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정의의 실현으로서의 성만찬에 관한 연구

박상길 2015년
' 정의의 실현으로서의 성만찬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ange
  • epiclesis
  • equality
  • eschatological preoccupancy
  • eucharist
  • eucharist prayer of the early church
  • inequality
  • injustice
  • justice
  • marginal person
  • post-communion prayer
  • reformation
  • ritual meal
  • symbol
  • table community
  • the great thanksgiving
  • the words of commission
  • union
  • 대감사기도
  • 변화
  • 불의
  • 불평등
  • 상징
  • 성령임재의 기도
  • 성만찬
  • 성찬 후 감사기도
  • 식탁 공동체
  • 연합
  • 의례적 식사
  • 정의
  • 종교개혁
  • 종말론적 선취
  • 주변인
  • 초대교회 성만찬 기도
  • 파송식
  • 평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83 0

0.0%

' 정의의 실현으로서의 성만찬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한신대학교출판부.『한국기독교장로회헌법』
    서울: 신성정판사 [1980]
  • 한국문화신학회 편.『한국문화와 예배』
    서울: 도서출판 한들 [1999]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리마문서에 대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학연구위원회의 입장
    ”「신학사상」제68권 [1990]
  • 폴 틸리히의 상징론
    최인식 「신학사상」23 : 152-194 [1995]
  • 폰 알멘/정용섭외역.『예배학원론』
    J. J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9]
  • 클리우스 E. 뮐러/조경수역.『먹고 마시는 것에 관한 인류학적 기원 : 넥타르 와 암브로시아』
    서울 : 안티쿠스 [2007]
  • 총회예식서수정위원회 위원장 김소영.『표준예식서』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 총회예식서개정위원회.『대한예수교 장로회 예배예식서, 표준개정판』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2008]
  • 초대기독교예배
    남 호 서울: 도서출판 KMC [2001]
  • 종교개혁자들의 예배개혁 : 얻은 것과 잃은 것
    조기연 「신학과 실천」Vol.12 : 129-164 [2007]
  • 존 지지울러스/이세영정애성역.『친교로서의 존재』
    서울: 삼원서원 [2014]
  • 존 스택/류호준역.『구약신학: 본문과 해석』
    서울: 솔로몬 [2000]
  • 요한의 신학
    김득중 서울: 컨콜디아사 [1994]
  • 예배의 재발견
    박은규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 열두 사도의 가르침-디다케
    정양모 칠곡: 분도출판사 [1993]
  • 아리스토텔레스/손명현역.『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동서문화사 [2007]
  • 신앙과 직제 위원회 편.『새 예배서』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2]
  • 성결교 새 예식서 수정 위원회. 『예배와 예식서』
    서울: 기독교대한성결교회 발행부 [2004]
  •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의례이론의 예배 연구에의 적용: 사회극이론과 예배갱신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중심으로
    안선희 「한국기독교신학논총」Vol.32 : 253-274 [2004]
  • 먹거리 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임희숙 「기독교논총」 제23집: 273-296 [2010]
  • 리마예식서
    박근원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 롤프 크니님/강성열역.『구약신학의 과제 1』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1]
  • 레이 메르메/김인영역.『성사 안에 드러난 신앙』
    서울: 분도출판사 [1994]
  • 레오나르도 보프, 클로도비스 보프/박강희역.『해방신학의 이론과 실천』
    서울: 논장 [1988]
  • 레오나르도 보프, 클로도비스 보프/김수복역.『해방신학 입문』
    서울: 마당 [1987]
  • 디오게네스 알렌/정재현역. 『신학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 』
    서울: 대한기독 교서회 [1996]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표준예식서(개정판)』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1993]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헌법』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국 [2003]
  • 다니엘 미글리오리/장경철역.『기독교 조직신앙 개론: 이해를 추구하는 신 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 기독교한국루터교 예배 분과 위원회.『예배 의식문』
    서울: 도서출판 컨콜디아 [1993]
  • 그리스도교 철학연구소.『현대사회와 정의』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5]
  • 구티에레즈/이성배역.『해방신학의 영성: 해방신학의 영성: 우리는 우리 자신의 우물에서 마신다』
    구스타보 서울: 분도출판사 [1987]
