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朝鮮後期 家族 및 親族秩序 硏究 : 17-19세기 大邱 月村지역을 중심으로

주매 2015년
논문상세정보
' 朝鮮後期 家族 및 親族秩序 硏究 : 17-19세기 大邱 月村지역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족전략
  • 결집
  • 분화
  • 친족질서
  • 형제간 불평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7 0

0.0%

' 朝鮮後期 家族 및 親族秩序 硏究 : 17-19세기 大邱 月村지역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조선초기의 喪祭」
    최재석 「규장각」74 [1983]
  • 「조선초기 주자가례의 이해과정」
    지두환 「한국사론」8 [1982]
  • 「조선초기 주자가례 규범의 수용에 관한 고찰」
    정긍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16세기 사대부가의 喪祭禮와 廬墓生活」
    김경숙 「국사관논종」97 [2002]
  • 「15・16世紀 주자가례의 시행과 그 의의」
    고영진 「韓國史論」21 [1989]
  • 鈴木榮太郞, 『韓國農村社會の硏究』, 東京, 未來社, (「朝鮮の農村社會集團に就ぃて」
    『조사월보』14권, 9, 11,12호, 1943) [1973]
  • 鈴木榮太郞, 『朝鮮農村社會踏査記』, 東京, 大阪屋號書店, 昭和19(1944).
  • 鈴木博之, 「明代徽州府の族産と戶名」
    『동양학보』71(1-2) [1989]
  • 히로시, 「조선시대의 신분, 신분제 개념에 대하여」
    미야지마 『대동문화연구』42 [2003]
  • 히로시, 「분배와 제민: 유교의 제민사상과 소농사회론-조선후기 대구 조암방의 사례」
    미야지마 『국학연구』14 [2009]
  • 히로시,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
    미야지마 『인문과학연구』5 [1999]
  • 히로시
    미야지마 『양반: 역사적 실체를 찾아서』, 강 [1996]
  • 한국 가족의 구조분석
    이광규 일지사 [1975]
  • 주매, 「17・18세기 대구월촌 지역 단양우씨가 족계 형성의 주도세력」
    『대동문화연구』87 [2014]
  • 주매, 「17・18세기 大邱月村 지역 丹陽禹氏 가계 형제간 사회・경제위상의 분화」
    『대동문화연구』83 [2013]
  • 박사
  • 조선후기 전의이씨가의 山訟과 墳山守護
    김경숙 『역사학연구』39 [2010]
  • 조선후기 사노비 파악방식
    김건태 『역사학보』181 [2004]
  • 조선후기 노비신분연구
    전형택 일조각 [1989]
  • 조선후기 고문서를 통해본 고리대의 실태
    최승희 『韓國文化』19 [1997]
  • 조선후기 大妃의 喪葬禮 참여확대와 의례공간의 변화
    신지혜 『장서각』26 [2011]
  • 조선후기 ‘문중화’ 경향과 친족조직의 변질
    이해준 『역사와 현실』48 [2003]
  • 조선의 묘지 소송
    김경숙 문학동네 [2012]
  • 조선왕조시대의 재산상속
    이광규 『한국학보』2 [1976]
  • 조선시대의 상속제에 관한 연구 -분재기의 분석에 의한 접근
    최재석 『역사학보』 53・54 [1972]
  • 조선시대의 문중의 형성
    최재석 『한국학보』9 [1983]
  •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한길사 [1998]
  •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문숙자 경인문화사 [2004]
  •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김건태 역사비평사 [2004]
  • 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집성촌과 사족
    정만조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4]
  • 정조대 文孝世子의 喪葬 의례와 그 특징
    이현진 『규장각』40 [2012]
  • 월곡 우배선의 임진의병활동
    장동익 『역사교육논집』18 [1993]
  • 안동문화연구소, 『禹倬 先生의 思想과 易東書院의 歷史』
    丹陽禹氏悅樂堂宗中 [1992]
  • 명청 휘주 종족사 연구
    박원호 지식산업사 [2002]
  • 등, 『근대 사회변동과 양반』
    지승종 아세아문화사 [2000]
  • 등, 『구림연구: 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
    정근식 경인문화사 [2003]
  • 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시사』4
    大邱市 [1995]
  • 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시사』1
    大邱市 [1995]
  • 대구德洞講齋, 『丹陽禹氏族譜-大邱譜』9권
    甲戌[1754]刊
  • 대구丹陽禹氏判書公派譜編修委員會
    『丹陽禹氏判書公派譜』2권 [1990]
  • 근대사연구회 편, 「조선후기 향촌사회와 향촌사회조직 연구현황」,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 朝鮮後期史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울 [1987]
  • 결성 장씨 종족마을의 형성과 문중운영 - 충남 연기군 동면을 중심으로 -
    김경수 『고문서연구』28 [2006]
  • 黃宗智, 『華北的小農經濟和社會變遷』, 中華書局, 2000.
