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도덕 판단에 대한 체험주의 철학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이거랑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도덕 판단에 대한 체험주의 철학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도덕 판단
  • 체험주의
  • 탐구공동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0 0

0.0%

' 도덕 판단에 대한 체험주의 철학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플라톤, 『파이돈: 플라톤의 네 대화편』, 박종현 역주
    서울: 서광사 [2003]
  •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김무길 『교육철학』 제48집, 한국교육철학회 [2010]
  •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7]
  • 조명원 외 역,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
    Linguistic Categorization Taylor R. 』서울: 한국문화사 [1999]
  • 인지언어학의 이해
    김진우 서울: 한국문화사 [1999]
  • 인지심리학과 뇌
    이정모 『과학사상』 29호, 서울: 범양사 출판부 [1999]
  • 인지과학과 철학적 탐구
    노양진 『범한철학』 제20집, 범한철학회 [1999]
  • 언어와 인지
    임혜원 서울: 한국문화사 [2013]
  • 신경과학의 도덕적 직관 이해와 도덕교육
    박장호 『윤리교육연구』 제29집,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 범주화의 고전이론과 원형이론 비교연구
    이용권 『언어과학』 제17권 4호, 한국언어과학회 [2010]
  • 문화적 인간, 인간적 문화
    전경갑 서울: 푸른사상 [2003]
  • 몸이 철학을 말하다
    노양진 서울: 서광사 [2013]
  • 몸.언어.철학
    노양진 파주: 서광사 [2009]
  •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 인지양식 및 메타인지의 관계
    강인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박사
    도덕적 이해의 상상적 특성과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송영민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박사
    도덕 판단교육을 위한 립맨의 합당성 개념 연구
    김혜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황경식 서울: 아카넷 [2012]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국민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교육부, 『도덕 6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2015]
  • 공간 개념의 은유적 확장 연구
    임혜원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강성위 역, 『서양철학사: 하권』
    Geschichte Der Philosophie Hirschberber, J. 대구: 이문출판사 [2012]
  • 孟子
    학민문화사
  • 中庸
    학민문화사
  • 『인지심리학』
    이정모 서울: 아카넷 [2001]
  • 『인공지능의 철학』
    임일환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 『만남의 교육』
    강선보 서울: 민중사 [1992]
  • 『대학?중용강설』
    이기동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국민학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1992]
  • 『小學集註』
    학민문화사
  • 「칸트의 ‘도식론’에 대한 고찰」, 『대동철학』 제24권
    박진 대동철학회 [2004]
  • 「체험주의의 철학적 전개」
    노양진 『범한철학』 제10권, 범한철학회 [1995]
  •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방법: 대화와 내러티브」
    박선영 『교육철학』 제49집,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 「자연화된 도덕적 직관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김동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인지과학의 특성」
    이정모 여명숙 편저, 『인공지능과 인간』, 서울: 독수리사 [1996]
  • 「인지과학에서의 마음 개념의 재구성」
    이정모 『신인문학의 모색과 전망』 자료집,동국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 [2007]
  • 「윤리 소설을 활용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방안」
    류혜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신경과학적 도덕심리학과 덕윤리」, 『범한철학』 제75집
    노영란 범한철학회 [2013]
  • 「생각함을 키우는 어린이 도덕교육」
    박진환 『윤리교육연구』 제7집,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박철홍 『교육철학연구』 제33권 제1호,한국교육철학학회 [2011]
  • 「듀이 이론을 통해 파악한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특징」
    박선영 『교육의 이론과실천』 제14권 3호, 한독교육학회 [2009]
  • 「도덕적 이성주의에 대한 흄의 논박」
    전영갑 『대동철학』 제44집, 대동철학회 [2008]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연구」
    고미숙 『교육문제연구』 제19집, 교육문제연구소 [2003]
  • 「도덕적 상상과 도덕적 판단의 연관성」
    박재주 『도덕교육연구』 제23권 2호,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박형빈 『초등도덕교육』제43권,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 「누스바움의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도덕판단교육」
    박진환 『윤리교육연구』 제16권,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 「고차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법 연구」
    김진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가르기와 경험의 구조」
    노양진 『범한철학』 제24집, 범한철학회 [2001]
  • 「Bachelard의 상상력과 그 도덕교육적 의의」
    황석하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비판적 구성과 도덕교육”
