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이광수와 주작인의 문학론 비교연구

이동매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동매
    • 형태사항 26cm: ii, 228 p.
    • 일반주기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동식, 참고문헌 : p.220-228
    • 학위논문사항 한국학과, 2015. 8, 학위논문(박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DDC 811.09, 21
    • 발행지 인천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인하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이광수와 주작인의 문학론 비교연구' 의 참고문헌

  • 「헤르더의 민요집 비교 분석」
    김대권 괴테연구 26집 [2013]
  • 「철저와 중용」
    양주동 조선일보 [1926]
  • 「진화의 갱생, 인류의 탄생」, 년 3월1일에 묻다
    권보드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1919]
  • 「진화론과 민족개조론의 내포」
    장영우 한국문예창작 제11권2제2호 [2012]
  • 「주장」
    이윤재 동광 [1926]
  • 「정의 발견과 근대성」, 문학과 교육
    권보드래 가을 [2000]
  • 「저우쭤런의 인간의 문학에 관한 고찰」
    최성경 중국어문논총 24집 [2003]
  • 「저우쭤런의 문예관 연구」
    조경희 중국어문논총 17집 [1994]
  • 「저우쭤런에게 민속학은 무엇이었을까?」
    김미정 중국어문학지 48권0호 [2014]
  • 「일본이라는 거울: 이광수가 본 일본∙일본인」
    윤대석 일본비평 3 [2010]
  • 「인체 실험과 성전」
    이경훈 동방학지 117호 [2002]
  • 「이광수의 문학론 연구」
    李秉憲 민족문화연구 22집 [1989]
  • 「이광수의 문학론 연구」
    홍성암 「한민족문화연구 2 [1997]
  • 「이광수 초기문학론의 구조와 와세다 미사학」
    김재영 한국문학연구 35호 [2008]
  • 「외래 사상과 저우쭤런의 수용연구」
    이용태 동아인문학 18집 [2010]
  • 「성담론의 수용과 저우쭤런의 심미관」
    고운선 중국학논총 22집 [2007]
  • 「민족개조와 감정의 진화」
    김동식 한국학연구 제29집 [2013]
  • 「문학의 자율성, 주체의 발견, 근대라는 미망」, 문학과 사회
    이현식 가 을호 [1998]
  • 「문정에 나타난 근대성, 사랑, 성」
    최혜실 여성문학연구 1 [1999]
  • 「무정과 소설적 근대성」
    서영채 문학사상 [1992]
  • 「량치차오와 중국 국민성 담론」
    차태근 중국현대문학 45 [2008]
  • 「두 가지 과거와 계몽의 변증법」
    차승기 작가세계 57집 [2003]
  • 「동포와 역사적 감각」,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 지평의 확대
    권보드래 소명출판사 [2006]
  • 「동아시아 3국의 사회진화론 수용에 관한 연구」
    신연재 서울대 박사논문 [1991]
  • 「독립협회의 사회사상과 사회진화론」
    주진오 손보기 정년기념 한국사학논집 [1988]
  • 「독립의 개념과 수사학」, 동아시아의 자국학과 자국문학사 인식
    류준필 소 명출판사 [2013]
  • 「논쟁의 정치와 민조개조론의 글쓰기」
    김현주 역사와 현실 57 [2005]
  • 「년대 전반기 사회진화론의 변형과 민족개조론」
    박성진 한국민족운동사 연구 17, 1997 [1920]
  • 「년대 민족주의문학과 민족담론」
    전승주 민족문학사연구 , 24권0호, 2004 [1920]
  • 「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허민 양교어문연구 31, 2011 [1910]
  • 「근대 독일 민속학자들의 민족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실천」, 동아시아 의 근대와 민속학의 창출
    이상현 민속원 [2008]
  • 「구한말 진화론의 수용」, 찰스 다윈
    정용재 민음사 [1988]
  • 「구한말 진화론의 수용과 그 영향」, 한국개화사상연구
    이광린 일조각 [1979]
  • 「계몽 운동 주체의 변화와 ‘청년’의 구상」
    김영민 김효진 사이간SAI 7호 [2009]
  • 「개화기의 국가주의와 년대 민족개조론의 관계 연구」
    김택호 「한국문예비 평연구 13권0호, 2003 [1920]
  • 「개인, 국민, 난민, 사이의 “민족”」
    김항 민족문화련구 58 [2013]
  • 「‘문학지’의 번역」
    구장률 민족문학사연구 47호 [2011]
  • 「1930년대 ‘피’의 담론과 일본어 소설」
    윤대석 우리말 글 51, 2011 [2011]
  •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한국근대문학의 비민족주의적 기원들」
    김동식 비평문학 제45호, 2012 [2012]
  • 林恒靑, 武者小路實篤的新村運動及其對周作人的影響 , 福建師範大學, 碩士論 文, 2001.
