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Csikszentmihalyi의 몰입 이론의 관점에서 본 Montessori와 Gardner의 교육이론 : 몰입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김지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Csikszentmihalyi의 몰입 이론의 관점에서 본 Montessori와 Gardner의 교육이론 : 몰입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sikszentmihalyi
  • gardner
  • montessori
  • 관점
  • 교육이론
  • 구성요소
  • 몰입
  • 이론
  • 중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88 0

0.0%

' Csikszentmihalyi의 몰입 이론의 관점에서 본 Montessori와 Gardner의 교육이론 : 몰입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회복탄력성
    김주환 일산: 위즈덤 하우스 [2015]
  • 박사
    한국인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집단명상을 중심으로
    신천식 신천식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한국의 초등영어 몰입프로그램 사례 분석: EFL 프로그램과의 비교
    신경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학습플로우 경험의 증진방안 연구: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관계분석과 플로우 채널 탐색을 기반으로
    이화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 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유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학습몰입의 구조: 척도, 성격, 조건, 관여
    석임복 경북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7]
  • 학교학습의 극대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
    정종진 서울: 양서원 [1999]
  • 프뢰벨과 Montessori의 교육이론 비교연구: 놀이와 작업의개념을 중심으로
    최양미 유아교육연구, 17(1), 5-22 [1997]
  •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
    박희숙 유아교육학논집, 6(2), 207-230 [2002]
  • 프로젝트 스팩트럼(Project Spectrum)에기초한 영역별-교수 학습 평가도구 개발 연구
    김명희 신화식 주은희 유아교육연구,21(4), 127-155 [2001]
  •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요인 비교연구: 칙센트이하이와 Gardner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민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코메니우스와 Montessori의 교육사상 비교- 감각교육을중심으로 실천유아교육
    김지영 17(2), 55-74 [2012]
  • 초등영재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몰입의 관계연구
    이미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직무만족, 직무몰입, 직무수행의 상호예방에 관한 연구: 특히 공군장교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고찰
    송석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7]
  •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규명
    계보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효과
    김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기초한 유아 요리 프로그램이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김선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해를 위한 교수를 적용한 아버지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민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이론과 실제를 중심으로 한 다중지능학교사례 [Multiple intelligences: Best ideasfrom research and practice]. (신화식, 김명희 역). 서울: 교문사
    Fierros, E. Kornhaber, M. Vernema, S. (원전은 2004 출판) [2008]
  • 유치원 교실에서의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류진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유아교육현장으로의 다중지능 프로그램 적용과 통합: 이해를 위한 교수모형(Teaching for understanding)의 실제
    김지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5-94 [2007]
  •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나은숙 한수정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5(1), 61-78 [2009]
  • 유보통합과 영유아교사의 역할: 영유아과 함께 하는 놀이교사. 2014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정선아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65-79 [2014]
  • 운현Montessori 교육과정
  •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권성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왜 Montessori인가? Montessori 교육에 대한 현대적 이해 [Montessori a modern approach]. (이영숙, 김기열 역). 서울: 창지사
    Lillard, P. (원전은 1972 출판) [2000]
  • 열정적인 교사 도전하는 어린이
    조성자 서울: 창지사 [2013]
  • 박사
  • 아동의 삶의 질 국제비교연구: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2013 한국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국제 심포지움,(47-88)
