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禪門拈頌』의 公案 조직 양상과 언어 활용 연구

조영미 2015년
논문상세정보
' 『禪門拈頌』의 公案 조직 양상과 언어 활용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안
  • 관문
  • 방관자
  • 빈주
  • 효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 0

0.0%

' 『禪門拈頌』의 公案 조직 양상과 언어 활용 연구' 의 참고문헌

  • 「혜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염송집」」
    조명제 「보조사상」 제42집(보조사상연구원 [2014]
  • 박사
    「헐후어 연구」
    석문주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 「종교언어(宗敎言語)로서의 공안(話頭)」
    강은애 윤원철 「종교와 문화」 제7집(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01]
  • 「수선사 연구」
    전행욱 (동국대학교 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선불교의 공안에서 효와(誵訛)의 속성과 의미기능」
    조영미 「불교학보」 제66집(불교문화연구원 [2013]
  • 「선문답의 현대적 해석 방식」
    김호귀 「한국선학」 제26호(한국선학회 [2010]
  • 「선문답의 장치와 해체」
    김영욱 「철학연구」 제99집(대한철학회논문집 [2006]
  • 「선문답의 담화 구조-선어록의 언어 특징1-」
    박영록 「백련불교논집」 제8집(백련불교문화재단 [1998]
  • 「석전 박한영 강백의 교학 전통-「화엄경」 「십지품」과 「선문염송집」 연찬을 중심으로-」
    신규탁 「한국불교학」 제70집(한국불교학회 [2014]
  • 「불교의 언어관」
    이지수 「과학사상」 제35집(범양사 [2000]
  • 「무의자 혜심의 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박재금 :「韓國禪詩硏究-무의자 혜심의 시세계」(국학자료원, 1998) [1998]
  • 「남종선과 북종선 논쟁-현세간 중시의 새로운 선법의 출발점」
    김영욱 「논쟁으로 보는 불교철학」(예문서원 [1998]
  • 「공안의 표현형식과 지도법의 변화(2)-마조계선사를 중심으로-」
    정진희 「한국불교학」 제49집(한국불교학회 [2007]
  • 「고려후기 修禪社와 闍崛山門-高僧의 存在樣相과 그 動向을 중심으로」
    황인규 「보조사상」 제28집(보조사상연구원 [2007]
  • 「고려전기 한문학을 보는 시각-이혜순의 「고려전기 한문학사」」
    안대회 「한국문화연구」 제7집(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4]
  • 「간화선 형성의 사회적 배경」
    종호 「보조사상」 제13집(보조사상연구원 [2000]
  • 「간화선 수행론 연구-화두 참구의 원리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이정섭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高麗漢文學史(下)」
    지준모 「어문학」 제39집(한국어문학회 [1980]
  • 「高麗後期 眞覺國師 慧諶 硏究」
    진성규 (중앙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6]
  • 「高麗 武臣政權時代 僧侶知識人 知訥․慧諶의 現實對應」
    김호동 「민족문화논총」 제13집(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 「高麗 慧諶의 看話禪 硏究」
    이동준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高麗 後期 修禪社의 結社運動-知訥과 慧諶을 중심으로」
    박재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석사학위논문 [1997]
  • 「金剛般若波羅蜜經贊 幷序注」 韓6