  • 林建鋼, 「勒庬思想在中國的傳播及影響」,開放時代, 2009.11.
  • 林建剛, 「勒庬思想在中國的傳播及影響, 開放時代 , 2009.11.
  • 林分紛,「周作人的民間立場及其對新文學的建構」( 南京師範大學文學院學報 , 2007.12.
  • 林傳甲, 中國文學史 , 廣州存眞閣,1914.
  • 李雅娟, 以“人”爲目標的文學政治實踐 , 北京大學 博士論文, 2013.
  • 李澤厚, 中國近代思想史論 , 人民出版社, 1986.
  • 李東木, 「芳賀矢一 國民性十論 與周氏兄弟」, 山東社會科學 , 2013.7
  • 李春梅, 「周作人女性解放思想的獨異性」, 中國現代文學叢刊 , 2013.1.
  • 李春, 「文學飜譯如何進入文學革命」,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 ,2011.1.
  • 李大釗, 「階級競爭與互助」
    每週評論 29호 [1919]
  • 李培艶, 「‘新村主義’與周作人的新文學觀」,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 , 2014.11.
  • 劉師培, 「文章源始」, 國粹學報 1卷1期, 1905.
  • 劉全福, 「發新潮於舊澤」, 內蒙古社會科學 , 2006.3.
  • 黎楊全, 「論廚川白村對周作人文學觀的影響」( 南京師範大學文學院學報 2005.3
  • 梁啓超, 飮氷室合集 6, 中華書局, 1988.
  • 梁啓超, 新民說 , 遼寧人民出版社, 1994.
  • 梁啓超, 新大陸遊記 ,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7.
  • 梁啓勳, 「國民心理與敎育之關係」
    新民叢報 25호 [1903]
  • 盧文婷, 「周作人與顧頡剛」, 江蘇社會科學 , 2014.3.
  • 羅長靑, 「周作人人與文學觀念的特殊接受」, 上海交通大學學報 , 2011.10.
  •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김동식 한국현대문학연구 제 30집 [2010]
  • 한국근대소설의 기원
    권보드래 소명출판 [2000]
  • 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사상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서영채 서울대학 교 박사논문 [2002]
  • 편, 근대 한국과 일본의 민요 창출
    임경화 소명출판 [2005]
  • 춘원과 루쉰의 비교문학 연구
    권학률 인하대학교 박사논문 [2003]
  • 춘운과 루쉰에 관한 비교문학적 연구
    권학률 영락 [2007]
  • 중국청민초무화사상연구
    차태근 북경사범대학교 박사논문 [2003]
  • 정재곤 역, 예술철학
    H. A. Taine 나남 [2013]
  • 저우쭤런 산문에 나타난 문학담론 연구
    고운선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9]
  • 일본에서의 언문일치
    이연숙 역사비평 70집 [2005]
  • 이재형 역, 군중심리
    Gustave Le Bon 문예출판사 [2013]
  • 이재선, 이광수 문학의 지적편력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 이네나가 시부로 역음,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대사상팀 옮김
    근대일 본 사상사 [2006]
  • 이광수전집
    이광수 산중당 [1962]
  •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최주한 인문논총 70 [2013]
  • 이광수의 문학·종교·정치의 연관에 대한 연구
    서희원 동국대학교 박사논 문 [2011]
  • 이광수의 감정론
    김행숙 상허학보 33 [2011]
  • 이광수와 그의 시대
    김윤식 솔출판사 [1999]
  •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연구
    김경민 한국근대문학연구 15 [2007]
  • 와다 토모미, 방민호 역, 이광수 장편 소설연구
    예옥 [2014]
