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이승민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승민
    • 기타서명 The spatiality in Korean documentary films
    • 형태사항 천연색삽화, 도표: iii, 187 p.: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주진숙,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영상학과 영상예술학-영화이론전공,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5. 8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홈페이지 www
    임민욱 minouklim.com
  • 홈페이지 www
    정윤석 neverc.com
  • 홈페이지
    임근준 chungwoo.egloos.com/4063697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지문화원 사이
    『확장된 개념의 경이의 방』도록 [2013]
  • 박사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현양식 연구
    남인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학위논문 [2004]
  •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의 대항기억 재현에 관한 연구
    맹수진 동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9]
  • 한국 과거청산의 제도화와 국민통합 노선의 전망
    김무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3 [2007]
  • 타자들의 '목소리'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남인영 『영상예술연구』 [2008]
  • 축제이론
    류정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인디다큐페스티발 홈페이지 www
    sidof.org
  • 이미지 시대의 역사 기억 : 다큐멘터리, 전복을 위한 반복
    남수영 새물결 [2009]
  • 월간미술편찬부,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 옵시스 아트 홈페이지
    www.opsisart.co.kr
  • 박사
    영화의 죽음 : 포스트필름 영화의 존재양식에 대한 연구
    조혜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학위논문 [2013]
  • 영상에 의한 역사서술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다큐멘터리 영화 자료를 중심으로)
    윤계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2007]
  •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가스통 동문선 [2003]
  • 멜랑콜리 미학
    김동규 문학동네 [2010]
  • 매체 다원화 시대 다큐멘터리 장르의 경계에 관한 연구
    전평국 『영화연구』 [2008]
  • 독립다큐멘터리 연구모임,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예담 [2003]
  • 다큐멘터리영화의 리얼리즘과 허구성
    피종호 『한국카프카 연구』 [2007]
  • 기억의 정치
    권귀숙 문학과지성사 [2006]
  • 구조주의 이후의 새로운 영화분석 방법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형상’으로서의 이미지와 내재적 구성주의, 그리고 역사
    이정하 『영상예술연구』 16 [2010]
  •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윤택림 아르케 [2010]
  •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함한희 『구술사연구』 창간호 [2010]
  • 공간으로 사회 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
    조명래 한울아카데미 [2013]
  • 감독과의 대화, (5월 9일)
    박경근 인디스페이스 [2014]
  • 감독과의 대화, (11월 23일)
    임흥순 압구정 CGV [2014]
  • 감독과의 대화 (11월 30일)
    이원우 압구정 CGV [2013]
  • 岡 眞理 (오카 마리), 『기억, 서사』, 김병구 역
    소명출판 [2004]
  • 『한국 영화의 시간, 공간, 육체의 문화정치학』
    김선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학위논문 [2005]
  • 『한국 독립다큐의 대부 김동원 展』
    강성률 맹수진 서해문집 [2010]
  • 『예술과 연금술: 바슐라르에 관한 깊고 느린 몽상 』
    이지훈 창비 [2003]
  • 『영화 역사와 미학』
    정헌 커뮤니케이션 [2013]
  • 『삶과 예술의 실험실 스쾃(SQUAT)』
    김강 문화과학사 [2008]
  • 『모더니티와 기억의 정치』
    강수미 문영민 현실문화연구 [2006]
  • 『도시빈민연구』
    정동익 아침 [1989]
  • 『근대성의 유령들』
    김소영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0]
  • 「후기 근대와 공간적 전환: ‘사회적 공간’으로서 공간」
    유승호 『사회와 이론』 23 [2013]
