성사 [2010]
  • 전형기 임화와 '조선'의 발견 : 출판활동과 신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장문석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9]
  • 임화문학연구회. 『임화문학연구 3』
    소명출판 [2012]
  • 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장성규 『민족문 학사연구』47. 민족문학사학회 [2011]
  • 이상 전집 2
    이상 [2009]
  • 유항림 소설에 나타난 절망의 의미
    김한식 『상허학보』4. 상허학회 [1998]
  • 웰렉, 르네 편. 고대노어노문학회 역. 『도스또예프스끼 연구』
    열린책들 [1987]
  • 우울한 형/명랑한 동생-중일 전쟁기 ‘신세대 논쟁’의 재독(再讀)
    김철 『상허 학보』25. 상허학회 [2009]
  •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김경수 일조각 [2008]
  • 염상섭 소설의 내적 형식과 탈식민성
    장두영 태학사 [2013]
  • 역. 『회상』
    나쓰메 노재명 소세키 하늘연못 [2010]
  • 역. 『태평양 전쟁의 사상 - 좌담회 ‘근대의 초극’과 ‘세계사적 입장과 일본’으로 본 일본정신의 기원』
  • 역.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박정태 사르트르 이학사 [2008]
  • 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 역. 『러시아문학사』
    미르스끼 이항재 문원출판 [2001]
  • 역,『일본현대문학사 (상)』
    고재석 마사오 호쇼 문학과지성사 [1998]
  • 에로스/ 타나토스 간(間) ‘내적 분열’의 양상과 의미 -최명익의 소설 <무성격자 >와 <비 오는 길 >을 중심으로
    박수현 『현대문학의 연구』37. 한국문학 연구학회 [2009]
  • 애쉬크로프트, 빌 외. 이석호 역.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 앙드레. 강민정 역. 『앙드레 지드, 도스토예프스키를 말하다』
    지드 고려문화사 [2005]
  • 아도르노, 테오도어 W. 홍승용 역. 『프리즘 : 문화비평과 사회』
    문학동네 [2004]
  • 소설의 운명
    서영채 문학동네 [1996]
  • 셰스토프, L. 이경식 역.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니체』
    현대사상사 [1987]
  •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주체철학 철학사전』. 힘 [1988]
  • 사조 중심으로 본 33년도 문학계
    백철 『조선일보』 [1933]
  • 비교문학의 도전
    박성창 민음사 [2009]
  • 블룸, 해럴드. 양석원 역. 『영향에 대한 불안』
    문학과지성사 [2012]
  • 벌린, 이사야. 조준래 역. 『러시아 사상가』
    생각의 나무 [2008]
  • 백철문학전집 2
    백철 신구문화사 [1968]
  •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 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세계․주체
    차승기 푸른역사 [2009]
  • 바흐찐, M. 김근식 역. 『도스또예프스끼 창작론』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3]
  • 바이스슈타인, 울리히. 이유영 역. 『비교문학론』
    홍성사 [1986]
  • 문학과사상연구회, 『임화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4]
  • 문학과 지성
    최재서 인문사 [1938]
  • 문명의 감각
    방민호 향연 [2003]
  • 무질, 로베르트. 안병률 역. 『특성 없는 남자』
    북인더갭 [2013]
  • 메레지코프스키. 이보영 역.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 인간과 예술』