  • 「話頭의 내재적 구조 一考」
    박문기 「한국불교학」 제58집(한국불교학회 [2010]
  • 「禪問答의 原理에 대한 고찰-詮揀詮收를 중심으로-」
    정성욱 「한국불교학」 제58집(한국불교학회 [2010]
  • 「禪問答을 통한 수행법 연구」
    정성욱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祖師禪에서의 本來面目의 의미와 수행」
    윤영해 「한국선학」 제15호(한국선학회 [2006]
  • 「祖師禪에서 禪旨의 표현에 관한 연구」
    김태완 「백련불교논집」 제9집(백련불교문화재단 [1999]
  • 「碧松智嚴의 新資料와 法統問題」
    고익진 「불교학보」 제22집(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5]
  • 「眞覺국사 慧諶의 看話禪 연구」
    정성본 「보조사상」 제23집(보조사상연구원 [2005]
  • 「眞覺慧諶의 看話一門 硏究」
    이수덕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선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 「眞覺慧諶, 修禪社, 崔氏武人政權」
    최병헌 「보조사상」 제7집(보조사상연구원 [1993]
  • 「眞覺國師」
    권기종 「한국불교인물사상사」(민족사 [1997]
  • 「眞覺國師의 禪과 문학」
    이종찬 「석림」 제16집(동국대학교 석림회 [1982]
  • 「眞覺國師 慧諶의 禪詩 硏究」
    김석태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 「眞覺國師 慧諶의 生涯와 思想」
    진성규 「高麗史의 諸問題」(삼영사 [1986]
  • 「眞覺國師 慧諶의 修禪社活動」
    진성규 「중앙사론」 제5집(중앙대학교 사학연구회 [1987]
  • 「眞覺國師 慧諶 硏究:思想과 詩를 중심으로」
    박재금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1987]
  • 「看話禪의 화두 공부와 그 특징」
    김영욱 「伽山學報」 제10호(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2]
  • 「看話禪에서 話頭의 양면적 기능」
    김호귀 「한국선학」 제8호(한국선학회 [2001]
  • 「看話禪과 ‘無字’公案考」
    권기종 「논문집」 제20집(동국대학교 [1981]
  • 「直指人心의 禪法」
    김영욱 「伽山學報」 제5호(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 「狗子無佛性話揀病論」 韓6
  • 「無字話頭와 관련된 頌古와 悟道頌」
    주호찬 「한문교육연구」 제28호(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 「水滸傳俗談考」
    성의제 「中國文學報」 제4집(단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1980]
  • 「松廣寺의 高麗文書」
    임창순 「백산학보」 제11호(백산학회 [1971]
  • 「月南寺址 眞覺國師碑의 陰記에 대한 一考察」
    민현구 「진단학보」 제36호(진단학회 [1973]
  • 「普照知訥과 眞覺慧諶에 미친 중국선의 영향」
    정영식 「한국민족문화」 제28집(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 「慧諶의 禪思想에 대한 硏究-知訥과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이덕진 「철학연구」 제20집(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1997]
  • 「慧諶의 禪思想 硏究-知訥의 禪思想과 比較하면서-」
    권기종 「불교학보」 제19집(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82]
  • 「慧諶의 看話禪思想 硏究」
    권기종 「보조사상」 제7집(보조사상연구원 [1993]
  • 「慧諶의 「禪門拈頌」 硏究」
    이점숙(영석) (동국대학교 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慧諶(1178~1234)의 修禪社에서의 活動과 禪思想」
