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군사사상체계 정립 연구 = A Study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Military Thought System

김유석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군사사상체계 정립 연구 = A Study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Military Thought Syste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군사사상의 범주
  • 군사사상의 역할
  • 군사사상의 정의
  • 군사사상의 특성
  • 군사사상체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 0

0.0%

' 한국 군사사상체계 정립 연구 = A Study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Military Thought System' 의 참고문헌

  • ・테일러 워시번 역음,『미국의 아시아 회귀전략』
    이용인 파주:창비 [2014]
  • ・자위대,『방위백서 다이제스트』
    방위성 도쿄:방위성・자위대 , 2014 [2014]
  • ・AlexanderN.Fedorovskiy 편,『21세기 러시아의 국가전략과 한・러 전략적 동반자관계』
    배정호 서울:통일연구원 [2010]
  • 「한국 군사사상의 발전적 정립방안」
    류지영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4]
  • 「통일한국의 군사통합과 적정군사력 연구」
    주용식 숭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3]
  • 박사
  • 「공세적 현실주의의 군사적 재해석을 통한 한국형 기동함대 적기 전력화에 관한 연구」
    안병준 한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 현대전쟁과 테러
    조영갑 서울:선학사 [2009]
  • 합동참모본부,『합동기획』
    계룡:국군인쇄창 [2011]
  • 합동군사대학교,『군사전략』
    계룡:국군인쇄창 [2010]
  •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최용호 서울:국방부 군사편 찬연구소 [2004]
  • 한국전략문제연구소,“러시아,新군사독트린 발표”
    「국가안보전략」통 권32Vol042월호 [2015]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동아시아 전략평가』
    서울:한국전략문제 연구소,2014 [2014]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년 주변국 정세 및 대응전략 정책토론회 결 과보고서”,2014 [2014]
  • 한국이데아,『철학대사전』
    서울:한국이데아 [1993]
  • 한국무역협회 워싱턴지부
    “오바마 대통령의 의회 연설을 통해 본 년 국정운영 방향과 평가”,2015 [2015]
  • 한국군사사 연구
    이종학 대전:충남대학교출판부 [2010]
  • 통일부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
    서울:대원문화사 [2014]
  • 크레밸트(MartinvanCreveld),『전투력과 전투수행』,주은식 역
    서 울:도서출판 한원 [1994]
  • 콜린 플린트,“지정학의 재발견과 비판적 재구성”
    지상현 「공간과 사 회」년 통권 제31호, 2009 [2009]
  • 박사
    중국의 6·25 전쟁 종결전략 연구
    최북진 대전대학교대학원 군사학 박사학위 논문 [2013]
  • 존 M.콜린스,『직업군인과 일반인을 위한 군사지리』,이동욱 옮김
    마산:경남대학교출판부 [2008]
  • 전략론
    Liddell Hart, Basil Henry 파주:집문당 [2004]
  • 이라크전쟁과 안정화 작전
    손석현 서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4]
  • 이라크 전쟁
    이근욱 파주:도서출판 한울 [2011]
  • 육군본부,『군사용어사전』
    계룡:국군인쇄창 [2012]
  • 육군대학,『군사평론』제6호
    진해:육군대학 [1958]
  • 육군군사연구소,『한국군사사 ⑦』
    서울:경인문화사 [2012]
  • 에바타 켄스케,『전쟁과 로지스틱스』,강한구 역
    서울:한국국방연 구원 [2011]
  • 에드워드 M.얼,『신전략사상사』,곽철 역
    서울:기린원 [1980]
  • 쑨거・윤여일,『대담,사상을 잇다』
    서울:돌베개 [2013]
