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임 체육교사의 교육실천공동체 참여 실태 및 성장 모델 탐색

이의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의재
    • 기타서명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on on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and their development model
    • 형태사항 26 cm: 삽화: ix, 235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유정애,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체육학과 스포츠교육학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2015. 8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초임 체육교사의 교육실천공동체 참여 실태 및 성장 모델 탐색' 의 참고문헌

  • 혼합연구방법에서의 패러다임의 혼합
    이원석 교육문제연구, 39, 195-211 [2011]
  • 혼합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전략
    성용구 열린교육연구, 21(3), 129-151 [2013]
  • 현장논문 : 「체육교사모임」운영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김승재 박인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6(2), 135-154 [2009]
  • 한 교사의 실천적 체육교사모임 운영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인서 강원 [2009]
  •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대한 연구
    오혁진 평생교육학연구, 11(1), 23-41 [2005]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체육교사의변화 경험과 요인 탐색
    오승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1(3), 67-88 [2014]
  •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창국 서울 [2002]
  •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박선형 교육행정학연구,22(1), 157-177 [2004]
  • 학습공동체 개념 구안을 위한 시론
    정민승 평생교육연구, 30, 75-90 [1997]
  • 학교체육활성화 추진계획(시안)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3.06.25(화) [2013]
  •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25(2), 53-80 [2008]
  •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선경 경기 [2011]
  • 초임 중등체육교사의 교직 적응과정
    최희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9(2),43-63 [2002]
  • 초등학교 온라인 교사 학습 공동체에서의 지속적 지도력
    김예진 유선경 이성은 초등교육연구, 20(3), 17-35 [2007]
  • 초등교사의 체육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 교수 전문성 개발에 관한 해석적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승배 서울 [2008]
  • 초등교사의 교과교육 학습공동체 참여지속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양수 평생교육학연구, 14(4), 133-154 [2008]
  • 초기 경력자의 실행공동체 참여와 학습 및 적응과의 상관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장주희 서울 [2005]
  • 체육전문인교육
    최의창 서울: 생능출판사 [2009]
  • 체육연구방법
    강상조 서울: 21세기교육사 [1994]
  • 체육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기희 서울 [2015]
  • 체육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최의창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25-58 [2001]
  • 직무향상을 위한 기업내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학습전략 규명.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호경 서울 [2003]
  • 지식관리시스템의 사용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에관한 연구. 미간핵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강문상 서울 [2011]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초기곤란에 관한 연구:한 체육교사의사례연구
    강신복 최희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1-14 [2000]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과지도시 갈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대원 서울 [2005]
  • 중학교 초임 여자 체육교사의 교직적응 사례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조규상 서울 [2008]
  • 중등학교 초임교사의 장학에 대한 인식
    김순득 장한기 수산해양교육학연구, 18(1), 65-76 [2006]
  • 중등 예비교사의 씨름학습공동체 활동경험과 교사교육관점에서의 교육적 의미 탐색
    양정모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4), 125-148 [2012]
  •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소재 일반계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송은경 장선희 교과교육학연구, 6(1), 63-95 [2002]
  •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1-27 [2007]
  • 전국체육교사모임의 형성과 발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김재룡 강원 [2005]
  • 전국체육교사모임의 조직정체성 형성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정준 충북 [2006]
  • 인적자원개발부서 주도의 실행공동체(CoP) 창출 및 활성화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최미나 서울 [2003]
  •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 양상. 미간행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고영미 충북 [2005]
  •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 심미교육을 중심으로. 미간행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최남정 부산 [2013]
  • 웹기반형 교수설계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실천공동체 형성방안: 미국 G 대학교의 ‘설계스튜디오’ 사례분석
    김도헌 교육공학연구, 19(3), 199-229 [2003]
  • 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인가?