    박영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9]
  • 「慧諶 禪思想에 있어서 敎學이 차지하는 의미」
    김호성 「보조사상」 제7집(보조사상연구원 [1993]
  • 「慧諶 看話禪에서의 待悟之心의 문제」
    이동준 「한국불교학」 제17집(한국불교학회 [1992]
  • 「慧諶 看話一門의 構造와 그 意義」
    이동준 「국사관논총」 제42집(국사편찬위원회 [1993]
  • 「惠諶의 大禪師告身에 대한 檢討-高麗 僧政體系의 理解를 중심으로」
    장동익 「한국사연구」 제34집(한국사연구회 [1981]
  • 「崔瑀의 寺院政策과 修禪社 慧諶」
    조은순 (경희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 「崔瑀의 寺院定策과 談禪法會」
    김광식 「국사관논총」 제42집(국사편찬위원회 [1993]
  • 「崔氏武臣政權과 禪宗」
    진성규 「불교연구」 제6집(한국불교연구원 [1990]
  • 「修禪社의 禪門拈頌集 편찬과 宏智錄」
    조명제 「불교학보」 제63집(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 「修禪社의 「禪門拈頌集」 편찬과 臨濟宗 黃龍派의 어록」
    조명제 「불교학보」 제68집(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 「修禪社의 「禪門拈頌集」 편찬과 雲門宗의 어록」
    조명제 「역사와 경계」 90집(부산경남사학회 [2014]
  • 「修禪社의 「禪門拈頌集」 편찬과 雪竇7部集」
    조명제 「한국사상사학」 제42집(한국사상사학회 [2012]
  • 「修禪社의 「禪門拈頌集」 편찬과 大慧宗杲의 저작」
    조명제 「역사와 경계」 92집(부산경남사학회 [2014]
  • 「佛敎의 言語理解와 不立文字-原始佛敎, 中觀
    박태원 唯識 및 壇經을 中心으로-」(고려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1984]
  • 「九山 禪師의 上堂法語集 「九山禪門」 分析 試論」
    신규탁 「보조사상」 제37집(보조사상연구원 [2012]
  • 「中國 成語 考察」
    정인숙 「중국어문학」 제16집(영남중국어문학회 [1989]
  • 「「종경록」이 진각혜심에 미친 영향」
    정영식 「韓國思想과 文化」 제69집(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 「「선문염송」의 편찬에 대한 사상사적 연구」
    정천구 「정신문화연구」 제32권 제3호[통권 116호](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본지풍광」의 화두와 현재적 의미」
    김영욱 「아침바다 붉은 해 솟아오르네」(장경각 [2015]
  • 「「禪門拈頌集」의 편찬과 「禪宗頌古聯珠集」」
    조명제 「불교학보」 제62집(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 「「禪門拈頌」의 편찬과 그 의의」
    진성규 「백산학보」 제66호(백산학회 [2003]
  • 「「禪門拈頌」의 編纂에 따르는 慧諶禪의 意旨」
    한기두 「보조사상」 제7집(보조사상연구원 [1993]
  • 「「禪門拈頌」의 基礎的 底本에 대하여-第1卷을 중심으로-」
    이동준 「한국종교사상의 재조명(상)」(원광대출판부 [1993]
  • 「「禪門拈頌」과 眞覺國師 慧諶」
    김호동 「民族文化論叢」 제18․19합집(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 「「成唯識論」의 假說(upacāra)에 대한 연구」
    백진순 「철학」 제76집(한국철학회 [2003]
  • 劉若愚 著, 李章佑 譯
    「中國詩學」(동화출판공사 [1984]
  • 論語
  • 老子
  • 金聖嘆 著, 周錫山 編校
    「水滸傳」 상권(沈陽: 万卷出版公司 [2009]
  • 혜심․각운 지음, 김월운 옮김
    「선문염송․염송설화」1~10(동국역경원 [2005]
  • 한비, 이운구 옮김
    「한비자」Ⅰ(한길사 [2003]