  • 馬若孟, 『中國農民經濟-河北和山東的農民發展, 1890-1949』, 江蘇人民出版社, 1999.
  • 養浩堂先生記念事業會, 『養浩堂禹玄寶硏究』, 1997.
  • 韓國家族制度史硏究
    최재석 일지사 [1983]
  • 阿風, 「明代徽州宗族墓地、祠廟訴訟探析」, 『明代研究』17, 2011.
  • 速水融, 「農民の相續と繼承」, 『近世濃尾地方の人口 經濟 社會』, 創文社, 1992.
  • 臼井佐知子, 『徽州商人の硏究』, 汲古書院, 2005.
  • 秦晖, 「宗族组织的分布、种类及形成」, 『农民学与中国传统社会』
    온라인강의
  • 禹錫珪(1648-1713) 저, 『知足堂文集』
    譜文社 [1999]
  • 禹錫元 編
    『丹陽禹氏族譜』9권, 1881
  • 禹錫元 刊編. 『丹陽禹氏族譜』37권, 년, 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58-가50-10 [1917]
  • 禹載岳(1734-1815) 저, 『仁村文集』
    譜文社 [1999]
  • 禹洪迪(1691-1742) 저, 『月洲實記』
    平和譜文社 [1992]
  • 禹氏譜所 編輯
    『丹陽禹氏大同譜』1책 [1980]
  • 禹成圭(1830- 저, 『景齋集』(한국고전번역원 편, 韓國文集叢刊-續140)
    민족문화촉진회, 2012 [1905]
  • 禹夏轍 編, 『丹陽禹氏三世文獻錄』, 隆熙4(1910)刊.
  • 禹億基, 『先世遺蹟保存事業槪要』, 丹陽禹氏悅樂堂宗中, 1999.
  • 溝口雄三, 「重新認識中國的近代」, 『日本人視野中的中國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6.
  • 淸水盛光, 『中國族産制度考』, 中華文化出版事業委員會, 1955.
  • 江守五夫, 崔龍基 등, 『韓國兩班同族制の硏究』, 第一書房刊
    昭和57 [1982]
  • 朴正鎭, 都市化에 따른 大都市近郊 氏族集團의 社會.經濟的 變化硏究-大邱近郊 月背邑 上仁洞 丹陽禹氏를 中心으로
    학위논문(석사)
  • 朱開宇, 『科擧社會 地域秩序與宗族發展 : 宋明間的徽洲』, 國立臺灣大學文學院, 2004.
  • 嶋陸奧彦, 「大邱戶籍にみる朝鮮後期の家族構造の変化 」, 『朝鮮學報』144, 1992.
  • 宋昌斌,『編戶齊民: 戶籍與賦役』, 长春出版, 2004.
  • 坪内玲子, 『継承の人口社会学-谁が「家 継いだか』, ミネルヴァ书房, 2001.
