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中國 琴道의 한국 전래와 발전 양상에 관한 연구

김상순 2015년
논문상세정보
' 中國 琴道의 한국 전래와 발전 양상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발전양상
  • 전래
  • 중국금도
  • 한국적 고금도
  • 현금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 0

0.0%

' 中國 琴道의 한국 전래와 발전 양상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林美善,「『遊藝志』에 나타난 19세기초 음악의 향유 양상」,『韓國學論集』, 34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0]
  • 林存, 『東文選』卷35,「謝許習大晟樂表箋」
  • 李贄,『焚書』
  • 李能和輯術, 李鍾殷譯註
    『朝鮮道敎史』서울: 普成文化社 [2000]
  • 李相殷,「禮樂思想의 形成과 本質的理念」,『儒敎思想硏究』34
    한국유교학회 [2008]
  • 李相殷,「춘추시대 음악미학 사상의 특징과 영향」,『韓國音樂史學報』36
    한국음악사학회 [2006]
  • 李相殷,「유가의 예악관과 한국교육의 문제점」,『민족음악학』
    서울대학교 동양음 악연구소 [1994]
  • 李相殷,「荀子「樂論」의 특징과 영향」,『儒敎思想硏究』44
    한국유교학회 [2011]
  • 李相殷,「儒家의 根本思想과 禮樂의 位相」,『儒敎思想硏究』7
    한국유교학회 [1994]
  • 李相殷,「20세기 중국 음악미학연구의 성과와 전망」,『儒敎思想硏究』24
    한국유교학회 [2005]
  • 李澤厚著 孫世濟譯
    『중국 현대 사상사론』(서울: 교보문고 [1991]
  • 李澤厚 劉綱紀主編,『中國美學史』1卷. 上冊, 谷風出版社, 1989.
  • 李滿敷,『息山集』「琴戒」
  • 李植, 澤堂集
  • 李東復,「古樂譜解題3. 七絃琴譜」『韓國音樂學資料叢書十六』
    은하출판사 [1989]
  • 李惠求,『韓國音樂序說』,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 李惠求, 「安岳第三號墳壁畵의 奏樂圖」,『韓國音樂序說』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 李德冑,『芐亭先生文集』
  • 李宜顯,『陶谷集』卷30,「所購冊子」
  • 李奎報,『東國李相國集』卷3, 卷23
  • 李圭景,『五洲衍文長箋散稿』卷4,「經史編」
  • 李乃玉, 「朝鮮後期風俗畵起源: 尹斗緖를 중심으로」,『美術資料』19
    國立博物館 [1992]
  • 李丙燾,「三韓問題의 新考察」,『震檀學報』
    진단학회 [1935]
  • 易存國, 『中國古琴藝術』, 北京: 人民音樂出版社, 2009.
  • 柳重敎,『省齋集』
  • 劉向,『說苑』
  • 論語集註
    成百曉 서울: 홍익출판사 [2007]
  • 論語
    김형찬 서울: 홍익출판사 [1999]
  • 金馹孫,『濯纓集』「書六絃背」
  • 金富軾著, 李丙燾譯註
    『三國史記』下(서울: 乙酉文化社 [1996]
  • 한국의 음악사상
    한흥섭 서울, 민속원 [2000]
  • 편,『신선사상과 도교』, 서울
    도광순 범우사 [1994]
  • 페어뱅크・골드만, 김현동・신성곤 역
    『新中國史』(서울: 도서출판 까치 [2005]
  • 지음 윤화중 옮김,「제1장 거문고의 역사와 어원」,『韓國音樂史學報』16
    송방송 한국음악사학회 [1996]
  • 중국현대미학 사상사
    등우돈 서울: 일월서각 [1991]
  •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조민환 서울, 예문서원 [1997]
  • 중국 도가(道家)의 음악 사상
    한흥섭 서울, 서광사 [1997]
  • 조선후기 문인음악의 소통과 향유
    송지원 『韓國音樂史學報』48, 韓國音樂史學會 [2012]
  • 조선시대 장악원의 악인과 음악교육 연구
    송지원 『한국음악연구』43, 한국국악학회 [2008]
  • 정하운,「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우리어문연구』, 40
    우리어문학회 [2011]
  • 전통예술원 편,『조선후기 문집의 음악사료』, 서울
    민속원 [2002]
  • 유교문화총서1『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서울
    최영진 유교문화연구소 [2002]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國譯東國通鑑』(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 동양미학론
    이상우 서울, 시공아트 [1999]
  • 국립국악원,『李王職雅樂部와 음악인들』, 서울
    국립국악원 [1991]
  • 黃胤錫, 『頤齋稿』
  • 黃翔鵬, 「均鍾攷: 曾候乙墓五絃器硏究(上/下)」,『黃鐘』, 武漢音樂學院, 1989.
