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7세기 전반기 가사 문학 연구

박이정 2015년
논문상세정보
' 17세기 전반기 가사 문학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7세기
  • 가사
  • 고전시가
  • 변란
  • 자연
  • 한국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62 0

0.0%

' 17세기 전반기 가사 문학 연구' 의 참고문헌

  • 「「月先軒十六景歌」의 江湖 공간과 시적 형상화의 의미」, 어문연구 37
    남정희 어문연구학회 [2009]
  • 「李景嚴의 斜川庄 경영과 『斜川詩帖』의 의미 재론」, 국문학연구 19
    김은정 국문학회 [2009]
  • 「蘆溪의 <小有亭歌> 小考」, 국어국문학 84
    국어국문학회 [1980]
  • 「蘆溪歌辭의 창작기반과 문학적 지향」, 한국시가연구 11
    한국시가학회 [2002]
  • 「후기가사의 표현 특성과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시가연구 22
    한국시 가학회 [2007]
  • 「최초의 사행가사 <장유가(壯遊歌)> 연구」, 한국시가연구 23
    김유경 한국시가 학회 [2007]
  • 「조우인의 가사집 이재영언」, 어문학 10
    김영만 한국어문학회 [1963]
  • 「조우인의 가사연구」
    한석수 논문집 20, 상주농잠전문대학 [1981]
  • 「조선후기 향안에 대한 일고찰: 용성향안을 중심으로」, 한국사학 9
    김호일 한국 학중앙연구원 [1987]
  • 「조선후기 전의이씨가의 山訟과 墳山守護」, 역사학연구 39
    호남사학회 [2010]
  • 박사
  • 「조선후기 山訟과 사회갈등 연구」
    김경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조선후기 山訟과 山林 所有權의 실태」, 동방학지 77 78 79
    김선경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3]
  • 「조선후기 山訟과 上言 擊錚: 盧尙樞家와 朴春魯家의 소송을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33
    한국고문서학회 [2008]
  • 「조선후기 ‘閑遊者’層의 형성과 그 의의
    사총 40 41 [1992]
  • 「조선중기 詩風의 변화 양상」,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 「조선전기 삼강행실도와 소학의 편찬」, 한국사상과 문화 19
    김항수 한국사상문 화학회 [2003]
  • 「정훈의 수남방옹가」, 문학사상 8
    하성래 문학사상사 [1973]
  • 「정훈의 <우희국사가> 고찰」, 국어교육연구 31
    국어교육학회 [1999]
  • 「정훈과 그의 시가」, 한국시가의 신조명
    탐구당 [1994]
  • 「정훈과 그의 시가고」, 숭전어문학 2
    박요순 숭전대학교 [1973]
  • 「정훈 시조 연구」, 우리어문연구 11
    이상원 우리어문학회 [1997]
  • 「정훈 시가(詩歌)에 반영된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 재고」, 한민족어문학 49
    한민족어문학회 [2006]
  • 「정훈 문학의 현실적 토대와 작가의식, 국어국문학 35
    류속영 부산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98]
  • 「전쟁시(戰爭詩)에 나타난 여성의 양가성(兩價性):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시 재(詩材) 한시를 대상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
    장미경 한국고전여성문 학회 [2005]
  • 박사
  • 「재지사족으로서 박인로의 삶과 <누항사>」, 국문학연구 9
    최현재 국문학회 [2003]
  • 「장르론적 측면에서 본 17세기 강호가사의 추이」, 신영명 우응순 외, 조선 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 「임진조변사적」, 정석용 역
    정영방 시사춘추 6월호 [1991]
  • 「임진왜란의 체험과 가사문학의 변모」, 우리문학연구 17
    류해춘 우리문학회 [2004]
  • 「임진왜란의 체험과 가사문학의 변모」, 우리문학연구 17
    유해춘 우리문학회 [2004]
  • 「임진왜란과 전쟁포로 굴절된 기억과 서사적 재구」, 민족문화 41
    정출헌 한국 고전번역원 [2013]
  • 「임진왜란과 국문시가」, 임진왜란과 한국문학
    민음사 [1992]
  • 「임진왜란 조선인 포로에 대한 기억과 전승: ‘節義’에 대한 顯彰과 排除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40
    김정신 한국사상사학회 [2012]