  • 손자,『손자병법』,김상일 역
    서울:하서출판사 [1972]
  • 북한의 핵운용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박창권 「국방정책연 구」제30권 통권104호 [2014]
  • 맥스 부트,『MADE IN WAR』,송대범・한태영 역
    서울:플래닛미디 어 [2008]
  • 러시아의 안보・군사전략 변화와 푸틴의 한반도정책
    여인곤 「통일연 구원 안보총서」-21,2001 [2001]
  • 러시아 세계경제 및 국제관계연구소(IMEMO),“러 보고서 북 이미 붕 괴중,연대엔 남에 흡수통일 될 것”
    조선일보,2011.11.4 [2030]
  • 대한민국정부,『천안함 피격사건 백서』
    서울:인쇄의 창 [2011]
  • 대한민국 부사관 총연맹 편찬,『알기 쉬운 군사사상』
    서울:Global [2007]
  • 노자,『도덕경』,오강남 역
    서울:현암사 [2013]
  • 기꾸찌히로시(菊地宏),『戰略基本理論』,국방대학원 역
    서울:국방대 학원 [1993]
  • 군수관리의 이론과 실제
    장기덕 서울:한국국방연구원 [2012]
  • 군사학연구회,『군사사상론』
    서울:플랫미디어 [2014]
  • 군사전략론
    황성칠 파주:한국학술정보 [2013]
  • 군사논단 편집실,“손자병법 속의 전략사상”
    「군사논단」제10호 [1997]
  • 국방부. 『국방백서』
    서울:국방부,2014 [2014]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조선후기 국토방위전략』
    서울:국방부 군 사편찬연구소 [2002]
  • 국방부
    전력발전업무 훈령 [2014]
  • 국방대학교,『군사사상과 비교군사전략』
    경기:국방대학교 [2013]
  •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제3조(시행
    법률 제10217호) [2010]
  • 공군대학,『군사전략사상사』
    대전:공군교재창 [2007]
  • 美의회조사국,『이라크 자유작전 美의회 보고서』,육군군사연구소 역
    계룡:국군인쇄창 [2011]
  • 王文榮,『戰略學』,北京:國防大學出版社,1999.
  • 淺野祐吾,『軍事思想史入門』,東京:原書房,2010.
  • 柳馨遠,『磻溪隨錄』卷21,兵制
  • 小山弘健,『軍事思想硏究』,東京:新泉社,1970.
  • 國內部,『中國武裝力量的多樣化運用』,北京: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 聞辦公室,2013.
  • 『합동기본교리』
    서울:합동참모본부 [2009]
  • 『합동국지도발 대비작전』
    서울:합동참모본부 [2011]
  •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주변국의 협력 유도 방안』
    신성진 서 울:통일연구원 [1999]
  • 『한권으로 읽는 사기』
    사마천 김도훈 역,서울:아이템북스 [2011]
  • 『한국통사』
    한우근 서울:을유문화사 [1992]
  • 『한국위기관리론』
    조영갑 서울:팔복원 [2009]
  • 『한국근대 군사사상사 연구』
    백기인 서울:국방부 군사편찬군사연 구소 [2012]
  • 『한국군사사 ⑫』
    서울:경인문화사 [2012]
  • 『한국국가안보전략사상사』
    문영일 서울:21세기군사연구소 [2007]
  • 『한국 군사사상』
    서울:육군본부 [1991]
  • 『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
    이종학 서울:주류성 [2004]
  • 『철학의 기초』
    김기곤 서울:박영사 [1985]
  • 『지상군기본교리』
    계룡:국군인쇄창 [2011]
  • 『전쟁론』
    Clausewitz, Carl von 제2권, 김만수 옮김, 서울: 갈무리 [2009]
  • 『전쟁론』
    김홍철 강창구 역,서울:병학사 [1991]
  •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
    이종학 대전:충남대학교 출판부 [2012]
  • 『왜 부유한 나라가 가난한 나라에 패하였는가?』
    서울:경성 문화사 [2012]
  • 『연합・합동작전 군사용어사전』
    계룡: 국군인쇄창 [2010]
  • 『에너지전쟁』
    대니얼 예긴 이경남 역,서울:사피엔스 21, 2013 [2030]
  • 『쉬운 손자병법』
    노양규 대전:육군대학 [2005]
  • 『손자병법강의』
    김병관 대전:육군대학 [2008]
  • 『손자병법』
    榎本秋 김원중 역,파주:글항아리 [2012]
  • 『세계전쟁사(上)
    계룡:국군인쇄창 [2012]
  • 『세계전쟁과 테러』
    조영갑 성남:선학사 [2011]
  • 『생동하는 육군을 위하여』
    김희상 서울:전광 [1993]
  • 『삼국사기』
