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추출방법 및 LED 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 연구

길현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추출방법 및 LED 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발광다이오드
  • 생리활성
  • 용매 추출
  • 참당귀
  • 초음파 추출
  • 초임계 추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4 0

0.0%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추출방법 및 LED 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 연구' 의 참고문헌

  • 허브의 항산화물질 최적 추출조건 확립과 추출성분의 패턴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창용 고려대학교 [2009]
  • 추출방법에 따른 유자 과피의 휘발성 성분 특성. 석사학위논문
    김은아 아주대학교 [2003]
  • 지황 기내식물체의 생장 및 catapol 함량에 미치는 LED광질효과
    안병용 정재훈 한국식물생명공학회 발표회 217 [2012]
  • 조직배양에 의한 심비디움과 덴드오비움 식물체 생육에 미치는LED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선기 전북대학교 [2013]
  • 일부곡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산화 성분. 석사학위논문
    최용민 충북대학교 [2004]
  •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광량, 광질 및 시비농도의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현정 서울시립대학교 [2014]
  •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기능/지표성분 시험법 지침서
    고시 제11-1470000-001527-14호
  • 식물공장에서 LED 광처리에 따른 고부가 가치 작물의 생육 및생리생태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경미 공주대학교 [2013]
  • 수질추출물로부터 미백활성 물질의 탐색 및 기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은아 경남대학교 [2012]
  • 서양민들에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nitric oxide생성저해효과
    민경천 주진우 한국식품과학회지 45(2):206-212 [2013]
  • 생약 한약 기능식품 통섭사전
    박종철 푸른행복 [2011]
  • 산채류의 항산화활성 평가 및 섬쑥부쟁이, 서덜취의 항산화성분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상욱 계명대학교 [2014]
  •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
    강명주 고민석 이혜정 동아시아식생화학회지 22(6):812-817 [2012]
  • 백련추출물 및 화장품에 첨가 시 생리활성 비교
    안본정 유미라 이진영 생명과학회지 20(8):1241-1248 [2010]
  • 당귀의 휘발성분의 향균효과에 관한 연구
    민경아 서기림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3:191-199 [1996]
  • 당귀의 이화학적 특성과 당귀를 첨가한 떡의 품질특성. 박사학위논문
    이진숙 세종대학교 [2009]
  • 당귀의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억제 및 그 기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박영식 강원대학교 [2009]
  • 당귀의 감별 및 항산화 효능. 박사학위논문
    서영남 조선대학교 [2004]
  • 당귀보혈탕의 항염효과. 석사학위논문
    전종열 경희대학교 [2015]
  • 당귀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동영 순천대학교 [2004]
  • 당귀로부터 식물성 에스트로겐 활성 탐색 및 동정. 석사학위논문
    이지연 한양대학교 [2012]
  • 당귀 추출물의 데커신의 피부노화억제효능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유미애 아주대학교 [2011]
  • 당귀 정유를 이용한 국산 한방향수 개발연구. 석사학위논문
    노인호 중앙대학교 [2013]
  • 당귀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 특성. 석사학위논문
    이장미 명지대학교 [2013]
  • 당귀 구절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에스트로겐 생리활성 효과. 박사학위논문
    강수연 대전대학교 [2014]
  • 녹차초임계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윤미 남부대학교 [2014]
  • 노각나무 잎의 식물화학적 성분 및 미백활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노현정 성균관대학교 [2015]
  • 꾸찌뽕 잎으로부터 항산화 및 미백활성 물질의 분리 및 기전 규명. 석사학위논문
    강용경 경남대학교 [2012]
  • 국화 조직배양 시 LED 광의 종류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명원 공주대학교 [2006]
  • 광학과 기술 : 식물공장과 LED 인공광 이용한 식물재배
    이상우 14(3):14 [2010]
  •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영양요인
    김성원 정순돌 한국노년학32(2):276 [2012]
  • 건자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 석사학위논문
    손효정 중앙대학교 [2013]
  • Yosida Y, N Ito, . Shimakawa, E Niki. 2003. Susceptibility of plasma lipids toperoxidation.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asearch Communications305:474-753.
  • Xing Q, Kadota S, Tadata T, Namba T. 1996. Antioxidative effect ofphenylethanoids from Cistanche deserticola. Biol. Pharm. Bull. 19:1580-1585.
  • Steinberg D. 1991. Antioxidants and atherosclerosis. A current assessmentCirculation 84:1420-1425.
  • Seo S., Shama VK, Sharma N. 2003. Mushroom tyrosinase : recent prospects. J. Agri Food Chem 51:2837-2853.