    금문 [1996]
  • 맑시즘과 실존주의 수용에서 본 한국 현대(1920-60년대) 정신의 갈등 구 조 - 한국 현대철학의 위상에 대한 반성적 고찰
    김석수 『동아 연구』37. 서강 대학교 동아연구소 [1999]
  • 마리, J. M. 이경식 역.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과 사상』
    서문당 [1980]
  • 루카치, 게오르그. 변상출 역.『발자크와 프랑스 리얼리즘』
    문예미학사 [1998]
  • 루나찰스키 외. 김휴 편. 『사회주의 리얼리즘 -세계관과 창작방법의 문제-』
    일월 서각 [1987]
  • 레몽, 미셸. 김화영 역. 『프랑스 현대소설사』
    현대문학 [2007]
  • 러시아 문학연구와 도스또예프스끼
    F. F. 꾸즈네쪼프 『러시아소비에트문학』 3.1. 한국러시아문학회 [1992]
  • 독후잉상(讀後孕像)
    이상화 『시대일보』 [1925]
  • 도스또옙스끼 ∙ 베르자예프, 니꼴라이. 이종진 역, 『신과 인간의 비극』
    문학세계 사 [1982]
  • 노국문호 떠스토예스키씨(氏)와 및(及) 그이의 「죄와 벌」
    극웅 『창조』 3 호 [1919]
  • 까간, M. S. 진중권 역. 『미학강의』
    새길 [1989]
  • 김동인 연구
    김춘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5]
  • 김남천의 취재원(取材源)에 관한 일고찰
    와다 도모미 『관악어문연구』23. 서 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
  • 김남천의 <발자크 연구노트 >론
    서경석 『인문예술논총』19. 대구대학교 인문 과학연구소 [1999]
  • 박사
  • 그들의 문학과 생애-최명익
    장수익 한길사 [2008]
  • 개념사로서의 한국근대비평사
    손정수 역락 [2002]
  • 가라타니 고진. 조영일 역. 『언어와 비극』
    도서출판 b [2004]
  • 가라타니 고진 외. 송태욱 역. 『현대 일본의 비평』
    소명출판 [2003]
  • 龜井勝一郞.『轉形期の文學』. ナウカ社, 1934.
  • 靑野季吉. 『文藝と社會』. 東京: 中央公論社, 1936.
  • 菅原 潤. 「龜井勝一郞 におけるニヒリズム: 「近代の超克」再考(その3)」. 『長崎大 學總合環境硏究』10.2. 2008.
  • 若林真. 「解題 - ジィド著 『ドストエーフスキイ』: 陰影への憧れ」. 『文芸読本 ドストエーフスキイ』. 東京: 河出書房新社, 1976.
  • 福田光治. 『歐米作家と日本近代文學』第3卷. 敎育出版センタ-, 1974.
  • 矢崎 弾. 『転形期文芸の羽摶き : 昭和日本文芸の展望』. 東京: 大沢築地書店, 昭和 17.
  • 淸水孝純. 「日本におけるドストエフスキー』. 『ユリイカ詩と批評』 6. 靑土社, 1974.
  • 河上徹太郞. 「ドストエフスキーとジイド」. 伊藤整 等 編. 『日本現代文學全集』92. 東京: 講談社, 1980.
  • 板垣直子. 『現代の文藝評論』. 東京: 第一書房, 1942.
  • 松本健一. 『ドストエフスキイと日本人』(下). 東京: 第三文明社, 2008.
  • 木下豊房. 「ドストエーフスキイ文學と昭和10年前後」. 『ヨーロッパ文學硏究』15, 1968.
  • 日本近代文學館 編. 『日本近代文學大事典』. 東京: 講談社, 1977.
  • 新城和一. 『ドストイエ-フスキ-全集 15 - 評傳』. 東京: 冬夏社, 1921,
  • 戶坂潤. 『戶坂潤全集』4. 東京: 勁草書房, 1966.
  • 思想の科學硏究會 編. 『共同硏究轉向』3. 東京: 平凡社, 昭和34.
  • 平野謙. 「シェストフ体験 -昭和文學の可能性 Ⅶ」. 『世界』. 東京: 岩波書店, 1972.
  • 平野謙 小田切秀 山本健吉 編. 『現代日本文學論爭史』2. 東京: 未來社, 2006.
  • 川崎 浹. 「日本における レフ ․ シェストフ」. 『早稲田大学大学院文硏究科紀要 文 学 ․ 藝術学編』39. 1993.
  • 小林秀雄. 『小林秀雄全集』3. 東京: 新潮社, 2001.
  • 大石紗都子. 「龜井勝一郞 『生けるユダ (シェストフ論)』」. 『東京大学國文学論 集』7. 東京大学文学部國文学硏究室, 2012.
