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하승철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하승철
    • 기타서명 Archaeological Study of Sogaya
    • 형태사항 27 cm: 삽도: 225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조영제
    • 학위논문사항 사학과 고고학, 학위논문(박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8
    • 발행지 진주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경상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소가야
    유사주제 논문( 10)
'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소가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 0

0.0%

'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의 참고문헌

  • 柳澤一男, 2001, 「全南地方の榮山江型橫穴式石室の系譜と前方後圓墳」,『朝鮮學報』179輯, 朝 鮮學會: 113-156.
  •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 墳丘墓
    이택구 『한국고고학보』66, 한국고대학회: 48-89 [2008]
  •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권오영 『百濟硏究』第36輯,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25-48 [2002]
  • 조선총독부
    『朝鮮古蹟圖譜』第三冊 [1916]
  •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곽장근 『호남동부지역의 가야와 백제』, 제18회 호남고고학회 학술대회: 93 [2010]
  •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이한상 서경문화사 [2009]
  •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김낙중 학연문화사 [2009]
  • 국립진주박물관, , 『固城 栗垈里 2號墳』
    國立晋州博物館 [1990]
  •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갑옷과 투구
    김영민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특별전 기념 학술대회, 전남대학교박물관 [2011]
  • 가야지역 왜계고분의 피장자와 임나일본부
    이주헌(Lee, Ju-Heun) 『지역과 역사』, 제35호, 부경 역사연구소: 189 [2014]
  • 酒井淸治, 1993, 「韓國出土の須惠器類似品」,『古文化談叢』30, 九州古文化硏究會.
  • 藤田憲司, 2012, 「光陽 龍江里 石停 遺蹟出土の土師器について」,『光陽 龍江里 石停遺蹟』.
  • 田中俊明, 1990, 「于勒十二曲と大加耶聯盟」,『東洋史硏究』48-4,京都大文學部.
  • 森浩一編, 1986, 「前方後圓墳の世紀-開發と土木技術-」,『日本の古代』5.
  • 木下 亘, , 「韓半島 出土 須惠器(系) 토기에 대하여」,『백제연구』37집
    충남대학교 백 제연구소: 21-36 [2003]
  • 新增東國輿地勝覽
  • 山本孝文, , 「伽耶地域 橫穴式石室의 出現背景」
    『百濟硏究』34 [2001]
  • 小田富土雄, , 「5世紀代 北部九州의 古墳文化-특히 橫穴式石室의 導入과 그 背景-」『5 세기대 일본열도의 고분문화』
    (재)대동문화재연구원 제1회 초청강연회 [2008]
  • 定森秀夫, 吉井秀夫, 內田好昭, , 「韓國慶尙南道晋州 水精峰 2號墳․玉峰7號墳出土遺物-東京博 物館 總合資料館 建築史部門所藏資料의 紹介-」
    『伽倻通信』第19․20合輯 [1990]
  • 定森秀夫, 1983, 「韓國慶尙南道泗川․固城地域出土陶質土器について」, 『角田文衛博士古稀記念 古代學論叢』.
  • 安羅國史
    남재우 혜안 [2003]
  • 大加耶土器의 擴散과 관계망
    『韓國考古學報』49, 한국고고학회 [2003]
  • 土生田純之, , 「韓․日 前方後圓墳의 比較檢討 - 石室構造와 葬送儀禮를 중심으로 -」,『韓 國의 前方後圓墳』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0]
  • 和田晴吾, 2009, 「古墳時代の年代決定法をめぐって」,『日韓における古墳三國時代の年代觀Ⅲ』, 福岡, 國立歷史民俗博物館.
  • 吉井秀夫, ,「횡혈계 묘제를 통해서 본 6세기의 가야와 주변제국」, 『6世紀代 加耶와 周邊諸國』, 제14회 가야사국제학술회의
    김해시: 141-166 [2008]
  • 古城史雄, 2003, 有名海沿岸の橫穴式石室と韓半島の橫穴式石室」,『熊本古墳硏究』1.
