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유치원 유아의 칭찬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우주 유치원 바다반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liments in Kindergarten Children

서경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서경희
    • 형태사항 217 p: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서 현, 참고문헌 : p. 192-2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2015. 8
    • DDC 372.1, 21
    • 발행지 광주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조선대학교
    유사주제 논문( 0)

' 유치원 유아의 칭찬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우주 유치원 바다반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liments in Kindergarten Children' 의 참고문헌

  • 박사
  • 활동 중심 칭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임석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햇살유치원 만 4세 유아들의 혼잣말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은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한별유치원 만 5세반 교사의 유아평가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최일선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한국어와 일본어의 칭찬에서 보이는 대인관계조정
    김경분 일본언어문화,16, 47-63 [2010]
  • 한국어 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 교실 상황을 중심으로
    심규성 경희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한국 대학생의 칭찬 화행 수행 및 응대 상황에 대한 연구
    김형민 한국어의미학, 12,255-290 [2003]
  • 한‧중 칭찬화행 대조 연구-칭찬어를 중심으로
    박애양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9]
  • 박사
  • 학습지에 대한 교사의 칭찬 댓글이 여중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미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학습강화를 위한 보상과 벌
    이천희 교육연구,398,77-81 [2002]
  • 하마오미노루(浜尾実)子どものほめ方・叱り方:伸びる子が育つ44のヒント,이민 영 역(2009).칭찬하는법 꾸짖는법
    서울:비즈니스세상 [2008]
  • 하늘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단짝친구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보람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박사
  • 피아노 조기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도방법:교육심리학 학습이론 을 중심으로
    안종모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푸른반 유아들의 역할놀이영역 새롭게 들여다보기
    정희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박사
  • 통하는 대화법
    이동연 서울:책이 있는 풍경 [2008]
  • 박사
  • 칭찬활동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인홍 정신간호학회지,17(3),245-254 [2008]
  • 칭찬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경란 동 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박사
  • 칭찬활동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표현력과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조희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칭찬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또래인기도에 미치는 영향
    장미정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상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유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사
  • 박사
  • 칭찬한마디의 기적
    이재명 서울:기독교연합신문사 [2001]
  • 칭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경 경인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칭찬프로그램이 초등학생 학부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우미영 경북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칭찬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경란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칭찬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대학 생활적응,부모-자녀간의 의 사소통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광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칭찬파워: 칭찬 한마디가 사람을 움직인다
    최병무 서울:21세기 북스 [1997]
  • 박사
  • 칭찬의 의미,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고동우 문상정 이형래 관 광학연구,32(2),83-108 [2008]
  • 칭찬의 미학
    김현옥 교육연구,398,58-61 [2002]
  • 칭찬을 통한 학업성취도 향상
    조선비 교육연구,9,53-54 [2002]
  • 칭찬을 통한 영어학습 동기부여에대한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덕제 인천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칭찬과 질책이 우수아와 열등아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천근 서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69]
  • 박사
  • 칭찬과 꾸중의 힘
    상진아 서울:랜덤하우스코리아 [2008]
  • 칭찬과 꾸중의 원리
    김원중 경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17, 5-7 [1999]
  • 박사
  • 박사
  • 칭찬 한마디의 기적
    용혜원 고양:도서출판 청우 [2004]
  • 박사
  • 칭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문자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 칭찬 집단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행동의 예방과 교정
    김수진 한국교원단 체 총연합회 현장교육연구보고서 [2000]
  • 칭찬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 존중감,또래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춘실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칭찬 유형이 실패 후 아동의 성취동기와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여수현 경북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
    추종자의 관점에서 본 리더와 추종자 간의 관계적 특성
    오정임 아주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 실태와 대처방안
    김양현 서울교육대학 학생생활연구 소 학생생활연구,27,1-78 [2001]
  • 초등학생의 자아성취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칭찬의 효과 연 구
    황선미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초등학생의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오은주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또래칭찬프로그램 개발
    정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초등학생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칭찬 프로그램 개발과 그효과에 관한 연구
    성미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초등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 실태분석