  • 「임란 이후 17세기 우국가사의 전개와 성격」, 한국고전연구 2
    한국고전 연구학회 [1996]
  • 「이재(頤齋) 조우인(曺友仁)의 가사문학 연구: <출새곡(出塞曲)>과 <속관동 곡(續關東曲)>」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11
    강경호 영주어문학회 [2006]
  • 「이원익(李元翼)의 학자, 관료적 삶과 조선후기 남인학통(南人學統)에서의 위상」, 퇴계학보 133
    김학수 퇴계학연구원 [2013]
  • 「오리 이원익의 임진왜란기 군사활동」, 한국인물사연구 4
    이양희 한국인물사연 구회 [2005]
  • 「송담가사 연구」, 자유문학 3-7
    방종현 한국자유문학자협회 [1958]
  • 박사
    「송강가사의 수용론적 연구」
    김진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선조에서 인조대의 정국과 이원익(李元翼)의 정치활동」, 동국사학 53
    신병주 동국사학회 [2012]
  • 「새 자료 李景嚴(1579~1652)의 時調」, 시조학논총 12
    진동혁 한국시조학회 [1996]
  • 「상촌 시조 30수의 짜임에 관한 고찰」, 고전문학연구 19
    한국고전문학 회 [2001]
  • 「사족층의 분화와 정훈의 시가」,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 「사미인곡계 가사 연구」
    장수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사대부 시가에 수용된 신선 모티프의 시적 기능」, 국문학과 도교
    태학 사 [1998]
  • 「병자호란 패전의 정치적 파장」, 동방학지 11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3]
  • 「병자일기 연구」, 국어국문학 104
    박경신 국어국문학회 [1990]
  • 「박인로의 “안빈낙도”의식과 자연」,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우응순 태학사 [2002]
  • 박사
  • 「박인로 강호가사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미발표 가사 천풍가 해제」, 한국어문학회 4
    이종출 한국언어문학회 [1966]
  • 「명청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역사와현실 37
    한 국역사연구회 [2000]
  • 「누항사의 갈등 표출」, 한국문학연구 25
    이승남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2]
  • 「노계집 고사본의 고찰」, 동양문화연구 7
    김문기 경북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1980]
  • 「김득연의 국문시가의 역사적 위상」,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 「김득연의 국문시가: 17세기 한 재지사족의 역사적 초상」, 어문논집 41
    김창원 민족어문학회 [2000]
  • 「김득연: 사족의 분화와 대응」, 강호시가의 미학적 탐구
    보고사 [2004]
  • 「기억과 정체성」, 문화과학 40, 문화과학사
    박성수 년 겨울 [2004]
  • 「고산시가에 나타난 자연인식의 기본틀」, 고산연구 창간호
    성기옥 고산연구회 [1987]
  • 「강호가사의 변모과정 연구: 누정계와 초당계 가사를 중심으로」
    안혜진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강호가사의 내면세계와 역사적 전개과정」, 공사논문집 31
    임주탁 공군사관학 교 [1992]
  • 「강호가사 소고」, 한국가사문학론
    정재호 집문당 [1982]
  • 「강복중의 가사와 향반의식」,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 「강복중 시조 연구」, 한국시가연구 1
    한국시가학회 [1997]
  • 「갈봉선생유묵고」
    송정헌 논문집 10, 충북대학교 [1976]
  • 「갈봉 김득연의 학문과 사상」, 한국의 철학 30
    김종석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1]
  • 「갈봉 김득연의 작품과 생애」, 창작과 비평 7-1
    김용직 창작과 비평사 [1972]
  • 「가사의 시적 담화 양식에 대한 일고찰」
    조세형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논문집 5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1996]
  • 「가사 장르의 담론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가면 혹은 진실: 「관동별곡」 평설」, 한국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김병국 서울 대학교 출판부 [1995]
