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정일 시대 북한체제의 ‘제도적 퇴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Decay’ of North Korean Regime in Kim Jong-Ils Era

최진업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김정일 시대 북한체제의 ‘제도적 퇴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Decay’ of North Korean Regime in Kim Jong-Ils Er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김정일 시대
  • 사회주의
  • 제3세계 독재국가형 체제
  • 제도적 퇴락. 독재정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3 0

0.0%

' 김정일 시대 북한체제의 ‘제도적 퇴락’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Decay’ of North Korean Regime in Kim Jong-Ils Era' 의 참고문헌

  • 후지모토 겐지 저. 신현호 옮김. 『김정일의 요리사』
    서울: 조선일보사 [2004]
  • 편저. 『신식민지 국가독점자본주의』
    김석민 서울: 새길 [1989]
  • 편저. 『김정은시대의 경제와 사회: 국가와 시장의 새로운 관계』
    양문수 파주: 한울 [2014]
  • 편. 『신제도주의 연구』
    정용덕 서울: 대영문화사 [1999]
  • 통일연구원 편. 『김정일연구: 리더쉽과 사상(1)』
    서울: 통일연구원 [2001]
  • 통일교육원. 『북한문제의 이해: 실태와 변화 가능성』
    서울: 통일교육원 [1999]
  • 털럭 지음. 황수연․황인학 옮김. 『전제정치』. 부산: 경성대학교출판부, (Tullock, Gordon
    고든 Autocracy) [2011]
  • 철학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5]
  •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서울: 중앙일보사 [1992]
  • 조선로동당연구: 지도사상과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1995]
  • 정권 3년 평가와 년 대남전략 전망
    김정은 현성일 ”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주최 학술회의 발표자료집, 2014.12 [2015]
  • 전환기의 북한 사회통제 체제
    이우영 통일연구원 [1999]
  •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편. 『선군시대 북한여성의 삶』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 와다 하루키 저. 서동만․남기정 역.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국가로』
    서울: 돌베게 [2002]
  • 와다 하루끼 저. 이종석 역.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2]
  • 엮음. 『북한의 국가성격 변용에 관한 연구: 예외국가의 공고화』
    최완규 서울: 한울 [2001]
  • 역사적 제도주의
    하연섭 정용덕 편, 『신제도주의 연구』. 서울: 대영문화사 [1999]
  • 역사문제연구소 편. 『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서울: 역사비평사, 1998 [1950]
  • 에쓰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 저. 최완규 역.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서울: 시공사, (Acemoglu, Daren. & James A. Robinson. Why Nations Fail: The Origin of Power
    대런 Prosperity, and Poverty) [2012]
  • 신의주 공장연구: 고난의 행군시기의 공장실태
    차문석 『통일문제연구』. 제18권 제1호, 년 상반기 [2006]
  • 스즈키 마사유키 저. 유영구 역.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서울: 중앙일보사 [1994]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조선로동당의 외곽단체』
    서울: 한울 [2004]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사회문화』
    파주: 한울 [2006]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당・국가기구・군대』
    파주: 한울 [2007]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경제』
    파주: 한울 [2005]
  • 서동만. 『북한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61』
    서울; 선인, 2005 [1945]
  • 새뮤엘 P. 헌팅턴 저, 민준기․배성동 공역, 『정치발전론: 변혁사회에 있어서의 정치질서』. 서울: 을유문화사,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1988]
  • 사회과학출판사. 『령도체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5]
  • 사회과학원경제연구소 공업경제연구실. 『사회주의경제관리에서 대안의 사업체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69]
  • 사회과학원 김일성동지혁명력사연구실. 『조선로동당의 사회주의 건설 령도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5]
  • 비교정치이론에서 조정게임의 기여와 과제: 거시 역사 및 제도 연구를 중심으로
    한병진 『국제정치연구』. 제14집 2호 [2011]
  • 브루스 부에노 데 메스키다・알라스테어 스미스 지음. 이미숙 역. 『독재자의 핸드북: 사상 최악의 독재자들이 감춰둔 통치의 원칙.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Mesquita, Bruce Bueno de and Alastair Smith
    The Dictator's Handbook: Why Bad Behaviors is Almost Always Good Politics) [2012]
  • 북한의 화폐개혁: 실태와 평가
    양문수 『통일문제연구』. 제22권 제1호 [2010]
  •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박순성 홍민 파주: 한울 [2010]
  •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구조변화
    양문수 『KDI 북한경제리뷰』. 년 8월호 [2013]
  •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김연철 서울: 역사비평사 [2001]
  •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홍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박사
  • 북한의 권력게임과 빗장전략
    한병진 『현대북한연구』. 16권 1호 [2013]