  • 감리교 예문 연구위원회.『예문 1. 2』
    서울: 도서출판 KMC [2006]
  • 『현대신학논쟁』
    목창균 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2002]
  • 『폴틸리히의 변증신학』
    임형모 유성: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 『칼빈의 생애와 사상』
    이양호 서울: 한국신학 연구소 [2001]
  • 『우분투 = '함께 사는 세상'을 향하여』
    방연상 서울: 한들출판사 [2013]
  • 『예배학 사전』
    정장복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5]
  • 『예배학 개론』
    정장복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5]
  • 『약속과 정의』
    이정기 서울: 엘멘 [2012]
  • 『안병무박사 고희기념논문집: 예수의 밥상 공동체 운동과 교회 』
    박재순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2]
  • 『사회정의의 철학저 기초』
    황경식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5]
  • 『법과 사화정의』
    김철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3]
  • 『민중과 한국신학』
    김경재(서평자)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2]
  • 『디다케』
    정양모 경북: 분도 출판사 [1993]
  • 『대한예수교장로회 헌헙』
    박노원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 『기독교대한감리회 교리와 장정』
    신경하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6]
  • 『기독교 조직신학 Ⅴ』
    김균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 『개신교 예배』
    White, James F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 「예배와 교육」
    임영택 서울: 종로서적성서출판 [2000]
  • “하나의 식탁, 하나의 공동체.”
    조기연 「신학사상」 제102호 : 189-284 [1998]
  • “정의란 무엇인가? : 아모서의 열방 심판 신탁을 중심으로.”
    류호준 「그 말씀」: 15-27 [2012]
  • “정의, 분배 정의, 그리고 여성 :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논의에 기초하여.”
    이정은 「한국여성철학」제15권 : 151-179 [2011]
  • “정의(正義)에 대한 동서 철학의 성찰.”
    송인창 「철학논총」제65집 : 229-247 [2011]
  • “영성과 밥상.”
    이현주 「세계의 신학」제48호 : 43-54 [2009]
  • “성찬신학과 성찬예배의 실천적 제언: Horton Davies.”
    김성목 장로교신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성만찬적 교회론: 교회의 공동체성 회복을 위하여.”
    최승태 「조직신학 논총」제8집 : 262-284 [2003]
  • 박사
    “성만찬의 생태학적 함의 연구.”
    임승훈 연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4]
  • “성만찬에 관한 신학적 이해 연구: BEM의 성만찬 이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논문 [1990]
  • “성만찬 예전은 성만찬 기도로 정절에 도달한다.”
    「새가정」통권54권 591호 (200. 7): 42-45
  • “생태학적 회심으로서의 성만찬 연구.”
    임승훈 「신학논단」 제57집 : 173-196 [2009]
  • “사회변동과 사회참여.”
    오재식 기독교사상편집부(편). 『한국의 정치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4]
  • “사회 양극화를 위한 성찬 신학적 고찰과 제언.”
    김순환 「신학과 실천」Vol.11 : 41-69 [2006]
  • “리마예식서의 새로운 평가.”
    박근원 「기독교사상」제35권 : 44-56 [1991]
  • “라인홀드 니버의 교회와 국가.”
    박봉배 「기독교사상」, 1) [1973]
  • Yarnold, G. D. The Bread Which We Break.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0.
  • Xavier Leon‐ Dufour. Sharing the Eucharistic Bread. New York: Paulist Press, 1987.
  • World Council of Churches. Faith and Order Paper, No. 111.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Geneva: WCC Press, 1982.
  • William/박근원역.『예수교 예배의 역사』
    Nagel, D.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 White, James F/김운용역.『성례전:하나님의 자기 주심의 선물』
    서울: 예배 와 설교 아카데미 [2006]
  • White, James F. Protestant worship.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89.
  • Westerhoff Ⅲ, John.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New York: Scabury Press, 2000.
  • Welker, Micaael/임걸역.『성찬식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
    서울: 한들출판사 [2000]
  • Weil, Simon. Waiting for God. New York: Happer & Row, 1951.
