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모발 염색과 해삼 추출물 두피개선제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hair dyeing and scalp toner containing stichopus japonicus extract on the hair loss

이명화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모발 염색과 해삼 추출물 두피개선제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hair dyeing and scalp toner containing stichopus japonicus extract on the hair los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두피개선제
  • 샴푸
  • 염색
  • 천연추출물
  • 콘드로이친
  • 탈모
  • 해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1 0

0.0%

' 모발 염색과 해삼 추출물 두피개선제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hair dyeing and scalp toner containing stichopus japonicus extract on the hair loss' 의 참고문헌

  • 헤어컬러별 특성과 염색시술의 정보조사
    박명학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2006]
  • 한약약리학
    김호철 한국 : 집문당 [2001]
  • 한국소비자원, “ PPD성분검출 염모제 허위표시‧과대광고 개선시급”
    10월18일자 pp. 58-67 [2011]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화장품 산업 분석 보고서”, 2012, p. 6 [2012]
  • 탈모증 남성들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지상기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2000]
  • 탈모자와 일반인의 두발상태 및 관리, 식습관, 스트레스 정도, 가족력에 대한 비교분석
    조남춘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 10, 24 [2005]
  • 탈모
    김정득 『한국건강관리협회지』, 36(9), 20-22 [2012]
  • 코리아리써티 센터
    “성신 탈모증 관련 설문조사 보고서”, 8-12 [2004]
  • 전업주부들의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
    김명우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8-25 [2007]
  • 올바른 샴푸습관과 인식에 관한 두피형태 연구
    유소연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2008]
  • 예비 미용인에 대한 모발 두피관리 및 탈모의 필요성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근수 『한국미용산업학회, 2(1), 213-230 [2008]
  • 연령기에 따른 여성모발의 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김순희 『한국미용학회지』, 13(3), 1111-1120 [2007]
  • 식물 추출물 hair tonic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에 관한 연구
    오지영 『한국인체예술학회지』, 7(3), 한국 : 한국인체예술학회 [2006]
  •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관한 연구
    김무영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4 [2002]
  • 비반흔성탈모의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미용학적 고찰 (동·서양 대체요법 적용을 중심으로)
    임미라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1, 179-194 [2005]
  • 민감성 두피의 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김경숙 『대한미용과학회지』, 5, 125-130 [2009]
  • 박사
    미용사들의 염모제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조여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2 [2013]
  • 모발과학
    최근희 서울 : 수문사, p. 41-42 [2001]
  • 모발과 두피·탈모에 관한 실태 연구
    윤진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 7-11 [2006]
  • 모발 및 두피관리학
    강갑연 광문각 : 서울, pp. 127-132 [2003]
  • 등, 『scalp & medical treatment』
    김석주 이황희 정미영 한국: 현문사 [2005]
  • 두피탈모 관리학
    조성일 서울 : 리그라인, 127-143, 159 [2004]
  • 두피모발관리학
    김영숙 대경출판 : 대전, pp. 103-129 [2005]
  • 두피·모발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이방실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2009]
  • 두피·모발건강관리에 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관한 연구
    강영숙 『미용산업연구』, 1(1), 55-64 [2010]
  • 두피 및 모발 관리에 대한 인식 조사
    오강수 『한국패션뷰티학회지』, 5, 34-50 [2007]
  • 두피 모발 관리실의 이용실태와 고객만족도 연구
    위수영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 [2008]
  • 두피 마사지가 스트레스 상태의 자율신경에 미치는 효과
    김주영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3 [2004]
  • 대학생들의 모발 염색에 관한 인식도
    송준옥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74 [2008]
  • 남성형 탈모증의 병인 및 발생기전에 관한 고찰
    현지원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6 [2004]
  • 경락미용과 한방
    이덕수 서울 : 광문각 [2005]
  • 건강생활연구회,『백발, 탈모증 동의보감』
    한국 : 인화 [1998]
  • 『한국 성인 두피의 모낭충 기생 실태와 다양한 천연물에 의한 사멸효과 연구』
    권대순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탈모방지제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이선영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향장품 및 향장산업전공 석사학위논문, p. 16 [2007]
  • 『탈모 예방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 방안 연구』
    박경숙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2005]