  • 북한의 국가전략과 파워엘리트 : 간부정책을 중심으로
    현성일 서울: 선인 [2007]
  • 박사
  • 북한경제포럼 편. 『현대북한경제론: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
    서울: 오름 [2005]
  • 북한경제의 탈산업화와 관료의 자기특권화 경향: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북한경제의 ‘정치적 네덜란드 병’
    윤철기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5집 제1호 [2013]
  • 북한경제의 시장화 양태·성격․메커니즘․함의
    양문수 서울: 한울 [2010]
  •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임강택 서울: 통일연구원 [2009]
  • 북한 시장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박형중 『한국정치학회보』. 제46집 제5호, 년 겨울 [2012]
  • 북한 도시주민의 사적 영역 연구
    이우영 파주: 한울 [2008]
  • 북한 대외정책의 결정구조와 과정
    류길재 『통일문제연구』12. 통일원 교육홍보국 [1991]
  • 북한 군부는 왜 쿠데타를 하지 않나 :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와 군부의 정치적 역할
    이대근 서울: 한울 [2003]
  • 북한 경제의 동학(動學)과 잉여의 동선(動線):특권경제를 중심으로
    차문석 『통일문제연구』. 제21권 제1호, 년 상반기 [2009]
  • 북한 경제발전전략의 지속과 변화
    이영훈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경제』.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북한 '수령체제'의 변화와 '수령승계방식'의 한계에 관한 연구
    이승열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회 편.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서울: 오름 [2003]
  • 민족통일연구원. 『북한사회주의 체제의 위기수준 평가 및 내구력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6]
  • 린쯔・스테판 지음, 김유남․이충묵․주미영․안순철․이상환 옮김, 『민주화의 이론과 사례: 이상과 현실의 갈등』, 서울: 삼영사, (Linz, Juan J. and Alfred Stepan.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Southern Europe
    South America, and Post-Communist Europe) [1999]
  • 리혜정. “당의 령도는 사회주의정권이 인민의 정권으로서의 사명과 역할을 다하기 위한 근본담보‘.”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고전적로작 《사회주의 건설의 력사적 교훈과 우리 당의 총로선》에 대한 해설론문집』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3]
  • 리태한.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을 더욱 힘 있게 벌려 나기기 위한 구역당위원회의 조직정치사업.” 『근로자』
    년 제5호 [1991]
  • 리기성. 『주체의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의 법칙과 범주 1』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
  •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연구를 위한 노트.” 이진수 역. 『레닌과 철학』
    서울: 백의 [1991]
  •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지음. 한홍구 옮김. 『한국공산주의운동사』
    파주: 돌베게 [2015]
  • 또 하나의 북한사회: 사회구조와 사회의식의 이중성 연구
    서재진 서울; 나남출판사 [1995]
  • 더글라스 C. 노스. 이병기 역. 『제도 제도변화 경제적 성과』. 서울: 자유기업센터, (North, Douglass C. Institution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1997]
  • 당의령도는혁명과건설의승리를위한기본요인
    김형원 『근로자』. 년 8호 [1986]
  •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황장엽 서울: 한울 [1999]
  • 김정일정권의권력구조
    김갑식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5]
  •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1-5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 김정일. “혁명적 군인정신을 따라 배울데 대하여” 『김정일선집 1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1997]
  • 김정일. “주체의 사회주의경제관리리론으로 튼튼히 무장하자” 『김정일선집 1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1 [1991]
  • 김정일.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986]
  • 김정일. “조선민족제일주의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989]
  • 김정일. “위대한 수령님을 영원히 높이 모시고 수령님의 위업을 끝까지 완수하자” 『김정일선집 1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1994]
  • 김정일. “올해를 새 세기의 진격로를 열러 나가는데서 전환의 해로 되게 하자” 『김정일선집 2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2001]
  • 김정일. “새 세기, 21세기는 정보산업의 시대이다” 『김정일선집 1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5 [2001]
  • 김정일.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김정일선집 1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1994]
  • 김정일. “부대정치위원회의 임무, 조선인민군 군부대 정치위원과 한 담화” 『김정일선집 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1972]
  • 김정일. “당을 강화하고 그 령도적 역할을 더욱 높이자” 『김정일선집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1989]
  • 김정일. “당사업을 근본적으로 개선강화하여 온 사회의 김일성주의화를 힘있게 다그치자”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1974]
  • 김정일. “경제사업을 개선하는데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정일선집 1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1996]
  • 김정일, “우리는 지금 식량 때문에 무정부 상태가 되고 있다, 년 12월 김일성 종합대학 창립 50돌 기념 김정일 연설문.” 『월간조선』