  • 연애의 시대
    권보드래 현실문화연구 [2003]
  • 엘리 최,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다시 읽기」
    문학사상 [2008]
  • 쓰루미 쓘스케, 심원섭 역, 일본 근대 사상사
    구노 오사무 문학과지성사 [1994]
  • 식민지 문학의 윤리 부록
    이광수와 최주한 소명출판 [2014]
  • 세츠코, 최주한 역, 일본 유학생 작가 연구
    하타노 소명출판 [2011]
  • 세츠코, 무정을 읽는다
    하타노 소명출판 [2008]
  • 사회진화론과 국가사상
    전복희 한울 [2010]
  • 사회의 발견
    김현주 소명출판 [2013]
  • 사랑의 문법
    서영채 민음사 [2004]
  • 민중적규호의 제일성인 갑오의 혁신운동
    황의돈 개벽 22호 [1922]
  • 민족 민족주의
    박찬승 소화 [2011]
  • 문학이라는 역어
    황종연 한국어문학연구 32 [1997]
  • 문학
    최원식 소화 [2012]
  • 동아시아의 자국학과 자국문학사 인식
    류준필 명출판사 [2013]
  • 동아시아의 사회진화론 재고
    양일모 한국학연구 17 [2007]
  • 동아시아 초기 근대소설의 민족주의 양상
    노종상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2]
  •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 교류와 연대
    조세현 창비 [2010]
  • 독일 민속학
    김면 민속원 [2012]
  • 년대초 민족개조론 검토」
    김흥국 한국 근현대사 연구 19, 2001 [1920]
  • 낭만적 사랑의 의미론
    김동식 문학과 사회 53 [2001]
  • 나경수, 역, 민중과 민속의 장르
    Elliott Oring 전남대학교출판부 [2004]
  • 김성윤 역, 미학이란 무엇인가
    Nicolai Hartmann 동서문화사 [2012]
  • 근대한국문학연구
    김윤식 일지사 [1973]
  • 국민·인민·시민
    박명규 소화 [2009]
  • 黃開發, 「周作人的文學與功利主義」,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 , 2004.3.
  • 黃科安, 「周作人隨筆創作的獨特思維」, 貴州社會科學 , 2006.1.
  • 黃江蘇, 周作人的文學道路 , 復旦大學 博士論文, 2011.
  • 黃曼君, 中國近百年文學理論批評史 , 湖北敎育出版社, 1996.
  • 黃善明, 「論五四后周作人文藝思想之轉變」, 山東社會科學 ,2000.12.
  • 高娟, 「周作人思想論略」, 山東大學博士論文, 2005.
  • 馮乃超, 「冷靜的頭腦」, 創造月刊 , 1928.8.
  • 馬宏柏∙徐峰, 「文學珍貨的兩種形態」, 徐州師範大學學報 , 2011.11.
  • 韓弘偉, 「新村主義與新村建設的政治緣起與實踐」, 學術論壇 , 2013.10.
  • 陳高原, 「論中國改造民族性的社會思潮」, 近代史學硏究 , 1992.1.
  • 陳懷宇, 「赫尔德與周作人」, 淸華大學學報 2009.9.
  • 陳思和, 「關與周作人的傳記」,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 , 1991.10.
  • 關峰, 周作人的文學世界 , 社會科學出版社, 2011.
  • 閻立飛, 「文學與文章」, 天津社會科學 , 2011.4.
  • 錢理群, 「魯迅、周作人文學觀發展道路比較硏究」, 中國社會科學 , 1984.3.
  • 錢理群, 「試論魯迅與周作人的思想發展道路」,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 , 1981.12.
  • 錢理群, 「試論五四時期‘人的覺醒」, 文學評論 , 1989.6.
  • 錢理群, 「周作人的民俗硏究餘國民性考察」, 北京大學學報 , 1988.5.
  • 錢理群, 周作人硏究二十一講 , 中華書局, 2004.
  • 錢理群, 周作人傳 , 北京十月文藝出版社, 2005.
  • 鄧利, 「試論周作人的文學批評」, 北方論叢 , 2001.9.
  • 郭紹虞, 「文學觀念與其含義之變遷」, 東方雜誌 25卷, 1928.1.