  • 馮友蘭,『中國哲學簡史』, 北京, 北京大學校出版社, 1994.
  • 韓致奫,『順菴集』『海東歷史』,「物産志」
  • 金淨,『冲庵集』卷4「文無絃琴銘」
  • 金守溫,『琴軒記』,「拭疣先生文集」,『한국역대문집총서』46
    (서울: 경인문화사 [1993]
  • 金守溫,『拭疣集』「琴軒記」
  • 鄭道傳,『朝鮮經國典』,「禮典摠序」「雅俗樂條」
  • 鄭在書,『不死의 신화와 사상』, 서울
    민음사 [1994]
  • 鄭在書
    『不死의 신화와 사상』(서울: 민음사 [1994]
  • 郁浣,『中國古典美學初編』, 長江文藝出版社, 1986.
  • 道一,『칠현금경(七絃琴經)』, 서울
    티웰출판사 [2011]
  • 趙法鍾,「中國學界의 東北古民族및 古朝鮮硏究動向과 問題點」,『한국고대사연구』 33
    한국고대사학회 [2004]
  • 趙成,「玄琴考」,『古文化』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63]
  • 譯解
    이원섭 『달과 술의 연인 이백시선』(서울: 玄岩社 [2012]
  • 詩經
  • 詩佛王維의 詩
    朴三洙 서울: 도서출판 세계사 [1993]
  • 許愼,『說文解字』,『世說新語』「雅量」
  • 許健編著, 『琴史初編』, 北京, 人民音樂出版社, 1982.
  • 蔡邕,『琴操』
  • 蔡仲德,『中國音樂美學史論』, 北京, 人民音樂出版社, 1988.
  • 蔡仲德,『中國音樂美學史』, 北京, 人民音樂出版社, 2003.
  • 葉朗,『中國美學史大綱』上卷, 北京: 滄浪出版社, 1986.
  • 范嘩,『後漢書』卷60下「蔡邕列傳」
  • 花潭先生文集
    徐敬德 민족문화추진회, 『한국문집총간』2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8]
  • 胡適,『先秦名學史』, 北京, 學林出版社, 1983.
  • 福永光司,『藝術論集』, 동경
    조일신문사 [1971]
  • 王維,『輞川集(二十首)』,「竹里館」
  • 玄璟彩,「중국전통악기 고금(古琴)의 미의식」,『한국악기학』9
    한국퉁소연구회 [2007]
  • 玄璟彩,「중국음악의 현대적 변용」,『아시아음악의 어제와 오늘』
    아시아음악학회 [2008]
  • 玄璟彩,「中國古琴과 韓國거문고 記譜法의 比較」,『민족음악학』12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0]
  • 焚書II
    김혜경 서울: 한길사 [2004]
  • 洪大容,『湛軒錄』
  • 洪元燮,『太湖集』卷5「書金生畵後」
  • 權五聖,「옥보고(玉寶高)의 금도(琴道)와 선도(仙道)」,『한국음악연구』32
    한국음악학회 [2002]
  • 樂學軌範
  • 楊蔭瀏지음, 이창숙 옮김
    『중국고대음악사』(서울: 솔 출판사 [1999]
  • 楊伯峻撰,『列子集釋』, 北京, 中華書局, 1997.
