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식민지시기 근대소설과 도시공간 : 이광수 ·염상섭의 장편소설에서 경성을 중심으로 = Urban Space in Korean Novel : Especially on Colonial City Gyeongseong in Lee Gwang Su and Yeom Sang Seobs Novels

유인혁 2015년
' 식민지시기 근대소설과 도시공간 : 이광수 ·염상섭의 장편소설에서 경성을 중심으로 = Urban Space in Korean Novel : Especially on Colonial City Gyeongseong in Lee Gwang Su and Yeom Sang Seobs Novel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성
  • 공간
  • 공간적 문법
  • 도시
  • 도시 읽기
  • 도시공간
  • 문학의 지도
  • 사회적 공간
  • 시각화
  • 식민지 도시
  • 염상섭
  • 이광수
  • 이중도시
  • 장편소설
  • 전체성
  • 지도 그리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93 0

0.0%

' 식민지시기 근대소설과 도시공간 : 이광수 ·염상섭의 장편소설에서 경성을 중심으로 = Urban Space in Korean Novel : Especially on Colonial City Gyeongseong in Lee Gwang Su and Yeom Sang Seobs Novels' 의 참고문헌

  •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1950􋺸
    송하춘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1917]
  • 􋺷한국현대문학사􋺸1
    권영민 민음사 [2002]
  •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민음사 [1998]
  • 􋺷한국 현대도시소설과 비교문학􋺸
    전혜자 새미 [2005]
  • 􋺷한국 주거의 사회사􋺸
    전남일 돌베개 [2008]
  • 􋺷한국 주거의 공간사􋺸
    전남일 돌베게 [2010]
  •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강영환 기문당 [2013]
  •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문화􋺸
    이성욱 문화과학사 [2004]
  • 􋺷지배와 공간􋺸
    김백영 문학과지성사 [2009]
  • 􋺷조선건축사􋺸1
    리화선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9]
  • 􋺷조선 속 일본인의 에로경성 조감도􋺸 공간편
  • 􋺷일제시대 빈민생활사 연구􋺸
    강만길 창작사 [1987]
  •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 연구􋺸
    손정목 일지사 [1996]
  •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손정목 일지사 [1996]
  •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손정목 일지사 [1990]
  • 􋺷이광수와 그의 시대􋺸 2
    김윤식 [1999]
  • 􋺷이광수 전집􋺸 1~20
    이광수 삼중당 [1962]
  • 􋺷온돌의 근대사􋺸
    권석영 일조각 [2010]
  • 􋺷염상섭 전집􋺸 1~10
    염상섭 민음사 [1987]
  • 􋺷염상섭 문장전집􋺸 1
    이혜령 한기형 소명출판 [2013]
  • 􋺷아첨의 영웅주의􋺸
    서영채 소명출판 [2011]
  • 􋺷서울은 어떻게 계획 되었는가􋺸
    염복규 살림 [2005]
  •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김진송 현실문화연구 [1999]
  • 􋺷서울 중인 작가와 근대소설의 양식 연구􋺸
    유영윤 박이정 [1998]
  • 􋺷삼대􋺸
    염상섭 문학과지성사 [2004]
  • 􋺷사유하는 구조􋺸
    김수환 문학과지성사 [2011]
  • 􋺷사랑의 문법􋺸
    서영채 민음사 [2004]
  • 􋺷불연속선􋺸
    염상섭 프레스21 [1997]
  •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中
    김태준 논형 [2005]
  • 􋺷무화과􋺸
    염상섭 동아출판사 [1995]
  • 􋺷도시지리학􋺸
    홍경희 법문사 [1981]
  • 􋺷도시이론과 프랑스 도시사 연구􋺸
    민유기 심산 [2007]
  • 􋺷덕수궁􋺸
    김순일 대원사 [1991]
  • 􋺷난세의 문학􋺸
    이보영 예림기획 [2001]
  • 􋺷김동인전집􋺸 16
    김동인 조선일보사 [1988]
  •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이진경 그린비 [2007]
  • 􋺷근대소설의 도시공간􋺸
    김용희 한신대학교출판부 [2005]
  • 􋺷광분􋺸
    염상섭 프레스21 [1996]
  • 􋺷공간과 이동성, 이동성의 연결망 :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연관시켜􋺸
    장세용 􋺷역사와 경계􋺸 84호 [2012]
  • 􋺷朝鮮王朝實錄􋺸
  • 􋺷 한성부 지적도􋺸
    김종근 양보경 서울역사박물관, 2015 [1908]
  • �朝鮮總督府官報􋺸
  • �朝鮮及滿洲�
  • �朝鮮公論�
  • �朝鮮と建築�
  • �同胞愛􋺸
  • 「􋺷삼대􋺸에 나타난 자본의 문제」, 􋺷비평문학􋺸 43호
    이명진 한국비평문학회 [2012]
  • 「􋺷무정􋺸과 낭만적 자아」, 􋺷한국문학연구􋺸 23호
    이철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0]
  • 「휴양지의 풍경」, 􋺷한국문학연구􋺸 44호
    허병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 「최명익론—승차 모티프를 중심으로」, 􋺷외국문학􋺸 44호
    장수익 열음사 [1995]
  • 「청량리 또는 ‘교외’와 ‘변두리’의 심상공간 : 한국 근대문학이 재현한 동대문 밖 과 청량리 근처」, 􋺷서울학연구􋺸 36호
    정선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9]
  • 「조선총독부 청사」, 􋺷건축􋺸 35권 2호
    장기인 대한건축학회 [1991]
  • 「조선총독부 청사 및 경성부청사 건립에 대한 연구」, 􋺷향토서울􋺸 48호
    손정목 서울특 별시사편찬위원회 [1989]
  • 「조선박람회와 식민지 근대」, 􋺷동방학지􋺸 140권
    김영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 「전원도시로 가는길? - 식민지시기 경성 ‘남산주회도로’의 부설 과정과 의미」, 􋺷도시연구 : 역사․사회․문화􋺸 13호
    염복규 도시사학회 [2015]
  • 「저개발의 멜로, 저개발의 숭고」, 􋺷상허학보􋺸 37집
    권보드래 상허학회 [2007]
  •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의식과 ‘경성’ 표상」, 􋺷상허학보􋺸 29호
    박광현 상허학 회 [2010]
  • 「재조일본인 2세의 식민지 경험」, 􋺷한국민족문화􋺸 50호
    이수열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 화연구소 [2014]
  • 「일제하 ‘개량 농법’의 이식과 농촌의 양극화」, 􋺷사회와 역사􋺸 68호
    우대형 한국사회사 학회 [2005]
  • 박사
  •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대한건축학회논문 집􋺸 217호
    강상훈 대한건축학회 [2006]
  • 「일제강점기 ‘조선귀족’ 수작 경위와 수작자 행태」,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43 호
    이용창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2012]
  • 「이광수 소설 연구: 애정 삼각 관계의 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최주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왕조 수도로부터 식민도시로」, 􋺷한국학보􋺸 29권 3호
    김백영 일지사 [2003]
  • 「염상섭의 자리, 프로문학 밖, 대항제국주의 안」, 􋺷상허학보􋺸 38집
    이종호 상허학회 [2013]
  • 「염상섭소설의 도시성 연구」, 􋺷우리말글􋺸 10호
    이강언 우리말글학회 [1992]
  • 「염상섭 􋺷이심􋺸 다시 읽기 : 도시공간에서의 매춘 문제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 42호
    홍덕구 상허학회 [2014]
  •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구조의 건축과 식민지 도시의 이중성 -􋺷 광분􋺸, 􋺷삼대􋺸, 􋺷무화과􋺸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 62집
    박광현 유인혁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4]
  • 「염상섭 문학과 공간의 문화정치」, 􋺷국제어문􋺸 58집
    오창은 국제어문학회 [2013]
  • 「신 없는 자연」, 􋺷상허학보􋺸 36집
    황종연 상허학회 [2012]
  • 「식민지시기 염상섭 장편소설의 총체적 도시재현」, 􋺷인문논총􋺸 71권 3호
    유인혁 서울 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 「식민지도시 ‘경성’과 ‘모던서울’의 표상」, 􋺷한국문학연구􋺸38호
    김춘식 동국대학교 한국 문학연구소 [2010]
  • 「식민지 경성, 그 상실된 장소의 소설적 재현」, 􋺷한국문예비평연구􋺸 41권
    유승미 한국 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 「식민자는 말해질 수 있는가 - 염상섭 소설 속 식민자의 환유들」, 􋺷대동문화연 구􋺸 78호
    이혜령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 「식민도시의 상징과 잔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7집
    조은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학회 [2012]
  •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 48호
    김종근 서울시 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 「서울의 근대 도시계획 형성과정 분석」, 􋺷서울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 표논문집􋺸