    1997년 4월호 [1996]
  • 김정일 시대 북한의 당 ? 정 ? 군 관계 변화 수령제 변화의 함의를 중심으로
    김근식 『한국정치학회보』. 제36집 2호, 여름 [2002]
  •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의 모색: 현황과 평가
    양문수 『KDI 북한경제리뷰』. 년 3월호 [2014]
  • 김정은 정권의 제도적 기반: 당과 국가기구를 중심으로
    정성임 『통일정책연구』. 제21권 제2호 [2012]
  •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1-7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1970]
  • 김일성. “학생들을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의 참된 후비대로 교육 교양하자” 『김일성저작집 3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1985]
  • 김일성. “주체의 경제관리체계와 방법을 철저히 관철하자” 『김일성저작집 3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984]
  • 김일성. “조선로동당 제 4차대회에서 한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 『김일성저작선집 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8 [1961]
  • 김일성. “조선로동당 건설의 력사적 경험” 『김일성저작집 4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1986]
  • 김일성. “일군들 속에서 혁명성, 당성, 로동 계급성, 인민성을 높일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1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984]
  • 김일성. “우리나라 사회주의제도를 더욱 강화하자” 『김일성저작선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4 [1972]
  • 김일성. “수송사업에서 새로운 혁신을 일으킬 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3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6 [1977]
  • 김일성. “사회주의경제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2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1973]
  •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건설에서 나서는 당면한 몇가지 과업에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1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1959]
  • 김일성. “분조관리제를 정확히 실시하며 농업생산에서 앙양을 일으킬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2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1968]
  • 김일성. “모든 것을 조국의 륭성 발전을 위하여”『김일성저작집 1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1958]
  • 김일성. “모든 것을 전후인민경제복구 발전을 위하여” 서대숙 편. 『북한문헌연구: 문헌과 해제』. 제5권 경제발전
    서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4 [1953]
  • 김일성. “대안의사업체계를 더욱 발전시킬데 대하여”『김일성저작집 1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1962]
  • 김일성. “당원들에 대한 당 생활지도를 강화하며 우리 당 간부정책을 옳게 관철할 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2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1968]
  • 김일성. “당사업을 더욱 강화할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2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5 [1974]
  • 김일성. “당 조직사업과 사상사업을 개선 강화할 데 대하여”『김일성저작선집 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8 [1962]
  • 김일성. “농촌경리의 금후 발전을 위한 우리 당의 정책에 관하여”『김일성저작선집 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7 [1954]
  • 김일성. “관료주의를 퇴치할 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선집 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7 [1955]
  • 김일성. “강서군당 사업지도에서 얻은 교훈에 대하여” 『김일성저작선집 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8 [1960]
  • 김일성. “간부들속에서 당의 유일사상체계를 세우며 혁명화하기 위한 사업을 강화할 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2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1970]
  • 김일성 리더십 연구:수령 체계의 성립 배경을 중심으로
    이태섭 서울: 들녘 [2001]
  • 근로자 편집국. “청산리 방법은 사회주의 건설을 촉진하는 위력한 무기이다.” 『근로자
    년 2월(상) 제3호 [1963]
  • 근로자 편집국 논설. “우리식 사회주의의 불패의 위력을 더욱 강화하자.” 『근로자』
    년 제7호 [1991]
  • 계획과 시장의 공존
    임수호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8]
  • 계획’에서 시장으로 : 북한체제변동의 정치경제
    정세진 서울: 한울 [2000]
  • 곁에서 본 김정일
    정창현 서울: 김영사 [2000]
  •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편. 『북한현대사 1』
    서울: 한울 [2004]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편.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의 정치 경제』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1993]
  • 『황장엽의 대전략: 김정일과 전쟁하지 않고 이기는 법』
    황장엽 서울: 조선일보사 [2003]
  • 『현대정치학』
    진덕규 서울: 학문과 사상 [2003]
  • 『현대북한행정론』
    최진욱 고양: 인간사랑 [2002]
  • 『현대북한학 강의』
    장달중 서울: ㈜사회평론 [2013]
  • 『총검을 들고』
    송상원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2]
