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주체표현으로서의 연기 :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새로운 연극성을 위한 연기양식 연구

김수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주체표현으로서의 연기 :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새로운 연극성을 위한 연기양식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연극성
  • 주체표현 연기
  • 포스트드라마 연극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3 0

0.0%

' 주체표현으로서의 연기 :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새로운 연극성을 위한 연기양식 연구' 의 참고문헌

  • 「연극성개념의 변형과 확장」
    김형기 『한국연극학』, 23 서울: 한국연극학회, 269-295 [2004]
  • 힐리어드 앙상블. <나는 그 집에 갔지만, 들어가지 않았다> 프로그램북
    LG아트센터 [2011]
  • 힐리어드 앙상블. <나는 그 집에 갔지만, 들어가지 않았다>
    LG아트센터 [2011]
  •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론』. 최현 옮김
    집문당 [1991]
  • 프로이트. 『꿈의 해석』. 김인순 옮김
    서울: 열린책들 [2007]
  •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3권 - 이야기된 시간』. 김한식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4]
  •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위치
    이진아 『한국연극학』, 42(2010), 서울: 한국연극학회, 193-225. [2010]
  •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김기란 서울: 연극과 인간 [2010]
  • 파트리스 파비스 외 공저.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서울: 푸른사상 [2011]
  • 티스 레만, 『포스트드라마 연극』. 김기란 옮김
    한스 현대미학사 [2013]
  • 크리스토퍼 인네스. 『아방가르드 연극의 흐름』. 김미혜 옮김
    서울: 현대미학사 [1997]
  • 크로이든. 『20세기 실험극』. 송혜숙 옮김
    마가렛 서울: 현대미학사 [1994]
  • 존 로크. 『인간지성론』. 추영현 옮김
    서울: 동서문화사 [2011]
  • 앙토넹 아르토. 『잔혹연극론』. 박형섭 옮김
    서울: 현대미학사 [1994]
  •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들?명제에 관하여』. 김진성 옮김
    서울: 이제이북스 [2009]
  • 슬라보예지젝,『How to read 라캉』, 박정수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9]
  • 스타니슬랍스키. 『배우수업』. 신겸수 옮김
    서울: 예니 [2001]
  • 쉬쉬팝. <유서>
    서강대 메리홀 [2012]
  • 살리. 『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 김정경 옮김
    사라 서울: 앨피 [2007]
  • 벨. <세드리크 앙드리외>
    제롬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2012]
  •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옮김
    주디스 서울: 문학동네 [2008]
  • 발. 『서사란 무엇인가』. 한용환 강덕화 옮김
    미케 서울: 문예출판사 [1999]
  • 민병은. 「연기, 비(非)연기, 그리고 일상생활 속의 연기」, 『연기예술연구』
    1 서울: 한국연기예술학회, 169-185 [2009]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기술: 일과 놀이에서 몰입 경험하기』. 이삼출옮김
    서울: 더불어책 [2003]
  • 무페. 『정치적인 것의 귀환』. 이보경 옮김
    상탈 서울: 후마니타스 [2007]
  • 박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 선호 요인 분석 : <무한도전 >과 <1박 2일 >을 중심으로
    이은정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방송영상학 석사학위논문 [2008]
  • 리미니프로토콜. <100%광주>
    국립극장 해오름 극장 [2104]
  • 리미니 프로토콜. <100% 광주>
    년 국립극장 해오름 극장 [2014]
  • 르네 폴레쉬. <현혹의 사회적 맥락이여,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2012]
  • 르 루아. <다른 상황의 산물>, 〜2
    백성희장민호 극장 백성희․장민호 극장 [2011]