    김부식 신호열 역해,서울:동서문화사 [2007]
  • 『러시아군사연구 제5집』
    배경환 대전:육군대학 [2005]
  • 『노자병법』
    윤성지 서울:매일경제신문사 [2011]
  • 『군인과 국가』
    허남성・김국헌・이춘근 역, 서울: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 『군사학 원론』
    장용운 서울:양서각 [2010]
  • 『군사학 개론』
    서울:국방대학교 [2013]
  • 『군사평론』
    제9호,진해:육군대학 [1959]
  • 『군사이론의 체계와 역할,현대 전략사상의 발전과정』
    김희상 서 울:전광 [1983]
  • 『군사사상의 정립체계』
    최문길 서울:국방대학원 [1994]
  • 『군사기본교리』
    서울:합동참모본부 [2002]
  • 『국제법론』
    김대순 11판,서울:삼영사 [2006]
  • 『국어대사전』
    이희승 서울:민중서림 [2015]
  • 『고려시대 군사전략』
    정해은 서울:국방부 군사편 찬연구소 [2006]
  • 『朴鍾鴻全集』
    박종홍 제Ⅴ권,서울:믿음사 [1998]
  • 『圖解손자병법』
    노병천 서울:연경문화사 [1999]
  • 『6・25전쟁사 전쟁의 배경과 원인』
    서울: 서울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4]
  • “핵 비확산 국제레짐과 한국의 핵안보 정책연구”
    임종화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한반도지정학”
    유정환 「H rodote」,제141호 [2011]
  • “한반도의 지정학적 구조 분석과 한국의 국가발전전략”
    박종상 경기 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외교안보학 박사학위 논문 [2012]
  • “한반도 통일과 일본의 전략적 이익”
    남창희 「국방대학교 안보문제 연구소 년 국제안보학술회의」,2014 [2014]
  • “한국의 군사력 건설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이필중 『한국의 군사력 건설과 전략』(서울:국방대학교) [2002]
  • “한국군의 군사외교 활동에 관한 연구”
    김순태 「東西硏究」제22권 [2010]
  • “한국 군사사상과 연구의 흐름과 근세 군사사상의 일례”
    노영구 「군 사학연구」통권 제7호 [2009]
  • “한‧미 확장억제정책위원회 구성의 의미와 과제”
    전성훈 통일연구원 [2010]
  • “한(韓)민족의 군사사상과 흥망성회의 교훈”
    김재철 「조선대 동북아 연구소」Vol22No.2 [2007]
  • “철학개론서와 교과과정을 통해 본 서양 철학의 수용∼ 1960)”
    이기상 「철학사상」5호, 1995 [1900]
  • “전쟁,1년에 1천 명 이상 희생자를 낸 적대행위”
    김재명 중앙대학교 ‘대학원신문’ [2011]
  • “신 냉전기 주변강국의 한반도 정책”
    김철수 「世界憲法硏究」第20卷 3號 [2014]
  • “북한 비대칭 전략과 우리의 대응개념”
    노훈 「국방정책연구」제29권 통권102호 [2013]
  • “미래 지상군의 사이버작전 개념발전 방안”
    이병구 이수진 「미래 How toFight에 기초한 전투발전」 [2014]
  • 박사
  • “군사사상의 혼미”
    M.K.Chopre 이황웅 역, 「군사평론」제6호 [1958]
  • “군사사상의 학문적 고찰”
    Jin, Seok-Yong 진석용 「군사학연구」통권 제 7호 [2009]
  • “군사사상의 고찰”
    이영환 「군사평론」제320호 [2008]
  • “국방예산 10년 평가와 중기 운용정책”
    안병성 이필중 「국방정책연 구」제29권 제1호 [2013]
  • “국방개혁의 추진경과와 향후 정책방향”
    부형욱 「동북아안보정세분석 」 [2014]
  • “고종의 ‘收夷制夷’적 일본인식과 武備自强策(1876~1881)”
    최보영 『한국근연대사연구』여름호(57집) [2011]
  • “東아시아 新질서 건축-한국의 살길과 일본의 비극,”
    김창기 『月刊朝 鮮』,년 12월호,2013 [2013]
  • “孫子兵法의 構造와 體系性硏究”
    지종상 충남대학교 대학원 군사학 박사학위 논문 [2010]
  • “IS(이슬람국가)보도 프레임 연구”
    김수완 「중동연구」제33권 3호 [2015]
  • “9.11테러 이후 미국의 아프간․이라크전 연합작전의 성격과 행태 분석”
    김은수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외교안보학 박사학위 논문 [2007]
  • ______________________, “China’s Unpeaceful Rise”, Current History,Vol.105,No.690,2006.