  • 四方博, 「朝鮮に於ける大家族制と同族部落」, 『朝鮮社會經濟史硏究 中』, 國書刊行會
    昭和51[] (원문: 『朝鮮』270, 1937.) [1976]
  • 善生永助, 『朝鮮の聚落-後篇』, 朝鮮總督府, 景仁文化社, 1974. (原本 : 朝鮮總督府, 昭和8[1933].).
  • 善生永助, 『朝鮮の姓氏と同族部落』, 刀江書院, 昭和18(民俗苑, 1943)
  • 仁井田陞, 『中國の農村家族』, 東京大學出版會, 1966.
  • 井上徹, 『中國的宗族與國家禮制』, 上海書店出版社, 2008.
  • 井上徹, 『中國の宗族と國家の禮制-宗法主義の視点からの分析』, 硏文出版, 2000.
  • 二程遺書
    권15, 「伊川先生語一」
  • 丹陽禹氏族譜所 編
    『丹陽禹氏族譜』2권 [1951]
  • 丹陽禹氏 編
    『丹陽禹氏前後譜序跋草』(1600-년까지 8차례족보 序跋文 選集), 1917 [1916]
  • 中島樂章, 『明代鄕村糾紛與秩序』, 江蘇人民出版社, 2012.
  • 『禮儀 喪服經傳』.
  • 『호적』
    손병규 휴머니스트 [2007]
  • 『한국사회조직사』
    김필동 일조각 [1992]
  • 『종족마을의 전통과 변화: 忠淸南道 大湖芝面 桃李里의 事例』
    김일철 백산서당 [1998]
  • 『조선후기 지역사회구조 연구』
    정승모 민속원 [2010]
  • 『조선후기 족계의 재정운영』
    김하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조선시대 사노비연구』
    김용만 집문당
  • 『조선사회사연구 : 朝鮮社會의 構造와 性格 및 그 變遷에 관한 硏 究』
    송준호 일조각 [1997]
  • 『월배향토지』
    월배향토지편찬위원회 월배향토지편찬위원회 [2006]
  •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김현영 사회사신서원 [2003]
  • 『경상도대구부호적대장』
    한글・한자전산데이터
  • 『韓國의 家族과 宗族』
    이광규 民音社 [1990]
  • 『韓國農村의 社會構造 : 京機道六個村落의 社會學的 硏究』
    이만갑 韓國硏究圖書館 [1960]
  • 『韓國農村의 村落構造』
    양회수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7]
  • 『韓國農村社會硏究』
    이만갑 多樂園 [1981]
  • 『韓國農村社會硏究』
    최재석 일지사 [1975]
  • 『韓國家族制度硏究』
    김두헌 서울 大學校出版部 [1969]
  • 『經國大典』, 「禮典」, 奉祀條.
  • 『經國大典』, 「刑典」, 私賤條.
  • 『氏族部落의 構造硏究』
    김택규 일조각 [1979]
  • 『東國輿地勝覽』星州牧 姓氏條.
  • 『東國輿地勝覽』大邱都護府條.