  • 레페키. 『코레오그래피란 무엇인가』. 문지윤 옮김
    안드레 서울: 현실문화 [2014]
  • 랑시에르. 『문학의 정치』. 유재홍 옮김
    자크 서울: 인간사랑 [2011]
  • 들뢰즈/가타리의 ‘되기’ 이론으로 살펴 본 장 쥬네의 <하녀들 >
    김효 『한국연극학』36호, 한국연극학회, -263 [2008]
  • 드림플레이 테제21.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남산예술센터 [2014]
  • 동시대 연출가론-서구편 Ⅱ
    최영주 서울: 연극과 인간 [2010]
  • 다큐멘터리와 스토리텔링
    최민성 『한국언어문화』, 40 서울: 한국언어문화학회, 311-332 [2009]
  • 그린피그. <나는야 쎅스왕>
    년 5월 혜화동 일번지 공연본 [2011]
  • 그린피그, <나는야 쎅스왕>
    년 정보소극장 [2012]
  • 그로토프스키. 『가난한 연극』. 고승길 옮김
    서울: 교보문고 [1997]
  • 그로토프스키. 「‘극단’에서 ‘연결 매개체’로서의 연극까지」
    이순미 옮김
  • 『형이상학』
    김진성 옮김. 서울: 이제이북스 [2007]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김형기 서울: 푸른사상 [2014]
  • 『파이돈』
    Platon 전헌상 옮김. 이제이북스 [2013]
  • 『집단심리학과 자아분석』
    Freud, Sigmund 이상률 옮김. 서울: 이책 [2015]
  • 『자크 라캉의 세미나 11』
    라캉 맹정현 옮김. 서울: 새물결 [2008]
  •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고프만 어빙 김병서 옮김. 서울: 경문사 [1987]
  • 『미학안의 불편함』
    Ranciere, Jacques 주형일 옮김. 서울: 인간사랑 [2008]
  • 「현대춤에 나타난 내러티브 재현과 의미 분석-제롬 벨의 <베로니크드와노>를 중심으로」
    이지원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2 서울: 대한무용학회, 113-135 [2014]
  • 「포스트드라마 이후 독일드라마의 새로운 글쓰기 데아 로어와 시멜페니히의 내러티브시어터」
    <연극평론>, 72 서울: 연극평론가협회 [2014]
  • 「포스트드라마 이후 독일 포스트서사극」
    장은수 『브레히트와 현대연극』,30 서울: 브레히트학회, 149-169 [2014]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적 기초」
    김효(Kim, Hyo) 『외국문학연구』41호, 한국외국어대학교외국문학연구소, , 113∼135 [2011]
  •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나타난 ‘자기 이야기하기’ 서사를 중심으로 」
    나경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연극학과 석사논문 [2013]
  • 「통일 독일 연극의 어제와 오늘-연극의 정치 참여는 죽었는가?」
    장은수 <연극평론>, 47 서울: 연극평론가협회 [2007]
  •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패러디, 수행성, 복종, 우을증을중심으로」
    조현순 『영미문학 페미니즘』, 9 서울: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79-206 [2001]
  • 「정치연극의 언어-년대 피스카토르의 연극 실험 연구」
    남상식 『한국연극학』, 6 (1994). 서울: 한국연극학회, 305-337 [1920]
  • 「연극의 정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실험을 통함 감각의 분할과 타자의 현시」
    이경미 『한국연극학』, 48 서울: 한국연극학, 171-196 [2012]
  • 「연극에 있어서 ‘보게 하는 것’의 문제」
    하형주 『미학 예술학 연구』24, 서울: 한국미학예술학회, 171-189 [2006]
  • 「서사연기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
    김대현 『한국연극학』, 11 서울: 한국연극학회, 61-85 [1998]
  • 「새로운 서사와 연기의 진정성에 대한 연구-르 롸와 제롬 벨의 작업을 중심으로」
    『드라마연구』36 , 서울: 한국드라마학회,295-338 [2012]
  • 「새로운 글쓰기의 양상, 다큐멘터리 연극」
    이은경 <연극평론>, 68 서울: 연극평론가협회 [2013]
  • 「본다는 것의 의미와 관객의 역할-무엇을 보여주는가? 무엇을 보는가?」
    이경미 <연극평론>, 62 , 서울: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11]
  • 「무대 연출로: 그로토프스키 연극의 목적과 수단: 신성한 바보의 계시」
    김용수 『한국연극학』14 , 서울: 한국연극학회, 295-338 [2000]
  • 「몸과 공간의 형상, 그 연극성에 관하여」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서울: 연극과 인간, , 218-245 [2010]