  • 桓譚,『新論』
  • 東國通鑑
  • 朴駱圭,「번역: 혜강의 『성무애락론(聲無哀樂論)』」, 『낭만음악』5(3)
    낭만음악사 [1993]
  • 朴駱圭,「고대 중국의 유가와 도가 악론(樂論)의 기본 관점(中)」, 『낭만음악』5(2)
    낭만음악사 [1993]
  • 朴駱圭,「고대 중국의 유가와 도가 악론(樂論)의 기본 관점(下)」, 『낭만음악』5(3)
    낭만음악사 [1993]
  • 朴駱圭,「고대 중국의 유가와 도가 악론(樂論)의 기본 관점(上)」, 『낭만음악』4(2)
    낭만음악사 [1992]
  • 朴淵,『蘭溪遺稿』
  • 朴光一,『遜齋集』卷1,「詩琴銘」
  • 曺玟煥,「莊子의 美學思想에 관한 연구(I): 禮樂비판과 樂(락)을 중심으로」,『동양철학연구』10
    동양철학연구회 [1989]
  • 曺玟煥,「狂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본 儒家속의 道家的要素」,『儒敎思想文化硏究』49
    한국유교학회 [2011]
  • 曺玟煥,「狂狷美學의 관점에서 본 蒼巖李三晩의 書藝美學」,『동양철학연구』72
    동양철학연구회 [2012]
  • 曺玟煥,「東洋藝術에서의 道와 藝의 關係性」,『동양철학연구』77
    동양철학연구회 [2014]
  • 曺玟煥,「徐上瀛『谿山琴況』의 音樂美學的硏究」,『道敎文化硏究』37
    도교문화학회 [2012]
  • 曺玟煥,「和를 통해 본 禮樂의 相關關係에 관한 硏究」,『中國學報』53
    한국중국학회 [2006]
  • 曺玟煥,「中國哲學에 나타난 道論의 美學的理解」,『儒敎思想硏究』8
    한국유교학회 [1996]
  • 成俔, 樂學軌範序,『浮休子談論』
  • 徐敬德, 『花潭先生文集』「琴銘二」
  • 徐巨龍,『萬寶全書』
  • 徐上瀛,『谿山琴況』,「遲」
  • 張師勛,『黎明의 東西音樂』, 서울
    寶晉齋 [1974]
  • 張師勛,『韓國音樂史』, 서울
    정음사 [1976]
  • 張師勛,『韓國傳統音樂硏究』, 서울
    寶晉齋 [1975]
  • 張師勛,『國樂史論』, 서울
    대광문화사 [1983]
  • 張師勛,「韓國音樂의 記譜法」,『韓國傳統音樂硏究』
    寶晉齋 [1975]
  • 嵇康, 『琴賦』,『聲無哀樂論』
  • 尹鉉,『菊磵集』卷(上)「雜著無絃琴銘」
  • 富强主編, 敏杰編著,『博雅經典琴』, 呼和浩特市, 內蒙古人民出版社, 2003.
  • 宋鎬晟,「大凌河流域殷周靑銅禮器사용집단과 箕子朝鮮」,『한국고대사연구』38
    한국고대사학회 [2005]
  • 宋芳松,『韓國音樂通史』, 서울
    일조각 [1984]
  • 宋芳松,『韓國音樂史硏究』,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2]
  • 宋芳松,『樂掌謄錄』, 경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 宋芳松,『樂學軌範用語總覽』, 서울
    보고사 [2010]
  • 宋芳松,『增補韓國音樂通史』, 서울
    민속원 [2007]
  • 宋芳松, 「長川1號墳의 音樂史學的點檢: 壁畵의 樂器를 中心으로」,『한국학보』35
    일지사 한국학보 [1984]
  • 宋惠眞,『韓國雅樂史硏究』, 서울
    일조각 [2000]
  • 安鼎福,『順菴集』卷14,「雜著」
  • 孫泰龍,「湛軒洪大容의 音樂思想」,『韓國音樂史學報』창간호
    한국음악사학회 [1988]
  • 周密,『雲烟過眼錄』
  • 吳釗, 『絶世淸音』, 苏州, 古吳軒出版社, 2011.
