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민화에 나타난 주술성에 관한 연구 : 벽사와 길상을 중심으로

한유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민화에 나타난 주술성에 관한 연구 : 벽사와 길상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길상
  • 민화
  • 벽사
  • 욕망
  • 주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46 0

0.0%

' 민화에 나타난 주술성에 관한 연구 : 벽사와 길상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화랑이는 민족 문화의 기상」, 「월간조선」 387호
    윤열수 조선뉴스프레스 [2012]
  • 「한대 아속관과 아속문화에 관한 일 고찰」, 「중국인문과학」 31집
    심규호 중국인문학회 [2005]
  • 「한국회화사의 체계로 본 민화의 위상」,『강좌 미술사』29
    정병모 한국미술사연구소 [2007]
  • 「한국민화의 사상」,『創造」 26
    박용숙 창조사 [1972]
  • 「한국민화와 중국 민간연화의 비교」,『민속학 연구』19
    정병모 국립민속박물관 [2006]
  • 「한국무교의 정체성과 종교성:쟁점 분석」, 「샤머니즘 연구」 4
    김성신 한국샤머니즘학회 [2002]
  • 「한국 민화의 시작, 처용문배(處容門排)」, 「강좌 미술사」 34호
    정병모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
  • 「한국 歲時記 紀俗詩에 나타난 辟邪信仰 연구」
    진경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통속주의의 극복-조선후기 풍속화론」, 「미술사학연구」 199・200
    정병모 한국미술사학회 [1993]
  • 「탈놀이의 형성에 끼친 나례의 영향」, 「민족문화연구」 28
    전경욱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95]
  • 「지금 왜 민화인가? 한국 회화사에서 민화의 위상」, 「한국의 채색화」 1
    정병모 다할미디어 [2015]
  • 「중국 춘절의 벽사문화연구-주술적 행위와 언어금기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47집
    장범석 중국학연구회 [2009]
  • 「중국 전통 길상물과 그 문화적 의의에 대한 고찰」, 「중국인문과학」 51호
    이금순 중국인문학회 [2012]
  • 「중국 민간연화의 예술적 특성 연구」, 「문화사학」 27호
    조정래 한국문화사학회 [2007]
  • 「중국 문신 수용 양상 연구」, 「동양고전연구」 10집
    안병국 동양고전학회 [2010]
  •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와 변용-동학 증산교를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39집
    김윤경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 「조선전기의 민간신앙과 도교적 경향」, 「한국사상사대계」4
    조홍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조선의 국왕과 궁중화원」『조선왕실의 미술문화」
    강관식 대원사 [2005]
  • 「조선시대 세화의 시원 연구」, 「동양예술」 12호
    김용권 한국동양예술학회 [2007]
  • 박사
  • 「조선시대 궁중장식화와 민화」
    박본수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색채학회 [2013]
  • 「조선민화의 새로운 관점과 이해」, 「민화연구」 창간호
    홍선표 계명대학교 한국민화연구소 [2013]
  • 「조선 중기의 세화 풍습-16세기를 중심으로」, 「생활문물연구」 5호
    김윤정 국립민속박물관 [2002]
  • 「제작동기로 보는 한국민화의 특성」,『비교민속학회』18집
    하수경 비교민속학회 [2002]
  • 「전통문양과 색깔에 나타난 음양관」,『민속학 연구」 4호
    임영주 국립민속박물관 [1997]
  • 「유교문자도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검토」, 「한국양명학회」 23호
    이경남 한국양명학회논문집 [2009]
  • 「십장생도에 내재된 장수길상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동양예술」 8호
    심영옥 한국동양예술학회 [2004]
  •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난 ‘욕망 표현’연구」
    박순철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세화의 관습적・제도적인 전개와 민화로의 변모」, 「동양예술논총」 11집
    김용권 강암서예학술재단 [2007]
  • 「산신도에 나타난 호랑이․배경․지물의 상징성」, 「민속학연구」 12호