  • 和彦池田. 「森田草平の『霙』とシェストフ論爭前史 : 『地下室の手記』の初期の紹 介と阿部六郞」. 『Comparatio』8. Society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Graduate School of Social and Cultural Studies, Kyushu University, 2004.
  • 吉本隆明 외. 노상래 역. 『전향이란 무엇인가』
    영한 [2000]
  • 原卓也 ∙ 西永良成. 『外国文學と日本の近代』. 大修館書店, 2000.
  • 伊藤整 等 編. 『日本現代文學全集』92. 東京: 講談社, 1980.
  • 不安의 문학과 轉向時代의 균형 감각 - 1930年代 平壤의 학생운동과 『斷層』派의 문학 -
    정주아 『어문연구』39.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 三好行雄. 竹盛天雄 編. 『近代文學 』6. 東京: 有斐閣, 昭和52.
  • レオ ․ シェストフ. 河上徹太郞 阿部六郞 譯. 『悲劇の哲學』. 東京: 芝書店, 1934.
  • メレシユコフスキイ. 中山省三郞 譯. 『永遠の伴侶』上. 東京: 小山書店, 1940.
  • ブハリン, ニコライ. 佐野文夫 譯. 『転形期 経済学』. 東京: 同人社書店, 1925
  • ドストエフスキー. 『ドストエフスキー全集』 別卷. 東京: 筑摩書房, 1964.
  • ドストイエフスキイ. 米川正夫 譯. 『未成年. 下卷 : 地下室の手記 : 他3篇』. 東京: 三笠書房, 1934.
  • シェストフ哲學と日本のドストエフスキ-受容
    佐藤裕子 『法政大學敎養部紀要. 外國語學 ․ 外國文學編』편, 東京: 法政大學敎養部 [2001]
  • 박사
  • 『한국현대문학사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한국현대문학사』
    김윤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 『한국근대문학사상연구 2』
    아세아문화사 [1994]
  • 『한국근대단편소설대계』16
  • 『한국 현대소설사 2 : ~1945』
    문학과지성사, 2012 [1930]
  • 『한국 근대문학의 문제 』
    신아출판사 [2011]
  • 『한국 근대문학과 계몽의 서사』
    채호석 소명출판 [2002]
  • 『탕아를 위한 변명』
    황종연 문학동네 [2012]
  • 『최명익의 『심문』 연구』
    백정승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0]
  • 『최명익 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김해연 경남대학교 박사논문 [1999]
  • 『최명익 단편선 비 오는 길』
    최명익 문학과지성사 [2007]
  • 『조선문학』의 정의 이러케 규정하려 한다!
    임화 『삼천리』8권 8호 [1936]
  • 『임화와 신남철』
    역락 [2011]
  • 『임화예술문학전집』2-5
    임화 소명출판 [2009]
  • 『임화 문화론 연구』
    최병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8]
  • 『일제 말기 세대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한형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2]
  • 『이상연구』
    문학사상사 [1988]
  • 『이상소설연구』
    김윤식 문학과비평사 [1988]
  • 박사
  • 『이무영 문학전집 6』
    이무영 국학자료원 [2000]
  • 『우리문학의 넓이와 깊이』
    서래헌 [1979]
  • 『염상섭 전집 12』
    염상섭 민음사 [1987]
  • 『염상섭 연구』
    김열규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 『어두운 시대의 빛과 꽃』
    김대행 최동호 민음사 [2004]
  • 『안함광 평론선집 1 - 인간과 문학』
    안함광 박이정 [1998]
  • 『신남철 문장선집Ⅰ』
    신남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세계문학논저서지목록총람(1895-』
    국학자료원, 2002 [1985]
  • 『미당 산문』
    서정주 민음사 [1993]
  • 『동양과 서양: 이보영 문학평론집』
    이보영 신아출판사 [1998]
  •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연구』
    권철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 『단층』
    1-4. 단층사. - 1940.6 [1937]
  • 『김우창 전집 4- 법 없는 길』
    김우창 민음사 [1993]
  • 『김우창 전집 2- 지상의 척도』
    민음사 [2006]
  • 『김동인 전집 17 - 김동인 문학 연구』
    조선일보사 [1988]
  • 『김남천 전집』Ⅰ-Ⅱ
  • 『龜井勝一郞全集』6. 講談社, 1971.