    임도빈 차세영 서울행정학회 [2010]
  • 「서사공간으로서의 ‘문화주택’ 연구」
    정창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사랑의 정치학과 죄의 윤리학」, 􋺷한국문학연구􋺸 31집
    허병식 한국문학연구소 [2006]
  • 「대한제국 초기 한성부 도시개조사업과 그 의의」, 􋺷향토서울􋺸 59호
    한철호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 「노블과 식민지-염상섭 소설의 통속과 반통속」, 􋺷대동문화연구􋺸 82호
    한기형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서강인문논총􋺸 27집
    정재림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 「근대소설 연구방법의 한 경향」, 􋺷비평문학􋺸 27호
    김종수 한국비평문학회 [2007]
  • 「근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장르믹스의 변모양상 : 염상섭의 「사랑과 죄」와 김말 봉의 「찔레꽃」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7호
    오혜진 우리문학회 [2009]
  • 「경성지리지, 이중언어의 장소론」, 􋺷대동문화연구􋺸 51호
    황호덕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 연구원 [2005]
  •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국어국문학􋺸 144호
    윤대석 국어국문학회 [2006]
  • 「경성부 남대문통과 태평통의 이층한옥상가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30호
    조은주 서울학연구소 [2008]
  • 「경성 배경 아편 서사의 인물과 공간표상」, 􋺷서울학연구􋺸 53호
    박장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3]
  • 「경성 모더니즘 연구」
    권은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경성 동부 문화주택지 개발의 성격과 의미」, 􋺷서울학연구􋺸 37호
    이경아 서울시립대학 교 서울학연구소 [2009]
  • 「日帝下京城地域카페의 都市文化的特性」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大京城精圖」, 年, 1:6,000, 54.2 78
    7cm, 서13639 [1936]
  • 「京城府管內圖」, 年代, 1:25,000, 154.5 80
    0cm, 서3155 [1930]
  • 「京城府管內圖」, 年, 1:15,000, 78.55 54
    8cm, 서13645 [1927]
  • 「京城府明細新地圖」, 年, 1:10,000, 109.5 80
    0cm, 서11440 [1914]
  • 「京城市街圖」, 年, 1:7,500, 99.0 98
    4cm, 서267 [1933]
  • 「京城市街圖」, 年, 1:7,500, 100.0 95
    8cm, 서253 [1927]
  • 「KEIJO 京城圖」, 年代後半, 38.0 52
    6cm, 서884 [1910]
  • 「18세기 서울의 주거문제와 도시확장책」
    이신우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15~16세기 한성부의 주택문제와 정부의 대응」, 􋺷사학연구􋺸 94호
    유승희 한국사학회 [2009]
  • 李孝德, 박성관 옮김,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2002]
  • 현대한국소설사
    이재선 민음사 [2002]
  • 함께 서울 지도(gis
    seoul.go.kr)
  • 한일비교문화세미나 옮김
    나리타 유이치 􋺷고향이라는 이야기-도시공간의 역사학􋺸, 동
  • 한국현대소설사
    이재선 홍성사 [1979]
  • 한국사 : 메이지 일본의 한국 침략사
    이태진 태학사 [2005]
  • 하시야 히로시, 김제정 옮김,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 [2005]
  • 프레드릭 제임슨, 조성훈 옮김, 􋺷지정학적 미학􋺸
    현대미학사 [2007]
  • 프랑코 모레티, 조형준 옮김, 􋺷공포의 변증법􋺸
    새물결 [2014]
  • 푸코,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미셸 나남 [2003]
  • 츠베탕 토도로프, 신동욱 옮김, 􋺷산문의 시학􋺸
    문예출판사 [1992]
  • 즈네뜨, 권택영 옮김, 􋺷서사담론􋺸
    제라르 교보문고 [1992]
  •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http://sillok
    history.go.kr/)
  • 일제하 서울의 근대적 대중교통수단
    김영근 􋺷한국학보􋺸 26권 1호 [2000]
  • 일본궁내청소장 창덕궁 사진첩
    문화재청 문화재청창덕궁관리소 [2006]
  • 이 푸 투안, 이옥진 옮김, 􋺷토포필리아􋺸
    에코리브르 [2011]
  • 이 푸 투안, 심승희 외,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 유리 로트만, 유재천 옮김, 􋺷문화기호학􋺸
    문예출판사 [1998]
  • 와카바야시 미키오, 정선태 옮김,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 와다 토모미, 방민호 옮김, 􋺷이광수 장편소설 연구􋺸