  •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草衣禪師全集」(아세아문화사 [1985]
  •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朝鮮金石總覽」上(아세아문화사 [1976]
  •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학
    김동욱 이우성 장덕순 최진원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한국민속학회
    「韓國俗談集」(서문당 [1973]
  • 한국문학통사2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4]
  • 한국문학의 불교적 탐구
    인권환 월인 [2011]
  • 한국문학사
    장덕순 동화문화사 [1995]
  • 한국고전종합DB : http://db
    itkc.or.kr
  •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편역
    「철학소사전」(서울: 동녘 [1991]
  • 프로이트 지음, 임인주 옮김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열린책들 [2003]
  • 편집, 「慧諶」(僧伽學資料集 法語篇5
    김영욱 中央僧伽大學校出版部 [2008]
  • 페피셀로 & T. A. 그린 著, 남기탁․김문태 역주
    W. J 「수수께끼의 언어」(강원대학교출판부 [1993]
  • 토머스 머튼, 이영주 옮김
    「신비주의와 선의 대가들」(고려원미디어 [1994]
  • 키무라 키요타카 지음, 장휘옥 옮김
    「中國佛敎思想史」(민족사 [1989]
  • 칸트 지음, 백종현 옮김
    임마누엘 「판단력비판」(아카넷 [2011]
  • 카지야마 유이치 外, 전치수 옮김
    「인도불교의 인식과 논리」(민족사 [1992]
  • 카너먼 지음, 이진원 옮김
    대니얼 「생각에 관한 생각」(김영사 [2012]
  • 체호프의 코미디와 진실
    오종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 질 들뢰즈, 이정우 옮김
    「의미의 논리」(한길사 [2012]
  • 진각혜심의 게송문학
    이상미 (박이정 [2007]
  • 지음, 최연식 옮김
    아츠시 이부키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 禪의 역사」(씨아이알 [2011]
  • 지음, 장춘익 옮김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①」(나남 [2011]
  • 지음, 이병용․안재연 옮김
    손탁 수잔 「급진적 의지의 스타일」(현대미학사 [2004]
  • 지음, 박희준 옮김
    두몰린 하인리히 「禪과 깨달음」(고려원 [1988]
  • 지음, 김태완 옮김
    대혜종고 「대혜보각선사어록」1~6(소명출판 [2011]
  • 지음, 김윤수 옮김
    요한 호이징하 「호모 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까치 [2014]
  • 일연의 불교사상 - 조동선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
    윤천근 「동서철학연구」 제60호(한국동서철학회 [2011]
  • 일연, 권상로 역해
    「삼국유사」(동서문화사 [2007]
  • 은유와 환유
    김욱동 민음사 [1999]
  • 위트로 읽는 위트
    류종영 유로 [2007]
  • 월터 J. 옹 지음, 이기우․임명진 옮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문예출판사 [1997]
  • 웃음의 미학
    류종영 유로 [2013]
  • 왕초보 육조단경 박사 되다
    김영욱 민족사 [2010]
  •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http://yoksa
    aks.ac.kr/main.jsp
  • 옮김
    마르틴 전양범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동서문화사 [2011]