  • 『중앙일보』『조선일보』『연합뉴스』『통일뉴스』『오늘의 북한소식』『데일리NK』『NKVISION』『월간중앙』『신동아』『월간조선』
  • 『주체의 경제관리리론』
    박영근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
  • 『주체사상의 이론적 변화』
    金聖哲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3]
  • 『조선전사 32』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2]
  • 『조선말사전(Ⅱ)』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하연섭 제2판. 서울: 다산출판사 [2013]
  • 『정치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3]
  • 『재정금융사전』
    사회과학원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5]
  • 『일심단결의 대가정』
    권혁 평양: 평양출판사 [1993]
  • 『위인 김정일』
    평양: 외국문출판사 [2012]
  • 『우리나라의 인민경제 발전』
    평양: 국립출판사 [1958]
  • 『어둠이 편이 된 햇볕은 어둠을 밝힐 수 없다』
    황장엽 서울: 조선일보사 [2001]
  •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2000]
  • 『사회주의체제 비교론』
    조정남 서울: 형설출판사 [1988]
  • 『사회주의 지배엘리트와 체제변화』
    서재진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 『북한정치사연구 Ⅰ: 건당, 건국, 건군의 역사』
    김광운 서울: 선인 [2003]
  • 『북한의 후계자론』
    이교덕 서울: 통일연구원 [2003]
  • 『북한의 진실과 허위』
    황장엽 서울: 시대정신 [2006]
  • 『북한의 주민 생활보장정책 평가』
    노용환 연하청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 『북한의 사회복지』
    이철수 서울: 청목 [2003]
  • 『북한의 대외경제 10년평가-10년)』
    김지연 양문수 이종운 이찬우 임수호 홍익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2001]
  • 『북한의 관료문화』
    박상익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0]
  • 『북한의 계획경제와 시장화 현상』
    양문수 서울: 통일교육원 [2013]
  • 『북한간부정책의 지속과 변화』
    김성철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 『북한 외교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김일성 시대와 김정일 시대의 비교』
    허문영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7]
  •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년대 청진, 신의주, 혜산』
    최완규 서울: 한울, 2006 [1990]
  • 『북한 경제에서의 시장과 정부』
    김병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백두산의 아들 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2]
  • 『반노동의 유토피아』
    차문석 서울: 박종철 출판사 [2004]
  • 『로동신문』『조선중앙년감』『조선중앙통신』『평양방송』『조선신보』
  • 『대한민국의 기원』
    이정식 서울: 일조각 [2011]
  • 『년대 북한경제 종합평가』
    양문수 이석기 이영훈 임강택 조봉현 서울: 산업연구원, 2012 [2000]
  • 『년 북한 인권백서』
  •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북한 농업체제 형성을 중심으로』
    김성보 서울: 역사비평사 [1988]
  • 『김정일체제의 역량과 생존전략』
    함택영 서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0]
  • 『김정일선집 1-15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5 [1992]
  • 『김정일 정권의 분야별 정책변화 추이분석: 로동신문- 2001.11.31)사설․정론․논설을 중심으로』
    전현준 서울: 통일연구원, 2001 [1994]
  • 『김정일 시대 북한의 정치체제: 이데올로기, 권력엘리트, 권력구조의 지속성과 변화』
    박형중 이교덕 이기동 정창현 서울: 통일연구원 [2004]
  • 『김정일 리더십 연구』
    정영철 서울: 선인 [2008]
  • 『김정일 대통령만들기 북한의 선군정치론』
    서옥식 서울: 도리 [2006]
  • 『김일성저작집 1-44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1979]
  • 『김일성저작선집 1-10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1967]
  • 『김일성선집 1-6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 『경제사전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0]
  • 『‘7.1경제관리개선조치’이후 북한경제의 변화 전망』
    최수영 서울: 통일연구원 [2004]
  • 『 정치학개론 』
    김명기 서울: 박영사 [1995]
  • ․정진아 엮음.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김종군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012]
  • ․이석․이교덕․민병원․채승병. 『복잡계 이론을 통한 북한의 정상국가화 방안 연구(총괄보고서)』
    김국신 서울: 통일연구원 [2009]
  • “통치스타일과 정치체계의 운용.”
    김성철 김성철 외. 『김정일연구: 리더십과 사상(1)』. 서울: 통일연구원 [2001]
  • “청산리 교시에서 구현된 물질적 자극과 사회 도덕적 자극의 결합.”
    신진균 홍윤백 『근로자』. 년 제2호 [1961]
  • “주체의 사회주의정치제도는 수령, 당, 대중의 일심단결에 토대한 공고한 정치제도.” 『주체의 사회주의정치제도』
    백철 평양: 평양출판사 [1992]
  • “주체의 군건설의 기초와 기본핵.”
    최현배 『철학연구』. 년 2호 [1989]
  • “조선인민군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김정일 시대의 당․군 관계를 중심으로.”
    이대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 “조선로동당의 조칙체계.”
    이대근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당․국가기구․군대』. 파주: 한울 [2007]
  • “조선로동당의 위상・기능・조직.”
    정우곤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정치 2』.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정전후 년대 북한의 정치변동과 권력재편.”
    백준기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편. 『북한현대사 1 』. 서울: 한울, 2004 [1950]
  • “의료보장제도와 주민복지.”