  •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Radical Biology&Medicine 26(9/10):1231-1237.
  • Poon HF, V Calabrese. G, Scapabnini DA. Butterfield. 2004. Free radicals : Key tobrainaging and hemeoxygenasease cellular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Journals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 59:478-493.
  • Polovka M, Brezova V, Stasko A. 2003. Antioxidant properties of tea investigatedby EPR spectroscopy. Biophysic Chem. 106: 39-56.
  • Oh SL, Kim SS, Min B.,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 free amino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nensis M, A. acutiloba K., C.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G. Korean J. Food Sci Technol. 22:76-81.
  • Odhard N, Ramadan ., Soliman K, Snait T, Jacob A. 2004. Chalcones as potenttyrosinase inhibitors : the effects of hydroxyl positions and numbers. Phytochemistru. 65:1389-1395.
  • McCord JM. 1987. Oxygen derived radicals: a link between reperfusion injury andinflammation. Federation Proceeding 46:2402-2406.
  • Mason TJ, Paniwnyl L, Lorimer JP. 1996. The uses of ultra sound in foodtechnology. Ultrason Sonochem. 3:S253-S260.
  • Li H, Pordesimo L, Weiss J. 2004. High intensity ultra sound-assited extraction ofoil from soybeans. Food Res. Int.37:731-738.
  • LED 단파장 조건에 따른 참당귀 생장 및 데쿠신함량
    김성진 김홍주 박종석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 32:90 [2014]
  • LED 광질에 따른 고추와 상추 묘의 생육특성.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작목시험장 시험보고서(특
    이향녀 약작편). 1998 [2012]
  • LED 광을 이용한 튤립 수경재배에서 배약액 농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미자 서울시립대학교 [2013]
  • Kim WS, Park SH, Ahn SJ, Kim HK, Park JS, Lee GY, Kim K., Whang KK, KangSH, Park BS, Sung JH. 2008. Whitening effects of apipose-derived stem cells : Acritical role of TGF-β-1. Biol. Pharm Bull 31:606-610.
  • Kang MJ, Ahn HY, Heo SK, Lee JH, Kim YR, Cho YS. 2011. Biological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by mold. Korean J. Biotech. Bioengin. Poster 203.
  • Hwang JB, Yang MO, 1997. Comparison of chemical components of Angelica gigasNakai and Angelica actutiloba Kitagaw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1113-1118.
  • Hileman EO, J Liu, Albitar, MJ Keating, P Huang. 2004. Intrinsic oxidative stress incancer cells: a biochemical basis for therapeutics electivity. CancerChemotheraphy and Pharmacology 53:209-219.
  • Heo JW, CW Lee, HN Murthy, KY Paek. 2003 Influence of light quality andphotoperiod on flowering of Cyclamen perisicum Mill. cv. 'Dixie White'. PlantGrowth Regul.40:7-10.
  • Hamilton RJ, C Kalu, E Orisk, FB Padely, H Pierce. 1997. Chemistary of freeradicals in ilipids. Foodchemistry 60:193-199.
  • Halli well B. 1987. Oxidant and human disease: some new concept. FASEB Journal1(5) :358-364.
  • De Xwatt LL, JH Meerman, JN Commandeur, NP Vermeulen. 1999. Biomarkers offree radical damage applications in experimental animals and in human. Freeradical Biology & Medicine 26:202-226.
  • Chung MG, Hwang YS, Kim GP, Shim HS, Hong SB, Choi JH, Chung YY, ChungIN, Kim SH, Lim JD. 2013. Antimelaninogetic effect of whitning of anthocyanineich fraction from seed of Liriope platyhpyll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361-371.
  • Chemat S, Lagha A, Amar ., Bartels PV, Chemat F. 2004. Comparison ofconventional and ultra sound-assisted extraction of carvone and limonene fromcaraway seeds. Flavour Frag J. 19:188-195.
  • Cha EJ, Kim AK. 2003. The effects of two plan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rch. Pharm. Res. 47:20-24.
  • Beckman KB, BN Ames. 1997. Oxidative decay of DNA. Journal of BiologicalChemistry 272:19633-19636.
  • Anderson JW. 1985. Health implication of wheat fiber. Am. J. Clin. Nutr. 41:1103-1112.
  •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