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의회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l Elections and Party Nomination System: Focusing on Namyangju Municipal Assembly

남혜경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의회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l Elections and Party Nomination System: Focusing on Namyangju Municipal Assembl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남양주시의회
  • 여성할당제
  • 의정성과
  • 정당공천제
  • 지방선거
  • 지방의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63 0

0.0%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의회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l Elections and Party Nomination System: Focusing on Namyangju Municipal Assembly' 의 참고문헌

  • 행정자치부, 『제4기 지방의회백서』
    행정자치부 자치분권제도팀 [2007]
  • 행정안정부, 『제5기 지방의회백서』
    행정안정부 선거의회과 [2011]
  • 한국유권자들은 정책에 따라 투표하는가? 정책선호, 정책인식, 그리고정책투표
    김성연 『한국정치학회보』. 47(1) [2013]
  •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최준영 『한국정당학회보』. 11(1) [2012]
  • 편저,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심지연 서울: 백산서당 [2010]
  • 지방자치법
    이기우 서울: 대영문화사 [2007]
  • 지방선거와 현직효과 :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황아란 『지방행정연구』. 26(4) [2012]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제: 미국의 사례
    윤종빈 『지방행정』. 59(676) [2010]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제 논쟁: 부산지역 기초자료를 중심으로
    이동윤 현대정치연구. 3(1) [2010]
  • 지방선거와 정당공천 : 비교론적 시각에서 - 기초의원 선거의 정당공천과 정보제공 효과 -
    황아란 『지방행정연구』. 24(1) [2010]
  •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박재욱 『국제정치연구』. 9(1) [2006]
  •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제: 새로운 변화를 위한 올바른 선택
    가상준 『OUGHTOPIA』. 24(1) [2009]
  • 지방선거에 있어서 기초단체장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주용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1) [2002]
  •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과제 - 지방의회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육동일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8(1) [2006]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당선인각종통계-직업별당선인수”.<www.nec.go.kr>
    (검색일자: [2015]
  • 전략적 투표율의 변화, 개인의 선호도 변화 그리고 군소후보의 쇠퇴
    최정욱 『국제정치논총』. 46(4) [2006]
  • 영국 선거관리위원회, “영국의 지역별 지방의원 수”, “영국의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영국의 지방선거 주기 및 일자”, “영국의 선거구별 의원 정수”, “영국의 선거구 및 지방의원 정수”. <www.electoralcommission.org.uk>
    (검색일자: -2. 25) [2014]
  • 영국 Dartford의회, “의원 수당 운영계획”. <www.dartford.gov.uk>
    (검색일자: [2014]
  • 시민일보, “남양주시의회 산고 끝에 보육조례 통과”
    「시민일보」 [2013]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교수 공저, 『정치학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09]
  • 서울경제, “통합신당, 기초선거 무공천 재확인”
    「서울경제」 [2014]
  • 새정치민주연합,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역구자치구 시 군의원선거후보자 추천을 위한 경선 시행세칙 제정안. <www.npad.kr>
    (검색일자: [2014]
  • 새누리당, “새누리당 상향식 공천제도 무제한 설명회 자료집”. <www.saenuriparty.kr>
    (검색일자: [2014]
  • 동아일보, “무공천, 잘못된 약속 대국민 사과로 출구 모색”
    「동아일보」 [2014]
  • 대만 Taipei의회, “역대 여성의원 의석수 변화”. <www.tcc.gov.tw>
    (검색일자: [2014]
  • 기초지방의회의 의정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갑호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기초자치단체 정당공천제의 폐해와 대안
    김순은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3) [2012]
  • 松本英昭, (KLAFIR 일본사무소 역).『日本 地方自治法 槪論』
    서울: 신일출판사 [2008]
  • 『한국지방자치론: 지방정치 자치행정 자치경영』
    김병준 서울: 법문사 [2003]
  • 『한국지방선거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김범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총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4]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총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6]
  • 『비교정치』
    신명순 서울: 박영사 [2006]
  • 『변환의 세계정치』
    배영자 서울: 을유문화사 [2007]
  • 『大韓民國選擧史 第5輯』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9]
  • “행감, 시립어린이집 관련 강도 높은 질의 쏟아내 시립어린이집 증인 참고인 불출석...질타”
    남양주타임즈 [2013]
  • “한국의 지방선거와 정당공천제 관한 연구-정당공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신진 『대한정치학회보』. 16(2) [2008]
  • “한국 유권자들은 어떻게 후보들의 정책을 판단하는가?”