    이미경 정우곤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청진, 신의주, 혜산』. 서울: 한울 [2004]
  • “에필로그: 북한의 변화와 남한.”
    류길재 『기독교사상』. 40(5). 대한기독교서회 [1996]
  •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외교-2006).”
    임수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1989]
  • “신제도주의의 행정학적 함의: 역사적 제도주의를 중심으로.”
    김종성 『사회과학연구』. 제13권,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 “수령은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최고뇌수.”
    김형일 『근로자』. 년 제1호 [1998]
  • “사회주의 북한의 경제동항과 정치체제: 현물동학과 가격동학의 긴장이 정치체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정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 “북한체제의 지속과 변화: 김정일 시대 ‘조정체제’형성에 관한 연구.”
    이상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북한체제의 주변부로의 귀환: 김정일시대 ‘정치적 렌트수취국가’로의 이행과 ‘과도기사회’적 특성.”
    윤철기 『한국정치학회보』. 제47집 제1호 [2013]
  • “북한정치체제에서 당․정관계의 변화시도와 전망.”
    최진욱 『통일논총』. 제26호, 숙명여자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007]
  • “북한정치 연구의 쟁점과 과제.”
    박형중 『현대 북한연구와 남북관계』. 북한연구학회 년 추계학술회의 자료, 2004.9.17 [2004]
  • “북한정권의 내구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병진 『국가전략』. 제15권 제1호, 세종연구소, 년 봄 [2009]
  • 박사
    “북한의 집단주의적 발전 전략과 수령체계의 확립.”
    이태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 박사
    “북한의 집단주의 특성요인과 심리적분석에 관한 연구.”
    이현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북한의 지역경제협력 접근방식의 특징: 신가산제 사인독재정권의 ‘혁명자금 관리제도’와 대외경제협력의 제약.”
    최봉대 『현대북한연구』. 14권 1호 [2011]
  • “북한의 정치체제 변화와 국가변용: 김정일 정권의 정책적 한계.”
    류길재 『북한연구학회보』. 제3권 제1호 [1999]
  • “북한의 자립적 경제발전전략과 김일성체제의 공고화 과정-70)에 관한 연구.”
    이성봉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1953]
  • “북한의 외화관리시스템 변화연구.”
    김광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북한의 외교정책결정기구 및 과정에 관한 연구.”
    고영환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북한의 시장교환 질서와 비도덕적 가족주의화.”
    홍민 『통일정책연구』. 제15권 제2호 [2006]
  • “북한의 선군정치와 예방적 사회주의 보나파르티즘.”
    윤성식 최대석 『북한연구학회보』. 제9권 제1호, 년 여름 [2005]
  • “북한의 선군외교 연구: 약소국의 대미 강압외교 관점에서
    서훈 ”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 “북한의 사회통제와 조직생활.”
    정영철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사회』.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북한의 사회변화와 김정일체제의 안정성.”
    서재진 『통일경제』. 년 7월호 [1997]
  • “북한의 부패에 관한 연구: 부패 유형의 변화와 제도적 원인을 중심으로.”
    이근영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북한의 당․군․정 역할분담체제에 관한 연구: 년대를 중심으로.”
    김갑식 서울대 정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90]
  • “북한의 년대 경제위기와 기업행태의 변화: 생존추구형 내부자 통제와 퇴행적 시장화.”
    이석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부 박사학위논문, 2003 [1990]
  • “북한의 국가중심적 집단농업과 농민 사경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은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북한의 국가성격 재론.”
    김연철 『북한의 권력과 사회동학』. 년 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회의 자료, 2014.7 [2014]
  •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장용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1990]
  • “북한의 국가건설과 인민위원회의 역할, -1947.”
    류길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1995 [1945]
  • “북한의 개혁․개방 추진 실태: 현황과 쟁점.”
    권영경 『수은북한경제』. 제9권 제3호, 년 가을 [2012]
  • “북한의 ‘우리식사회주의’성격에 관한 연구.”
    곽승지 동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 “북한의 ‘외교정책 결정체계’에 관한 연구.” 『국제문제연구』. 제7권 제2호
    서훈 년 여름 [2007]
  • “북한의 ‘선군정치’와 군의 역할.”
    정성임 『국방연구』. 제47권 제1호 [2004]
  • “북한의 ‘계획’침식에 따른 ‘수령제’적 지배 메커니즘의 약화.”
    정세진 『국제지역문제연구』. 제18권 제1호 [2000]
  • “북한을 흔드는 자본주의 ‘노랑물’.”
    안연옥 『북한사회』. NK지식인연대 [2008]
  • “북한은 왜 ‘붕괴’도 ‘개혁․개방’도 하지 않았을까?.”