  • 역, 「知訥 慧諶 覺訓」(한국의 사상대전집2
    김달진 동화출판공사 [1972]
  • 에드워즈 콘즈 外, 김종욱 편역
    「불교사상과 서양철학」(민족사 [1994]
  • 앙리 베르그송 지음, 정연복 옮김
    「웃음-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세계사 [2002]
  • 아서라이트 지음, 양필승 옮김
    「中國史와 佛敎」(신서원 [1997]
  • 시란 무엇인가
    유종호 민음사 [2002]
  • 스즈키 다이세츠 지음, 서명석 옮김
    「禪問答-가르침과 배움의 현상학」(경서원 [2007]
  • 슐라퍼 지음, 변학수 옮김
    하인츠 「니체의 문체」(책세상 [2013]
  • 백련선서간행회
    「碧巖錄」上․中․下(장경각 [1993]
  • 백련선서간행회
    「山房夜話」(장경각 [1995]
  •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高麗史節要」 권중(신서원 [2004]
  •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
    cha.go.kr
  • 말의 힘
    이규호 좋은날 [1998]
  • 린다 허치언 지음, 김상구․윤여복 옮김
    「패러디 이론」(문예출판사 [1995]
  • 롤랑바르트 지음, 김주환․한은경 옮김
    「기호의 제국」(산책자 [2013]
  • 로버트 스콜즈, 「언어, 서술과 반서술」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솔 [1997]
  • 러시아 형식주의
    권철근 김희숙 이덕형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1]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http://ebtc
    dongguk.ac.kr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불교교재편찬위원회
    「불교사상의 이해」(불교시대사 [2004]
  • 나옹혜근의 선사상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신규탁 「대각사상」 제11집(대각사상연구원 [2008]
  • 국역 고려사 http://terms
    naver.com/list.nhn?cid=49617&categoryId=49617
  •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http://kostma
    korea.ac.kr/riks
  • 高麗時代 佛敎詩의 硏究
    인권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 高麗大藏經은 高, 韓國佛敎全書는 韓, 大正新脩大藏經은 大
    卍續藏經은 卍으로 표기
  • 高麗大藏經 지식베이스 http://kb
    sutra.re.kr
  • 駒澤大學內 禪學大辭典編纂所, 「禪學大辭典」(東京: 大修館書店, 2000)
  • 韓非子
  • 韓國歷代高僧傳
    김동화 삼성문화재단 [1973]
  • 韓國禪詩硏究-무의자 혜심의 시세계
    박재금 국학자료원 [1998]
  • 韓國佛家詩文學史論
    이종찬 불광출판부 [1993]
  • 靑莊館全書
  • 震華法師 遺稿, 「中國佛敎人名大辭典」(上海: 上海辭書出版社, 2006)
  • 陳鼓應 注譯, 「莊子今注今譯」(北京: 中華書局, 2010)
  • 關口眞大 著, 이영자 譯
    「禪宗思想史」(홍법원 [1989]
  • 鈴木大拙, 「禪學入門」(東京: 講談社, 2011)
  • 鈴木大拙 著, 심재룡 譯
    「아홉마당으로 풀어쓴 禪」(현음사 [1992]
  • 鈴木大拙 著, 김지견 譯, 「禪
    그 世界」(동화문화사 [1986]
  • 賴永海, 「중국 宋代 看話禪 및 그 사상의 特質」
    「보조사상」 제25집(보조사상연구원 [2006]
  • 譯註
    안병주 전호근 「莊子」1~4(전통문화연구회, , 2007, 2008) [2002]
  • 許少峰 編, 「簡明漢語俗語詞典」(北京: 中華書局, 2009)
  • 西村惠信 譯注, 「無門關」(東京: 岩波書店, 2011)
  • 蜂屋邦夫 譯注, 「老子」(東京: 岩波書店, 2012)