    유정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 1-18 [2010]
  •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대한 성인교육학적 이해.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민승 서울 [2000]
  • 온라인 실행공동체(Communities-of-Pracice) 활성화 요인과스폰서의 영향
    고준 엄기용 한국경영정보학연구, 16(2), 183-203 [2006]
  • 실행공동체에의 참여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D사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형석 서울 [2013]
  •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과 학습문화 : ‘꿈나래 배움터’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김영옥 경기 [2013]
  • 실천공동체의 촉진을 위한 조직적 접근방안
    정재삼 금융지식연구, 2(2),230-251 [2004]
  •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의 의미와 도덕교육적 함의
    전재영 한국초등교육, 23(1), 75-93 [2012]
  • 실천공동체(CoP)에 입각한 지역사회교육운동 사례의 성과요인 분석
    이소연 평생교육학연구, 18(3), 57-82 [2012]
  • 신임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송홍근 전북 [1999]
  •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동학년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형성에 관한 반성적 실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이미호 경남 [2006]
  •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 변화와 교수전문성 발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양정모 충북 [2010]
  •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비평 공동체에 관한 연구
    신지혜 열린교육연구, 19(2), 71-97 [2011]
  • 수업분석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학교사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최수일 서울 [2009]
  • 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학습행위에 대한 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지영 서울 [2010]
  •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실천공동체의 효과적 구성을 위한 연구
    박혜영 기업교육연구, 4(1), 53-71 [2002]
  •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실천공동체 운영전략: S사의 지식경영구축 사례를중심으로
    방유성 이명성 지식경영연구, 1(1), 127-137 [2000]
  • 사회복자사의 CoP(실천공동체) 참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윤현경 서울 [2011]
  • 미술교사를 위한 웹기반 학습공동체 구축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정연희 충북 [2003]
  •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
    강명희 임병노 서울: 학지사 [2002]
  •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 혼합연구방법을 통한 인사동과 대학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권윤구 서울 [2013]
  • 대기업 실천공동체의 성과와 조직적 지원, 리더역량 및 운영방법간의 구조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홍성수 서울 [2010]
  • 기업 내 실행 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진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장윤영 서울 [2009]
  •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재판)
    손민호 서울: 문음사 [2006]
  • 교육행적학의 혼합방법연구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
    박선형 28(2),27-54 [2010]
  • 교육과학기술부 모든 중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실시 -전국 17개시?도교육청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전면시행-
    보도자료 2012. 09.27(목) [2012]
  • 교원 질 향상을 위한 교사의 초기 교직사회화
    박동준 충북대 교육개발연구논총, 12, 1-30 [1992]
  • 교실기반 지식생산공동체설계
    정현미 한국교육공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집, 99-118 [2000]
  •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전남익 서울 [2010]
  •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의사소통 수업전략 프로그램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홍향미 충북 [2013]
  •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실행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이경숙 경남 [2015]
  •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지리교사 전문성 발달: 근거이론적접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대훈 충북 [2014]
  •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김성천 서울 [2007]
  •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학습공동체 중심의 교사 연수 개선 방안
    곽영순 민재원 임수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21-148 [2010]
  • 교사 전문성 연구
    유정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41-59 [2000]
  •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2009]
  •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의 현황과 참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신나는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전화영 서울 [2009]
  • 박사
    공립학교군별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에 관한 연구
    장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2010]
  • 공공부문 실천공동체(CoP)활동의 전개과정 및 영향요인 탐색: A지방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최은희 서울 [2010]
  • Yongcan, L. & Yueting, X.(2011). The trajectory of learning in a teachercommunity of practice: a narrative inquiry of a language teacher'sidentity in the workplac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8(2), 176-19
  • Wenger, E., McDermott, R., & Snyder, W.(2002a). Cultivating communities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Cambridge, MA: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Wenger, E., McDermott, R., & Snyder, W. (2002b). Seven principles for cultivatingcommunities of practice.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4.
  • Wenger, E.(2000) Communities of Practice and Social Learning System. organizationarticles, 7(2). 225-246.
  • Wenger, E. and W. Snyder. (2000a) "Community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January/Februay), 139-145.
  • Wenger, E. (1998b). Learning as a social system. Systems Thingker, 9(5),1-11.
  • Wenger, E. (1998a).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Virtual 실행공동체의 진단 방법론 개발
    홍종의 한국경영과학회, 29(1),73-88 [2012]
  • Vescio, V., Ross, D. & Adams, A. (200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mpact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teaching practice andstudent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cuation, 24, 80-91Wenger, E. (1998a). Communities of practice : Learning, meaning & identity.
  • Veenman, S.(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 Review of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 The Social of Information. President andFellows of Harvard College. 이진우(역.), 비트에서 인간으로
    Brown, J. S. Duguid, P. 서울 :기획 출판 거롬 [2000]
  • Templin, T.J., & Griffey, D.C. (1987). Editorial. Journal of Teaching inPhysical Education, 7, 1-4.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 917-946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 The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 Sirna, K.m Tinning, R., & Rossi, T.(2008). The social tasks of learning tobecom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Considering the HPE subjectdepartment as a community of pratice. Sport, Education and Society,13(3), 285-300.