  • 吳昞南, 『美學講義』, 서울
    서울대학교 미학과 [1992]
  • 史記
    김원중 서울: 민음사 [2012]
  • 卞美惠,「安岳第三號墳의 奏樂圖가 갖는 文化史的意義에 관한 考察」,『한국음악연구』13-14합병호
    한국국악학회 [1984]
  • 傳習錄
    王陽明 金學主 서울: 明文堂 [2005]
  • 候外盧主編, 梁再赫譯
    『中國哲學史(上)』(서울: 일월서각 [1988]
  • 何昌林李晉源譯, 「三弦-渤海琴」,『韓國音樂史學報』20
    한국음악사학회 [2000]
  • 世祖實錄
  • 丁若鏞著, 김지용 譯註,『韓國古典文學大系11
    丁茶山詩文選-經世濟民의 作品을 中心으로』(서울: 교문사 [1991]
  • 丁若鏞,『樂書孤存』
  • 『禮記』,『樂記』,「樂本」,「儒行」
  • 『論語』,「里仁」,「先進」,「述而」,「子罕」,「子路」,「八佾」
  • 『老子』,「一」,「二」,「六」,「十九」,「二十五」,「四十一」,「五十二」
  • 『휘금가곡보(徽琴歌曲譜)』,『韓國音樂學資料叢書七』
    서울, 국립국악원 [1989]
  • 『한금신보(韓琴新譜)』『韓國音樂學資料叢書十四』
    서울, 국립국악원 [1989]
  •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김현영 서울, 한울 [1987]
  • 『한국도교사상연구』
    차주환 서울, 서울대학교出版部 [1997]
  • 『탁영선생문집(濯纓先生文集)』『韓國文集叢刊』
    17(서울: 뿌리출판사 [1994]
  • 『칠현금보(七絃琴譜)』,『韓國音樂學資料叢書十六』
    서울, 국립국악원 [1989]
  • 『중국고대철학의 이해』
    이강수 서울, 지식산업사 [1999]
  • 『조선조 유학사상사의 양상』
    최영진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 『유예지(遊藝志)』『韓國音樂學資料叢書十五』
    서울, 국립국악원 [1989]
  •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2』
    최완수 서울, 돌베개 [1998]
  • 『예술철학총서 4: 한국 고대 음악사상』
    한흥섭 서울, 예문서원 [2007]
  • 『동양의 음악사상 樂記』
    김종수 조남권 (서울: 민속원 [2001]
  • 『내 마음이 등불이다』
    최재목 서울, (주) 이학사 [2003]
  • 『高麗史』卷2「世家」, 卷42「列傳」, 卷73「志27」, 卷75「志26」「志29」
  • 『隋書』卷81「東夷高麗傳」
  • 『讀氣學說』
    김용옥 서울, 통나무 [1990]
  • 『莊子』,「知北遊」,「秋水」
  • 『荀子』,「樂論」
  • 『舊唐書』卷29,「音樂志」
  • 『漢書』,「禮樂志」
  • 『新唐書』卷24
  • 『戰國策』,「齊策」
  • 『尙書』,「益稷」
  • 『宋史』卷82
  • 『周禮』,「春官大司樂」,「大司徒」
  • 『周易傳義大全』「小注」
  • 『周易』,「繫辭傳(上)」「五章」
  • 『史記』,「周本紀」,「老子韓非列傳」
  • 『北史』卷94,「列傳」
  • 『中庸』,「一章」,「二章」,「十二章」
  • 『世宗實錄』卷26, 28
  • 『三國史記』,「樂志」,「百濟本紀大王浦條」
  • 「老莊의 美學思想에 관한 硏究」
    曺玟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 「한국음악의 고유성에 관한 일(一) 고찰: 한국과 중국의 전통악기가 지닌 연주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혜나 『한국문화연구』17, 한국문화연구학회 [2009]
  • 「한국근대전환기의 궁중악사, 明完璧」
    이정희 『韓國音樂史學報』51, 한국음악사학회 [2013]
  • 「한국고대음악연구의 검토(I): 상고사회와 고구려음악 연구를 중심으로」
    김성혜 『韓國音樂史學報』11, 한국음악사학회 [1993]
  • 「한국 거문고 음악사상 고찰」
    김도환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08]
  • 「풍류도와 한국전통음악의 연관성」
    한흥섭 『국학연구』5, 한국국학진흥원 [2004]
  • 「풍류도(風流道), 한국음악의 철학과 뿌리」
    한흥섭 『인문연구』49,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 「천인합일적 사유의 인식론적 고찰」
    박상환 『한국동서철학연구』53, 한국동서철학회 [2009]
  • 「중국학계의 ‘箕子朝鮮’연구와 그 비판에 대한 검토」
    조우연 『고조선 단군학』26, 단군학회 [2012]
  • 「조선후기 중국악기의 수용과 正樂문화의 성격: 양금 생황 칠현금을 중심으로」
    송혜진 『동양예술』5, 한국동양예술학회 [1989]
  • 「조선후기 실학자의 신분제 인식과 음악활동」
    조유희 『韓國音樂史學報』45, 한국음악사학회 [2010]
  •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계보」
    최영진 『조선조 유학사상사의 양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조선후기 금론(琴論) 연구」
    최선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조선조 17 8세기 음악문화의 성격」
    최헌 동양예술, 6, 한국동양예술학회 [2002]
  • 「조선시대 문인들의 거문고 수용양상: 시문과 산수 인물화를 중심으로」
    송혜진 『이혜구박사 구순기념 음악학논집』, 이혜구학술상 운영위원회 [1998]
  • 「조선시대 고악보에 나타난『만보전서(萬寶全書)』의 금도론(琴道論)」
    최선아 『공연문화연구』20, 공연문화연구학회 [2010]