  • 『<단층>파 소설 연구』
    이상갑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2]
  • 『<단층>파 소설 연구』
    복도훈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1]
  • 「스터예브스키라는 사람과 밋 뎌의 작품과」
    오천석 『개벽』41 [1923]
  • 「홍난파와 번역가의 탄생」
    박진영 『코기토』11.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 「행동주의 문학 운동의 검토 -부(附) 행동주의 문학의 조선적 가능」
    홍효민 『조 선문단』 속간4호 [1935]
  • 「한일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비교연구(Ⅱ-2) -년대 창작방법론을 중심 으로-」
    조진기 『한민족어문학』28. 한민족어문학회, 1995 [1930]
  • 「한국문학의 도스또옙스끼 수용과 그 현재적 의미」
    이종진 『인문과학』29.1. 성 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 「한국 근대소설론의 성립과 현철」
    조진기 『향토문학연구』11. 향토문학연구회 [2008]
  •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미적 감각의 병리성」
    이수영 『민족문학사연구』26. 민족문학사학회 [2004]
  • 「한 일 문단 행동주의 문학론 전개의 비교연구」
    이해년 『Comparative Korean Studies』7. 국제비교한국학회 [2000]
  • 「한 ∙ 일 ∙ 불문단 행동주의 작품 양상의 비교 연구 -앙드레 말로에서 舟橋 聖一과 ‘단층파’로의 변용」
    『문창어문논집』37. 문창어문학회 [2000]
  • 「프랑스 공산당의 변화와 인민전선의 기원」
    이용우 『서양사연구』15. 한국서양 사연구회 [1994]
  • 「패배의 삶, 그 다양성」
    조남현 『북으로 간 작가선집 8』. 을서문화사 [1988]
  • 「텍스트로서의 주체와 ‘리얼리즘의 승리’: 김남천 비평에 관한 몇 개의 주 석」
    『한국현대문학연구』34. 한국현대문학회 [2011]
  • 「탈-중심적 문학사의 주체화와 그 가능성의 조건들- 임화 「개설 신문학 사」재독」
    허민 『상허학보』34. 상허학회 [2012]
  • 「최명익 수필집 『글에 대한 생각』 연구」
    『한민족어문학』68. 한민족 어문학회 [2014]
  • 「지킹엔 논쟁의 수용에 관한 연구」
    신상전 『독일문학』60. 한국독어독문학회 [1996]
  • 「지식계급의 불안과 조선 문학의 장래성」
    『조선일보』. -4.6 [1935]
  • 「조선 지식계급의 고민과 기(其) 방향」
    박영희 『박영희 전집 Ⅳ』.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 「조그만 체험기」
    엄흥섭 『동아일보』. -7.6 [1935]
  • 「정독(精讀)하는 양대가(兩大家) -「떠스토에프스키-」와 「발자크」」
    장혁주 『동아일보』. -7.13 [1935]
  • 「전환기적 현실과 환멸주의」
    류보선 『한국현대문학연구』3. 한국현대문학회 [1994]
  • 「전형기와 명일의 조선문학」
    김두용 『동아일보』. -6.7 [1935]
  • 「저수하(樗樹下)에서」
    염상섭 『폐허』 [1921]
  • 「장마비와 보-드레르」
    최명익 『조광』 [1940]
  • 「작품 애독」연대기」
    『삼천리』12권 6호 [1940]
  • 「작중인물지(誌) - 궁금한 그들의 소식」
    『조광』 [1940]
  • 「작가작품연대표」
    이기영 『삼천리』9권 1호 [1937]
  • 「자긔의 창조한 세계 - 톨스토이와 스터예스키-를 비교하여 」
    김동인 『창 조』7호 [1920]
  • 「임화의 ‘이식문화론’ 재고」
    방민호 『관악어문연구』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과 [2002]
  • 「일제 말기 만주의 도시 문화 공간과 문학적 표현 - 신경, 하얼빈을 중심 으로」
    조은주 신범순 란명 외. 『동아시아 문화 공간과 한국 문학의 모색』. 어 문학사 [2014]
  • 「유항림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식과 존재탐구」
    유철상 『운당 구인환 교수 정년 퇴임기념 논문집』. 대학사 [1995]
  • 「위기에 빠진 현대 문화의 특징」
    김형준 『개벽』3호 [1935]
  • 「우치다 로안(內田魯庵) 『죄와 벌』 번역의 위상」
    최범순 『일본문화연구』11. 동아시아일본학회 [2004]
  • 「쏘니아 예찬」
    『조선일보』 [1929]
  • 「신세대의 정신 - 문단 「신생면(新生面)의 성격, 사명, 기타」
    김동리 『문장』 2권 5호 [1940]
  • 「순수시비(純粹是非)」
    김환태 『문장』1권 10호 [1939]