    김성연 『한국정치연구』. 21(3) [2012]
  • “특권 이권 다툼에 멍드는 지방의회”
    YTN [2012]
  • “큰 논란이 됐던 ‘보육 조례안’ 마침내 종지부 남혜경 의원 발의, 시립어린이집 위탁기간 3년으로 조정 가능”
    남양주신문 [2013]
  • “총리 장관 세워놓고...여야, 정당공천 설전만”
    헤럴드 [2014]
  • “지역아동센터 지원 조례 졸속, 남양주시 센터協 남혜경 의원 ‘탁상행정’ 반발”
    경인일보 [2010]
  • “지방의회들도 원구성 마찰...의사일정 파행”
    한겨레 [2012]
  • “지방의회, 개원 동시에 난투 욕설 막장드라마”
    SBS [2012]
  • “지방의회 하반기 의장단 선출 곳곳 잡음”
    국민일보 [2012]
  • “지방의회 의장단 선출 진흙탕”
    매일경제 [2012]
  • “지방의회 감투싸움‘점입가경...’단식농성 난동‘파행’”
    문화일보 [2012]
  •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제에 대한 당원들의 인식. 『동서연구』”
    가상준 24(2) [2012]
  • “정당공천제와 지방정치개혁”
    윤종빈 정회옥 『한국정당학회보』. 12(2) [2013]
  • “정당공천제 개선방안: 기초지방의원선거를 중심으로”
    강경태 『한국정당학회보』. 8(1) [2009]
  • “정당개혁 실천해야 국민이 진심 알아 文 민주당에”
    한국일보, 安 [2012]
  • “자살까지...지방의회 의장단이 뭐기에”
    한겨레 [2012]
  • “임태희 새누리당 사당화 역사의식 문제로 위기”
    뉴스1 [2012]
  • “의정평가 기준에 관한 시론.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이현출 『일감법학』. 26 [2013]
  • “의정부시의회 석달째 파행에 시민 규탄시위”
    한겨레 [2012]
  • “영유아보육법 위반 어린이집 솜밤망이 처벌”
    경기일보 [2013]
  • “여야 의원들 기초선거 정당공천 문제 많지만 폐지 어려워”
    매일경제 [2014]
  • “여-야 ‘기초공천폐지공약파기’공방가열”
    한겨레 [2014]
  • “안철수 기초단체장, 기초의원 공천 안할 것”
    KBS [2014]
  • “심야토론: 기초선거 정당공천 어떻게 볼 것인가?”
    KBS [2014]
  • “시립어린이집 대상 강도 높은 행감 예고 남혜경 ‘보육천국’ 무색 어린이집 관리 감독 소홀’ A원장, 남 의원 상대 고소 모두 무혐의 처분”
    남양주타임즈 [2013]
  • “소란한 경남 지방의회들, 후보사퇴서 위조까지”
    국제신문 [2012]
  • “석유통 들고 난동 피우는 지방의회”
    인천일보 [2012]
  • “부산시의회 의장선거에 지역 국회의원 개입 논란”
    JTBC [2012]
  • “부산시의회 의장단 선거 ‘줄세우기 구태’ 답습”
    JTBC [2012]
  • “민주도 공천폐지 없던일로”
    동아일보 [2014]
  • “미 일 영 프 등 외국의 정당공천제도”
    주용학 『지방행정』. 58(670) [2009]
  • “또 감투싸움...구태 못 벗는 지방의회”
    세계일보 [2012]
  • “돌고 돌아 제3지대 신당 합의...추진단장에 김한길 안철수”
    중앙일보 [2014]
  • “대만의 체제변동과 선거민주주의”
    안승국 『비교민주주의 연구』. 3(2) [2007]
  • “대만의 선거개혁과 여성국회의원의 의회진출향상: 여성당선 할당제도와 성별비례원칙제도를 중심으로”
    오영달 하영애 『한국동북아논총』. 67 [2013]
  • “뇌물 폭력에 자살까지...막장 지방의회”
    세계일보 [2012]
  • “남혜경 남양주시의원, 5분 자유발언 무시 의장단은 사퇴하라”
    경기일보 [2011]
  • “남혜경 남양주시 시의원 언론 기고로 명예훼손 피소”
    경기일보 [2012]
  • “남양주의회, 조례안 두고 감정싸움 초선의원 ‘단독 발의’에 타의원들 ‘혼자 튄다’ 반발”