  • 「확장된 개념의 경이의 방 Cabinets of Curiosities」
    전시 홈페이지 www.blog.naver.com/jump_arko
  • 「한국독립다큐멘터리 주제 및 양식적 다양화에 대한 고찰」
    맹수진 『씨네포럼』 18 [2013]
  •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에서의 제작자의 개입과 노출에 관한 연구」
    이승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학위논문 [2009]
  • 박사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에 재현된 무당연구」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학위논문 [2014]
  • 「토탈리콜전: 무엇을 기록하고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를 위한 서언」
    방혜진 『아트인컬쳐』 [2014]
  • 「진실 재현을 위한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 전략: <경계도시>와 <경계도시2>를 중심으로」
    이승환 『현대영화연구』 12 [2011]
  •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 <백년전쟁>을 중심으로」
    정민아 [2013]
  • 「왜 다큐멘터리인가: 다큐멘터리의 특별함에 관하여」
    문원립 『영화연구』 62 [2014]
  • 「영화사 서술 방식으로서의 다큐멘터리: 그 의의와 양식에 관하여」
    목혜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0]
  • 「역사 밖 목소리로 되살린 광주민주화운동: 다큐멘터리 영화 <오월애> 중심으로」
    박우진 『주간한국』 [2011]
  • 「수집가의 알고리즘」
    맹정현 『인문예술잡지 F』 9호 [2014]
  • 「변화와 도전의 이름으로-국내 다큐멘터리 지형변화와 국내외 다큐지원제도」
    한선희 『KOFIC』 50 [2014]
  • 「다큐멘터리가 역사학습에 미치는 영향 비교-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사례로」
    김태우 [2009]
  • 「다큐멘터리 재현양식 연구: <워낭소리>와 <택시블루스> 중심으로」
    민환기 이유빈 『영상예술연구』 [2009]
  • 「년대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에서의 '나' - 텍스트에 나타나는 주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박소현 『영화문화연구』 10, 2008 [2000]
  • 「년대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서사(구조)에서 '감독-나'의 기능에 관한 고찰」
    이승민 『영상예술연구』 23, 2013 [2000]
  • 「나의 작품은 초점을 잃고 새로운 방향을 찾아가야 했다 : 한국독립다큐멘터리의 정체성, 역사, 기억을 중심으로」
    김선아 『영상예술연구』 12 [2008]
  • 「기록에서 수행으로: 다큐멘터리 퍼포먼스와 수행성 개념연구」
    홍유리 『영화예술학회』 22, 학회발제문 [2014]
  • 「공간적 선회: 한국독립영화의 공간적 선회: 년 이후 한국독립영화의 공간성 연구」
    이도훈 『문학과 영상』. 2013 [2008]
  • 「‘여성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설정의 필요성: 다큐멘터리영화 <외박>을 중심으로」
    배상미 『여성학논집』 [2014]
  • 「‘공간-다큐멘터리 영화’의 미학적 경향」
    이승민 『영화예술학회』 22, 학회발제문 [2014]
  • 「<두 개의 문>에 드러난 “현실의 창조적 재구성」
    이승민 『영화연구』 58 [2013]
  • 「4.3의 기억과 인식, 재현-<비념>」
    신은실 『독립영화』 43 [2013]
  • [토탈 리콜: 기록하는 미술, 기억하는 영화관] 감독과의 대담. 차재민
    정윤석, (5월 9일) [2014]
  • [독립영화 기획전: 시간여행 4부-공간다큐멘터리] 감독과의 대담, 임민욱
    한국영상자료원, (10월 9일) [2014]
  • [독립영화 기획전: 시간여행 4부-공간다큐멘터리] 감독과의 대담, 안건형
    한국영상자료원, (11월 27일) [2014]
  • [독립영화 기획전: 시간여행 4부-공간다큐멘터리] 감독과의 대담, 문승욱
    한국영상자료원, (11월 13일) [2014]
  • [독립영화 기획전: 시간여행 4부-공간다큐멘터리] 감독과의 대담, 김동령
    한국영상자료원, (10월 23일) [2014]
  • Young, James E. Art in Public Sphe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 Wood, Paul, 『개념미술』, 박신의 역
    열화당 [2003]
  • Ward, Paul. 『다큐멘터리: 리얼리티의 가장자리』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1]
  • Tuan, Yi-Fu, 『토포필리아 : 환경, 지각, 태도 가치의 연구』, 이옥진 역
    에코리브르 [2011]
  • Tuan, Yi-Fu, 『공간과 장소』
    구동회 심승희 역 [1995]
  • Thomson, Alistair., ‘Four Paradigm Transformations in Oral History,’ The Oral History Reiview 3, 2010.
  • Thomson, Alistair., Oral History and Photography, Palgrave Macmillan, 2011.