    박진환 황두환 외, 『인간과 윤리』, 서울: 형설출판사 [2007]
  • “듀이의 ‘사회적 지성’ 개념의 교육적 함의”
    홍남기 『교육철학연구』 제35권 제1호,한국교육철학학회 [2013]
  • “나바에츠 도덕발달 이론의 특성과 도덕교육적 함의”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제37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 “과학탐구와 윤리탐구의 <통합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임병갑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9]
  • Western Ethics: An Historical Introduction, 김성호 역, 『서양윤리학사』
    Arrington, R. 서울: 서광사 [2003]
  • Thinking in Education 2nd Edition, 박진환 외 역, 『고차적 사고력 교육』
    Lipman, M. 고양: 인간사랑 [2005]
  • The Fixation of Belief, Peirce on Signs, ed. James Hoopes, 김동선 외 역, 『퍼스의 기호학』
    Peirce, C. 서울: 나남 [2008]
  • Taylor, J., Linguistic Categor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 Schopenhauer. A., Uber die Grundlage der Moral, 김미영 역, 『도덕의 기초에 관하여』
    서울: 책세상 [2004]
  •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이유선 역, 『철학의 재구성』
    Dewey, J. 서울:아카넷 [2010]
  • Raths. L., Values and Teaching: Working with values in the classroom,이석호 역, 『도덕?가치교육의 교수 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1994]
  • Plato, Politeia, 천병희 역, 『국가론』
    고양: 도서출판 숲 [2013]
  • Plato, Phaidon, 박종현 역, 『파이돈: 플라톤의 네 대화편』
    서울: 서광사 [2003]
  • Philosophy in the Flesh, 임지룡 외 역, 『몸의 철학』
    Lakoff G. 서울: 박이정 [2002]
  • Peirce, C., The Scientific Attitude and Fallibilism(1878), Philosophical Writingsof Peirce, ed. Justus Buchler,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1955.
  • Peirce, C., The Essentials of Pragmatism(1095), Philosophical Writings ofPeirce, ed. J. Buchler,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 1955.
  • Peirce, C., Philosophical Writing of Peirce, ed. justus Buchler, New York:Dover Publication, Inc., 1955.
  • Peirce, C., How to make our ideas clear(1878), in Philosophical Writing ofPeirce, ed. Justus Buchler,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 1955.
  • Peirce, C., Abduction and Induction(1901), Philosophical Writings of Peirce,ed. J. Buchler,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 1955.
  • Paul, R., Thinking in the Classroom: A Survey of Programs, New York: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 Narvaez, D. & Lapsley, D.,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EverydayMorality and Moral Expertise, ed. In D. K. Lapsley, & F. C. Power,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 education, Notre Dame, Indiana: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05.
  • Narvaez, D. & Bock. T., Moral Schemas and Tacit Judgement or How theDefining Issues Test is Supported by Cognitive Science, Journal ofMoral Education Vol. 31. no. 3. 2002.
  • MacIntyre. A., After Virtue, 『덕의 상실』, 이진우 역
    서울: 문예출판사 [1997]
  •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1980.
  • Lipman, M., Sharp. A., Philosophy in the Classroom, Philadelphia: TempleUniversity Press, 1980.
  • Lipman, M., Ethical Inquiry: Instructional Manual to Accompany Lisa,Upper Montclair, N.J.: IAPC, 1977.
  • Lakoff. G. et. al., More Than Cool Reason: A Field Guide to PoeticMetaphor, 이기우 외 역, 『시와 인지』
    서울: 한국문화사 [1996]
  • Lakoff, G., Philosophy in the Flesh, New York: Basic Book, 1992.
  • Kurtz, P., American Philosophy in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Macmillan Company, 1966.
  • Kuhn. T.,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김명자 역,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글방 [2008]
  •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백종현 역, 『실천이성비판』
    Kant, I. 서울:아카넷 [2012]
  • Kohlberg. L., 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김민남 외 역, 『도덕발달의 철학』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Kant. I., Kritik der Urteilskraft, 이석윤 역, 『판단력 비판』
    서울: 박영사 [1996]
  • Kant, I.,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Metaphysic of Morals, Great Bookof the Western World Vol 42, Encycolpadia Britannica, Inc., 1980.