    박형중 『현대북한연구』. 16권 1호 [2013]
  • “북한에서의 국가와 시장 그리고 사회발전.”
    정영철 『한국과 국제정치』. 제30권 제1호, 년 봄 [2014]
  • “북한에서 년대 정치체제 변화: 전체주의 겸 술탄주의로부터 탈전체주의적 술탄주의 폭정으로.”
    박형중 『정책연구』. 168호, 2011년 봄 [1990]
  • “북한에서 년대 정권 기관의 상업적 활동과 시장 확대.”
    박형중 『통일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2011.6 [1990]
  • “북한관료들의 일상생활; 회색의 아우라.”
    김종욱 박순성․홍민 엮음.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파주: 한울 [2010]
  • “북한경제 동향과 년 변화 전망.” 『수은북한경제』
    이종은 2012년 겨울호 [2013]
  • “북한, 결국 변할 것인가?: 김정은 정권의 현상유지 편향.”
    한병진 Asan Report. 아산정책연구원 [2010]
  • “북한 지방국가기관의 구조와 운영실태: 이중통제 지속과 아래로부터의 변화.”
    박영자 『한국정치학회보』. 제39집 5호 [2005]
  •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09).”
    한기범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000]
  • “북한 시장일상생활연구: 그로테스크와 부조리극 ‘사이’에서.”
    홍민 박순성․홍민 엮음. 『북한의 일상생활 체계: 외침과 속삭임』. 파주: 한울 [2010]
  • “북한 사회통제제도의 특성과 변화.”
    이우영 체제통합연구회 편. 『북한의 체제와 정책』. 서울: 명인문화사 [2014]
  • 박사
  • “북한 복지 패러다임의 전환과 사회경제적 변화.”
    정우곤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 변화: 년대 청진, 신의주, 혜산』. 파주: 한울, 2007 [2000]
  • “북한 발전전략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김근식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950]
  • “북한 당군관계의 역사적 형성: 한국전쟁 이후부터 년 전후시기까지.” 『통일문제연구』
    서동만 통일원 교육홍보국, 1996.10 [1961]
  • 박사
    “북한 노동당의 조직구조와 사회통제체계에 관한 연구.”
    현성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북한 국가의 성격: 기존 논의의 검토와 제언.”
    김연각 『북한연구학회보』. 제10권 제2호, 년 겨울 [2006]
  • “북한 국가성격의 이론과 쟁점: 비교사회주의 관점.”
    최완규 『현대북한연구』. 4권 1호 [2001]
  • “북한 관료제의 성격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이강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북한 관료부패와 지배구조의 변동: ‘고난의 행군’기간 이후를 중심으로,”
    김종욱 『통일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2008]
  • “북한 공안기관의 사회통제 기능에 관한 연구.”
    길화식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화: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자기조직화와 진화.” 이석 외.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화』
    이석 서울: 통일연구원 [2009]
  • 박사
  • “북한 ‘인민반’에 관한 연구: 인민반의 조직, 역할, 기능을 중심으로.”
    채경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북한 ‘수령제’정치체제의 제도화와 특성.”
    정우곤 『통일문제연구』. 97년 상반기호(통권 제27호) [1997]
  • “북한 ‘수령제’정치체제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김광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북한 ‘수령제’ 권위주의체제의 등장에 관한 연구.”
    류길재 『통일경제』. 년 6월호 [1997]
  • “북중 경제관계 증대와 북한정권의 미래: 외래지대 의존 국가(rentier state)론적 분석.”
    박형중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CD 11-19 [2011]
  • “북조선 로동당의 당원과 그 하부조직에 관한 연구.”
    이주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독재정치 이론으로 본 김정은 체제의 권력구조: 조선노동당 ‘파워엘리트’의 실태와 관계망을 중심으로.”
    박영자 『국방정책연구』. 제28권 제4호, 년 겨울 [2012]
  • “대중적 기술혁신운동의 새로운 형태.”
    전정회 『근로자』제9호. 년 5월(상) [1964]
  • “당․정․군 관계.”
    백학순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당․국가기구․군대』. 파주: 한울 [2007]
  • “당 경제 관철과 초급당조직의 역할.”
    박봉주 『근로자』. 년 3호 [1980]
  • “농민의 저항과 북한 농업정책의 변화: 년대와 1990년대의 유인제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은미 『농촌사회』. 제18집 1호, 2008 [1960]
  • “농민시장 형성: -1980년대.”
    최봉대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 형성과 발전: 청진, 신의주, 혜산』. 파주: 한울, 2004 [1950]
  • “남북한 사회보장정책 비교 연구.”
    장용철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 “김정일시대 북한의 사회통제 연구.”