  • Webber, Robert E/김지찬역.『예배학』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8]
  • Walker, Williston/류형기역.『기독교회사』
    서울: 한국기독교문화원 [1983]
  • Wakefield, Gordon S/김순환역. 『예배의 역사와 전통』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7]
  • Wainwright, Geoffrey. Edward Yarnold and Paul Bradshaw. The Study of Litur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 Ulrich S. Leupold., ed. Luther's Work Vol. 53. Philadelohia: Fortress Press, 1985.
  • Turner, Victor W. The Forest of Symbol : Aspects of Ndembu Ritual. Ithaca, N. Y: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 Tillich, Paul. Love, Power and Justice. Ontological and Ethical Applica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 Tillich Paul/이병섭역.『신앙의 다이나믹스』
    서울: 전망사 [1982]
  • Thomson, Bard. Liturgies of the Western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5.
  •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We Gather Together. Nashville: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80.
  • Stookey, Laurence Hull/김순환역.『성찬. 어떻게 알고 실행할 것인가?』
    서울: 기독교서회 [2002]
  • Stookey, Laurence Hull. Eucharist: Christ’s Feast with the Church. abingdon Press, Nashville, 1993.
  • Stone, Ronald. Reinhold Niebuhr: Prophet to Politician. Nashville: Abingdon Press, 1972.
  • Stephens. W. P. Zwingli : An Introduction to His Though. Oxford: Clarendon Paperbacks, 1992.
  • Smith, Jonathan Z. To Take Place : Toward Theory in Ritual.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 Smith, Dennis E and Hal E. Taussig. Many Tables: The Eucharist in New Testament and Liturgy Today. London: SCM Press, Philadelphi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0.
  • Segler, Frankiin M/정진황역.『예배학원론』
    서울: 요단출판사, 192
  • Schrink, Edmund. Intercommunion. London: SCM Press, 1952.
  • Schmemann, Alexander. For the Life of the World. Crestwood: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0.
  • Schillebeeckx, Edward. The Catholic Tradition: Mass and the Sacraments, Ⅱ. Minneapolis, MN: A Consortium Book, 1979.
  • Sandel, Michael J/이창신역.『정의란 무엇인가?』
    서울: 김영사 [2010]
  • Rowely, H. H. Worship in Ancient Israel: Its Forms and Meaning. London: SPCK, 1967.
  • Ricoeur, Paul. “The Model of the Text : Meaningful Action Considered as a Text.”Social Research 38 (Autumn 1971).
  • Rice, Howard L. and James C. Huffstutler. Reformed Worship. Louisville: Geneva Press, 2001.
  • Rawls, John/황경식역.『정의론』
    서울: 이학사 [2003]
  • Rawls, John. Political Liberalism.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 Rawls, John.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 Rapport, Roy A. Ecology, Meaning, and Religion. Richmond, CA: North Atlantic Books, 1979.
  • Ramsey, Paul. Basic Christian Ethics.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2.
  • Rahner, Karl. Foundation of Christian Faith; An Introduction to the Idea of Christianity. trans. William V. Dych. New York: Crossroad, 1993.
  • Power, David. The Eucharistic Mystery : Revitalizing the Tradition. New York : Crossroad, 1994.
  • Pinar, William. 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New York: Peter Lanf, 2002.
  • Ostdiek, Gilbert.“Liturgy and Justice: The Legacy that Awaits Us.” in Liturgy and Justice: To Worship God in Spirit and Truth, ed. Anne Y. Koester. Collegeville,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2002.
  • Nozick, Robert/남경희역.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自由主義 國家의 철학적 기초』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3]
  • Niebuhr, Reinhold/남태욱역.『라인홀드 니버와 사회정의』
    서울: 국제교육문화원 [2006]
  • Niebuhr, Reinhold. Christianity and Power Politics. New York : Charles Scribner's Sons, 1948.
  • Musser, Donald W. and Joseph L. Price., ed. A Handbook of Christian Theology. Nashville: Abingdon Press, 1992.
  • Montefior, Hugh. Thinking about the Eucharist: Essays by Members of the Archbishop's Commission on Christian Doctrine. London: SCM Press, 1972.
  • Miller, Janet L.“Women as Teachers: Enlarging Conversation on Issues of Gender and Self-concept.” Journal of Curriculum and Supervision Ⅲ-21 (1985): 5-11.