  • 三國遺事
  • 三國時代 墳丘墓硏究
    강인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 三國史記
  • 『金海 餘來里遺蹟』
    우리문화재연구원 [2009]
  • 『광양 도월리유적 Ⅱ』
    전남문화재연구원 [2010]
  • 『고흥 장덕리 장동유적』
    이영철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2011]
  • 『馬山縣洞遺蹟』
    창원대학교박물관 [1990]
  • 『雨水里小加耶墓群』
    경남고고학연구소 [1999]
  • 『統營 藍坪里遺蹟』
    동서문물연구원 [2009]
  • 『晋州加佐洞古墳群』
    경상대학교박물관 [1989]
  • 『晋州 二峴洞遺蹟』
    삼강문화재연구원 [2012]
  • 『新羅後期 古墳文化 硏究』
    춘추각 [2002]
  • 『新羅國家形成史硏究』
    이종욱 一潮閣 [1982]
  • 『我邦彊域考』
    (정약용)
  • 『慶州月城路古墳群』
    국립경주박물관․경주시 [1990]
  • 『山淸郡 文化遺蹟 精密地表調査 報告書』
    부산여자대학교박물관 [1993]
  • 『山淸 明洞遺蹟Ⅰ․Ⅱ』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4]
  • 『山淸 中村里 古墳群』
    신라대학교박물관 [2004]
  • 『固城 蓮塘里古墳群』
  • 『固城 松鶴洞古墳群』
    동아대학교박물관 [2005]
  • 『固城 內山里古墳群 Ⅰ』
    국립가야(창원)문화재연구소 [2002]
  • 『咸安 梧谷里遺蹟Ⅰ,Ⅱ』
    경남문화재연구원 [2007]
  • 『南原月山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
    전영래 圓光大學校馬韓․百濟文化硏究所 [1983]
  • 『加耶의 地域聯盟史 硏究』
    백승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9 [1995]
  • 『加耶諸國聯盟의 成立과 變遷』
    김태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19 [1992]
  • 『加耶土器 樣式 硏究』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嶺南地域 橫口式․橫穴式石室墳의 型式分類와 編年」
    홍보식 『嶺南考古學』12, 嶺南考古 學會 [1993]
  • 「歷史的으로 본 小加耶의 政治體」
    『묘제와 출토유물로 본 소가야』, 국립 창원문화재연구소:101-105 [2000]
  • 「한반도 남부지역의 왜계 요소-기원후 3~6세기대를 중심으로-」
    『한국고 대사연구』44 [2006]
  • 「포상팔국전쟁의 원인과 성격-김해지역 정치세력의 성쇠와 교역-」
    허재혁 『加耶의 海上勢力』, 제11회 가야사학술회의, 김해시 [2005]
  • 「포상팔국 전쟁과 지역연맹체」
    『가야의 포구와 해상활동』, 주류성: 107-139 [2011]
  • 「토기로 본 大伽耶의 圈域과 그 변천」
    이희준 『加耶史硏究』, 경상북도 [1995]
  • 「전남지방의 분구묘」
    임영진 『동아시아의 주구묘』, 호남고고학회 창립 10주년 기 념 국제학술대회 [2002]
  • 「전남 서남해지역과 가야지역의 교류양상」
    『전남 서남해지역의 해상교류와 고대문화』, 전라남도 문화예술재단, 혜안: 249-295 [2014]
  • 「외래계문물을 통해 본 고성 소가야의 대외교류」
    『가야의 포구와 해상활 동』,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김해시, 주류성: 149-214 [2011]
  • 「영산강 상류 지역의 취락 변동과 백제화 과정」
    이영철 『백제와 영산강』, 학연문화사 [2012]
  • 「영남지방 삼국시대 고상 부곽(高床副槨) 분묘에 대한 일고찰」
    『慶南硏究』 제8집,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70-74 [2013]
  • 「신라․가야권역 내의 마한․백제계 문물」
    『4~6세기 가야․신라 고분 출토의 외래계 문물』, 第16回 嶺南考古學 學術發表會 [2007]
  • 「소가야지역의 대외교류」
    장윤정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제35회 한 국고고학전국대회: 41-66 [2011]
  • 「소가야지역 분구묘의 특징과 형성과정 연구」
    권용대 『야외고고학』제2호, 한국 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7]
  • 「소가야지역 4-5세기 목곽묘 연구」
    하승철(Ha Seung-Cheol) 『경남연구』8,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 화센터 [2013]