  • Thompson, Paul, ‘History and the Community,’ The Voice of the Past: O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Soja, Edward.,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이무용 역
    시각과 언어 [1997]
  • Soja, Edward., The space that difference makes, 2008.
  • Schroer, Markus, 『공간, 장소, 경계』, 정인모 배정희 역
    에코리브르 [2010]
  • Relph, Edward. C, 『장소와 장소상실』, 심승희 외 역
    논형출판사 [2005]
  • Portelli, Alessandro, Oral History and the Art of Dialogue, 1996.
  • Olick, Jeffrey K. 『기억의 지도』, 강경희 역
    옥당 [2011]
  • Nora, Pierre. 『기억의 장소』, 김인중 외 역
    나남 [2010]
  • Niney, Francois.,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예림 [2009]
  • Nichols, Bill., 『Introduction to Documentary』, Indiana University, 20120.
  • Nichols, Bill., Blurred Boundar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 Neney, Framcois,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조화림, 박희태 역
    예림기획 [2012]
  • Nathan Wachtel, Between Memory and History, Harwood Academic publish, 1990
  • Martin, Adrian, 「페이지를 넘겨라: 미장센에서 디스포지티프로」, 유운성 역
    『인문예술잡지 F』6 [2012]
  • Marchessault, Jaine & Lord, Susan., Fluid Screens, Expanded Cinem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 Manovich, Lev,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
    생각나무 [2004]
  • Lefebvre, Henri., 「현대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역
    기파랑 에크리 [2005]
  • Lefebvre, Henri, 『리듬 분석: 공간, 시간, 그리고 도시의 일상생활』. 정기헌 역
    갈무리 [2013]
  • Lefebvre, Henri, 『공간의 생산』, 양영란 역
    에코리브르 [2011]
  • Lacan, Jacques, 『욕망이론』, 민승기 역
    문예출판사 [1998]
  • Kwon, Miwoon, 「장소 특정적 미술」, 김인규, 이영욱, 우정아 역
    현실문화 [2013]
  • Kern, Stephen,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박성관 역
    휴머니스트 [2004]
  • Heidegger, Martin. 『예술작품의 근원』
    예전사 [1998]
  • Harvey,Dai d, “From space to place and back again: reflections on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2012.
  • Harvey, David, 『희망의 공간: 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최병두 역
    한울아카데미 [2009]
  • Harvey, David,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 역
    한울 [2013]
  • Ethington, Philip J., “Placing the Past ‘Goundwork for a Spatial Theory of History,” Rethinking History 11, 2007.
  • Ernst, Wolfgang. Parikka, Jussi, Digital Memory and the Archiv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2.
  • Ellard, Graham & Johnstone, Stephen, Anthony Mccall: Notebooks and Conversations,, Lund Humphries Pub Ltd; 2015.
  • Deleuze, Gilles, 『천개의 고원』, 김재인 역
    새물결 [2001]
  • Deleuze, Gilles, 『시네마 II 시간-이미지』, 이정하 역
    시각과 언어 [2005]
  • Deleuze, Gilles, 『소진된 인간』, 이정하 역
    문학과 지성사 [2013]
  • Crang, Mike, 『공간적 사유』
    최병두 역 [2013]
  • Cicero, Marcus, 『수사학』
    안재원 역, 길 [2006]
  • Bruzzi,Stella., New Documentary,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6.
  • Bourriaud, Nicolas, 『관계의 미학』, 현지연 역, 미진사, ; The Radicant
    Sternberg Press, New York, 2009 [2011]
  • Bollnow, Otto Friedrich, 『인간과 공간』, 이기숙 역
    에코리브르 [2011]
  • Bauman, Zygmunt, 『액체근대』 이일수 역
    도서출판강 [2005]
  • Barthes, Roland , 『롤랑바르트, 마지막 강의』, 변광배 역
    민음사 [2015]
  • Balsom, Erika, Exhibiting Cinema in Contemporary Art, Amsterdam University press.
  • Auge, Marc, Non-place: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1995.
  • Assmann, Aleida,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변학수, 채연숙 역
    그린비 [2011]
  • Arias, Santa “Rethinking space: an Outsider’s View of the Spatial Turn”, Geojournal 7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