  • 『朝鮮時代 封建社會의 基本構造』
    김홍식 박영사 [1981]
  • 『朝鮮家族制度硏究』
    김두헌 乙酉文化社 [1949]
  • 『月谷 禹拜善 先生의 生涯와 義兵活動,』
    月谷先生倡義紀念事業會 [1994]
  • 『大邱鄕校齋錄』
    대구향료재록편찬위원회 [1984]
  • 『大邱庚子田案』, 숙종46, 1720년, 미국 버클리대학동아시아 도서관 소장.(김현영, 「10. 大邱庚子田案」, 『대구월촌 단양우씨 문서』
    한국고문서학회, 수록) [1994]
  • 『大邱帳籍』
    규장각소장
  •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 洞契와 마을자치: 전남 長興郡 蓉山面 語西里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논문 [2007]
  • 「호구출입을 통해 본 18세기 호적대장의 편제방식」
    김건태 『단성호적연구』, 성균관대동문화연구원 [2003]
  • 「한국 종족집단의 형성과 변동: 충청남도 당진군의 한 종족마을의 사례」
    김필동 『농촌사회』10 [2000]
  • 「한국 족계의 연원과 성격」
    정구복 『고문서연구』16 17 [2000]
  • 「조선후기의 재지 사족의 정치적 성장과 ‘전통의 창출’ -大丘月村丹陽禹氏의 養浩堂顯揚事業을 중심으로」
    김현영 『사학연구』68 [2002]
  • 「조선후기의 인구파악 실상과 그 성격-단성현 호적 분석」
    김건태 『대동문화연구』 39 [2001]
  • 「조선후기의 산송과 상언․격쟁」
    김경숙 『고문서연구』33 [2008]
  • 「조선후기에 있어서 신분제의 동요와 농지소유-상주양안 연구의 일단」
    김용섭 『사학연구』15, (김용섭『조선후기농업사연구』일조각, 1970년에 재수록.) [1963]
  • 「조선후기신분구성의 변동과 농지소유--대구 조암방지역 양안과 호적의 분석」
    김용섭 『동방학지』82 [1993]
  • 「조선후기-일제시기 전통동성촌락의 변화상: 전라도 남원 둔덕리 사례」
    김건태 『대동문화연구』62 [2008]
  • 「조선후기 호적대상의 인구기재 양상 - 단성호적을 중심으로」
    김건태 『역사와 현실』45 [2002]
  • 「조선후기 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정진영 『대동문화연구』42 [2003]
  • 「조선후기 호의 구조와 호정운영 - 단성호적을 중심으로」
    김건태 『대동문화연구』40 [2002]
  • 「조선후기 친족질서와 종산분쟁」
    김경숙 『조선시대사학보』14 [2000]
  • 「조선후기 친족의 결속과 갈등의 한 양상: 대구 월촌 단양우씨 종계관련문서의 분석」
    김현영 『고문서연구』16 [1999]
  • 「조선후기 오가작통제의 (五家作統制) 구조와 전개」
    오영교 『동방학지』73 [1991]
  • 「조선후기 상속과 가족형태의 변화 -단성현(丹城縣)에 거주하는 안동권씨(安東權氏) 가계의 호적 및 족보 기록으로부터」
    손병규 『대동문화연구』61 [2008]
  •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
    김미영 『실천민속학연구』12 [2008]
  • 「조선후기 대구월촌의 향촌사회구조」
    김현영 『조선시대의 양반과 향촌사회』, 집문당 [1999]
  • 「조선후기 계(契)의 재정운영 양상과 그 성격-전라도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上金里) 서계(書契)를 중심으로」
    김건태 『한국사학보』38 [2010]
  • 「조선시대 첩자녀의 재산상속과 재재양태-분재기 분석에 의한 접근」
    배재홍 『대구사학』 39 [1990]
  • 「조선시대 재지사족 재산소유형태(1)-주로 16・17C 양동손씨가문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용만 『대구사학』 27 [1985]
  • 「조선시대 균분상속제에 관한 일 연구-그 변화요인의 역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김용만 『대구사학』23 [1983]
  • 「조선 후기의 고공 - 18 19세기 대구부호적에서 본 그 실태와 성격」
    한영국 『역사학보』81 [1979]
  • 「일본관학자가 본 한국사의 정체성과 그 이론」, 『한국사회의 역사상』, 일지사, (福田德三, 「韓國の經濟組織と經濟單位」
    강진철 1904.) [1992]
  •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의 상장례」
    이영춘 『조선시대사학보』52 [2010]
  • 「영조대 왕실 상장례의 정비와 『국조상례보편』」
    이현진 『한국사상사학』37 [2011]
  • 「영조대 懿昭世孫의 禮葬과 그 성격」
    이현진 『한국사상사학』46 [2014]
  • 「양전과 토지사업의 진전과 ‘주’파악」
    김건태 『규장각』37 [2000]
  • 「양안의 연구-조선후기의 농가경제」
    김용섭 『사학연구』7 8 [1960]
  • 「양반의 혼인연령: 1535--혼서를 중심으로」
    박희진 『경제사학』40. 2006 [1945]
  • 「시제를 통해 본 문중과 친족계: 진도 세등리의 사례」