  • 「黃一皓의 生涯와 白馬江歌 硏究」, 어문학논총 3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 소 [1984]
  • 「高杜谷의 陶山歌에 對하여」, 한국언어문학 4
    강전섭 한국언어문학회 [1966]
  • 「高杜谷의 <陶山歌> 복원에 대하여」, 어문학 23
    한국어문학회 [1970]
  • 「高應陟의 詩歌文學 硏究」
    송재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高應陟의 <陶山歌>」, 한국가사문학의 연구: 전기가사를 중심으로
    형설 출판사 [1974]
  • 「雩潭 蔡得沂의 樓亭詩歌 硏究」, 상주문화연구 1
    김기탁 경북대학교 상주문화연 구소 [1991]
  • 「雩潭 蔡得沂의 生涯와 詩世界 硏究」, 대동한문학 20
    강구율 대동한문학회 [2004]
  • 「雩潭 蔡得沂와 鳳山曲 硏究: 丙子胡亂을 背景한 歌辭의 新資料」, 어문학 5
    홍재휴 한국어문학회 [1959]
  • 「雇工歌 및 雇工答主人歌」
    김동욱 문학춘추 1-1 [1964]
  • 「雇工歌 및 雇工答主人歌에 대하여: 資料紹介를 主로」, 도남조윤제박사 회 갑기념논문집
    신아사 [1964]
  • 「金剛山 紀行歌辭의 展開 樣相 硏究」
    장정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鄭勳 歌辭에 나타난 가문의식과 문학적 형상」, 한민족어문학 45
    한민 족어문학회 [2004]
  • 「訒齋歌辭硏究」, 어문학 5
    이동영 한국어문학회 [1959]
  • 「訒齋歌辭攷」, 청계김사엽박사송수기념논총
    학문사 [1973]
  • 「訒齊 崔晛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8
    최재남 한국한시학회 [2003]
  • 「解說 雜歌」, 국어국문학 39 40
    국어국문학회 [1968]
  • 「葛峯時調攷」, 한국어문학회 편, 朝鮮前期의 言語와 文學
    형설출판사 [1979]
  • 「白松潭歌辭硏究」, 어문학 14
    김창규 한국어문학회 [1966]
  • 「申欽 時調의 해석 기반: <放翁詩餘>의 연작 가능성」, 진단학보 81
    진 단학회 [1996]
  • 「淸溪 姜復中 時調 硏究」, 한국시가연구 12
    백순철 한국시가학회 [2002]
  • 「江湖自然과 政治現實: 孟思誠, ‘江湖四時歌’와 李賢輔, ‘漁父歌’의 政治現實 認識, 이상신 편, 文學과 歷史
    김흥규 민음사 [1982]
  • 「歌辭에 나타난 詩的 話者의 목소리 연구: 戀君歌辭와 愛情歌辭를 중심으 로」
    정인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楊士俊의 ‘南征歌’ 新考」, 국어국문학 62 63
    이상보 국어국문학회 [1973]
  • 「梧里 李元翼과 嶺南南人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물사연구 4
    허권수 한 국인물사연구회 [2005]
  • 「梁山의 壬亂義士 松潭 白受繪先生 遺事의 考察」, 慶南鄕土史論叢 5
    김우헌 경 남향토사연구협의회 [1996]
  • 「李景嚴의 「斜川歸田歌」 硏究」, 고시가연구 5
    한국고시가문학회 [1998]
  • 「李景嚴의 時調 硏究」, 국어국문학 118
    국어국문학회 [1997]
  • 「李元翼 詩에 나타난 不動心과 仁에의 志向」, 한국인물사연구 4
    윤호진 한국인 물사연구회 [2005]
  • 「朴仁老 詩歌의 現實的 基盤과 文學的 指向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4]
  •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의 轉換: 17世紀 國家再造와 관련하여」
    오영교 연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1992]
  • 「朝鮮後期 國家再造論의 擡頭와 그 展開」
    김준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斜川詩帖에 나타난 문인들의 문학공간과 그 형상화」, 한국어문학연구 49
    권경록 한국어문학연구회 [2007]
  • 「崔訒齋의 歌辭」, 가사문학논고
    형설출판사 [1977]
  • 「家訓을 통해 본 17세기 士大夫家의 墳山守護」, 사학연구 87
    한국사학 회 [2007]
  • 「姜淸溪의 長歌 二篇에 대하여: <爲君爲親痛哭歌> <墳山恢復謝恩歌> 紹介」, 어문학 22
    한국어문학회 [1970]
  • 「壬辰倭亂 직후 統治體制의 整備過程: 性理學的 秩序의 强化를 中心으로」, 규장각 11
    정홍준 서울대 규장각 [1988]
  • 「壬亂前後歌詞硏究」, 진단학보 25 26 27
    진단학회 [1964]
  • 「仙石 辛啓榮의 仙石歌辭」, 韓國文學雜稿
    박노춘 시인사 [1987]