  • 「조선시대 거문고 수양정신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허승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조선시대 琴道에 대한 연구」
    曺裕美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조선시대 ‘琴銘’의 도가미학적 고찰」
    강유경 『동양예술』18,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 「정간법에 의거한 고금 탄주법 연구」
    김상순 『국악교육』33,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 「백제음원 재현과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금동대향로 오악사 연주보고회
    국립국악원 [2010]
  • 「백제음원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연회
    국립국악원 [2010]
  • 「백제 현악기연구」
    이종구 『음악논단』27, 한양대음악연구소 [2012]
  • 「백제 악기연구(I)」
    이종구 『음악논단』24, 한양대음악연구소 [2010]
  • 「대백제의 숨결: 고금 실내악‘靈氣’ 및 관현악 ‘山城의 아침’」
    제76회 창작 악단 정기연주회, -9, 국립국악원 [2010]
  • 「당대 중국 고대음악 미학사상연구 현황」
    오금덕 『음악과 민족』24, 민족음악학회 [2002]
  • 「노자철학의 音・聲개념 연구: 도가 악론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박소정 『韓國音樂史學報』36, 한국음악사학회 [2006]
  • 「김상순의 琴복원연주회(琴聲還鳴)」
    국립국악원 [2007]
  • 「김상순의 琴瑟相和팸플릿」
    국립국악원 [2012]
  • 「김상순의 古琴연주회 III(法古創新)」
    국립국악원 [2009]
  • 「김상순의 古琴新作(平沙落雁)」
    국립국악원 [2008]
  • 「김상순의 古琴, 그리고 現琴-伽倻琴팸플릿」
    국립국악원 [2011]
  • 「금도의 전통적 개념과 현대적 해석」
    조유미 『음악과 문학』21, 세계음악학회 [2009]
  • 「금(琴)과 거문고의 악기 비교 연구」
    남인순 『韓國音樂史學報』30, 한국음악사학회 [2003]
  • 「고구려 문화전통과 거문고」
    한흥섭 『인문연구』49,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 「고구려 고분벽화의 거문고」
    황준연 『국악원논문집』9, 국립국악원 [1997]
  • 「거문고와 그 음악에 관련된 연구동향」
    신대철 『제1회 동양음악학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의 현악기』,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6]
  • 「거문고와 관련한 음악사상의 문제」
    최종민 『동양음악학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의 현악기』,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6]
  • 「거문고 음악의 정신성(精神性)에 대한 재음미(再吟味)」
    한명희 『제1회 동양음악 학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의 현악기』,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6]
  • 「高句麗樂연구사 재검토」
    김성혜 『한국음악연구』43, 한국국악학회 [2008]
  • 「韓國音樂美의 硏究」
    韓明熙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韓國傳統音樂의 特殊性」
    한명희 『韓國音樂史學報』20, 한국음악사학회 [1998]
  • 「箕子와 음악교류」,『韓國音樂史學報』40
    박은옥 한국음악사학회 [2008]
  • 「朝鮮朝琴銘의 儒家哲學的修養觀硏究: 李彦迪과 金馹孫의 琴銘을 中心으로」
    강유경 『동양예술』14, 한국동양예술학회 [2009]
  • 「嵇康硏究: 作品의 內容分析을 中心으로」
    殷茂一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中國古琴音樂文化의 近現代的傳承樣相」
    현경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七絃琴의 韓國的收容: 七絃琴譜와 徽琴歌曲譜에 基하여」
    嚴惠卿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3]
  • 「『樂書孤存』에서 茶山의 琴 瑟論」
    권태욱 『음악과 민족』38, 민족음악학회 [2009]
  • 「20세기 국악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신대철 『韓國音樂史學報』26, 한국음악사학회 [2001]
  • 「19세기 유학자 柳重敎의 樂論: 『絃歌軌範을 중심으로』」
    송지원 『한국음악연구』28, 한국국악학회 [2000]
  • 「191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가네쓰네 기요스케(兼常淸佐)의 『朝鮮の音樂』을 중심으로」
    이지선 『韓國音樂史學報』50, 한국음악사학회, 2013 [2013]
  • “근현대 한국 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조명”
    김우진 『韓國音樂史學報』47, 한국음악사학회 [2011]
  • (역), 『통섭: 지식의 대통합』, 서울
    장대익 최재천 사이언스북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