    김영지 국립민속박물관 [2003]
  • 「비평개념으로서의 雅俗과 그 이데올로기」, 「중국어문논총」 28집
    차태근 중국어문연구 회 [2005]
  • 「민화현상과 한국회화의 근대성」, 「한국근대미술사학」 15집
    채홍기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05]
  • 「민화의 도상학적 의미와 상징성 연구」
    현향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민화에 나타난 욕망의 해석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김인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 「민화문자도 연구」,『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유홍준 이태호 학고재 [1997]
  • 「민간신앙의 기능」, 「정신문화연구」 5권 제4호 통권 15호
    김태곤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
  • 「민간신앙을 통해 본 한국인의 종교성」, 「연구논문집」 49집
    박일영 효성여자대학교 [1994]
  • 「미(美)와 추(醜), 아(雅)와 속(俗)」, 「미학예술학연구」 27호
    민주식 한국미학예술학회 [2008]
  • 「무신도의 휴머니즘」, 「논문집」 17집
    정병모 경주대학교 [2005]
  • 「무신도에 나타난 무신의 상징성」,『박물관지」 2호
    양종승 인하대학교박물관 [1997]
  • 「무신도(巫神圖)로 본 무속」, 「한성인문학」 3집
    윤열수 한성대학교인문과학연구원 [2005]
  • 「무속전통의 담론 분석-해체와 전망」, 「한국문화인류학」 22
    김성례 한국문화인류학회 [1990]
  • 「무속의 세계와 한국성」
    황루시 『월간 미술세계」 [1990]
  • 「동예사회의 호신숭배에 대하여」, 「역사민속학」 2호
    서영대 역사민속학회 [1992]
  • 「동아시아 수로인도 연구」
    조희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도교의 샤머니즘 기원설에 대한 재검토」, 「도교문화연구」 37집
    정재서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 「도교와 한국민속」,『비교민속학」 24집
    김낙필 비교민속학회 [2003]
  • 「도교 신신화의 도상적 기능」, 「미술사학」 15호
    박본수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2001]
  • 「도교 신신화의 도상적 기능」, 「미술사학」 15호
    조인수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2001]
  • 「도가철학의 현대적 조명」
    조윤래 「인문과학논문집」 25 대전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98]
  •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표훈사, 유점사, 선계사, 건봉사를 중심으로」, 「보 조사상」 34
    고영섭 불일출판사 [2010]
  • 「금강산을 노래한 시와 산문」, 「금상산」
    김혈조 학고재 [1998]
  • 「굿판의 의미생성 및 주술치료에 대한 기호-인식론적 소고」, 「서울대학교 인문논총 」 67집
    윤성노 서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2012]
  • 「개인소장의 <出山虎鵲圖> : 까지호랑이 그림의 원류」, 「미술사연구」 9호
    홍선표 한국미술연구소 [2006]
  • 「莊子思想의 淵源考-〔巫〕職과 關聯하여」, 「동양철학연구」 5
    조윤래 동양철학연구회 [1984]
  • 「民畵와 民間年畵;형성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좌 미술사」 7
    정병모 한국미술사연구 소 [1995]
  • 「朝鮮時代 後半期 風俗畵의 연구」
    정병모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통속’개념의 변천양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대동문화연구」 85집
    강용훈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 「19세기 말~20세기 초 불화에 보이는 민화적 요소와 수용배경에 대한 고찰: 16나한도를 중심으로」,『문화재」 37호
    신은미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4]
  • 「18세기 시(時)와 속(俗) 관련 용어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실학연구」 15집
    이경규 한국 실학학회 [2008]
  • 李文楗, 「黙齋日記」上, 國史編纂委員會, 1998.
  • 李光庭,王有光, 「乡言解颐・吳下諺聯」, 中國, 中華書局出版, 1982.