  • 「丙子胡亂의 문학적 형상화 硏究」, 어문연구 3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 「<龍蛇吟>의 作家意識」, 이화어문논집 9
    고순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 구소 [1987]
  • 「<태평사>의 내용 구성과 미적 형식」, 한국문학논총 29
    한국문학회 [2001]
  • 「<출새곡>과 <속관동(별)곡>의 작품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온지논총 5
    최규수 온지학회 [1999]
  • 「<월선헌십육경가>의 공간 특성과 그 의미」, 개신어문연구 25
    개신어문 학회 [2007]
  • 「<사제곡>에서 강호구성의 원리와 철학적 기반」, 어문논집 40
    고려대학 교 안암어문학회 [1999]
  • 「<누항사>의 자영농 형상과 17세기 자영농 시가의 성립」, 한국가사문학연 구
    김용철 태학사 [1996]
  • 「<강촌별곡>의 전승 과정 연구: 이본비교를 통하여」, 매지논총 8
    윤덕진 연세 대학교 매지학술연구소 [1991]
  • 「<小有亭歌>의 特徵과 價値」, 한국학논집 16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9]
  • 「18세기 한국한시사(韓國漢詩史)의 구도」,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안대회 소명 출판 [1999]
  • 「17세기 향반계층 시가의 강호 인식」,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 「17세기 전반 班常制의 확립과 士族支配構造의 정착」
    한국사학보 8 [2000]
  • 「17세기 전반 梧里 李元翼의 정치활동과 정책구상」, 한국인물사연구 5
    송양섭 한국인물사연구회 [2006]
  • 「17세기 전가시조의 서정적 리얼리티」, 한국 고전시가의 서정시적 탐구
    월인 [2009]
  • 「17세기 자연시가의 양상과 그 역사적 성격」, 고전문학과 교육 3
    한국 고전문학교육학회 [2001]
  • 「17세기 시조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17세기 시조 연구의 쟁점과 그 방법론적 성격」, 국문학연구 10
    고정희 국문학 회 [2003]
  • 「17세기 시가사의 시각」,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 「17세기 시가문학의 연행 환경과 창작 향유의 경향」, 시학과 언어학 22
    길진숙 시학과 언어학회 [2012]
  • 「17세기 남원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어문논집 39
    권순회 안암 어문학회 [1999]
  •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 정훈의 「용추유영가」와 「수남방옹가」 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8
    우리어문학회 [2007]
  • 「17세기 가사의 장르적 특성」, 우리어문연구 18
    박연호 우리어문학회 [2002]
  • 「17세기 農地開墾과 地主制의 전개」
    이경식 한국사연구 9 [1973]
  • 「17世紀 隱逸歌辭 硏究」
    김정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17~8세기 서울 및 近畿 일대 田家時調 형성의 사회사」, 고시가연구 17
    한국고시가문학회 [2006]
  • 「17-18世紀 書院 祠宇에 대한 試論: 特히 士林의 建立活動을 中心으로」
    정만조 한국사론 2 [1975]
  • 「17 18세기 前半 ‘閑遊者’層의 증가와 정부의 대책」, 민족문화연구 25
    김성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 「16‧17세기 강호가사의 변모 양상」, 어문논집 41
    김명준 민족어문학회 [2000]
  • 「16‧17세기 강호가사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신영명 우응순 외, 조선중 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
  • 「16․17세기 강호시조의 변모와 전가시조의 형성」, 어문논집 35
    고려대 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96]
  • 「16-18世紀 兩班地主層의 農業經營과 農民層의 動向」
    김건태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7]
  • 「16-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성격」, 민족문화논총 10