    안희창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김정일 체제하 북한의 장래.”
    김정 함택영 함택영 외. 『김정일체제의 역량과 생존전략』.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년 [2000]
  • “김정일 정권하의 북한체제와 체제 변화 가능성 검토.”
    류길재 『국가전략』. 제3권 1호 [1997]
  • “김정은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김근식 북한연구학회 기획・우승지 편저. 『김정은시대의 정치와 외교: 선군인가, 선경인가』. 파주: 한울 [2014]
  • “김정은 집권 2년 평가와 전망.”
    고영환 년 국가안보전략연구소 학술회의 자료집. 2013.12 [2013]
  • “김정은 정권의 대내정책과 생존전략.”
    박형중 『KDI 북한경제리뷰』. 년 4월호 [2012]
  • “김정은 정권의 당과 군부 파워 엘리트 변동.”
    정성장 년 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회의 ‘북한의 권력과 사회동학’자료집. 2014.7 [2014]
  • “김정은 시대 경제관리 개선조치의 실태와 평가: -2014년.”
    양문수 『북한연구학회보』. 제18권 제2호, 2014.12 [2012]
  • “김정은 권력승계 과정과 과도기 권력구조: 장성택 숙청 이전을 중심으로.”
    이기동 북한연구학회 기획․우승지 편저. 『김정은시대의 정치와 외교: 선군인가, 선경인가』. 파주: 한울 [2014]
  • “김일성체제의 신정적 특징.”
    이상우 『동아연구』. 서강대학교 동야연구소 [1988]
  • “국가기관들 및 경제문화기관에 대한 당의 령도와 통제.”
    김영남 『근로자』. 년 2호 [1960]
  • “국가-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본 북한체제의 변화,”
    류길재 『북한・통일 연구 논문집(Ⅲ): 북한체제변화 분야』. 통일원 [1991]
  • “개성공업지구의 사회복지체계에 대한 연구: 기존 경제특수 복지조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철수 『통일정책연구』. 제14권 1호 [2005]
  • “‘천리마운동’과 사회주의경제건설: ‘스타하노프운동’ 및 ‘대약진운동’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류길재 최완규 외. 『북한사회주의건설의 정치경제』. 서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3]
  • “‘예외국가’의 제도화: 군사 국가화 경향과 군의 역할 확대.”
    류길재 『현대북한연구』. 4권 제1호 [2001]
  • “‘로동신문’정론의 의제설정과 김정일의 지도자상 구축과정 연구-2004).”
    곽시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90]
  • “‘농민시장’ 형성: -1980년대.”
    구갑우 최봉대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청진, 신의주, 헤산』. 서울: 한울, 2004 [1950]
  • “‘고난의 행군’과 북한주민의 일상생활 변화.”
    박형중 정세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회 편.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서울: 오름 [2003]
  •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이후 북한 재정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남기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2000년대 북한주민의 의식변화와 민족의식,”
    박영자 『정책연구』. 2011년 겨울 [2011]
  • “1990년대 경제위기와 시장경제 운영체계의 변화.”
    양문수 최완규 엮음.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1990년대 청진, 신의주, 혜산』. 파주: 한울, 2006 [2006]
  • “1960년대 북한의 숙청과 술타니즘(Sultanism)의 등장.”
    류길재 『국제관계연구』. 제9집 1호, 2004.3 [2004]
  •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 역사문제연구소 편.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서동만 서울: 역사비평사, 1998 [1998]
  • ‘예외상태’의 일상화와 통치술로서의 ‘국방위원장 체제’: ‘김정일 시대’ 북한의 국가성격을 중심으로
    김종욱 『통일정책연구』. 제22권 2호 [2013]
  • Yates, Couglass A. The Rentier State in Africa: Oil Rent Dependency and Neo-Colonialism in the Republic of Gabon. Treton N.J.: African World, 1996.
  • Wintrobe, Ronald. The Political Economy of Dictatorship.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 White, Stephen & John Gardner & George Schopflin and Tony Saich. Communist and Post Communist Political Systems: An Introduction. 3rd ed. London: Macmillan, 1990.
  • Walder, Andrew G. "The Quiet Revolution form Within: Economic Reform as a Source of Political Decline." in Walder, ed. The Waning of the Communist State: Economic Origins of Political Decline in China and Hungary. Berkeley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 Triska, Jan. F. ed. Communist Party-States: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Studies. Indianapolis: Bobbs-Merrill, 1969.
  • Thelen, Kathleen & Sven Steinmo. "Historical Institution in Comparative Politics." in Sven Steinmo, Kathleen Thelen, & Frank Longstreth, eds. Structuring Politic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parative Analysi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 Svolik, Milan W. The Politics of Authoritarian Rule. Cambridge: Cambirdge University Press, 2012.