  • 薛春華
    「禪宗語錄熟語硏究」(上海師範大學 漢語言文字学 석사학위논문 [2011]
  • 莊子
  • 花園大學國際禪學硏究所 http://iriz.hanazono.ac.jp
  • 耘虛 著
    「능엄경강화」Ⅱ(동국역경원 [1993]
  • 羅竹風 主編, 「漢語大詞典」(上海: 漢語大詞典出版社, 1994)
  • 禪門拈頌集의 편찬과 宗門統要集
    조명제 「보조사상」 제34집(보조사상연구원 [2010]
  • 眞覺國師語錄
    김달진 (세계사 [1993]
  • 看話禪 참구의 실제 無字 화두를 중심으로
    김영욱 「보조사상」 제19집(보조사상연구원 [2003]
  • 田上太秀․石井修道 編著, 「禪の思想辭典」(東京 : 東京書籍株式會社, 2008)
  • 班固, 안대회 편역
    「漢書列傳」(까치 [1997]
  • 牧隱文藁
  • 淮南子
  • 楊伯峻 譯注, 「論語譯注」(北京: 中華書局, 2010)
  • 椎名宏雄, 「禪門拈頌集の資料價値」
    「印度學佛敎學硏究」 제51권 제1호(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編 [2002]
  • 森三樹三郞 지음, 오진탁 옮김
    「佛敎와 老莊思想」(경서원 [1992]
  • 東文選
  • 東國李相國集
  • 東史綱目
  • 朱立元 主編, 「美學大辭典」(上海: 上海辭書出版社, 2010)
  • 末木文美士, 「<卽非の論理〉再考」, 「(花園大學)禪文化硏究所紀要」 Vol.20(花園大學 禪文化硏究所, 1994)
  • 末木文美士, 「佛敎-言葉の思想史」(東京: 岩波書店, 2012)
  • 朝鮮漢文學史
    김태준 민족문화사 [1991]
  • 望月信亨, 「望月佛敎大辭典」(東京: 世界聖典刊行協會, 1960)
  • 智冠 編著
    「伽山佛敎大辭林」(서울: 伽山佛敎文化硏究院)
  • 新增東國輿地勝覽
  • 文選
  • 擇里志
  • 戴均良․劉保全․鄒逸麟․王文楚․張曉敏 主編, 「中國古今地名大詞典」(上海: 上海辭書出版社, 2010)
  • 慈怡 主編
    「佛光大辭典」(臺灣: 불광출판사 [1989]
  • 張撝之․沈起煒․劉德重 主編, 「中國歷代人名大辭典」(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6)
  • 山林經濟
  • 小川 隆 著, 「語錄の思想史-中國禪硏究」(東京: 岩波書店, 2011)
  • 孫洪德 主編, 「漢語俗語詞典」(北京: 商務印書館, 2007)
  • 孫昌武 點校, 「祖堂集」(北京: 中華書局, 2010)
  • 孫子
  • 孟子
  • 大正新脩大藏經 http://21dzk.l.u-tokyo.ac.jp/SAT/index.html
  • 周裕鍇, 「禪籍俗諺管窺」, 「江西社會科學」(四川大学文学與新聞学院, 2004)
  • 周裕鍇, 「禪宗語言」(杭州: 浙江人民出版社, 1999)
  • 吳經熊 지음, 서돈각․이남영 옮김
    「禪學의 황금시대」(천지 [1997]
  • 吳經熊 저, 조영록․정인재 역
    「禪의 饗宴」上(동국대학교부설 역경원 [1994]
  • 史記
  • 印鏡, 「공안선과 간화선」
    「철학사상」 제21집(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5]
  • 入矢義高․溝口雄三․末木文美士․伊藤文生 譯注, 「碧巖錄」上․中․下(東京: 岩波書店, 2009, 2011)
  • 入矢義高 지음, 신규탁 옮김
    「禪과 문학」(장경각 [1993]
  • 入矢義高 監修, 古賀英彦 編著, 「禪語辭典」(京都: 思文閣出版, 1991)
  • 入矢義高 監修, 「景德傳燈錄」四(京都: 禪文化硏究所, 1997)
  • 中村元․福永光司․田村芳朗․今野達․末木文美士 編集, 「岩波佛敎辭典」(東京: 岩波書店, 2002)
  • 中村元 지음, 金知見 옮김
    「中國人의 사유방법」(까치 [1990]
  • 三國遺事
  • 『고려전기 한문학사」
    이혜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高麗史』
  • 『禪門拈頌說話』의 판본과 登梓本 書寫者 연구
    남권희 「서지학연구」 제59집(한국서지학회 [2014]
  • 「聯燈會要」卍136
  • 「화두시」
    이상미 (운주사 [2006]
  • 「택리지」
    이민수 이중환 (평화출판사 [2005]
  • 「정선 禪語錄」