    정진영 영남대 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9]
  • 「16-17세기 漢詩史 연구: 詩風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3-6
    이종묵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 「16 17세기의 가사문학, 국어국문학 제78집
    정익섭 국어국문학회 [1978]
  • 李重慶, 壽軒先生文集
  • 李珎, 市隱堂先生文集
  • 李廷龜, 月沙集
  • 李元翼, 梧里集
  • 魯認, 錦溪集
  • 羅萬甲, 丙子錄
  • 金長生, 沙溪全書
  • 金忠善, 慕夏堂實記
  • 회상사 편
    慶州鄭氏世稿: 八松公派 [2002]
  • 호계선생유집: 17세기 경상도 義城, 충절을 실천한 선비의 시문집, 신해 진 역주
    역락 [2011]
  • 향촌사회사연구회,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1990]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아카넷 [2003]
  • 한국문학통사3
    조동일 지식산업사, (제4판, 2005) [1984]
  • 한국기행문학연구
    최강현 일지사 [1982]
  • 한국고전번역원 편, 국역 조선왕조실록
    (db.itkc.or.kr)
  • 편, 증보 18세기 가사전집
    이상보 민속원 [1991]
  • 편, 증보 17세기 가사전집
    이상보 민속원 [2001]
  • 편, 옛 노래, 옛 사람들의 내면풍경
    임형택 소명출판 [2005]
  • 편, 역대가사문학집성, ㈜누리미디어
    임기중 (www.krpia.co.kr)
  • 존재 위백규 문학 연구
    김석회 이회문화사 [1995]
  • 조정, 조정선생문집, 이현종 편역
    간행위원회 [1977]
  • 조선후기 정치사 연구 1
    김용흠 혜안 [2006]
  •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
    김돈 국학자료원 [2009]
  • 조선중기 사림의 도학과 정치철학
    설석규 경북대학교출판부 [2009]
  • 조선의 문화공간 3
    휴머니스트 [2006]
  • 조선사회사연구: 朝鮮社會의 構造와 性格 및 그 變遷에 관한 硏究
    송준호 일조 각 [1987]
  • 정유피란기, 이현석 역
    정호인 함평군향토문화연구회 [1986]
  • 전북향토문화연구회 편
    南原源洞鄕約 [1994]
  • 임진왜란의 문학적 형상화
    장경남 아세아문화사 [2000]
  •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한명기 역사비평사 [1999]
  • 임진왜란 포로실기 연구
    이채연 도서출판 박이정 [1995]
  • 임진록 연구
    임철호 정음사 [1986]
  • 임병양란과 문학의식
    소재영 한국연구원 [1980]
  • 이재선생문학비 건립추진위원회 편
    이재 조우인선생 문학비 건립기념 문집 [2001]
  • 우담선생유적보존회 편
    雩潭先生文集 [1979]
  • 우담(雩潭) 채득기(蔡得沂)의 군신언지록고(君臣言志錄考)
    권태을 상주문화연구 18, 경북대학교 상주문화연구소 [2008]
  • 용사일기, 이위응 역
    정탁 부산대학교 한일문화연구소 [1962]
  •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999]
  • 역주, 가사 Ⅰ, 한국고전문학전집 3권
    최강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 역주, 詩經集傳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1993]
  • 역주 고대일록 상 하, 남명학연구원 옮김
    정경운 태학사 [2009]
  • 순오지 이민수 홍만종 을유문화사 [1977]
  • 신점, 경재 선생 실기: 17세기 경상도 義城, 처사의 실기, 신해진 역주
    심미안 [2011]
  • 쇄미록, 이민수 역
    오희문 海州吳氏楸灘公派宗中 [1990]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국역 국조인물고, ~2007 [1999]
  • 선조대 후반(1594~1608)정치체제의 재편과 정국의 동향
    구덕회 한국사론 20 [1988]
  • 보수적 이상주의의 계승과 파탄-김득연의 강호시가 연구
    신영명 논문집 18, 상지대학교 [1997]
  • 병자일기, 전형대 박경신 역주
    남평 조씨 예전사 [1991]
  • 박인로, 국역 노계집, 김문기 역주
    역락 [1999]
  • 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해행총재 2 [1967]
  • 담바고 문화사
    안대회 문학동네 [2015]
  • 노계가사의 작품구조와 현실인식
    崔相殷 반교어문연구 1, 반교어문연구회 [1988]
  • 노계 박인로 연구