    조선일보 [2010]
  • “남양주시의회, 행감 첫날부터 강도 높게 지적”
    남양주타임즈 [2013]
  • “남양주시의회 의장단 사퇴하라 남혜경 의원, 자치행정위 일방 간사해임에 으름장…”
    경인일보 [2011]
  • “남양주시의회 영유아보육조례 개정안 계류시켜 의원 발의된 조례, ‘의원 간 의견 교환 미흡’ 지적”
    남양주신문 [2012]
  • “나와지지배야! 욕설 몸싸움난무하는 지방의회선거”
    JTBC [2012]
  • “김한길 안철수 朴대통령,기초공천폐지 약속지켜라”
    국민일보 [2014]
  • “기초의회의원 정당공천제와 지방의회의 발전: 지방공직자의 시각“
    최장수 『한국지방정부학회 하계학술대회』 [2007]
  • “기초의회 의장단 구성 두고 갈등”
    조선일보 [2012]
  • “기초선거 공천폐지 백지화 수순”
    매일경제 [2014]
  • “기초선거 공천여부, 국민 당원 뜻 따르겠다 물러선 안철수...‘無공천 철회’ 출구 찾기?”
    한국경제 [2014]
  • “기초단체장 예비후보 등록 앞두고...민주, 公薦 폐지론서 발 빼나”
    조선일보 [2014]
  • “기초공천폐지 고민 깊은 민주”
    한겨레 [2014]
  • “기초공천 유지땐 공약파기 폐지땐 5000여명 탈당 민주당 막판 딜레마”
    국민일보 [2014]
  • “금품 살포 폭력 사태 막 나가는 기초의회”
    KBS [2012]
  • “국민들도 공천 찬반 50대50...본선에 전념하라 메시지”
    한겨레 [2014]
  • “공천폐지 강경투쟁 압박...안철수, 새정치 딜레마”
    서울신문 [2014]
  • “경기 지방의회 의장단 선거 곳곳 파열음”
    세계일보 [2012]
  • “결국 당심이 민심 눌렀다”
    국민일보 [2014]
  • “民心왜곡 ‘전화 여론조사 착신전환’ 대대적 단속한다”
    조선일보 [2014]
  • “安신당 기초 비례의원은 공천”
    동아일보 [2014]
  • “30년간 정치개혁 단골메뉴 ‘정당공천제’ 여야 당리당략 따라 품기도 뱉기도 했다”
    서울신문 [2013]
  • “1억원에 지지율 10% 올려줄게...경선판 흔드는 여론조작”
    동아일보 [2014]
  • Taipei City Council Guide: The Eleventh Council of Taipei Special Municipality
  • Shively, (김계동외 공저). 『Power and Choic: An Introduction to Political Science, 11th ed』
    Phillips W. 서울: 명인문화사 [2011]
  • Rod Hague&Martin Harrop, (김계동외 공저). 『Comparative Government and Politics, 8th edition』
    서울: 명인문화사 [2011]
  • R. S. Katz & W. Crotty, (eds.), 2006. 『Handbook of Party Politics』. ch. 25. "Party Membership and participation".
  • R. S. Katz & W. Crotty, (eds.), 2006. 『Handbook of Party Politics』. ch. 21. "Party Models". London: Sage.
  • Democracy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다수정이다: 공화주의와의 차이를 논하며
    최정욱 『비교민주주의연구』. 5(1) [2009]
  • David M. Farrell, 2001. Electoral Systems: 『A Comparative Introduction』.New York: PALGRAVE.
  • 2000년대 지방선거의 변화와 지속성: 현직효과와 중앙정치의 영향
    황아란 『한국지방학회 학술발표논문』. 2013(2). p. 417-42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