  • 「소설의 ‘형식’에 대한 두 사유 - 이바노프의 ‘소설-비극’과 바흐찐의 ‘소설 -대화’」
    변현태 『안 과 밖』35. 영미문학연구회 [2013]
  • 「소설 『특성 없는 남자』에 나타난 무질 문학의 실험적 성격」
    장희권 『오늘의 문예비평』23. 오늘의 문예비평 [1996]
  • 「비극철학의 의의 - 도스토옙흐스키 연구의 일(一)단편」
    함대훈 『동아일보』. 6.24-27
  • 「반(反)재현론의 행방 - 김동인의 소설론」
    강헌국 『민족문화연구』48.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 「문학풍토기- 평양편」
    이석훈 『인문평론』 [1940]
  • 「문예시평 - 신인에 대한 압날의 기대 (7)」
    『조선일보』 [1936]
  • 「레브 똘쓰또이 선생에 대한 단상」
    『조선문학』 [1958]
  • 「러시아 문학의 수용과 한국문학」
    신동욱 『교수아카데미총서』3. 일념 [1993]
  • 「똘스또이와 도스또예프스끼의 비교 연구 - 연구방법과 연구사를 중심으 로」
    이준형 『러시아소비에트문학』3. 한국러시아문학회 [1992]
  • 「동인지 「단층」에서」
    김이석 『서울신문』 [1959]
  • 「동아시아 텍스트로서의 한국현대문학」
    崔元植 『어문학』83. 한국어문학회 [2004]
  •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의 병리학: 살인과 간질」
    권철근 『노어노문학』18.3.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 「도스또예프스끼의 『백치』에 나타난 미(美)의 주제」
    백준현 『러시아연구』 12.2.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2]
  • 「단층파 모더니스트의 행로와 작품세계」
    김명석 조정래 외, 『년대 한국 모 더니즘 작가 연구』. 평민사, 1999 [1930]
  • 「년대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은유로서의 질병의 근대적 의미」
    임병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2 [1930]
  • 「내가 조와하는 소설의 주인공이 실재해 잇다면? -매음소녀 소니아」
    안회남 『신여성』7권 2호 [1933]
  • 「내가 조와하는 소설의 주인공이 실재해 잇다면? - 라스콜니콥프의 소니 아」
    안석주 『신여성』7권 2호 [1933]
  • 「김동인 소설의 창작방법과 그 의미 - ‘인형조종술’을 중심으로」
    김동환 『한성 어문학』1.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95]
  • 「김동인 문학의 세 가지 형식 - 대동강의 사상과 감각을 중심으로」
    『한 국학보』11.2. 일지사 [1985]
  • 「기선부지(其先不知)의 나」
    이무영 『동아일보』. -7.22 [1935]
  • 「근대 세계 문호 열전」
    『신문계』5 [1915]
  • 「계급문학, 민족문학, 세계문학- 임화의 경우」
    신두원 『민족문학사연구』21. 민 족문학사학회 [2002]
  • 「경성모더니즘과 박태원 문학」
    방민호 『구보학보』9. 구보학회 [2013]
  • 「「표본실의 청개구리」와 노문학」
    신규호 『비평문학』2. 한국비평학회 [1988]
  • 「「표본실의 청개고리」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
    柳仁順 『이화어문논집』5. 이 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982]
  • 「‘현일영’의 선택과 실재의 윤리」
    『우리말 글』61. 우리말글학회 [2014]
  • 「‘단층’파 문학의 성격과 의미」
    구자황 『상허학보』4. 상허학회 [1998]
  • 「1부: 로베르트 무질의 『특성 없는 남자』에 나타난 유토피아 구상과 그 이념사적 구상」
    신지영 『독일어문화권연구』16.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 소 [2007]
  • 박사
    「 단층파 모더니즘 연구」
    박성란 인하대학교 박사논문 [2012]
  • 박사
  •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차승기 『민족문학사연구』38. 민족문학사 학회 [2008]
  • ‘리얼리즘의 승리’와 텍스트의 무의식 - 임화의 「의도와 작품의 낙차와 비평」에 관한 몇 개의 주석
    김동식 『민족문학사연구』38. 민족문학사학회 [2008]
  • Сараскина, Л. И. Достоевский. Москва: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2011.