    김창민 『지방사와 지방문화』4 [2001]
  •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의 상장 의례」
    이현진 『조선시대사학보』56 [2011]
  • 「성호학파의 가족관과 가족생활: 성호학파의 가족 유대의식과 가범(家範)-성호와 순암을 중심으로」
    함영대 『한국실학연구』26 [2013]
  • 「성관의 계층성에 대한 연구」
    김경란 『사림』43 [2012]
  • 「분재기를 통해서 본 분재와 봉행 관행의 변천-부안김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전경목 『고문서연구』 22 [2003]
  • 「문중조직의 연속과 변화: 상주지역 한 문중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강희 『한국문화인류학』21 [1989]
  • 「문중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전남 나주군 산포면 화지리의 사례」
    유명기 『한국문화인류학』9 [1977]
  • 「문중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특히 안동군 임하면 천전동 의성김씨를 중심으로」
    최백 『한국문화인류학』17 [1985]
  • 「동족집단의 제기능: 경북 월성군 강동면 양동리를 중심으로」
    여중철 『한국문화인류학』6 [1973]
  • 「동족부락과 비동족부락의 사회구조적 특성-전남 강진군의 2개 촌락 비교연구」
    최협 『호남문화연구』12 [1982]
  • 「광산김씨예안파의 세계와 그 사회・경제적 기반」,『역사교육논집』 1
    이수건 역사교육학회 [1980]
  • 「경자양전 시기 가경전과 진전 파악 실태: 경상도 용궁현 사례」
    김건태 『역사와 현실』36 [2000]
  • 「朝鮮後期의 挾人 挾戶」
    한영국 『(千寬宇先生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1986]
  • 「朝鮮後期 大邱地域 西人勢力의 動向」
    이재철 『대구사학』76 [2004]
  • 「同族集團의 機能變化에 관한 硏究」
    이창기 『한국사회학』11 [1977]
  • 「同族組織의 變化에 관한 硏究: 3개 동족집단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이창기 『한국학보』6 [1980]
  • 「『黙齋日記』와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의 관․혼․상․제례」
    송재용 『한문학논집』30 [2010]
  • 「19세기 회계자료에 담긴 실상과 허상: 1818-년 전라도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 수원백씨 문계자료」
    김건태 『고문서연구』43, 2013 [1945]
  • 「19세기 농민경영의 추이와 지향 -경상도 안동 金溪里 의성김씨가 작인들」
    김검태 『韓國文化』 [2012]
  • 「18세기 호적상 ‘주호’의 존재양태와 호의 모습에 대한 일고찰-1714년 대구 조암방 호적을 중심으로」
    장경준 『역사와 경제』67 [2008]
  • 「18세기 호적대장 '호(戶)'와 그 경제적 기반: 1714년 대구 조암방(祖岩坊)호적을 중심으로」
    정진영 『역사와 현실』42 [2001]
  • 「18세기 지방의 사노군역 파악과 운영-『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의 기재 상황」
    손병규 『한국사학보』 13 [2002]
  • 「18세기 중엽 사노비(私奴婢)의 사회,경제적 성격 -경상도(慶尙道) 안동(安東) 김계리(金溪里) 의성금씨가(義城金氏家) 사례」
    감건태 『대동문화연구』75 [2011]
  • 「18세기 端懿嬪의 喪禮와 服制論議」
    김윤정 『장서각』32 [2014]
  • 「18, 19세기 사족층의 분산과 산송」
    김경숙 『한국학보』28 [2002]
  • 「17・18세기 호적대장의 사노비 기재 실태-경상도 단성현 권대유가 노비를 중심으로」
    손병규 『고문서연구』24, 한국고문서학회 [2004]
  • 「17세기 사족 문중의 형성」
    김필동 『사회과학연구』20 [2009]
  • 「17C 안동 진성이씨가 원조 묘소의 추심과 문중조직의 강화」
    김문택 『경기사학』8 [2004]
  • 「16세기 후반 喪祭禮書의 발전과 그 의의」
    고영진 「규장각」14 [1991]
  • 「16세기 봉사재산의 실태」
    정긍식 『고문서연구』 9・10 [1996]
  • 「16-18세기 해남윤씨가문의 토지・노비 소유실태와 경영-해남윤씨고문서를 중심으로」
    안승준 『청계사학』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1990]
  • 「16-17세기 안동진성이씨가의 족계와 문중조직의 형성과정」
    김문택 『조선시대사학보』32 [2005]
  • Zhu, Mei and Son, Byung-giu. 「Family strategy of economic inequality among brothers in Korean rural society, 1690–1795」, 『The History of the Family』, 2014.