    유민상 이봉주 서울: 세이브더칠드런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 스포츠 심리학 용어 사용의 개념적 혼란사례: flowcommitment를 대상으로
    권성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2(4), 157-168 [2011]
  • 박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차상민 국민대학교 비즈니스 IT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진짜 재미 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오정희 임부연 최남정 유아교육연구,28(1), 185-209 [2008]
  • 미국의 다중지능 교육
    김명희 정태희 열린교육연구, 5(2), 3-25 [1997]
  • 몰입의 즐거움 [Finding flow]. (이희재 역). 서울: 해냄
    Csikszentmihalyi, M. (원전은 1997에 출판) [2007]
  • 몰입경험의 교육적 가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송주연(2014). 유아교사 교수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손지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몰입(flow)이론을 적용한 주관적 경험측정: 체험전시 콘텐츠를 중심으로
    임승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몰입(flow)에 관한 고찰(이해)
    김공수 손영수 최영준 고려대학교부설 스포츠과학연구소 논총, 11(0), 11-23 [2000]
  • 마음의 틀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intelligences]. (이경희 역). 서울: 문음사
    Gardner, H. (원전은 1983에 출판) [1993]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효과
    심윤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한양여자대학 부속유치원 편
    김명희 신화식 서울: 학지사 [2006]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활동 개발 및 효과 분석
    정태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다중지능이론과 실제 [Multiple intelligences: Thetheory in practice]. (김명희 이경희 공역). 서울: 양서원
    Gardner, H. (원전은1993에 출판) [1998]
  • 다중지능이론: 그 기본 전제와 시사점
    김명희 김영천 교육과정연구, 16(1), 299-330 [1998]
  • 다중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Intelligencereframe: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문용린역). 서울: 김영사
    Gardner, H. (원전은 1999에 출판) [2001]
  •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과정 개발
    김명희 류완영 한국교육과정학회, 17(2), 87-119 [1999]
  • 다중지능 [Multiple intelligences: New horizons]. (문용린, 유경재 역). 서울: 웅진하우스
    Gardner, H. (원전은 2006에 출판) [2007]
  • 내일을 여는 교육 3 다중지능 이론과 수업
  • 박사
  • 교학 한국어 사전
    유목상 서울: 교학사 [2004]
  • 교사-학생관계 및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김희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경험, 몰입, 동일화 개념을 통한 아동의 미술창의성 교육연구
    최현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Project Zero(2006). The Project Zero Classroom 2006: Views onunderstanding. Harvard project Zero, Harvard Graduate School ofEducation Programs in professional Education Cambridge, MA.
  • Privette, G, & Bundrick, C. M.(1983). Peak experience, peakperformance, and flow: Personal descriptions and theoreticalconstruct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6(5),169-188.
  • Optiz (1994). Learning centers: Getting them started, keeping themgoing. New York: Scholastic Professional Books.
  • O, & Nelson, P. 강점에 올인하라. [Soar with yourstrengths]. (홍석표 역). 서울: 솔로몬 북
    Clifton, D. (원전은 1996 출판) [2007]
  • Montessori의 어린이의 신비 [The secret ofchildhood]. (조성자 역). 서울: 창지사
    Montessori, M. (원전은 1966에 출판) [1991]
  • Montessori교육의 재조명
    김명희 신화식 실천유아교육, 13권,49-79 [2008]
  • Montessori. M. 흡수하는 마음 [The absorbent mind]. (정명진역). 서울: 부글북스
    (원전은 1949에 출판) [2014]
  • Montessori. M. Montessori의 어린이의 정신 [The absorbentmind]. (조성자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1967에 출판) [1965]
  • Montessori, M.(1995). Schule des Kindes, Bd. 1. Freiburg.
  • Montessori, M.(1995). Gott und das Kind, kleine Schriften MariaMontessoris, Bd. 1. Freiburg.
  • Montessori, M.(1972). The discovery of child. Translated by M. Joseph Costelloe, S, J. 6th edition. New York: Ballantine Books,Inc. (Original 1948: India)
  • Montessori, M.(1965). The formation of man. Adyar: The theosophicalPub. House.
  • Montessori, M.(1965). Spontaneous activity in education. New York:Schocken Books, Inc.
  • Montessori, M.(1964). The Montessori Method. Translated by Anne EGeorge. New York: Schocken Books, Inc. (Original workpublished, 1912: London).
