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정조대 인재선발정책 연구 : 문제점과 개선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government official selection policy in Jeong-jo’s reign: focusing on problems and remedies

최두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정조대 인재선발정책 연구 : 문제점과 개선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government official selection policy in Jeong-jo’s reign: focusing on problems and remedi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서류천거제
  • 소학
  • 인제선발제도
  • 정조
  • 주자서
  • 친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5 0

0.0%

' 정조대 인재선발정책 연구 : 문제점과 개선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government official selection policy in Jeong-jo’s reign: focusing on problems and remedies' 의 참고문헌

  • 論語
  • 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
    정옥자 서울: 문이당 [2011]
  • 탕평의 원리와 탕평론.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이태진 경기: 태학사. pp.205-234 [2011]
  •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정옥자 경기: 돌베개 [2012]
  •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下
    김백철 이태진 경기: 태학사 [2011]
  • 조선후기 탕평정치연구
    김성윤 경기: 지식산업사 [1997]
  • 조선후기 과거·교육에서의 요행의 문제
    이원재 교육학연구, 48(4). pp.167-188 [2010]
  • 조선후기 검서관 제도의 성립과 위상변화. 건국대학교
    이은주 석사학위논문 [2013]
  • 조선후기 「탕평」 연구
    박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김경용 敎育史學硏究, 20(1). pp.1-26 [2010]
  • 조선조의 과거제도와 교육제도
    김경용 大東漢文學, 40. pp.91-144 [2014]
  • 조선조 과거제도 시행과정의 탐색 –식년시 문과와 생진과를 중심으로-
    김경용 敎育史學硏究, 25(1). pp.1-47 [2015]
  •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최광만 敎育史學硏究, 23(2). pp.227-258 [2013]
  • 조선시대 과거제 시행의 법규와 실제
    김경용 敎育法學硏究, 16(2). pp.1-25 [2004]
  • 조선교육사 Ⅰ
    이만규 서울: 거름 [1988]
  • 조선 후기의 과거(科擧)
    박현순 서울: 소명출판 [2014]
  • 조선 시대 과거 제도 사전
    원창애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제왕의 책
    윤희진 서울: 황소자리 [2007]
  • 정조의 생각
    김문식 경기: 글항아리 [2012]
  •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정옥자 서울: 효형출판 [2001]
  • 정조의 『대학』 탐구와 새로운 군주론.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이태진 경기: 태학사. pp.235-283 [2011]
  • 정조시대 규장각의 교육적 의의
    최두진 水産海洋敎育硏究, 25(1). pp.274-286 [2013]
  • 정조대의 초계문신 교육제도 연구. 부산대학교
    최두진 석사학위논문 [2009]
  • 정조대왕과 친인척 1
    지두환 서울: 한영문화사 [2009]
  • 우리 선비
    정옥자 서울: 현암사 [2002]
  • 영조대의 文科 개혁 논의와 새로운 제도의 도입
    박현순 奎章閣, 41. pp.1-35 [2012]
  • 영조대 후반 소론남인계 동향과 탕평론의 추이
    원재린 역사와 현실, 53. pp.75-100 [2004]
  • 영원한 이방인: 조선시대 庶出 柳子光의 출세와 그 한계. 제56회 전국역사학대회 발표자료
    계승범 역사 속의 소수자: 공존과 배려를 위해. pp.34-43 [2013]
  • 서원의 사회사
    정순우 경기: 태학사 [2013]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조선 양반의 일생
    경기: (주)글항아리 [2009]
  • 규장각
    한영우 경기: 지식산업사 [2008]
  • 과거보고 벼슬하고
    송기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고려와 조선의 관리등용 제도: 과거제도의 재해석
    김판석 윤주희 한국사회와행정연구, 11(2). pp.139-163 [2000]
  • 高麗時代 敎育制度史 硏究
    박찬수 서울: 경인문화사 [2001]
  • 韓國敎育古典의 理解
    정세화 서울: 양서원 [1997]
  • 韓國圖書館硏究
    백린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81]
  • 靑莊館全書
  • 英祖代의 科擧改革政策 -科弊釐正綸音을 중심으로
    차미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英祖代 蕩平派의 國政運營論 硏究
    이근호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英祖代 初半의 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
    정만조 震檀學報, 56. pp.27-66 [1983]
  • 英祖代 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 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으로의 轉換
    정만조 歷史學報, 111. pp.63-111 [1986]
  • 經世遺表
  • 科場의 안과 밖 -18세기 한 지식인이 본 科場의 百態-
    김혈조 大東漢文學, 38. pp.79-135 [2013]
  • 甲辰新編 『奎章閣志』 硏究 –圖書館的 機能과 司書의 役割을 中心으로-
    안광래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熱河日記
  • 無名子集
  • 正祖의 人材觀 硏究-「策問」을 中心으로-
    김현옥 漢文學論叢, 28. pp.91-124 [2009]
  • 正祖御札帖
  • 正祖代 科擧制 운영의 정비
    박현순 韓國文化, 62. pp.37-74 [2013]
  • 朝鮮王朝實錄
  • 朝鮮王朝 官吏採用制度에 관한 硏究
    이강선 韓國行政學會志, 9. pp.21-38 [2000]
  • 朝鮮後期 敎育改革論 硏究. 서울대학교
    우용제 박사학위논문 [1995]
  • 朝鮮 正祖期 奎章閣 檢書官의 役割. 성균관대학교
    박현욱 석사학위논문 [1999]
  • 日省錄
  • 敎育史 敎育哲學
    차석기 서울: 집문당 [1986]
  • 弘齋全書
  • 岸本美緖․宮嶋博史 明淸と李朝の時代. 김현영․문순실 역(2003).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
    서울: 역사비평사 [1998]
  • 奎章閣의 지식기반사회적 의의와 동아시아문화
    정옥자 朝鮮時代文化史, (상). pp.388-414 [2006]
  • 奎章閣과 正祖의 改革政治. 경북대학교
    설석규 석사학위논문 [1984]
  • 奎章閣志
  • 奎章閣小考 –奎章閣志를 중심으로 본 槪觀-
    이이화 奎章閣, 3. pp.149-165 [1979]
  • 太學志
  • 大典通編
  • 內閣日曆
  • 中庸
  • 下學指南
  • 『과거 출세의 사다리 1.2.3.4』
    한영우 경기: 지식산업사 [2013]
  • 『經國大典』
  • 《정조의 제왕학》
    김문식 서울: 태학사 [2007]
  • http://www.hyundai.co.kr/Careers/Talent.hub
  • http://careers.samsung.co.kr/careers/intro.do
  • 19세기 문과에 대한 고찰
    박현순 韓國文化, 54. pp.33-70 [2011]
  • 18세기 조선사회와 사상.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정옥자 서울: 일지사. pp.121-145 [1993]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정민 서울: 휴머니스트 [2007]
  • 18세기 서울 편중 人事와 正祖의 地域 인재 선발 –正祖代 人事 관련 傳敎文을 중심으로
    박경남 大東文化硏究, 76. pp.267-298 [2011]
  • 17세기 과거 응시자 증가 현상에 대한 고찰. 조선 후기의 과거(科擧)
    박현순 서울: 소명출판. pp.35-87 [2014]
  • 17세기 과거 응시자 증가 현상에 대한 고찰
    박현순 史學硏究, 93. pp.89-14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