    황충기 국학자료원 [1994]
  • 남한일기, 신해진 역주
    남급 보고사 [2012]
  • 나만갑, 병자록, 윤재영 역
    명문당 [1987]
  • 기억하는 인간 호모 메모리스
    이진우 책세상 [2014]
  • 기억과 망각 : 문학과 문화학의 교차점
    최문규 책세상 [2003]
  • 기억, 망각 그리고 상상력
    조대호 연세대학 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 국역 청광집, 박경래 역주
    박사형 보성문화원 [1999]
  • 국역 용산세고(龍山世稿), 김정기 역
    김광원 김득숙 김득연 김언기 한국국학진흥 원 고전국역실 [2011]
  • 국역 두곡집, 권세창 역
    고응척 濟州高氏 安東監務公派宗門會 [2007]
  • 국사편찬위원회 편, 「永川郡誌」, 輿地圖書 下
    한국사료총서 20 [1973]
  • 경주정씨종중 편
    慶州鄭氏文獻錄
  • 강도일기, 신해진 역주
    어한명 역락 [2013]
  • 갈봉 김득연의 문학 세계
    이구의 한국의 철학 30,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1]
  • 黃一皓, 芝所先生文集
  • 魚漢明, 江都日記
  • 高應陟, 杜谷集
  • 金得硏, 葛峯先生文集
  • 鄭琢, 龍蛇日記
  • 鄭榮邦, 石門集
  • 鄭慶雲, 孤臺日錄
  • 鄭希得, 月峰海上錄
  • 鄭好仁, 丁酉避亂記
  • 鄭勳, 水南放翁遺稿
  • 趙靖, 黔澗先生文集
  • 趙纘韓, 玄洲集
  • 許筠, 惺所覆瓿稿
  • 許礻啇, 水色集
  • 蔡得沂, 雩潭先生遺稿
  • 白受繪, 松潭先生遺事
  • 洪萬宗, 旬五志
  • 沈守慶, 遣閑雜錄
  • 李睟光, 芝峯類說
  • 李植, 澤堂集
  • 李景嚴, 過庭拾遺
  • 李好閔, 亂後拾遺
  • 李俔, 交翠堂集
  • 朴士亨, 淸狂集
  • 朴仁老, 蘆溪集
  • 朴世采, 南溪集
  • 朝鮮詩歌史綱
    조윤제 동광당서점 [1937]
  • 朝鮮時代의 兩班과 鄕村社會
    집문당 [1999]
  • 曺友仁, 頤齋集
  • 徐命膺, 保晚齋集
  • 崔蘊, 砭齋集
  • 崔葕, 星灣集
  • 崔晛, 訒齊集
  • 崔岦, 簡易集
  • 岡眞理, 기억 서사, 김병구 역
    소명출판 [2004]
  • 宋時烈, 宋子大全
  • 姜復中, 淸溪遺事
  • 姜沆, 看羊錄
  • 姜應貞, 中和齋先生實紀
  • 姜宗孝, 東隱遺藁
  • 壬辰倭亂中의 社會動態
    최영희 한국연구원 [1975]
  • 吳希文, 瑣尾錄
  • 南礏, 南漢日記
  • 南平曺氏, 丙子日記
  • 倡義錄: 17세기 호란 시 경상도 한 의병장의 기록, 신해진 역주
    신적도 역락 [2009]
  •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09]
  • 「16?17세기 在地士族의 ‘居鄕觀’」
    김인걸 한국문화 19 [1997]
  • Tonkin, Elizabeth, Narrating our pasts: the social construction of oral history,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1992.
  • Linde, Charlotte, The Acquisition of a Speaker by a Story: How History Becomes Memory and Identity, Ethos, Volume 28, Issue 4,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December 2000.
  • D lmen, Richard van, 개인의 발견: 어떻게 개인을 찾아가는가 1500~1800, 최 윤영 역, 현실문화연구, (Die Entdeckung des Individuums 1500-1800
    Frankfurt am Main: Fischer Taschenbuch Verlag GmbH, 1997.) [2006]
  • Assmann, Aleida,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개정판), 변학수 채 연숙 역, 그린비, (Erinnerungsr ume: Fromen und Wandlungen des kulturellen Ged chtnisses(4th edition), M nchen: C.H
    Beck oHG, 2009.) [2011]
  • <百祥樓別曲>의 누정문학적 정체성
    권정은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2006]
  • 17세기 전반 서인 관료의 사상
    조성을 역사와 현실 8, 한국역사연구회 [1992]
  • 17세기 旌表政策에 대한 硏究
    박주 국사관논총 4 [1989]
  • 16 7세기 學唐風의 性格과 그 風情
    정민 한국한문학연구, 한국한문학회 [1997]
  • 錦溪日記
  • 君臣言志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