  • Kant, I., Critique of Judgement, trans. James Haden, New York: Hafner,1968.
  • KOvecses, Metaphor: A Practical Introduction, 이정화 역, 『은유』
    서울: 한국문화사 [2003]
  • Justice and caring: the search for common groundin education, 윤현진 외 역, 『정의와 배려』
    Noddings, K. 고양: 인간사랑 [2007]
  • Johnson. M., The Meaning of The Body, 김동환 역, 『몸의 의미』
    서울: 동문선 [2012]
  • Johnson. M., The Body in The Mind, 이기우 역, 『마음 속의 몸: 의미, 상상력,이성의 신체적 근거』
    서울: 한국문화사 [1992]
  • Johnson. M., Moral Imagination, 노양진 역, 『도덕적 상상력』
    서울: 서광사 [2008]
  • Hume, A Treatise of Human Nature, 김성숙 역, 『인간본성론』
    서울: 동서문화사 [2009]
  • How We Think, 임한영 역, 『사고하는 방법』
    Dewey, J. 파주: 법문사 [1981]
  • Habermas, J.,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1, trans. Thomas McCarthy, Cambridge: Blackwell Press, 1981.
  • Fodor, J., The Language of Thought, New York: Thomas Y. Crowell Co,1975.
  • Fodor, J., Fodor's Guide to Mental Representaion, A Theory of Contentand Other Essays, A Bradford Book/The MIT Press, 1990.
  • Flanagan, O., Varieties of Moral Personality: Ethics and PsychologicalRealism,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 Experience and Education, 엄태동 역, 『경험과 교육』
    Dewey, J. 서울: 원미사 [2001]
  • Ethik und Metaethik, 하영석 외 역,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Kaulbach, F. 서울:서광사 [1995]
  • Edelman. G., Bright Air, Brilliant Fire, 황희숙 역,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서울: 범양사 [2010]
  • Dewey, J., Theory of Moral Life,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1960.
  • Dewey, J., Qualitative Thought, ed. Boydston, Jo Ann, John Dewey: TheLater Works Vol. 5.,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Press, 1984.
  • Dewey, J., Propositions, Warranted Assertibility, and Truth, The Journalof Philosophy, Vol. 38 No. 7. 1941.
  • Dewey, J., Philosophy and Civilization, New York: Capricorn Books. 1930.
  • Dewey, J., Logic: The Theory of Inquiry, New York: Holt, Rinehart andWinston, 1964.
  • Dewey, J., Human Nature and Conduct, New York: Henry Holt and Co.,1922.
  • Dewey, J., Experience and Natur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1929.
  • Descartes, R.,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The Philosophy Works ofDescartes Vol 1, trans. Elizabeth S. Haldane and G. R. T. Ross,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1.
  • Das Problem des Menschen, 윤석빈 역, 『인간의 문제』
    Buber, M. 서울: 길 [2007]
  • Cudworth, R., A Treatise concerning Eternal and Immutable Morality in:British Moralists 1650-1800 selected and edited by D. D. Rapheal,Hackett Publishing Co., Inc. 1991.
  • Covey. S.,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김경섭 역, 『성공하는 사람들의7가지 습관』
    서울: 김영사 [2009]
  • Cognitive English Grammar , 임지룡 외 역, 『인지문법론』
    Radden. G. 서울: 박이정 [2009]
  • Clarke, S., A Discourse of Natural Religion, in: British Moralists 1650-1800selected and edited by D. D. Raphael, Hackett Publishing Co., Inc. 1991.
  • Clark. H., Psychology and Language: An Introduction to Psycholinguistics,이기동 역, 『언어와 심리』
    서울: 탑출판사 [1988]
  • Buber. M., Between Man and Man, 남정길 역, 『사람과 사람사이』
    서울: 전망사 [1979]
  • Broiles, R., The Moral Philosophy of David Hume, The Hague: MartinusNijhoff, 1964.
  • Aristotle, Ethika Nikomacheia, 최명관 역, 『니코마코스윤리학』
    서울: 서광사 [2003]
  • Aristotel, De Anima, 유원기 역 『영혼에 관하여』
    서울: 궁리 [2001]
  • Annas, J., The Morality of Happines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