  • Montessori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연구
    김남수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Montessori 평전 [Maria Montessori ]. 이명아 역. 서울: 문예출판사
    Hebenstreit, S. (원전은 1999에 출판) [2011]
  • Montessori 이론의 탐구
    신화식 서울: 학지사 [2006]
  • Montessori 유치원 유아의 다중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관계 연구
    김옥경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Montessori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 지도성과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윤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Montessori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 지지, 정서노동및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Montessori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조직문화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대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Montessori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친사회적 행동과 다중지능에 관한 연구
    장하영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Montessori 언어 발달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
    신화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 Montessori 아동교육론의 사상적 기초에 관한 분석
    유혜령 아동교육, 5(2), 191-204 [1996]
  • Montessori 생명교육
    서석남 서울: 동문사 [2006]
  • Montessori 그 교육의 모든 것
    이영숙 서울: 창지사 [2003]
  • Montessori 교육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신정원 이선옥 서울:교육아카데미 [2014]
  • Montessori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조성자 서울: 창지사 [2011]
  • Montessori 교육이론의 사고 교육적 의미에 대한 토론
    최양미 Montessori교육연구, 6(0), 67-68 [2001]
  • Montessori 교육의 이해
    유재봉 서울: 교육과학사 [2005]
  • Montessori 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선옥 서울: 태영출판사 [2010]
  • Montessori 교육에서 아동의 정상화 과정에 관한 고찰
    황옥자 아동학회지, 5(0), 107-119 [1984]
  • Montessori 교육론과 Gardner 다중지능이론의 유아 교육적 의미 비교 고찰
    류숙희 황혜경 한국보육학회지, 13(4), 149-167 [2013]
  • Montessori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영향
    장정인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Montessori 교육
    박경희 이성숙 서울: 정민사 [2003]
  • Montessori 감각교육 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장재향 대구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Maslow, A, H.(1959). Creativity in self: Actualizing people. In H. H. Anderson(ED), Creativity and the cultivation, New York: Harperand Row.
  • KrechevsKy, M.(1994). Project spectrum: Preschool assessmenthandbook. Cambridge, MA: Harvard Project Zero.
  • Key learning community의 고찰. 다중지능교육연구
    신화식 창간호, 163-184 [2004]
  • Key School. 교사워크숍 핸드북. 인디에나폴리스
    Key School [1977]
  • Kevin Rathunde(2001). Montessori education and optimal experience:A Framework for new research. The NAMTA Journal. 26(1),11-43.
  • Kathleen M. Lloyd.(2008). An analysis of Maria Montessori's theoryof normalization in light of emerging research in self-regul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 Hunt, J.(1961). Intelligence and Experience, New York: The RonaldPress.
  • Gardner, H., Feldman, D. H., & Krechevsky, M. (1999). Projectspectrum: Early learning. Cambridge, MA: Project Zero, Harvard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Gardner, H.(1999). Are there additional intelligences? The case fornaturalist, spiritual, and existential intelligences. In J. Kane(Ed.),Education,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 Gardner, H.(1995). Reflection on Multiple intelligences: Myths andmessages. Phi Delta Kappan, 77(3), 202-209.
  • Gardner, H.(1991). The unschooled mind. New York: Basic Books.
  • 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최인수 역). 서울:한울림
    Csikszentmihalyi, M. (원전은 1990에 출판) [2004]
  • Duvovoy, S. C.(1996). The personal intelligences: Linking Gardner toMontessori. The NAMTA J ournal, 21(1), 65-78.
  • Dewey, J.(1980). Art as experience. New York: Capricorn Books, G. P. Putnam's Son.
  • David Kahn(2003). Montessori and optimal experience research:Toward building a comprehensive education reform. TheNAMTA Journal, 28(3), 1-10.
  • Csikszentmihalyi, M.(2009). The evolving self: Psychology for theThird Millennium. New York: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Harper Collins. Kindle Edition.
  • Csikszentmihalyi, M.(2008). Flow. New York: Harper PerennialModern Classics. Harper Collins. Kindle Edition.
  • Csikszentmihalyi, M.(1993). The evolving self. New York: Harper &Row.
  • Csikszentmihalyi, M.(1988).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San Francisco:Jossey-Bass.
  •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n, S. (1993). Talented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ates, H. (2006). Student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education. New York: Routledge.
  • Chen, J., Isberg, E., & Krechevsky, M. (1999). Building on children’sstrengths: The experience of project spectrum. New York:Teachers College.
  • Campbell, L.(1996). Teaching & learning multiple intelligences. Boston: Allyn & Bacon.
  • Campbell, L. Campbell, B. & Dickinson, D.(1996). Teaching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Needham Heights, MA:Allyn & Bacon Inc.
  • Campbell, B.(1994). The multiple intelligences handbook. WA:Campbell & Assoc., Inc.
  •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Armstrong. T.(1994).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Development.
  • Armstrong, T.(1993). Seven kinds of smart: Discovering and usingyour natural intelligences. New York: Plume/Pengu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