  • 郭建玲∙楊聯芬, 「一種信仰的懷疑」, 海南師範學院學報 , 2004.6.
  • 郭建玲,「一種信仰的懷疑-周作人文學思想的進化色彩」( 海南師範學院學報 , 2004.11
  • 趙泓, 「新村主義在中國的傳播路徑及其影響」, 華南理工大學學報 , 2014.4.
  • 趙冬梅, 「論柳田國男與周作人的鬼怪思想」, 文學敎育 (下), 2014.4
  • 趙京華, 「周作人與柳田國男」, 魯迅硏究月刊 , 2002.9.
  • 賀殿廣, 「論周作人文學思想的現代性」, 文藝爭鳴 , 2011.9.
  • 西周, 「譯利學說」, 西周哲學著作集 , 岩波書店, 1933.
  • 西周, 「美妙學說」, 西周哲學著作集 , 岩波書店, 1933.
  • 西周, 「知說」, 西周哲學著作集 , 岩波書店, 1933.
  • 西周, 「百學連環總論」, 明治文學全集 3, 筑摩書房, 1967.
  • 蘇雪林, 「周作人先生硏究」
    靑年界 6권5호 [1934]
  • 葉振忠, 「魯迅周作人民俗觀之比較」, 中南民族學院學報 . 2001.8.
  • 莊錫華, 「傳統文化與周作人文學思想的重識」, 福建論壇 2005.5.
  • 芝野六助 역, 日本文學史
    William George Aston 大日本圖書株式會社 [1908]
  • 胡雲翼, 新著中國文學史 , 上海北新書局, 1932.
  • 胡有淸, 「二三十年代周作人文學思想論析」, 南京大學學報」, 1997.4.
  • 章太炎, 「文學論略 , 群衆圖書公司, 1925.
  • 福田淸人∙松本武夫, 武者小路實篤 , 淸水書院, 1979.
  • 王立群, 「論周作人的性愛觀」, 湖州師範學院學報 , 2007.12.
  • 王國維, 「文學小言」
    敎育世界 139호 [1906]
  • 王向遠,「周作人文學觀念的形成演變及來自日本的影響」, 魯迅硏究月刊 , 1998.1.
  • 熊開萬, 「周作人在民俗學硏究方法上的貢獻」, 理論界 , 2007.5.
  • 潘光旦 역, 性 心理學
    Henry Havelock Ellis (臺灣) 仙人掌叢刊 [1979]
  • 溫儒敏, 中國現代文學批評史 , 北京大學出版社, 1993.
  • 湯銳, 民國初年的進德活動 , 天津師範大學 碩士論文, 2011.
  • 洪長泰 (美), 董曉萍역, 到民間去: ~1937年的中國知識分子與民間文學運動
    上海文藝出版社. 1993 [1918]
  • 武者小路實篤, 「新しき村に就ての 對話」 武者小路實篤集 , 筑麻書房, 1955.
  • 武者小路實篤, 「ある靑年の 夢」 武者小路實篤集 2, 筑麻書房, 1955.
  • 止庵, 周作人傳 , 山東畵報出版社, 2009.
  • 楊聯芬, 「戀愛之發生與現代文學觀念變遷」, 中國社會科學 , 2014.1.
  • 根岸宗一郞, 「周作人留日期文学論の材源について」, 中国研究月報 583,1996.9.
  • 林森太郞, 日本文學史 ,博文館,1905.
  • 朱舜琴역, 연애와 결혼
    Ellen Key 上海光明書局 [1926]
  • 朱曉江, 「論周作人散文的反抗性特徵及其思想內函 , 文學評論 , 2011.7
  • 朱曉江, 「以虛靈之物爲上古之方舟」, 杭州師範大學學報 , 2010.9.
  • 本間久雄, 章錫琛 역, 新文學槪論
    上海商務印書館 [1926]
  • 施愛東, 中國現代民俗學檢討 ,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0.
  • 戶曉輝, 現代性與民間文學 ,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 成仿吾, 「縱文學革命到革命文學」, 創造月刊 , 1928.2.
  • 徐仲佳, 「思想革命的利器」, 魯迅硏究月刊 , 2009.5.