  • Michel, Virgil. “Natural abd Supernatural Society.” Orate Fratres 10(1935-36): 244-245.
  • Michel, Virgil. The Liturgy of the Church: According to the Roman Rite. New York: Macmillan, 1937.
  • Meeks, Wayne A. The First Urban Christians: The Social World of the Apostle Paul. New He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3.
  • Mcgrath, Alister E. Reformation Thought. Oxford: Blackwell Publishing, 1999.
  • McFaGue, S. The Body Of God. An Ecological Theology. Minneapolis, 1993.
  • McCann, D/김쾌상역.『기독교 현실주의와 해방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4]
  • Maxwell, William D/정장복역.『예배의 발전과 그 형태』
    서울 : 쿰란출판사 [1998]
  • Martin, Ralph/오창윤역.『초대교회 예배』
    서울: 은성문화사 [1993]
  • Marshall, I. Howard. Last Supper and Lord’s Supper.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81.
  • Marcus, George and Michael J. M. Fisher. Anthropology as Cultural Critique.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 Luther, Martin/지원용역.『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3대 논문』
    서울: 컨콜디아사 [1993]
  • Lull, Timothy F. Martin Luther's Basic Theological Writings.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89.
  • Locher, G. W. Zwingli's Thought. Netherlands: Leiden, 1981.
  • Leon‐Dufour, Xavier. Sharing the Eucharistic Bread. New York: Paulist Press, 1987.
  • Leaver, Robin A. & Joyce Ann. Zimmerman., ed/허정갑역.『예전과 음악』
    서울 : 말씀과 식탁 [2006]
  • Langer, Susanne K. Philosophy in New Ke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42.
  • LaVerdiere, Eugene. The Eucharist in the New Testament and the Earlly Church.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1991.
  • Koester, Anne Y., ed. Liturgy and Justice: To Worship God in Spirit and Truth. Collegeville,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2002.
  • K ng, Hans. The Church. New york: A Division of Doubleday & Company, Inc, 1976.
  • Jungmann, Joseph A. The Mass of the Roman Rite : Its Origin and Development. Vol.1. Tr. by F. A. Brunner. Allen . Text : Christian Classics, 1951.
  • Johnson, Maxwell E. The rites of Christian. Minesota: The Liturgical Press Collinsville, 1989.
  • Jeremias, Joachim. The Eucharistic Words of Jesus. Mew York: Scribner’s, 1966.
  • Jaspers, Karl. Truth and Symbol. trans. Jean T. Wild. New York: Twayne Publishers, 1959.
  • Jasper, Ronald C. D. The Renewal of Worship: Essays by Members of the Joint Liturgical Group.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 Jasper, R. C. D and G. J. Cuming. Prayers of the Eucharist: Early and Reformed. Collegeville,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1992.
  • Horn, Henry E. Worship in Crisi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2.
  • Hippolytus/이형우역주.『사도전승』
    칠곡: 분도출판사 [1992]
  • Higgins. A. J. B/김세광역. 『신약성서에 나타난 주의 만찬』
    서울: 한 국장로교출판사 [2001]
  • Heron, I. C. Table and Tradi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3.
  • Hanstein, Peter. A Short History of the Western Litur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 Groome, Thomas. Sharing Faith: A Comprehensive Approach to Religious Education and Pastoral Ministry, the Way of Shared Praxis. Eugene, Origin: Wipf and Stock, 1999.
  • Grimes, Roland L. Jonathan Z. Smith's Theory of Ritual Place. Religion 29, no. 3 (July 1999).
  • Grassi, Joseph. Broken Bread and Broken Bodies: The Load’s Supper and World Hunger. Maryknoll, NY: Orbis Books, 1985.
  • Gerrish, B. A. Grace and Gratitude: The Eucharistic Theology of John Calvin. Eugene, OR: Wipf and Stock Publishers, 1993.
  • G bler, Ulrich
    『쯔빙글리 : 그의 생애와 사역』 서울: 아가페 [1993]
  • Frend, W. H. C. The early church. London: First Fortress Press, 1982.