  • 「소가야의 묘제」
    『고성』, 국립진주박물관 [2014]
  • 「서부경남 加耶 竪穴式石槨墓의 수용에 관한 연구」
    『嶺南考古學報』40: 62 [2007]
  • 「삼한~삼국시대 한반도 출토 왜계토기에 대한 고찰」
    『한국 출토 외래문물 초기철기~삼국시대』,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 「산청 평촌리 가야고분에 대한 일고찰」
    박상언(Park Sang-un) 『慶南硏究』第4輯, 경남발전연구 원: 27-61 [2011]
  • 「사천 향촌동유적」
    손민욱 장상갑 『2009 연구조사발표회』, 영남지역문화재조사 연기관협의회 [2009]
  • 「분구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김승옥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5, 국립문화재연구소: 257-292 [2009]
  • 「분구묘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완규 『분구묘․분구식고분의 신자료와 백제』, 제49 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 [2006]
  • 「부록1. 수혈식석곽묘의 구축공정 - 우수리 석곽묘를 중심으로-」
    정상석 『雨水里 小加耶墓群』, 경남고고학연구소: 99-109 [1999]
  • 「남해안지역 須惠器(系)土器의 출현배경과 의의」
    김일규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제35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2011]
  • 「고흥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의 의의」
    『한성에서 웅진으로』, 충청남도역사 문화연구원․국립공주박물관 [2006]
  •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축조구조」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특별전 기념 학술대회, 전남대학교박물관 [2011]
  •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상호작용」
    『고대 한일관계사의 새로운 조명』, 제15회 한국고대사학회 합동토론회, 한국고대사학회 [2002]
  • 「고고자료를 통해 본 아라가야와 왜의 교류」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 와 주변제국』,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학연문화사: 127-164 [2013]
  • 「가야지역 왜계고분의 연구현황과 과제」
    박상언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第2回 한․중․일 국제학술대회, 경남발전연구원 [2010]
  • 「가야 횡혈식석실의 성립과 전개」
    김준식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高塚墳의 構造에서 보이는 倭系古墳의 要素」
    『加耶, 그리고 倭와 北方』, 金海市 [2004]
  • 「馬具로 본 6세기대 소가야와 주변제국」
    류창환 『6世紀代 加耶와 周邊諸國』,김 해시: 167-200 [2008]
  • 「須惠器の編年と年代觀」
    『韓日古墳時代의年代觀』, 國立歷史民俗博物館․韓 國國立釜山大學校博物館 [2006]
  • 「韓半島에서 출토된 倭 관련 文物」
    『왜 5왕 문제와 한일관계』(한일관계사 연 구논집2), 景仁文化社 [2005]
  • 「阿羅加耶의 成立과 發展」
    권주현 『啓明史學』4, 계명대학교 [1993]
  • 「阿羅伽耶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이주헌 『가야각국사의 재구성』, 부산대학교 한 국민족문화연구소 가야사 정책연구위원회 [2000]
  • 「鐵鎌의 變化와 劃期」
    안재호 『伽耶考古學論叢』2 [1997]
  • 「錦江流域 百濟古墳의 硏究」
    최완규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西部慶南의 5世紀 前半代 古墳遺蹟의 一例 -晋陽郡 雨水里A유적-」
    이해련 『伽耶通信』 [1984]
  • 「西部慶南 爐形土器에 대한 一考察 」
    『慶尙史學』2 [1986]
  • 「西部慶南 加耶諸國의 成立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06]
  • 「西部慶南 加耶 木槨墓에 대하여」
    『考古廣場』第12號, 부산고고학연구회: 59-76 [2013]
  • 「考古資料로 본 5~6세기 小加耶의 變遷」