  • 張雄武 역, 社會靜力學
    Herbert Spencer 商務印書館 [1999]
  • 張競, 임수빈 역, 근대 중국과 연애의 발견
    소나무 [2007]
  • 張法, 「中國文學理論學科發展回望與補遺」, 文藝硏究 , 2006.9.
  • 張公表 역, 민족 진화의 심리학적 법칙
    Gustave Le Bon 商務印書館 [1935]
  • 常峻, 周作人文學思想及創作的民俗文化視野 , 上海書店出版社, 2009.
  • 島村抱月,, 美學槪論 , 抱月全集 제3권
    天佑社 [1920]
  • 島村抱月, 「美學及美術上の硏究」, 抱月全集 제3권
    天佑社 [1920]
  • 島村抱月, 「文學槪論」, 抱月全集 4卷, 天佑社, 1920.
  • 島村抱月, 美學未定稿 , 抱月全集 제3권
    天佑社 [1920]
  • 島村抱月, 新美辭學 , 抱月全集 2卷, 天佑社, 1920.
  • 孫宜學 역, 中國革命中的無政府主義
    Arif Dirlik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6]
  • 孟慶澍, 無政府主義與5∙4新文化 , 河南大學, 2006.
  • 子安加餘子, 近代中國に おける民俗學の 系譜 , 御茶の水書房, 2008.
  • 太田善男, 文學槪論 , 博文館, 1906.
  • 坪內逍遙, 美辭論稿 , 春陽堂, 1927.
  • 哈迎飛, 周作人思想硏究 , 人民文學出版社, 2007.
  • 和田繁二郞, 近代文學創成期硏究 , 櫻楓社, 1974.
  • 周作人論
    조항근 南京大學 博士論文 [1998]
  • 周作人, 知堂回想錄 , (香港)三育圖書文具公司, 1980.
  • 周作人, 歐洲文學史 , 河北敎育出版社, 2002.
  • 周作人, 周作人日記 上, 大象出版社, 1998.
  • 周作人, 周作人全集 ,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9.
  • 兪祖華, 深沈的民族反省 , 山東人民出版社, 1996.
  • 何勇, 「從功利到審美」, 魯迅硏究月刊 , 2001.9.
  • 丘淺次郞, 劉文典역, 進化論講話
    上海亞東圖書館 [1927]
  • 丘淺次郞, 進化論講話 增補, 東京, 開成館,1914.
  • 三上參次, 高津鍬三郞, 日本文學史 , 金港堂本店, 1890.
  • Thomas Henry Huxley],이중민 역
    진화와 윤리 [2012]
  • Rousseau,정봉구 역, 에밀 상
    범우사 [2003]
  • Kropotkin, 하기락 역, 상호부조론
    영설출판사 [1994]
  • Kropotkin, 백용식 역, 아나키즘
    도서출판 개신 [2009]
  • Kropotkin, 문석우, 역, 러시아문학의 이상과 현실
    작가와 비평 [2011]
  • Kropotkin, 김유곤 역, 한 혁명가의 자서전
    우물이 있는 집 [2009]
  • Johann Gottfried von Herder, 안성찬 역, 인류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역사철 학
    한길사 [2011]
  • Hunt, 傳東華 역, 문학론
    商務印書館 [1935]
  • Herbert Spencer, Social Statics , London, Chapman, 1851.
  • Haeckel, lankester역, The History of Creation VI, New York, D
    Appleton reprinted, 1892
  • H. A. Tain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 Henry holt and company, New York, 1886.
  • Gustave Le Bon, 民族發展の心理 , 大日本文明協會, 1910.
  • Gustave Le Bon, The Psychology of Peoples, arno press A New York Times Company, 1974.
  • Ernst Heinrich Haeckel,上海外國自然科學哲學著作編譯組, 宇宙之謎 , 上海人 民出版社, 1974.
  • Darwin, Charles, 송철용 역, 종의 기원
    동서문화사 [2013]
  • Coser, 신용하 박명규 역, 사회사상사
    Lewis A. 일지사 [1981]
  • C.T.Winchester, Some Principles of Literature Criticism ,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899.
  • Bakunin, 국가주의와 아니키 , 馬驤聰 등 역
    商務印書館 [1981]
  • 1910년대 '개인', '민족'의 구성과 감정의 정치학
    김현주 현대문학의 연구 22호, 200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