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만다라탠그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

김대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만다라탠그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dhd아동
  • 만다라탠그램 프로그램
  • 정서안정
  • 주의집중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3 0

0.0%

' 만다라탠그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 의 참고문헌

  •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서울: 학지사 [2013]
  • 한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검사
    윤치연 이상복 부산: 테스피아 [2004]
  • 한국 융 연구원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서울: 솔 출판사 [2001]
  • 한국 융 연구원 인격과 전이
    서울: 솔 출판사 [2004]
  • 한국 융 연구원 원형과 무의식
    서울: 솔 출판사 [2002]
  • 한국 융 연구원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서울: 솔 출판사 [2002]
  • 한겨레21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http://h21.hani.co.kr에서 2014년 12월 22일 인출 [2014]
  • 핀처 지음, 김진숙 옮김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
    수잔 서울 : 학지사 [1998]
  •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서울: 일조각 [2006]
  • 초현실주의의 총체적 원형을 통한미술치료요인 연구
    이선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남자 아동들에서 Methylphenidate 치료 전후에 Tc-99m ECDSPECT로 측정된 국소 뇌혈류 이상과 인지적 특성변화와의 연관관계: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과 전산화된 한국판 주의력장애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
    문재석 오은영 윤석남 이명훈 조선미 황이삭 생물치료정신의학, 9(2), 169-180 [2003]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소아정신질환의 개념
    조수철 서울: 서울대학교 [1999]
  •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권준수 서울: 학지사(원서출판2013 [2013]
  • 정서행동장애아 교육
    이상복 이상훈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8]
  •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곽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 정서심리학
    이훈구 서울: 법문사 [2003]
  • 정서교육에 대한 Peters와 Dunlop의 관점 비교
    조선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장애아의 발생과 원인 심각하다
    조인희 경인일보(2월 22일자) [2007]
  • 자기와 자기실현
    이부영 서울: 한길사 [2002]
  •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만다라 분석
    이 숙 정신간호학회지, 17(2) [2008]
  • 유산소운동이 ADHD 아동의 건강체력과 주의집중력, 실행기능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정혜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에고그램과 만다라를 통한 청년기여대생의 자아의식 분석
    이 숙 정신간호학회지, 11(4) [2001]
  • 아산톱뉴스 저희 만다라탠그램으로 집중력을 키워요
    http://www.asantopnew.com에서 2015년 6월12일 인출 [2011]
  • 아동의 자유화에서의 색채 사용량과 인성요인가의 상관연구
    김재은 임형진 한국문화연구원, 20(2), 6-19 [1972]
  • 심리적 재활을 위한 예술치료기법의 이론과 실제, 자료 2: 미술치료 기법을 통한 ADHD아동의 치료 사례
    김동연 서울 : 한국재활심리학회 [1997]
  • 선화의 원상에 내재된 추상성을 활용한 미술치료 방안연구
    권대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비밀집회 딴뜨라 의 만다라에 나타난 인간관
    정성준 종교연구. 24,183-199 [2001]
  • 미술치료의 이해
    정여주 서울: 학지사 [2005]
  • 미술치료와 아동의 색채이미지
    유봉자 인문학연구, 37, 159-179 [2009]
  • 미술치료에서의 만다라
    정순영 미술치료연구, 5(2) [1998]
  • 박사
  • 만다라탠그램
    김대현 서울: 21세기사 [2008]
  • 만다라와 미술치료
    정여주 서울: 학지사 [2001]
  • 만다라와 미술치료
    정여주 서울: 학지사 [2014]
  • 만다라에 표현된 상징의 심리적 의미
    박윤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
    김진숙 서울: 학지사 [1998]
  • 만다라
    홍윤식 서울: 대원사 [2010]
  • 만다라
    윤열수 홍윤식 서울: 대원사 [1992]
  • 독일 FAIR의 한국 표준화 연구에 의한 한국어판 FAIR 입문서
    오현숙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2002]
  • 다양한 미술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연구
    강은주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16 [2002]
  •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
    김유미 서울: 학지사 [2004]
  • 뇌기능분석을 통한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차현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그림에 의한 아동의 심리진단