    김규운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考古學을 통해 본 小加耶」
    『考古學을 통해 본 加耶』, 韓國考古學會: 129-174 [2000]
  • 「百濟 圈域에서 출토된 新羅․加耶系 文物」
    성정용 『4~6세기 가야․신라 고분출토의 외래계문물』, 제16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47-73 [2007]
  • 「濟羅耶의 文物交流」
    최종규 『百濟硏究』23 [1992]
  • 「漢江以南의 橫穴式石室의 硏究-系譜와 編年을 中心으로」
    조영현 충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0]
  • 「泗川 船津里 石室墳」
    김규운 김준식 『영남고고학』48호, 영남고고학회 [2009]
  • 「水平口緣壺에 대한 一考察」
    조영제 『慶尙史學』1 [1985]
  • 「水平口緣 鉢形器臺에 대하여 - 소위 小加耶式 土器의 分布와 관련하여-」
    韓國考古學報』44 [2001]
  • 「榮山江流域 前方後圓墳의 性格 - 造墓集團의 性格을 中心으로 -」
    『영산강유 역 고대사회의 새로운 조명』, 역사문화학회 ․ 목포대학교 박물관: 185-200 [2000]
  • 「晋陽郡 一班城面 院堂遺蹟에 대하여」
    김정례 『考古硏究』7 [1991]
  • 「慶南 西南部地域 出土 陶質土器에 대한 硏究」
    『慶尙史學』9 [1993]
  • 「山淸中村里古墳群發掘槪報」
    안춘배 『韓國考古學年報』10, 서울大學校博物館 [1983]
  • 「山淸 中村里古墳群에 대한 小考」
    『慶南硏究』2, 경남발전연구원 [2010]
  • 「小加耶聯盟體의 고고학적 연구」
    여창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小加耶樣式 土器의 硏究」
    김지연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2013]
  • 「小加耶(聯盟體)와 倭系文物」
    『嶺南考古學會․九州考古學會 제6회 합동고고 학대회-韓日交流의 考古學-』, 영남고고학회․구주고고학회: 187-221 [2004]
  • 「小伽耶聯盟體의 成立과 그 推移」
    이형기 『民族文化論叢』17,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97]
  • 「小伽耶地域의 古墳과 出土遺物」
    『묘제와 출토 유물로 본 소가야』, 국립 가야문화재연구소 개소 10주년 기념 학술회의: 47-75 [2000]
  • 「小伽耶土器의 成立과 展開」
    윤정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宜寧地域 加耶古墳文化에 관한 一考察」
    김상철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大伽耶의 古代國家 形成」
    박천수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석오윤용진 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6]
  • 「大伽耶 墓制의 變遷」
    김세기 『加耶史硏究-대가야의 政治와 文化-』: 301-364 [1995]
  • 「墳丘墓의 認識」
    『韓國上古史學報』第32號: 75-107 [2000]
  • 「型式 亂立期의 가야토기에 대하여」
    『考古廣場』제2호 [2008]
  • 「土器의 流通을 통해 본 百濟와 加耶의 交涉-山淸 黙谷 里古墳群 出土 土器를 중심으로-」
    김장석 문종화 이상길 정용삼 『백제 생산기술과 유통의 정치사회적 함의』, 한신대학교 학술원 [2006]
  • 「土器文化로 본 三國時代 洛東江 河口의 交流樣相」
    조성원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제35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9-37 [2011]
  • 「固城 古自國의 形成과 變遷」
    백승옥 『韓國 古代社會의 地方支配』, 신서원 [1997]
  • 「咸安 郡北地域 出土 陶質土器에 대한 考察」
    박승규 『晋州專門大學論文集』14 [1991]
  • 「周溝墓․墳丘墓 管見-崔完奎 교수의 ‘全北地方의 周溝墓’토론에 붙여」
    최병현 『東 아시아의 周溝墓』, 호남고고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발표요지, 호 남고고학회 [2002]
  • 「加耶諸國의 相互關係와 聯盟構造」
    권학수 『한국고고학보』31,한국고고학회 [1994]
  • 「加耶西南部地域 出土 陶質土器에 대한 一考察」
    하승철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加耶土器의 轉換期 變動과 樣式構造」
    『伽倻文化』19, 伽倻文化硏究院: 144-186 [2006]