  • ___________________,Man,state,andWar:A TheoreticalAnalysis,
  • Wright,Quincy,A Study ofwar,Chicago:Chicago Univ.Press, 1983.
  • Waltz, Kenneth 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Addison-westeyCO,1979.
  • U. S. Army War College, 2013-2014 How the Army Runs, Pennsylvania:U.S.ArmyWarCollege,2013.
  • TheWhiteHouse,TheNationalSecurityStrategyofUnitedStates ofAmerica,2002.
  • Sun Tzu,The ArtofWar,trans.by SamuelB.Griffith,London: OxfordUniversityPress,1963.
  • Spykman, Nicholas J., The Geography of Peace, New York: HarcourtBraceandCompany,1944.
  • Snow,DennisM.Drew,『미국은 왜?전쟁을 하는가』, 권근영 역
    Donald M. 서울:연경문화사 [2003]
  • Seixas, Peter, “The Purpose of Teaching Canadian History”, CanadianSocialStudiesvol36No2,2002.
  • SamuelP.Huntington,『문명의 충돌』,이재희 역
    서울:김영사 [1997]
  • Ratzel,Fricdrich,Politische Geographie,Munich and Berlin,1897: 3rdedition,revised,1923.Sorokin,P.A.,SocialandCultural Dinamies,Vol.Ⅲ,New York:American Book Company, 1973.
  • PaulSeabury,『전쟁 목적과 수단』,김양명 역
    Angelo Codevilla 서울:명인문화사 [2011]
  • New York:ColumbiaUniversity,1959.
  • Morgenthau,Hans J.,Politics Among Nations: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New York:McGraw-HillHumanities, 2005.
  • Mearsheimer, John. J., “The False Promis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InternationalSecurity,Vol.19,No.3(Winter, 1994/1995)
  • Mattis(미 합동전력사령관 미 해병 대장),“미 합동개념발전 비 전”
    J.N 육군교육사령부 역 [2012]
  • Mackinder, Halford J.,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 GeographicalJournalvol.23.1904.
  • Lider,Julian,Origin & Development ofwest German Military Thought,Vol.1,London:GowerPublishingCompany,1985.
  • Lebow,Richard Ned,A CulturalTheoryofInternationalRelations, Cambridge:CambridgeUniversityPress,2008.
  • Kennedy,Paul,TheRiseand FalloftheGreatPower,New York: VintageBook,A divisionofRandom House,1989.
  • JohnLocke,『통치론』,강정인・문지영 역
    서울:까치글방 [2012]
  • Huntington,S.P.,The Soldierand the State,Cambridge:Harvard UniversityPress,2004.
  • Harkabi,Yehoshafat,NuclearWarandNuclearPeace,New Jersey :TransactionPublishers,2008.
  • George,David Lloyd,War Memoirs Ⅰ,London and New York, 1933.
  • G nterPoser,『소련의 군사전략』,김영국 역
    서울:병학사 [1979]
  • Earle, Edward Mead, Makers of Modern Strategy: Military Thoughtfrom MachiavellitoHitler,PrincetonUniv.Press, 1943.
  • Dupuy,T.N.,Understanding War:HistoryandTheoryofCombat, New York:ParagonHousePublishers,1987.
  • Doorn,Jacques Van,“Armed Forces and Society:Patterns and Trends”,in Van Doorn(ed.),Armed Forces and Society, TheHague:Mouton,2003.
  • Center for NavalAnalyses,NationalSecurity and the Threatof ClimateChange,Virginia:TheCNA Corporation,2007.
  • Castro,Renato Cruz De,“The Obama Administrations's Strategic Pivot to Asia: From a Diplomatic to a Strategic ConstrainmentofanEmergentChina”,TheKoreanJournal ofDefenseAnalysis,Vol.25,No.3,2014.
  • CalVonClausewits,『전쟁론』,류제승 역
    서울:책세상 [1998]
  • Blind,William S.;Nightengale,Keith;Schmitt,JohnF.;SuttonJose phW.;Wilson,GaryI.,"TheChangingFaceofWar:Into theFourthGeneration"MarineCorpsGazetteNovember2 001.Reprintedfrom MarineCorpsGazetteOctover1989.
  • (법률 제12232호
    군형법 일부개정)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