    예옥 [2014]
  • 옮김, 􋺷카북 자동차 대백과 사전􋺸
    신동헌 자일스 채프먼 사이언스북스 [2013]
  • 옮김, 􋺷실천이성􋺸
  • 옮김, 􋺷속도와 정치􋺸
    비릴리오 이재원 그린비 [2004]
  • 옮김, 􋺷근대 도시공간의 문화경험􋺸
    나리타 서민교 유이치 뿌리와 이파리 [2011]
  •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김경수 일조각 [2008]
  • 염상섭 장편소설 연구
    김경수 일조각 [1999]
  • 염상섭 연구
    김윤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염상섭 소설의 내적 형식과 탈식민성
    장두영 태학사 [2013]
  • 에벤에저 하워드, 권원용․조재성 옮김, 􋺷내일의 전원도시􋺸
    한울아카데미 [2006]
  • 에드워드 사이드, 박흥규 옮김,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1]
  • 앙리 르페브르, 양영란 옮김,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옮김, 􋺷시학􋺸
    문예출판사 [2000]
  • 슈뢰르, 정인모 배정희 옮김, 􋺷공간, 장소, 경계􋺸
    마르쿠스 에코리브르 [2010]
  • 세츠코, 최주한 옮김, 􋺷􋺷무정􋺸을 읽는다􋺸
    하타노 소명출판 [2008]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통계자료집􋺸 일제강점기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9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교통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2천년사􋺸 25권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5]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사진으로 보는 서울2 -일제 침략 아래서의 서울 ~1945)􋺸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1910]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사진으로 보는 서울1 -개항 이후 서울의 근대화와 그 시련 (187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1910]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국역 경성부사􋺸 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4]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국역 경성부사􋺸 2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2]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구지􋺸 上
    종로구 [1994]
  • 서울역사박물관, 􋺷정동 􋺸
    서울역사박물관 전시과, 2012 [1900]
  • 서울대학교 고전간행회 편, 􋺷日省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 서울 남촌지역 가로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최동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블라디미르 프로프, 유영대 옮김, 􋺷민담형태론􋺸
    새문사 [2007]
  • 벤담, 신건수 옮김, 􋺷파놉티콘􋺸
    제러미 책세상 [2007]
  • 베네딕트 앤더슨, 윤형숙 옮김,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2]
  • 버드 비숍, 이인화 옮김,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이사벨라 살림 [1996]
  • 발터 벤야민, 황현산 옮김, 「보들레르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
    􋺷세계의 문학􋺸 년 가을 [1986]
  • 발터 벤야민, 조형준 옮김, 􋺷아케이드 프로젝트􋺸 1․2
    새물결 [2005]
  • 발터 벤야민, 반성완 편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96]
  • 바흐찐, 전승희 옮김,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미하일 창작과 비평사 [1998]
  • 바우만, 문성원 옮김, 􋺷자유􋺸
    지그문트 이후 [2002]
  • 문화콘텐츠닷컴(www
    culturecontent.com)
  • 르코르뷔지에, 정성현 옮김, 􋺷도시계획􋺸
    동녘 [2003]
  • 루이 알뛰세, 이진수 옮김, 􋺷레닌과 철학􋺸
    백의 [1997]
  • 레이먼드 윌리엄스, 이현석 옮김, 􋺷시골과 도시􋺸
    나남 [2013]
  • 데이비드 하비, 최병두 옮김, 􋺷사회정의와 도시􋺸
    종로서적 [1983]
  • 데이비드 하비, 초의수 옮김, 􋺷도시의 정치경제학􋺸
    한울 [1996]
  • 데이비드 하비, 김병화 옮김,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생각의 나무 [2005]