  • 『키위 추출물 처리에 의한 두피모발의 품질개선 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원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17, 43-44 [2010]
  • 『측백 잎 추출물의 육모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박동섭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3 [2011]
  • 『찔레뿌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물 조성물의 발모촉진 효과에 관한 임상시험 연구』
    김중학 강원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p. 2-4 [2012]
  • 『염모제 시술방법에 따른 인체 산화스트레스의 비교』
    김영철 심미자 자연과학연구논집, 23(1), 75-81 [2004]
  • 박사
    『여성의 두피와 모발관리 형태에 관한 연구』
    문영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35 [2009]
  • 『여성들의 모발 미용시술 및 모발 건강관리 실태』
    변승환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 [2003]
  • 『블루베리(Blueberry)추출물의 모발염색 특성에 관한 연구』
    서은성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p. 3 [2005]
  • 『미용기기(메소테라피, 이온토포레시스)관리에 따른 50, 60대 여성의 투명도, 주름개선에 관한 임상연구』
    이정화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2015]
  •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두피 모발 관리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전정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4 [2007]
  • 『모발의 영양미네랄 및 중금속 함량과 피로의 연관성』
    김성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 [2004]
  • 『두피와 모발관리』
  • 『두피관리의 효율적 방안에 관한 연구』
    이민호 호서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생산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pp. 1-2 [2005]
  • 『두피,모발 특성 및 헤어 제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박원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011]
  • 『두피 및 모발관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오강수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3 [2006]
  • 『두피 및 두발관리를 위한 한방미용법에 관한 연구』
    이동욱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향장미용학과 석사학위논문, p. 5 [2005]
  • 『두피 모발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이경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 [2008]
  •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과 대응책에 관한 연구』
    이명재 성신여대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7 [2005]
  • 『고주파기기를 이용한 육모효과 연구』
    유나경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2007]
  • 『경락 마사지를 활용한 샴푸 테크닉 연구』
    양태경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헤어전공 미용예술학석사 학위논문, p. 33 [2010]
  • “피부과학에서의 이온영동법”
    김지훈 이승호 최전필 『대한피부과학회지』, 51(6), p. 409 [2013]
  • “탈모방지 및 발모와 육모에 관한 특허 동향에 관한 연구”
    강세일 이진옥 『한국미용예술학회지』, 3(2) [2009]
  • “천연모발염색 소재인 남천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최희진 『한국미용학회지 21(1), p. 130 [2015]
  • “천연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김민선 한진섭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4(4), 249-262 [2013]
  • “직무스트레스와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 1(1), 『한국심리학회지』. 4(1)
    박한기 이종목 한국 : 한국심리학 [1988]
  • “중년 여성의 특성에 따른 두피 모발 관리의 인식”
    이정란 임은진 『한국미용학회지, 16(3), 687-699 [2010]
  • “자연요법에 의한 두피 및 탈모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혜숙 도주연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1(4), 1-15 [2010]
  • “원형탈모증환자의 스트레스 지수 및 Neuroticism에 관한 조사”, 5(1). 한국 :『한국미용학회지』, 30(4)
    나연건 서무규 한국 : 대한피부과학회 [1992]
  • “여대생의 모발미용 관림 및 행태에 관한 연구”
    김리라 김주덕 『대한화장품학회지』, 30(1), pp. 103-116 [2004]
  •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두피관리”
    양태경 『한국미용예술학회지』, 2(2), 한국 : 한국미용예술학회 [2008]
  • “스트레스와 탈모”
    심우영 유박린 『대한스트레스학회』, 15(2) [2007]
  • “생활 및 두피관리 습관과 두피 및 모발상태”
    노영희 이명주 『한국미용학회지』, 15(4), 1549-1558 [2009]
  • “두피질환과 모발표면에 오염된 미생물의 상관관계”
    김관옥 김성남 박두현 『한국미용학회지』, 17(4), 727-735 [2010]
  •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김주덕 이경란 『한국미용학회지』, 14(4), 1244-1263 [2008]
  • “대구지역 중년 남성의혈중 항산화 영양소와 지질 상태에 관한 연구”,『한국영양학회지』, 28(1)
  • “UV조사에 의한 모발의 형태와 물리적 변화”
    최원준 최정명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2(4), 233-238 [2008]
  • “TeaTree Essential Oil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보람 윤천성 『한국미용학회지』, 14(3), 837-849 [2008]
  • “Cornell Medical Index에 의한 Chronic Urticaria와 Alopecia Areata 환자의 정신건강평가”, 『대학피부과학회지』, 15(1)
    이강우 이연복 허원 한국 : 대한피부과학회 [2006]
  • Zviak C., “The Science of Hair Care”, 『Marcel Dekker』, New York, 2-44, 1986.