  • Sharp, J. (1997). Community of Practice: A Review of Literature, March, 12,1997, URL http://www.tfriend.com/cop-lit.htm.
  • Sergiovanni, T. J., & Strarratt, R. J.(2007). The supervisor's educationalplatfrom. Supervision: A redefinition (8th ed.). New York: McGrawHill.
  • Self-study를 통한 실천공동체의 학습문화
    김진희 교육문화연구, 17(3), 59-86 [2011]
  • Schlager, M. S. & Fusco, J. (2003).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echnology,and communities of practice: Are we putting the cart beforethe horse?. The Information Society, 19, 203-220.
  • SK C&C, 유영만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
    서울: 한언 출판사 [2001]
  • Roberts, S. M. & Pruitt, E. Z.(2008). Schools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Collaborative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fessionaldevelopment. Corwin Press.
  • Richards, K. A., & Templin, T. J.(2011). The Influence of a State MandatedInduction Assistance Program on the Socialization of a BeginningPhysical Education Teacher.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30(4), 340-357.
  • Popham, W. J. (2008). Timed tests for tykes? Educational Leadership, 65(8),86-87
  • Palloff, R., & Pratt, K.(1998). Effective teaching learning in the virtualclassroom. Paper presented at and published in the proceedings ofthe Teleteaching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Computer Congress,Cienna, Austria, and Budapest, Hungary(August, 1998).
  • O’Donnell, D., Porter, G., McGuire, D., Garavan, T. N., Heffernan, M., & Cleary,P. (2003). Creating intellectual capital: a Habermasian communityof practice (CoP) introduction.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27(2/3/4), 80-87.
  • Orr, J.(1990). "Sharing Knowledge Celebrating Identity: War Stories andCommunity Memory in a Service Culture," In D. Middleton and D. Edwards (Eds.), Collective remembering: Memory in Society,Beverley Hills, CA: Sage Publications.
  • Onge, H. & Wallace, D. (2003). Leveraging Communities of Practice forStrategic advantage. Butterworth-heinemann: Burlington.
  • O' Sullivan, M., & Deglau, D. (2006). Principles of profesional development,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cuation, 25(4), 441-449.
  • Nickols, F. (2003). Community of practice overview, Distance Consulting Company. [Online Document]. Available: http://home.att.net/~Discon/KM/CoPOverview.pdf.
  • Mcdermott, R. (2000). Community development as a natural step. KnowledgeManagement Review, 3(5), 15-20
  • McLaughlin, M. W., & Talbert, J. E.(2001).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work of high school teaching.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6).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McDermott, R. (1999). Why information technology inspired but cannot deliverknowledge management.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May-June.
  • Marso, R. N. & Pigge, F. L.(1987). Differces between Self-perceived JobExpectation and Job Realities of Beginning Teacher. Journal ofTeacher Eduction, 38(6), 53-56
  • Marable, M. A., & Raimondi, S. L. (2007). Teacher’s perceptions of whatwas most(and least) supportive during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Mentoring & Tutoring, 15(1), 25-37.
  • Louis, K. S., Marks, H. M., & Kruse, s. d.(1996). Teachers professionalcommunity in restucturing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Journal, 33, 757-798.
  • Louis, K. S., & Marks, H. M.(1998). Does professional community affect theclassroom? Teachers work and student experiences in resructuringschool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06, 532-575.
  • Lieberman, A., & Wood, D. R. (2002). The National Writing Project. Educational Leadership, 59(6), 40-44.
  • Lieberman, A., & Pointer, M. D. (2008). Teacher Learning : The Key toEducational Reform.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 226-234
  • Lesser, E., & L. Prusak.(1999). Communities of practice, social capital andorganiz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Systems Review, 1(1), 3-10.
  • Lawson, H. A. (1988). Occupational socialization, cultural studies and physicaleducation curriculum.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7(4), 265-288
  • Lave, J., & Wenger, E.(1991). Situated Learning : Legitimate peripheralParticipation. Cambride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Judith, W. L.(2002). Locating learning in teachers communities of practice:opening up problems of analysis in records of everyday work.
  • Jonassen, D. H.(2001). Communication patterns in computer mediated versusface-to-face group problem solv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and development, 49(1), 35-52.
  • Johnson, R. B., & Onwuegbuzie, A. J. (2004). Mixed methods research: A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Educational Researcher,33(7), 14-26
  • Hughes, T. A. Kritsonis, W. A.(2006). A national perspective: An exploration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mpact on schoolimprovement efforts. National Journal for Publishing and MentoringDoctoral Student Reseach, 1(1), 1-12.