  • 김경준 옮김, 􋺷공간 시간 건축􋺸
    Sigfried Giedion 시공문화사 [1999]
  • 경운궁의 양관들
    우동선 􋺷서울학연구􋺸 40호, 서울학연구소 [2010]
  • 경성의 도시화가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 소설에 미친 영향
    최혜실 􋺷서울학연구􋺸 9 호, 서울학연구소 [1998]
  • 경성상업회의소, 􋺷경성상업회의소통계연보􋺸 ~1930
    경성상업회의소 [1928]
  • 게오르그 짐멜, 김덕영 외 옮김,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 게오르그 루카치, 반성완 옮김
    􋺷소설의 이론􋺸 [1985]
  • 가토 히사타케 외, 이신철 옮김, 􋺷헤겔사전􋺸
    도서출판b [2009]
  • 川合新一郞編, 􋺷(京城府壹筆每)地形明細圖􋺸, 朝鮮都市地形圖刊行會, 1929.
  • 小田省吾, 􋺷德壽宮史􋺸, 李王職, 1943.
  • 安鍾和, 􋺷(初等)大韓地誌􋺸, 鑛學書鋪, 1907.
  • 刊寫者未詳, 􋺷韓國風俗人物史跡名勝寫眞帖􋺸, 刊寫地未詳, 刊寫年未詳.
  • 京城帝國大學衛生調査部, 􋺷土幕民の生活․衛生􋺸, 岩波書店, 1942.
  • 『염상섭문학론』
    이보영 금문서적 [2003]
  • 「한국 도시소설 연구」
    오창은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박사
  • Wendy R. McClure, Tom J. Bartuska, The Built Environment, John Wiley&sons, 2007.
  • Tim Cresswell, "Towards a politics of mo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olume28, 2010.
  • Robert. T. Tally, "Jameson's Project of Cognitive Mapping," in Rolland G. Paulston, ed., Social Cartography: Mapping Ways of Seeing Educational and Social Change, Garland, 1996.
  • Robert T. Tally, Spatiality, Routledge, 2013
  • Robert Lehan, The City i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 Markus, 􋺷권력과 건축공간􋺸
    Thomas A. 시공문화사 [2006]
  • Marilyn Ivy, Discourse of the Vanish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 Maeda Ai, James A.Fujii, Text and the City, Duke University Press, 2004.
  • Mackinder, 이병희 옮김,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Halford J. 공주대학교 출판부 [2004]
  •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59.
  • Fredric Jameson,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niversity Press, 1991.
  • Franco Moretti, Graphs, Maps, Trees, Verso, 2005.
  • Franco Moretti, Atlas of the European Novel 1800-1900, Verso, 1998.
  • Ernst Bloch, "Nonsynchronism and the Obligation to its Dialectics", New German Critique, No.11, 1977.
  • Armin von Ungern-Sternberg, "Dots, Lines, Areas and Words : Mapping Literature and Narration", Cartography and Art, Springer, 2009.
  • 1930년대 후반기 도시소설 연구
    나병철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 소설연구
    최혜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1930년대 한국 도시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
    방경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1930년대 농촌계몽소설에 나타난 농촌의 의미
    차성연 􋺷한국문학논총􋺸 57집, 한국문 학회 [2011]
  • 1930년대 경성의 전차체험과 박태원 소설의 전차 모티프
    노승욱 􋺷인문콘텐츠21􋺸, 인 문콘텐츠학회 [2011]
  • 1930年代都市小說硏究
    한성봉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1920년대 문학과 염상섭
    박상준 역락 [2000]
  • 1920~30년대 서울 도심 상업가로변의 한옥에 관한 연구
    조은주 서울시립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5]
  • 1910년대 과학 기술의 표상과 근대소설
    김주리 􋺷한국현대문학연구􋺸 37집, 한국현대 문학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