  • Ellis, Marc H. and Otto Maduro., ed. Expaning the View: Gustavo Gutierrez and the future of liberation theology. MaryKnoll, NY: Orbis Books, 1989.
  • Driver, Tom F. The Magic of Ritual: Our Need for Liberating Rites That Transform Our Lives and Our Communities. San Francisco, Calif : HarperSanFrancisco, 1991.
  • Doherty, catherine de Hueck. “I Saw Christ Today.” Orate Fratres 12(1938): 309-310.
  • Dix, D. G. The Shape of the Liturgy. London : A & C Black, 1986.
  • Davies, J. Gordon. Introductory essay to An Experimental Liturgy. London: Lutterworth Press, 1958.
  • Davies, J. G. and D. A. Tytler., ed. An Experimental Liturgy . London: The Lutterworth Press, 1958.
  • Davies, Horton. Bread of life and cup of joy: newer ecumenical perspectives on the eucha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3.
  • Cullmann, Oscar/이선희역.『원시 기독교 예배』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4]
  • Crockett, William. Eucharist: Symbol of Transformation. New York: Pueble Publishing Company, 1989.
  • Coenen, L. Art. Herrenmahl. in: The Begriffslexikon zum Neuen Testamen Ⅱ/1. Hrsg. von L. Coenen u.a..2. aufl, 1970.
  • Chauvet, Louis-Marie. Symbol and Sacrament : A Sacramental Reinterpretation of Christian Existence. trans. Patrick Madigan. S. J and Madeleine Beumont. Collegeville, MI: The Liturgical Press, 1995.
  • Calvin, John. 『한•영 기독교 강요 Ⅳ』
    서울: 기독성문출판사 [1990]
  • Cairns, David. In Rememberance of Me. London: Geoffrey Bles, 1967.
  • Burghardt, Walter J.“Liturgy and Justice: The Legacy that Awaits Us.” in Liturgy and Justice: To Worship God in Spirit and Truth, ed. Anne Y. Koester. Collegeville,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2002.
  • Brunner, Emil/전택부역.『정의와 자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 Brunner, Emil/전택부역.『정의와 사회질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Bromiley, G. W., ed. Zwingli and Bullinger.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3.
  • Brilioth, Yngve. Eucharistic Faith and Practice: Evangelical and Catholic. London: SPCK, 1930.
  • Bradshaw, Paul F. Eucharistic Origi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 Bradshaw, Paul F. Early Christian Worship.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6.
  • Boff, Leonardo and Clodovis Boff. Introducing Liberation Theolog. MaryKnoll, NY: Orbis Books, 1987.
  • Bennet, John C/강원용역.『크리스찬의 정치적 책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3]
  • Aulen, Gustaf. Eucharist and Sacrific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58. Bell, Catherine. Ritual Theory. Ritual Practi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 Aristoties/손명현역.『니코마코스윤리학』
    서울: 동서문화사 [2007]
  • Anne Ng, Greer. “Contextualiza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an Age of Disbelief.” Religious Education 92 (1997): 72.
  • Andrews, David.“Liturgy and Justice: The Legacy that Awaits Us.” in Liturgy and Justice: To Worship God in Spirit and Truth, ed. Anne Y. Koester. Collegeville,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2002.
  • Anderson, E. Byron. Worship and Christian Identity: Practicing Ourselves. Collegreville, MN:Liturgical Press, 2003.
  • Aland, Kurt/이기문역.『네 사람의 개혁자: 루터. 멜란히톤. 칼빈. 츠빙글 리』
    서울: 컨콜디아사 [1983]
  • /장장복역.『예배의 역사와 신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 /유영미역.『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지글러 서울: 갈라파고스 [2007]
  • /안진환,이수경역.『왜 도덕인가?』
    서울: 한국경제신문 [2010]
  • /김수경역.『문화와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1]
  • /김선욱외역.『공동체주의와 공공성』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8]
  • The Protestant Era. trans. James Luther Adams. Chicago: The University Press, 1948.
  • The Eucharist: Sacrament of the Kingdom. Crestwood, NT: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88.
  • Geoffrey. Eucharist and Eschatology. London: Epworth Press, 1971.
  • Christian realism and political problems. Fairfield, N.J.: A. M. Kelley,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