    김재은 서울: 교육과학사 [1998]
  • 박사
    그림에 사용된 색채의 임상적 의미
    주리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건강심사평가원 가정의 달 5월 우리아이에게 관심을
    http://www.hira.or.kr에서 2013년 9월20일 인출 [2010]
  • 건강심사평가원 ADHD학교 가정에서도 협력해야
    http://www.hira.or.kr에서 2015년 6월13일 인출 [2015]
  • 『그림자』
    홍성완 서울: 한길사 [1999]
  • color는 doctor
    박필임 서울: 예경 [2003]
  • Sprafkin, J. & Rubenstein, E, A. (1982). Using television to improve the social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J. Sprafkin, C. Swift, and R.
  • Slegelis, M. (1987). A study of Jung's Mandala and its relationship to artpsychotherapy. The Arts in Psychotherapy. 14, 301-311.
  • Silverman, J. (1964). The problem of attention in research and theory inschizophrenia. Psychological Review, 71, 352-379.
  •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 Robert, Jergen 리틀몬스터 대학교수가 된 ADHD 소년. 조아라, 이순공역
    서울: 학지사 [2005]
  • Riley, Shirley. Contemporary Art Therapy with Adolescents, Jessica KingsleyPublishers, c. 1990, p.60.
  • Murty, K. (1998). Malbuach Mandala. Bern(4, Aufl).
  • Meichenbaum, D. & Goodman, J. (1997). The development control of operantmotor responding by verbal operant.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Psychology, 7, 522-565.
  • Meditation of Virginia Satir. 버지니아 사티어의 명상록 . 김영애 역. 서울: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Banmen, J. (원서출판 2008) [2008]
  • Laplante, Marjorie Ann(2000). Drawing the Mandara : A spiritual path towholeness. St. stephen's college.
  •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 fConsulting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 Kellogg, J. (1978). Mandala: Path of Beauty. Master's thesis, AntiochUniversity, Columbia, Md.
  • Kellogg, J. (1977). The meaning of color and shape in Mandalas. Art Therapy;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6(1), 123-126.
  • H. Ross(Ed). Prevention in Human Service. Television, Enhancing thePreventive Impact of TV, 5-16, NY. Haworth.
  • Findcher, S. F. (1991). Creating Mandalas for Insight. Healing and SelfExpression. Boston and London: Shambhala.
  • Fincher, S. F. (1991). Creating mandala: A Way of learning trans-personalnursing. International J Hum Caring, 10(3), 57-61.
  • Dunlop, F. (1984). The education of feeling and emotion. London : GeorgeAllen & UWin.
  • Dahlke, R. (1999). Malblock zur Mandala-Therapie, Munchen.
  • Creating Mandalas: for insight, healing, andself-expression.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 자기탐구, 완성, 치유를 향하는 미술치료. 김진숙 역. 서울 : 학지사
    Fincher, S. F. (원서출판 1991) [1998]
  • Brown, V. & Church, R. P. (1996). Mandala drawing. Journal of American ArtTherapy, 13(4), 252-260.
  • Bjorklund, D. F. & Harnishfeger, K. K. (1990). Children's strategies: Theirdefinition and origins D.F. Bjorklund (Ed.), Children's strategies:Contemporary views of cognitive development, Erlbaum, Hillsdale,NJ, 309-323.
  • Big 5 성격특성 검사지
    한태영 한국적성연구소 [1998]
  • Barkley, R. A. (2006).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third edition): Ab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Barkley, C. (1990). Biological factors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disorder. Behavior Therapist, 11, 47-53.
  • APA. (201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 ADHD아동의 문제행동 치료 사례
    김옥정 황혜자 동아대학생 연구. 26 [1998]
  • ADHD 아동의 특성과 중재에 관한 고찰
    이효신 정서 학습장애연구,16(1), 159-180 [2000]
  •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장혜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