  • Howe, K. R. (1988). Against the quantitative-qualitative incompatibility thesisor dogmas die hard. educational researcher, 17(8), 10-16.
  • Hord, S.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inquiry and improvement. Austi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Laboratory.
  • Hord, S. & Sommers, W. A.(2007). Lead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Voices from research and practice. Thousands Oaks, CA: TheCorwin Press.
  • Hildreth, P. M., & Kimble, C. (2004). Knowledge networks: Innovation throughcommunities of practice. IGI Global.
  • Herrington, A., Herrington, J., Kervin, L., & Ferry, B.(2006). The design ofan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for beginning teacher. Contemporary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6(1), 120-132.
  • Henderson, L.(1996). Instructional design of interactive multimedia. Educational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4(4), 85-104.
  • Harrison, J., Dymoke, S., & Pell, T. (2006).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insecondary schools: An analysis of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Education, 22, 1055-1067.
  • Gongla, P. and C.R. Rizzuto(2001) "Evolving communities of practice: IBMGlobal Services experience". IBM System Journal, 40(4), 842-862.
  • Fuller, A., Hodkinson, H., Hodkinson, P., & Unwin, L(2005). Learning asperipheral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a reassessmentof key concepts in workplace learning. British Education ResearchJournal, 31(1), 49-68
  • Fullan, M., & Hargreaves, A. (1996).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School?.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 Foord, K. & Haar, J. M.(200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 implementationguide and toolkit. Larchmont, NY: Ete on Education.
  • DuFour, R. (2004).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leadership, 61(8), 6-11.
  • DuFour, R. & Eaker, R.(199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practice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Reston, VA: ASCD.
  • DuFour, R, Eaker, R, & Many, T.(2006). Learning by doing: Professionallearning communuties at work. Bloomington, IN: Solution Trees.
  • Creswell, J. W.(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methods approaches, 3rd, ED. CA: Sage.
  • Cox, A.(2005). What are communities of practice? A comparative review offour seminal work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1(6), 527-540.
  • Corbin, J. M. & Strauss, A. L.(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3rd ed.). Los Angeles: Sage.
  •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온라인?오프라인 활동에 대한 영향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자기지식 손실에 대한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장희영 광주 [2009]
  • Carroll, M. (2009). Chartered Teachers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enquiry:the experience of five Scottish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in Education, 35, 23-42.
  • Cambridge, D., S. Kaplan, and V. Suter(2005). Community of Practice DesignGuide, http://www.educause.edu/ir/libra ry/pdf/NLI0531.pdf.
  • Cambridege
    UK : Cambridege University Press. 손민호, 배을규 공역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실천공동체. 서울. 학지사 [2007]
  • Burden, P. R. (1979). Teacher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anceso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h. D. Dissertation. The Ohio Stfate University.
  • Bryman, A.(2006). Integrating quani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ow is itdone?. Qualitative Research, 6(1), 97-113.
  • Bryk, A., Camburn, E., & Louis, K. S.(1999). Professional community inChicago elementary schools: Facilita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consequence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5(suppl.), 751-781.
  • Brown, J. S., & Duguid, P. (1998). Organizing knowledge, California ManagementReview, 40(3), 90-111.
  • Brown, J. S., & Duguid, P. (1991). Organizational learning andcommunities-of-practice: Toward a unified view of working, learning, and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2(1), 40-57.
  • Brian, H.(2013). School Teachers'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nOnline Learning Community: lessons from a case study of an eTwinningLearning Event.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48(1), 97-112.
  • Barth, R. (1990). Improving schools from within. San Francisco, CA: Jossey BassBettoni, M., G.A. Endress, and R.S. Schneider(2002). Communities of Practice. Univ. of Fachhochschule beider Basel, http://fhbb.ch/Weknow/macro/A2002.kmp.
  • Barab, S. A., Makinster, J. G., & Scheckler, R.(2003). Designing systemDualities: Characterizing a web-supported professional developmentcommunity. The Information Society, 19, 237-256.
  • Armour, K. M., & Yelling, M.(2007).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role of informal, collaborativelearning.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6(2), 177-200
  • Ann, L.(2000). Networks as Learning Communities Shaping the Future of TeacherDevelopment.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1(3), 221-227.
  • (The) Third wave. 장문평 역(1980). ?제3의 물결?
    Toffler, A. 서울: 경미출판사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