  • Wakefield, David, 『Fenjia: Household Division and Inheritance in Qing and Republican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 1998.
  • Stone, Lawrence and Jeanne C. Fawtier Stone, 『An open elite?: England, 1540-1880』,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 S. R. 브란트 著, 金琯奉 譯,『韓國의 村落』
    빈센트 時事問題硏究所 [1975]
  • Ruggles, Steven, 「Stem Families and Joint Families in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36, 2010.
  • Ruggles, Steven, 「Reconsidering the Northwest European Family System: Living Arrangements of the Aged in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35, 2009.
  • Rubie S. Watson, 『Inequality among Brothers - Class and kinship in South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 Rubie S. Watson, 「Corporate property and local leadership in the pearl river delta, 1898-1941」(p.243-260), in Esherick, Joseph and Rankin, Mary Backus(eds.), 『Chinese Local Elite and Patterns of Domin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 Robert P. Hymes and Conrad Schirokauer eds, 「Introduction」, 『Ordering the World: Approaches in State and Society in Su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 Ping-Ti Ho, 『The Ladder of Success in Imperial China: aspects of social mobility, 1368-1911』,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4.
  • Peterson, Mark. 『Korean adoption and inheritance: case studies in the creation of a classic Confucian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 Palais, James B,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6.
  • Mark Elvin, 『The Pattern of the Chinese Past』,Stanford University Press,1973.
  • Lee, James Z and Campbell, Cameron D, 『Fate and Fortune in Rural China: Social Organization and Population Behavior in Liaoning 1774-187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Le Roy Ladurie, Emmanuel, 「Family structure and inheritance customs in sixteenth century Fance」, in Jack Goody, Joan Thirsk, and E.P.Thompson (eds.) 『Family and inheritance: rural society in Western Europe, 1200-1800』 (p.43-4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 Jack Goody, 「strategies of heirship」,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15, 1973.
  • Hsu, Francis Lang-Kwang, 「The Myth of Chinese Family Siz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48. 1943.
  • Hsu, F.L.K, 『Clan, caste, and club: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Hindu, and American ways of life』, Princeton: Van Nostrand, 1963.
  • Hilary Beattie, 『Land and Lineage in China: A Study of T'ung-Ch'eng County, Anhwel, in the Ming and Ch'ing Dynas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 Hammel, E. A. and Laslett, Peter, 「Comparing Household Structure over Time and between Cultures」,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16, 1974.
  • Gruber, Siegfried and Szoltysek, Mikolaj, 「Stem families, joint families, and the European pattern: what kind of a reconsideration do we need?」, 『Journal of Family History』37, 2012.
  • Goode, William J, 『World revolution and family patterns』, Glencoe: Free Press, 1963.
  • Fei Hsiao-tung and Chang Chih-i, 『Earthbound China: A Study of Rural Economy in Yunnan』, London, 1953.
  • Deuchler, Martina,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Harvard University, 1992.
  • 16세기 첩자의 제사 승계권
    정긍식 『사회와 역사』 53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