  • 히로미쓰, 김명선 역, 「중국의 전통판화」
    고바야시 시공사 [2002]
  • 호암박물관 편, 「꿈과 사랑 매혹의 우리민화」
    호암박물관 [1998]
  • 호림박물관 편,「민화(民畵) 상상의 나라-민화여행」
    호림박물관 [2013]
  • 헌틀리 그레이슨, 강돈구 역,『한국종교사상사」
    제임스 민족사 [1995]
  •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치장과 액막이 그림- 조선민화의 새로운 이해」,『미술사의 정립과 확산』1
    홍선표 사회평론 [2006]
  • 한국의 전통문양
    임영주 대원사 [2004]
  •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황경숙 도서출판 月印 [2000]
  • 한국미의 조명
    조요한 열화당 [1999]
  • 한국미술연구소 편, 「한국미술사논저목록」
    미술사논단 창간호 별책부록 [1995]
  •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 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 한국과 중국의 회화
    한정희 학고재 [1999]
  • 한국고전종합DB : http://db
    itkc.or.kr)
  • 한국고전문학편집위원회 편, 「옥단춘전」, 「한국고전문학전집」 14
    희망출판사 [1978]
  •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
    유동식 연세대출판부 [1975]
  •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 편, 「한국의 채색화 고찰」, 「한국의 채색화」 1
    박금자 정병모 다할미디어 [2015]
  • 편, 「한국 전통 예술과 호랑이」,『호랑이」
    윤열수 이어령 생각의 나무 [2009]
  • 철학아카데미. 「철학, 예술을 읽다」
    동녁 [2006]
  • 짐무진, 이윤갑, 한충희, 「한국역사의 이해」
    노중국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8]
  • 중국 한국 미술사
    김홍남 학고재 [2009]
  • 조지 프레이저, 이용대 역,「THE Golden Bough 황금가지」
    제임스 한겨레신문사 [2011]
  • 조선왕조실록CD-ROM간행위원회,『국역 조선왕조실록」
    동방미디어 [1997]
  • 조선시대 회화사론
    홍선표 문예출판사 [1999]
  •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허 균 동아출판사 [1991]
  • 장파, 유중하 외 역,『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2009]
  • 일연, 김원중 역,『삼국유사」
    민음사 [2007]
  • 이색, 이병혁 역, 「목은집」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95]
  • 이미지와 상징
    송태현 라이트 하우스 [2005]
  • 융, 한국금융연구원C.G.융 저작 번역위원회, 「융기본저작집2 : 원형과 무의식」
    구스타프 솔출판사 [2002]
  • 유교경전번역총서 편찬위원회 역, 「시경」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 예술철학
    조요한 미술문화 [2003]
  • 역,「열왕세시기」, 「조선세시기」
    김매순 이석호 동문선 [1991]
  • 역,『조선무속고」
    서영대 이능화 창비 [2013]
  • 역,『민간미술」
    이영미 진지린 대가 [2008]
  • 역,『몽계필담」
    심괄 최병규 범우사 [2002]
  • 역,『동경몽환록」
    김민호 맹원로 소명출판 [2010]
  • 역,「서울・세시・한시」
    진경환 홍석모 보고사 [2003]
  • 역, 「경도잡지」, 「조선세시기」
    유득공 이석호 동문선 [1991]
  • 역, 「춘향가」
    김진영 김현주 박이정 [1996]
  • 역, 「중국신화사」上
    김선자 위안커 이유진 홍윤희 웅진지식하우스 [2010]
  • 역,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송철희 이현희 장윤희 황문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 역, 「시경강설」
    이기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 역, 「성소부부고」Ⅰ
    신호열 허 균 민문고 [1989]
  • 역, 「맹자강설」
    이기동 성균관대 출판부 [1991]
  • 역, 「동국세시기」
    정승모 홍석모 도서풀판 풀빛 [2009]
  • 역, 「논어강설」
    이기동 성균관대 출판부 [1991]
  • 역, 「史記2-表序 書」
    사마천 정범진 까치 [1996]
  • 역, 「中國思想大系7-淮南子・抱朴子」
    김봉수 장기근 대양서적 [1972]
  • 여산유병덕박사화갑기념논문집발행위원회 편, 「민간신앙과 도교의 상관성」, 「한국철 학종교사상사」
    김태곤 원광대학교 출판사 [1990]
  • 에카르트, 「에카르트의 한국미술사」
    안드레 열화당 [2003]
  • 실학과 진경문화
    유봉학 신구문화사 [2013]
  • 실천민속학회 편, 「冊架畵・책거리의 제작층과 수용층」
    이인숙 집문당 [2004]
  • 소나무와 나비
    임태승 심산문화 [2004]
  • 세이킨, 변양섭, 안영길 역,『중국미술상징사전」