  • Мотрошилова, Н. В. Мыслители России и философия Запада (В. Соловьев. Н. Бердяев. С. Франк. Л. Шестов). Москва: Республика, Культур- ная революция, 2006.
  • Масарик, Т. Г. Россия и Европа : Эссе о духовных течениях в Россия, Кни- га Ⅲ. С. П.: Издательство Русского Христианского гуманитарного института, 2003.
  • Киносита, Тоёфуса. "Понятие красоты в свете идей эстетики Достоевског о." Достоевский Материалы и исследования 11 (Ленинград : На- ука, 1993).
  • Достоевский, Ф. М.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десяти томах. Том. 3. Москва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56.
  • Гальцева, Р. А. Очерки Русской утопической мысли ⅩⅩ века. Москва: Наука, 1991.
  • Бабович, М. "Судьба добра и красоты в свете гуманизма Достоевского.” Достоевский Материалы и исследования 1 (Ленинград : Наука, 1974).
  • http://www.bibliotekar.ru/ensSlov/17/176.htm
  • Young, Sarah J. Dostoevsky's the idiot and the ethical foundations of narrative : reading, narrating, scripting. London: Anthem Press, 2004.
  • Tabachnikova, Olga. ""Dialogues with Dostoevsky" from two coeners: Lev Shestov versus Andr Gide." New Zealand Slavonic Journal 42 (2008).
  • Strem, George G. "The Moral World of Dostoevsky." Russian Review 16.3 (1957).
  • Solomon, Robert C. Existential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Valevičius, Andrius. Lev Shestov and His Times: Encounters with Brandes, Tolstoy, Dostoevsky, Chekhov, Ibsen, Nietzsche and Husserl. New York: Peter Lang, 1993.
  • Seeley, Frank F. "Dostoevsky's Women." The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39.93 (1961).
  • Seduro, Vladimir. Dostoyevski: in Russian Literary Criticism, 1846-1956.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7.
  • Sanders, Julie. Adaptation and Appropria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6.
  • Morson, Gary Saul. "Paradoxical Dostoevsky." 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43.3 (1999).
  • Leatherbarrow, W. J.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Dostoevski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 Holquist, Michael. Dostoevsky and the Novel.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7.
  • Grossman, Leonid. Trans. Lena Karpov. Balzac and Dostoevsky. Ardis, 1973.
  • Frank, Joseph. Dostoevsky : A Writer in His Time, Ed. Mary Petrusewicz.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 Frank, Joseph. "Dostoevsky's discovery of "fantastic realism"." Russian Review 27.3 (1968).
  • Finkenthal, Michael. Lev Shestov: Existential Philosopher and Religious Thinker. New York: Peter Lang, 2010.