  • 「加耶土器의 地域相에 관한 硏究」
    『伽倻文化』11, 伽倻文化硏究院: 117-156 [1998]
  • 「加耶․新羅土器, 須惠器의 竝行關係」
    『한일고분시대의 연대관』 [2006]
  • 「加耶-倭의 相互作用에 대한 考古學的 理解」
    『伽耶文化』16 [2003]
  • 「全南東部地域 加耶文化의 起源과 變遷」
    이동희 『호남동부지역의 가야와 백제』, 제18회 호남고고학회 학술대회, 호남고고학회 [2010]
  • 「倭에서의 初期須惠器의 系譜와 渡來人」
    『4~5世紀 東亞細亞 社會와 加 耶』, 제7회 가야사국제학술회의, 金海市, 2001 [2001]
  • 「伽耶地域 石室의 受用과 展開」
    『伽倻文化』제18호, 財團法人 伽倻文化硏究院 [2005]
  • 「三角透窓 高杯에 대한 一考察」
    『嶺南考古學』7 [1990]
  • 「三國時代 嶺南의 情勢變動과 小加耶古墳群」
    신경철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 아』,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78 [2010]
  • 「三國時代 前期土器의 硏究」
    이성주 『韓國上古史學報』第1號 [1988]
  • 「一段長方形透窓高杯에 대한 考察」
    『嶺南考古學』11 [1992]
  • 「『三國史記』新羅本紀 初期記錄 問題와 新羅國家의 成立」
    선석열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6]
  • 「Ⅵ. 綜合考察 나. 有孔廣口小壺」
    신인주 『固城松鶴洞古墳群』 동아대학교박물관: 300-314 [2005]
  • 「Ⅴ. 考察」
    문백성 『統營 藍坪里遺蹟』, 동서문물연구원 [2009]
  • 「Ⅳ.考察」
    『山淸 玉山里遺蹟』, 경상대학교박물관 [2002]
  • 「Ⅳ. 토기로 본 가야․신라고분의 역연대」
    『가야토기-가야의 역사와문화-』, 진인지: 105-135 [2010]
  • 「Ⅳ. 고찰 명동유적 삼국시대 분묘에 대한 검토」
    이영주 『山淸 明洞遺蹟Ⅲ』, 경남발 전연구원: 164-168 [2009]
  • 「6世紀 前半 加耶의 交易 네트워크」
    『6世紀代 加耶와 周邊諸國』, 제14회 가야사국제학술회의, 김해시 [2008]
  • 「5~6세기 宜寧地域集團의 交流와 變動」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2000]
  • 「5-6세기 고성지역 고분문화의 이해」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경 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학연문화사 [2011]
  • 「4세기 加耶社會의 交易體系의 變遷」
    이현혜 『韓國古代史硏究』1, 韓國古代史硏究會 [1987]
  • 「3세기 加耶交易體系의 變化와 浦上八國戰爭」
    태경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3~6세기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교섭」
    朴天秀 『한국고고학보』61, 한국고고학회 [2006]
  • 「1~3세기 가야세력의 성격과 추이 -수로집단의 등장과 浦上八國의 亂을 중심 으로-」
    백승충 『釜大史學』13. 부산대학교 사학과 [1986]
  • 「1~3세기 가야 정치체의 성장」
    『韓國古代史論叢』5: 148 [1993]
  • 4~5世紀 倭에서 加耶·百濟로의 交易루트와 古代航路
    우재병 『湖西考古學』6․7合輯 [2002]
  • 1823, 『海東繹史』, 卷16, 世紀16, 諸小國 加羅․任那 및 卷41, 交聘志9
    한치윤 通日本始末
  • 1615,『東國地理志』, 後漢書三韓傳條에 대한 接說(三韓辨設)
    한백겸 및 新羅封疆 弁韓舊地條
  • 2010, 『咸安 梧谷里 28番地遺蹟』.
  • 2009, 『山淸 明洞遺蹟Ⅲ』.
  • 2008, 『晋州 安磵里遺蹟』.
  • 2007, 『咸陽 花山里遺蹟』.
  • 2006,『 巨濟 長木古墳』.
  • 2006, 『山淸 坪村里遺蹟』.
  • 2005, 『晋州 武村 Ⅲ․Ⅳ』.
  • 2005, 『固城 內山里古墳群』Ⅲ.
  • 2005, 『固城 內山里古墳群』Ⅱ.
  • 2004, 『宜寧 景山里古墳群』.
  • 2003, 『河東 愚伏里遺蹟』.
  • 2003, 「榮山江流域と加耶における倭系古墳の出現過程とその背景」,『熊本古墳硏究1.
  • 2002, 『山淸 玉山里遺蹟-木槨墓-』.
  • 2002, 「全南地方の榮山江型橫穴式石室の系譜と前方後圓墳」, 『前方後圓墳と古代 日朝關係』朝鮮學會編, 同成社.
  • 1995, 『咸安 梧谷里遺蹟』.
  • 1993, 『加耶聯盟史』, 一潮閣.
  • 1992, 『大加耶聯盟の興亡と任那』, 吉川弘文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