    노자키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1]
  • 성현, 임정기 역,『허백당집」 1-4
    한국고전번역원 [2008]
  • 성현,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역, 「용재총화」
    솔출판사 [1997]
  • 선문대학교박물관 편, 「선문대학교박물관명품도록Ⅲ 민화-회화편」
    선문대학교박물관 [2003]
  •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서영대 역,『말리노브스키의 원시신화론」
    민속원 [2001]
  • 불사의 신화와 사상
    정재서 믿음사 [1994]
  • 벤자민 슈워츠, 나성 역,『중국고대 사상의 세계」
    살림출판사 [1998]
  • 민화란 무엇인가
    임두빈 서문당 [1997]
  • 민화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정병모 돌베개 [2012]
  • 민화 이야기
    윤열수 디자인 하우스 [1995]
  • 민족문화추진회,『신판 국역 익재 이제현 문집」
    이제현 한국학술정보 [2006]
  • 민족문화추진회 역, 「신판 국역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1-6
    이규경 한국학술정보 [2008]
  • 무네요시, 이길진 역,『조선과 그 예술」
    야나기 신구문화사 [1994]
  • 리쩌허우, 정병석 역,『중국고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 리드, 「도상과 사상」
    허버트 열화당 [2002]
  • 동양고전역주총서 10 「역주 장자」 3, 안병주, 전호근 역
    전통문화연구회 [2005]
  • 도교와 문학 그리고상상력
    정재서 도서출판 푸른 숲 [2000]
  • 눈의 역사 눈의 미학
    임철규 한길사 [2004]
  • 까를로 로제티, 서울학연구소 역,『꼬레아 꼬레아니」
    숲과 나무 [1996]
  • 기시 후미카츠, 「길상 도상학-민화와 행복」, 「한국의 채색화」 2
    다할미디어 [2015]
  • 국립중앙박물관 편,『한국의 도교문화」
    국립중앙박물관 [2013]
  • 국립중앙박물관 편,『길상, 중국미술에 담긴 행복의 염원」
    국립중앙박물관 [2012]
  • 국립민속박물관 편, 「수복」
    국립민속박물관 [2007]
  • 국립민속박물관 편, 「민화(民畵)와 장식병풍(裝飾屛風)」
    국립민속박물관 [2007]
  • 국가의 회화.」
  • 괴대신, 기흥, 박현규 역, 「중국민속학」
    백산자료원 [1998]
  • 공편, 「한국무교의 종교적 특성」,『한국민속연구논문선」 Ⅲ
  • 경기도박물관 편, 가회박물관 초청 민화 특별전 「익살과 재치, 꿈꾸는 우리민화」, 경기도박물관
    가회박물관 [2004]
  • 王充, 「論衡」三,十卷, 臺北, 世界書局, 1955.
  • 張守節, 「史記正義」, 「(文淵閣)四庫全書」247, 臺北, 商務印書館, 民國72, 1983.
  • 吳自牧,『夢梁錄」1, 中國, 中華書局, 1985.
  • 上海辭書出版社發行所,『中國風俗辭典」, 中國, 上海辭書出版社, 1990.
  • 『한국의 미」
    중앙 일지사 [1992]
  • 『한국민화논고』
    김철순 예경 [1991]
  • 『한국 종교문화의 전개」
    정진홍 집문당 [1985]
  • 『한국 조선의 신화와 설화」, 육당기념사업회
    최남선 홍성사 [1983]
  • 『우리고대의 무속사상과 가요」
    허영순 세종출판사 [2007]
  • 『巫와 민족문화」
    조홍윤 한국학술정보 [2004]
  • 「한국의 전통회화」
    홍선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 「한국의 민화: 학술대담」
    김호연 안휘준 학국학보(8) [1977]
  • 「한국미술의 기원」
    박용숙 예경 [1990]
  • 「한국 종교, 문화로 읽다」1
    최준식 사계절 [2012]
  • 「조선후기궁중화원 연구-규장각자비대령호원을 중심으로」
    강관식 돌베개 [2001]
  • 「조선시대 민화」
    조자용 예경산업사 [1989]
  • 「조선 궁궐 그림」
  • 「우리 민화 읽기」
    허 균 북포토폴리오 [2006]
  • 「예기」, 권오돈 역
    홍신문화사 [1996]
  • 「서경」, 이재훈 역
    고려원 [1996]
  • 「산해경」,서경호, 김영지 역, 예태일
    전발평 편 안티쿠스 [2008]
  • 「산해경」, 정재서 역
    믿음사 [1985]
  • 「국역 고려사」 권16, 지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역
    경인문화사 [2011]
  • 「광해군일기」 5,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신흥인쇄주식회사 [1992]
  • 「Korea Art Book」
    윤열수 서울: 예경 [2000]
  • Tambiah, Stanley Jeyaraja, Magic, science, religion, and the scope of rationality, Cambridge, UK ; New York : Cambridge Univ. Press, 1990.
  • Bronislaw Malinowski, Robert Redfield, Magic, science and religion, and other essays, Garden city, NY : Doubleday,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