  • Streek, Wolfgang and Kathleen Thelen. "Introduction: 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in Wolfgang Streek, and Kathleen Thelen, eds. Beyond Community: 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 Stark, David. "Path Dependence and Privatization Strategies in East Central Europe." East European Politics and Societies 6(1), 1991.
  • Shapiro, Leonard. Totalitarianism. New York: Praeger, 1972.
  • Schurmann, Franz.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Communist China. Berkely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
  • Przeworski, Adam & Michael E. Alvarez & Jose Antonio Cheibub and Fermando Limong. Democracy and Development: Political Institution and Well-Being in the World 1950-199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owell, Walter W. and Paul J. DiMaggio.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Chicago Press, 1991.
  • Poulantzas, Nicos. Fascism and Dictatorship. London: Verso, 1970.
  • Pinker, Robert. The Idea of Welfare London: Heinemann, 1979.
  • Meyer, Alfred. The Soviet Political System: An Interpretation. New York: Random House, 1965.
  • Mesquita, Bruce Bueno de & Alastair Smith. The dictator’s handbook: Why bad behavior is always good politics. New York: Public Affairs, 2012.
  • Mesquita, Bruce Bueno de & Alastair Smith & Randolph M. Siverson and James D. Morrow. The Logic of Political Survival. Cambridge, M.A.: MIT Press, 2003.
  • McEachern, Patrick. Inside the Red Box.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 Linz, Juan J. and Alfred Stepan.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Southern Europe, South America and Post Communist Europe.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 Kuran, Timur. “Now Out of Never: The Element of Surprise in the East European Revolution of 1989.” World Politics. Vol 44, No 1.
  • Krasner, Stephen D.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Comparative Politics. 16(2), 1984.
  • Kornai, Janos. 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New Jersey: Prinston University Press, 1992.
  • KOTRA 『북한의 대외무역동향』(각 연도), 한국은행 『북한 경제 성장률 추정 결과』(각 연도)
    통일부 발간 『북한의 이해』(각 연도) 등
  • Ikenberry, G. John. "Conclusion: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n G. John Ikenberry, David A. Lake, and Michael Mastanduno, eds. The State and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thaca: CornelI University Press, 1988.
  • Huntington, Samuel P.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Norman: Th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1.
  •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68.
  • Hankiss, Elemer. "The Second Society: Is There a Second Special Paradigm Working in Contemporary Hungary?." Diagnosis, 2(Budapest 1986, in Hungarianian).
  • Hall, Peter A. "The Moverment from Keynesianism to Monetarism: Institutional Analysis and British Economic Policy in the 1970s," in Sven Steinmo, Kathleen Thelen, and Frank Longstreth, eds. Structuring Politic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parative Anaysi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 Haggard, Stephen and Marcus Noland. Witness to Transformation: Refugee Insight into North Korea. Washington. DC: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1.
  • Geddes, Barbara. Paradigm and Sand Castles: Theory Building and Research Design in Comparative Politics. Ah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3.
  • Gandhi, Jennifer. Political Institution under Dictatorship.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Friedrich, Carl J., and Zbigniew K. Brezezinski.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4th ed. New York: Praeger, 1964.
  • Ezrow, Natsha and Erica Frantz. Dictors and Dictorship: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New York: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1.
  • Etzioni. Amitai.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Organizations. New Y ork: The Free Press, 1961.
  • Djilas, Milovan. The New Class: An Analysis of the Communist System. New York: Frederick A. Praeger, 1957.
  • Darden, Keith. “Graft and Governance: Corruption as Informal Mechanism of State Control.”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October, 2003.
  • Cohen, Albert K. Deviant and Control.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66.
  • Campbell, John I. "Where Do We Stand? Common Mechanism in Organizations and Social Movements Research." in Gerald F. Davis, Doug McAdam, W. Richard Scott, and Mayer N. Zald, eds. Social Movement and Organization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Berndt, Ronald M. Excess and Restraint. Chicago: University Chicago Press, 1962.
  • 90년대 북한체제의 위기와 변화,
    박형중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 1970년대 북한 경제와 장기침체 메커니즘의 형성
    양문수 『현대북한연구』, 6권 1호, 2003.6 [2003]
  • 1970년대 대중운동과 북한사회: 돌파형 대중운동에서 일상형 대중운동으로
    정영철 『현대북한연구』. 6권 1호, 2003 [2003]
  • 1958년 북한주둔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의 원인과 영향 : 북한의 대중국 협력 확대와 대중동원 경제노선 강화를 중심으로
    이상숙 『북한연구학회보』. 제13권 제1호, 200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