  • Fanger, Donald. Dostoevsky and Romantic Realism: A Study of Dostoevsky in Relation to Balzac, Dickens, and Gogol.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8.
  • Clayton, Jay & Rothstein, Eric. Eds. Influence and Intertextuality in Literary History. Madison, Wi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1.
  • Chapple, Richard L. "A Catalogue of Suffering in the Works of Dostoevsky: His Christian Foundation." The South Central Bulletin 43.4 (1983).
  • Balakian, Anna. "Influence and literary fortune: The equivocal junction of two methods." Yearbook of Comparative and General Literature 11 (1962).
  • Aiello, Lucia. After Reception Theory : Fedor Dostoevskii in Britain 1869-1935. London: Legenda, 2013.
  • Abood, Edward F. Underground Man. San Francisco: Chandler & Sharp Publishers, 1973.
  • 1950년대 문학 비평과 실존주의
    김종욱 이건우 외. 『한국 근현대문학의 프랑 스문학 수용』.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 1935년 전후의 ‘행동주의’ 논쟁 - 제창자 고마쓰 기요시(小松 淸)의 입장 에서
    『비교문학』32. 한국비교문학회 [2004]
  • 1930년대의 일본에 있어서의 ‘불안’ 논쟁을 중심으로
    왕신영 『일어일문학연 구』47.2.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 1930년대 후반의 카프(KAPF) -한설야의 「지하실의 수기」와 임화의 「어느 청년의 참회」를 중심으로
    『어문학』66. 한국어문학회 [1999]
  • 1930년대 후반의 비관주의와 윤리의식에 대한 고찰 - 최명익을 중심으 로
    김예림 상허문학회. 『1930년대 후반문학의 근대성과 자기성찰』. 깊은샘 [1998]
  • 박사
    1930년대 후반기 소설 장르 인식 연구
    장성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12]
  • 1930년대 후반기 모더니즘 소설 연구 - 최명익과 허준을 중심으로
    김민정 서 울대학교 석사논문 [1994]
  • 1930년대 후반 한국소설에 나타난 허무주의 연구
    정홍섭 『민족문학사연구』 32. 민족문학사학회 [2006]
  •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 임화, 최재서, 김남천의 소설 장르 논의
    이진형 소명출판 [2013]
  • 1930년대 후반 몰락/재생의 서사와 역사기획 연구 - 역사철학 담론을 중 심으로
    김예림 『한국근대문학연구』3.2. 한국근대문학회 [2002]
  • 1930년대 후반 근대인식의 틀과 미의식
    김예림 소명출판 [2004]
  • 박사
  • 1930년대 외국문학 수용의 좌표 - 세계/민족, 문학
    서은주 『민족문학사연 구』28. 민족문학사학회 [2005]
  • 1930년대 서양철학 수용에 나타난 철학1세대의 철학함의 특징과 이론적 영향
    이병수 『시대와 철학』17.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6]
  •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숭고’에 관한 연구 : 주체의 ‘윤리’를 중심으 로
    조연정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8]
  •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실재관(實在觀)과 ‘재현(再現)’ 개념에 관한 고 찰 - 최재서의 리얼리즘론과 ‘내성(內省) 소설’을 중심으로
    권일경 『관악어문연 구』2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 1920~30년대 소설독자의 형성과 분화과정
    천정환 『역사문제연구』7. 역사문 제연구소 [2001]
  • Сочинения в двух томах. Том 1. Томск ; Водолей, 1996.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пятнадцати томах. Том 3. Лени нград ; Наука, Ленинградское отдние, 1988.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десяти томах. Том. 6. Москва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57.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десяти томах. Том. 4. Москва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56.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десяти томах. Том. 10. Моск- ва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58.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двенадцати томах. Том. 1. Мо- сква ; Издательство Правда, 1982.
  •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тридцати томах. Том 28. Москва ; Наука, 1990. Шестов, Леф. Сочинения в двух томах. Том 1. Москва ; Наука, 1993.
  •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тридцати томах. Том 27. Москва ; Наука,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