  • Zhang Y., Song S., Song D., Liang H., and Wang W., Ji A., “Proliferative effects on neural stem progenitor cells of a sulfated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the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J. Biosci. Bioeng』, 109(1), 67-72, 2010.
  • Yoshida N. H., Roberts M. S., “structure-transport relationship in transdermal iontophoresi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9(2-3), pp. 239-264, 1992.
  • Wang Y., Thakur R., Fan Q., Michniak B., “Transdermal iontophoresis: combination strategies to improve transdermal iontophoretic drug delivery”,『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s and Biopharmaceutics』, 60(2), pp. 179-191, 2005.
  • Stewart M. E., Downing D. T., Pochi P. E., Strauss J. S., “The fatty acids of human sebaceous gland phosphatidylcholine”, 『Biochem. Biophys. Acta』, 529, 380-386,(1978)
  • Squadrito F., Altavilla D., Squadrito G., Saitta A., Cucinotta D., Minutoli L., Deodato B., Ferlito M., Campo GM., Bova A., Caputi A. P, “Genistein supplemetation and estrogen replaciment therapy improve endothelial dysfunction induced by ovariectomy in rats”,『Cardiovascular Reseatch』, 45:454-462, 2000.
  • Singh P., Boniello S., Liu P., Dinh S., “transdermal iontophoretic delivery of methylphenidate HCL in vitro”,『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178(1), pp. 121-128, 1999.
  • Sieg A., Wascotte V.,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iontophoresis”, 『Journal of drug targeting』, 17(9), pp. 690-700, 2009.
  • Rosemarinus officinalis 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고찰과 피부관리 시 활용 가능성 연구
    홍수경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예술디자인학과 뷰티미용전공 석사학위논문, p. 12 [2010]
  • Ren M. Q., Kuhn G., Wegner J., Chen J., “Isoflavones. substances with multi-biological and clinical properties”,『J. Europen Nutr』 40:135-146, 2001.
  • Rauscher G. H., Shore D., and Sandler D. P., “Hair dye use and risk of adult acute leukemia”, 『Amer J. Epidermiol, 60, 19-25, 2004.
  • Rafet K., Ferah A.,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oxidant antioxidant status, and serum nitric oxide levels in alopecia areata”,『 Medicine Science Monit』, 11:296-299, 2005.
  • Peter H., Health Review『Magazine』, January. 1996.
  • Panchagnula R., Pillai O., Nair V. B., Ramarao P. “Trans dermal iontophoresis revisited”, 『Current Opinion in Chemical Biology』, 4(4), pp. 468-473, 2000.
  • Pack J. K., Yoon J. B., Sim W. Y., Kim BS., Kim N. I., “The prevalence and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 in Korean men and women”,『Br. J.』 of Dermatol, 145, 95-99, 2001.
  • Norwood O. T. “Male pattern baldness : classification andincidence”. 『South Med. J』. 68(11) : 1359-1365, 1975.
  • Murphy P. A., Tongtong S., Kobita B., “Isoflavones in soy-based infant formulas”, 『J Agric Food Chim』 45:4635-4638, 1997.
  • Moxsimux, “Capsaicin, Curcumin, apignen, isoflavone, lithium”, 『T CI's and L. T』. 2010-03-12, 2009.
  • Messina M., “Moden applications for an ancient bean: soybeans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J. Nutr』 125:567-569, 1995.
  • Meneghini R., Martins E., Calderaro M., “DNA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The role of metal In Free radical, From basic science to medicine, Molecular and biology up cates”, 『Birkhauser Velag Basal』, Switzerland, 102-112, 1993.
  • Mazumder A., Raghavan K., Weinstein J., Kohn K. W., Pommier Y., “Inhibi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1 integranse by curcumin”, 『Biochemical Phamacology』, 49:1165-1170, 1995.
  • Leibovita B. E., Siegel B. V., “Aspects of free radical reactions in biological systems: aging”, 『J. Gerontol』, 35: 45-56, 1980.
  • Lee S. E., Hwang H. J., Ha J. S., Kim J. H.,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Life Sci』, 73: 167-179, 2003.
  • Leduc S., “Introduction of medical substances into the depth of tissues by electric current”, 『Ann Electrobion』, 3, pp. 545-560, 1900.