  •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서현석 『영화연구』, 43 서울: 한국영화학회, 229-271 [2010]
  • 「근대적 주체와 정체성-정체성의 미시정치학을 위하여」
    이진경 『경제와 사회』, 35, 서울: 비판사회학회, 8-33 [1997]
  • 「‘전시’된 연극 ‘연출’된 연극 <삶과 시절> <유서>」
    하형주 <연극평론>,65 서울: 연극평론가협회 [2014]
  •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 텍스트성: 리얼버라이어티수용연구」
    박동숙 옥민혜 『미디어,젠더&문화』6 , 서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73-109 [2010]
  • 「‘뉴 다큐멘터리 연극’ 연구: 사실과 허구의 경계 허물기」
    남지수 동국대학교 연극학 박사학위 논문. 서울 [2014]
  • 「Krise des Subjekts and individuelle Bildung」
    최신한 『뷔히너와 현대문학』23, 한국뷔히너학회, 455?475 [2004]
  • 「9/11과 아방가르드 연극-실재, 가상, 재현」
    최성희 『한국연극학』, 47 서울: 한국연극학회, 197-221 [2012]
  • “김수영을 통해 무지한 나와 대면하려 했다”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김재엽 연출, PLAY DB와의 인터뷰, 년 11월 20일 [2014]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e_my&logNo=30189628087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ultureasia&logNo=40211005927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oals3000&logNo=140211670908
  • [PAMS Choice] 연극, 그리고 이 시대 자신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 김재엽, 김슬기와의 인터뷰
    년 9월 2일 [2014]
  • Michael Kirby, "On Acting and Not-Acting" in Acting (Re)Considered:Theories and Practices, Phillip B. Zarrilli, ed, London and NewYork: Routledge, 1995.
  • Lehmann, Hans-Thies, Postdramatic Theatre, Translated by KarenJurs-M?nb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6.
  • FROM IDENTIFICATION TO UNIFICATION-베를린에서 길 찾기 2[집중조명-공간] 한-독 커넥션 리서치 기관 리뷰2
    기고글 김재엽 년 3월 26일 [2013]
  • Erving Goffman,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ew York,London, Toronto, Sydney, & Auckland: Doubleday, 1959.
  • Erika Fischer-Lichte, History of European Drama and Theatre, Translatedby Jo Rile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2.
  • Bonnie Marranca. The Self as Text: Uses of Autobiography in theTheatre, Performing Arts Journal , 5/1/1979. Vol.4, Issue1/2,85-105.
  • <제작여건상 리얼리티쇼 한계논란> , 한국일보
    년 1월 13일 기사 [2009]
  • <정글의 법칙 조작 논란에 누리꾼 ‘시끌’…‘리얼’은 있을 수 없나>. 엑스포츠뉴스
    년 2월 11일 기사 [2013]
  • <장애극장>
    제롬 호라 서강대 메리홀 [2013]
  • <우리가 ‘삼시세끼’에 열광한 이유, 바로 ‘리얼’>. 오마이뉴스
    년 3월 17일 기사 [2015]
  • <미학은 감각적 경험을 분배하는 체제다>. 랑시에르와의 인터뷰, 시사IN
    년 12월11 일 기사 [2008]
  • <문화 프런티어 - 연극연출가 윤한솔>, 경향신문과의 인터뷰
    년 11월 30일 기사 [2010]
  • <나는 왜 조그마한 일에만 분노하는가>
    ‘관객과의 대화’, 년, 11월 15일 [2014]
  • <공연과 리뷰>
    21 서울: 공연과 이론을 위한 모임, 177-193 [1999]
  • <‘패밀리가 떴다’ 대본공개 파장... 네티즌 설전>, TV리포트
    년 1월 6일기사 [2009]
  • <‘차승원의 케첩 만들기’에 열광하는 우리들에 대해>. 한겨레신문
    년 2월25일 칼럼 [2015]
  • <100% 광주>, ‘예술가와의 대화-슈테판 카에기’, 년 2월 25일
    서울 예술가의 집 [2014]
  • The transformative power of performance : A newaesthetics, translated by Saskya Iris Jain,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