    김영욱 조영미 한재상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09]
  • 「정선 公案集」
    김영욱 조영미 한재상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10]
  • 「정선 休靜」
    김영욱 조영미 한재상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10]
  • 「선의 세계」Ⅱ
    고형곤 운주사 [1998]
  • 「선의 세계」Ⅰ
    고형곤 운주사 [1997]
  • 「선문염송염송설화」
    혜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 「바로크와 알레고리-발터 벤야민의 언어이론」
    최문규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16집(한국뷔히너학회 [2001]
  • 「무경십서」
    신동준 (역사의아침 [2014]
  • 「두보율시」
  • 「馬祖語錄」 卍119
  • 「首楞嚴經」 大19
  • 「韓國文學思想史試論」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3]
  • 「雲門廣錄」 大47
  • 「雲峰語錄」 古尊宿語錄40 卍118
  • 「雪巖雜著」 韓9
  • 「雪巖語錄」 卍122
  • 「雪峰語錄」 卍119
  • 「阿育王經」 大50
  • 「銷釋金剛經科儀會要註解」 卍92
  • 「金剛經註解」 卍38
  • 「金剛經五家解說誼」 韓7
  • 「金剛經」 大8
  • 「金剛仙論」 大25
  • 「釋門正統」 卍130
  • 「都序」 大48
  • 「趙州語錄」 古尊宿語錄13 卍118
  • 「觀楞伽經記」 卍26
  • 「觀心論」 大85
  • 「蓮潭大師林下錄」 韓10
  • 「著譯叢譜」 韓12
  • 「華嚴經」 大10
  • 「自在王菩薩經」 大13
  • 「臨濟語錄」 大47
  • 「老子」
    김구용 (솔 [2014]
  • 「續高僧傳」 大50
  • 「續指月錄」 卍143
  • 「續傳燈錄」 大51
  • 「維摩經」 大14
  • 「空谷集」 卍117
  • 「禪關策進」 大48
  • 「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韓11
  • 「禪門鍛鍊說」 卍112
  • 「禪門諸祖師偈頌」 卍116
  • 「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韓5
  • 「禪要」 卍122
  • 「禪林類聚」 卍117
  • 「禪林象器箋」 佛光藏, 禪藏
  • 「禪林僧寶傳」 卍137
  • 「禪文手鏡」 韓10
  • 「禪宗頌古聯珠通集」 卍115
  • 「祖庭事苑」 卍113
  • 「祖堂集」 高45
  • 「碧巖錄」 大48
  • 「眞覺國師語錄 譯解1」
    김영욱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4]
  • 「看話決疑論」 韓4
  • 「直註雪竇顯和尚頌古」 卍117
  • 「白雲和尙語錄」 韓6
  • 「無門關」 大48
  • 「無衣子詩集」 韓6
  • 「無衣子詩集」
    유영봉 (을유문화사 [1997]
  • 「無明慧性語錄」 卍121
  • 「溈山語錄」 大47
  • 「涅槃經」 大12
  • 「洞山語錄」 大47
  • 「洞山守初語錄」 古尊宿語錄38 卍118
  • 「注大乘入楞伽經」 大39
  • 「法集別行錄節要」 韓4
  • 「法華經」 大9
  • 「法華大意」 卍49
  • 「法眼語錄」 大47
  • 「法昌倚遇語錄」 卍126
  • 「汾陽語錄」 大47
  • 「水滸傳」 제1권
    김구용 (삼덕출판사 [1981]
  • 「正法眼藏」 卍118
  • 「楞嚴經」 大19
  • 「楞伽經」 大16
  • 「楊岐方會語錄」 大47
  • 「枯崖漫錄」 卍148
  • 「林間錄」 卍148
  • 「松源崇嶽語錄」 卍121
  • 「松源岳禪師語」 續古尊宿語要4 卍119
  • 「東林雲門頌古」 古尊宿語錄47 卍118
  • 「東師列傳」 韓10
  • 「朝鮮佛敎通史」下
    李能和 신문관 [1918]
  • 「曹溪高僧傳」 韓12
  • 「曹溪眞覺國師語錄」 韓6
  • 「曹山語錄」 大47
  • 「曆代法寶記」 大51
  • 「智門祚禪師語錄」 古尊宿語錄39 卍118
  • 「景德傳燈錄」 大51