  • Kigasawa K., Kajimoto K., Hama S., Saito A., Kanamura K., Kogure K., “Noninvasive delivery of si RNA into the epidemics by iontophoresis using an atopic dermatitis-like model rat”.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83(1-2), pp. 157-160, 2010.
  • Kaufman K. D.,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oralfinasteride, a type 5a-reductase inhibitor, on scalp hair in men with male pattern baldness”,『In Hair Research for the Next Millenium(eds D. Neste and V. A. Randall)』, pp. 363-365 Elsevier, Amsterdam, 1996.
  • Kassan D. G., Lynch A. M., ,Stiller M. J., “Physical enhancement of dermatologic drug delivery: Iontophoresis and phonophoresis”,『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34(4), pp. 657-666, 1996.
  • Kanikkannan N., “Iontophoresis-based transdermal delivery systems”, 『Bio Drugs』, 16(5), pp. 339-345, 2002.
  • Kang W. S., Kim J. H., Pack E. J., Yoon K. R.,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ea J . Food Sci』, Technol, 30:266-271, 1998.
  • Kalia Y. N., Naik A., Garrison, J., and Guy R. H., “Iontophoretic drug delivery”,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6(5), pp. 619-658, 2004.
  • Healing hair care institute, 『Hair care art』
    현문사 : 서울, p. 43 [2002]
  • Hamilton J. B., “The Male hormone stimulation is prerequisite an incitant in common baldness”, 『Am J. Anat』, 71:451-480, 1942.
  • Gago-Dominguez M., et al., Use of permanent hair dyes and bladder-cancer risk,『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91(4): 575-579, 2001.
  • Fukuzawa K., Takaishi Y., Antioxydants, 『J. Act.』 Oxyg. Free Rad. 1: 55-70. 1990
  • Fridovich I.,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Arch Biochem. Biophys』, 247: 1-11, 1986.
  • Doctor w, “1300억 ‘염모제’시장 누구?
    ” http://m.doctorw.co.kr [2015]
  • Choung M. G., Baek I. Y., Kang S. T., Han W. Y., Shin D. C., Moon H. P., Kang K. H.,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mex(L.)Merr.)”,『J. Agric Food Chem』 49:5848-5851, 2001.
  • Chena P. N., Kuo W. H., Chiou H. L., Hsieh Y. S., Chue S. C., “Black rice anthocyanins inhibit cancer cells invasio,” 『Intermational Journal of Cancer』 163:218-229, 2006.
  • Chen W, Zouboulis, C. C, Orfanos C. E. “The 5 alpha-reductase system and its inhibitors, Recent development and its perspective intreating androgen-dependent skin disorders”. 『Dermatology』 163(3), p. 177, 1996.
  • Chatterjee S, Padwal Desai S. R., “Thomas P.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urmeric (Curcuma longa L.) extract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2:487-49, 1999.
  • Camacho-Martnez F. M., “Hair loss in women”, 『Semin. Cutan』, Med. Surg., 28:19-32, 2012.
  • Bulgakov A. A., Eliseikina M. G., Petrova I. Y., Nazarenko E. L., Kovalchuk S. N., Kozhemyako V. B., and Rasskazov V. A., “Molecular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mannan-binding lectin from the holothurian Apostichopus japonicus”. 『Glycobiology』. 17(12), 1284-98, 2007.
  • Betz G., Angela A., Natalia M., Hans L., “In vivo comparison of various liposome formulations for cosmetic application”,『J. Pharmaceutics』, 296:44-54, 2005.
  • Bergfeld W. F., “Androgenetic alopecia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Am. J.』 Med. 98, 1995.
  • Banga A. K., Bose S., Ghosh T. K., “Iontophoresis of electroporation: comparison and contrasts”.『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179(1), pp. 1-19, 1999.
  • Bagchi D, Sen C. K, Bagchi M, Atalay M, “Anti-antiogenic,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properties of a novel anthocyanin-rich berry extract formula”, 『Biochemistry(Mosc).』 69;75-80, 2004.
  • Arnold H. L., Richard B. Odom, James W. D., “Andrew’s disease of the skin, 8th ed”,『clinical dermatology』, p. 879-882, 1990.
  • Anthony M. S., Clarkon T. B., Williams J. K., “Efects of soy isoflavones on atherosclerosis : potential mechanisms”, 『Am J. Chin Nutr』. 68: 1390-1393, 1998.
  • Ahmet A., Ercan A., Hakan E.,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scalp of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J. Dermatological. Sci』, 29:85-90, 12,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