  • 「文選역주」
  • 「拈頌說話節錄」 韓7
  • 「拈八方珠玉集」 卍119
  • 「承天嵩禪師語錄」 古尊宿語錄10 卍118
  • 「應菴曇華語錄」 卍120
  • 「憨山老人夢遊集」 卍127
  • 「慈受懷深廣錄」 卍126
  • 「心法要抄」 韓7
  • 「從容錄」 大48
  • 「建中靖國續燈錄」 卍136
  • 「廬山歸宗語錄」 古尊宿語錄43 卍118
  • 「山房夜話」
  • 「寶覺祖心語錄(黃龍四家錄第二)」 卍120
  • 「寶峰語錄」 古尊宿語錄42 卍118
  • 「密菴語錄」 大47
  • 「宗門統要正續集」 永樂北藏 第154冊
  • 「宗門武庫」 大47
  • 「宗門拈古彙集」 卍115, 卍116
  • 「宗鏡錄」 大48
  • 「宏智廣錄」 大48
  • 「宋高僧傳」 大50
  • 「孫吳兵書」
    김달진 (문학동네 [1998]
  • 「太古語錄」 韓6
  • 「天聖廣燈錄」 卍135
  • 「大般涅槃經集解」 大37
  • 「大梵天王問佛決疑經」 卍87
  • 「大東詠選」 韓12
  • 「大智度論」 大25
  • 「大慧語錄」 大47
  • 「大寶積經」 大11
  • 「壇經」 大48
  • 「增集續傳燈錄」 卍142
  • 「圜悟語錄」 大47
  • 「圜悟心要」 卍120
  • 「圜悟克勤禪師語」 續古尊宿語要3 卍118
  • 「圓覺經大疏」 卍14
  • 「四分律名義標釋」 卍70
  • 「嘉泰普燈錄」 卍137
  • 「呆菴普莊禪師語錄」 卍123
  • 「古林拾遺偈頌」 卍123
  • 「南泉普願語要」 古尊宿語錄12 卍118
  • 「入法界體性經」 大12
  • 「傳心法要」 大48
  • 「佛祖歷代通載」 大49
  • 「佛眼語錄」 古尊宿語錄30 卍118
  • 「企齋集」
  • 「仰山語錄」 大47
  • 「仁王經」 大8
  • 「人天眼目」 大48
  • 「人天寶鑑」 卍148
  • 「五家語錄」 卍119
  • 「五家宗旨纂要」 卍114
  • 「丹霞語錄」 卍124
  • 「一切經音義」 大54
  • 「(編譯 무의자 혜심의) 송고와 게송」
    주호찬 (한국학술정보 [2008]
  • ≪全唐詩≫
  • ․의상․지눌 지음, 이기영 역
    원효 「한국의 불교사상」(삼성출판사 [1997]
  • Thomas Cleary and J. C. Cleary, The Blue Cliff Record(碧巖集), Boston & London: SHAMBHALA, 2005
  • Robert E. Buswell Jr. and Donald S. Lopez Jr.,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 Richards 지음, 박우수 옮김
    I. A 「수사학의 철학」(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 Katsuki Sekida, TWO ZEN CLASSICS: The Gatless and the Blue Cliff Records, Boston & London: SHAMBHALA, 2005
  • G. 레이코프․M. 존슨 지음, 노양진․나익주 옮김
    「삶으로서의 은유」(박이정 [2011]
  • E․프롬: 스즈키: R․데 마르티노 共著, 김용정 역
    「서양철학과 선(禪)」(황금두뇌 [2000]
  • D. T. Suzuki, An Introduction to Zen Buddhism, Grove Press: NY, 1964
  • Abrams 지음, 최상규 역
    M. H 「문학용어사전」(서울: 예림기획 [1997]
  • (영석), 「문화원형을 원용한 콘텐츠에 관한 고찰-각운의 「선문염송설화」와 현행 예불문을 중심으로-」
    이점숙 「정토학연구」 제20집(한국정토학회 [2013]
  • (영석), 「禪典 번역의 제 문제-대장경의 선전체계와 「선문염송집」의 번역을 중심으로-」
    이점숙 「전자불전」 제14집(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2]
  • (영석), 「「禪門拈頌」의 成立과 構成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선학과 석사학위논문, :「「선문염송」의 편찬에 관한 연구」
    이점숙 「정토학연구」 제5집(한국정토학회, 2002)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