    황인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5]
  • 박사
  • 초등학교 교사의 '격려' 언어 사용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김선혜 한국초등 교육,18(1),154-172 [2007]
  • 초기 가상놀이의 표상적 특성:가상놀이의 상징화 수준과 마음 이론과의 관계
    김영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책읽기 상황에서의 또래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혜경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책읽기 상황에서 또래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해경 부산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 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그 방법과 쟁점
    홍용희 교육인류 학연구회 1998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33-51 [1998]
  • 질적연구방법론(제2판)
    김영천 서울:아카데미프레스 [2012]
  •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 연구
    조용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4]
  • 중학생의 타인에 대한 칭찬활동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은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
    길효정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자유놀이 및 집단활동 상황과 유아의 사회지능에 따른 인지적 행동과 정의적 행동
    이영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박사
  • 박사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분석
    차인수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1]
  • 자기성장 집단 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임태섭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인성교육을 위한 철학적 반성
    금교영 경산:영남대학교 출판부 [1996]
  • 인간주의 교육의 실천 방향
    김성봉 파주:한국학술정보 [2006]
  • 인간의 학습
    Ormrod, Jeanne Ellis 서울:시그마프레스 [2009]
  • 이질적으로 구성된 협력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김 호 열린 유아교육연구,10(3),301-316 [2005]
  • 박사
  • 육하원칙을 활용한 주말 지낸 이야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강선미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육하원칙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 향
    홍지은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유치원에서 또래간 사회적 힘의 형성과정
    김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8]
  • 박사
  • 박사
  • 유아인성교육
    안영진 서울:창지사 [2010]
  • 유아의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리더의 형성 과정
    박선영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1]
  • 박사
    유아의 주의분산 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행동
    신인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3]
  • 유아의 우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박미자 서현 임지윤 한국보육학회지,14(1), 193-217 [2013]
  • 박사
  •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경아 전북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유아-교사관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정대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유아수학교육
    이정욱 서울:정민사 [2006]
  • 유아들의 친구관계 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 박사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이경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 유아들의 사회적 갈등,그리고 사회적 맥락
    김희태 유아교육학논집, 5(2), 69-87 [2001]
  • 박사
    유아들의 경쟁을 유발하는 교사의 전략과 전략사용 이유
    이정민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유아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김선영 아동학회지,22(4),217-283 [2001]
  • 박사
    유아교육에서 칭찬의 교육 효과와 적용
    박진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유아교육심리학
    김광웅 서울:창지사 [2001]
  • 유아교육과정(2차 개정판)
    이기숙 서울:교문사 [2002]
  • 유아교실담론에 나타난 유아의 지식구성 및 권력관계 연구
    이연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안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이 동기 및 성취전략 문화기술적 연구
    김미경 중앙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유아 혼잣말의 현상학적 연구
    서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유아 혼자놀이의 의미에 관한 연구
    장지영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3]
  • 왜 구성주의인가
    강인애 서울:문음사 [1997]
  • 와다히데키(和田秀樹) ‘人をほめると「いいことが起こる」心理學’, 김하경 역 (2010).칭찬의 심리학
    서울:케이디북스 [2010]
  • 영유아교수․학습방법
    임부연 서울:동문사 [2009]
  • 역용기를 북돋우는 칭찬기술,열정을 부르는 꾸중기술
    김현영 서울:한 스미디어 [2004]
  • 에모토 마사루(江本勝)水は答えを知っている,홍성민 역(2008).물은 답을 알고 있다
    서울:더난 [2003]
  • 박사
    어린이집 만 5세반 교사의 칭찬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정혜인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아동 발달의 이해
    강인숙 유영금 정대근 정인숙 서울:태영출판사 [2007]
  • 쓰기 활용 칭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강명숙 김정섭 윤채영 초등교육연구,22(1),255-274 [2009]
  • 신체적 접촉에 의한 교사의 칭찬과 체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채선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 시모다이라 구미코(下平久美子) ‘1日1分, 30日で人生が変わる「話し方」「聴き 方」の法則’.전경아 역(2014).긍정적인 사람의 힘
    토네이도출판사 [2010]
  • 스즈키 요시유키(鈴木義幸)'コ―チンガのプロが敎える「ほめる」技術'. 최현숙 역 (2003)칭찬의 기술
    서울:거름출판사 [2002]
  • 세가지 유형의 칭찬을 활용한 또래칭찬활동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강명숙 김정섭 윤채영 수산해양교육연구,22(1),141-150 [2010]
  • 성격심리학
    노안영 박영신 서울:학지사 [2006]
  • 박사
    샛별 유치원 만 4세 유아들의 웃음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차영숙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박사
  • 박사
    사회적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유아의 친구사귀기
    한남주 중앙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수학적 과 정 기술,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순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박사
  • 사회극놀이에서의 가작화 수준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연구.덕성 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강의정 신은수 사회과학연구,9,147-170 [2013]
  • 삐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쟁점에 관한 교육학적 해석
    김지현 교육원리연구, 3(1),197-238 [1998]
  • 박사
  • 불가능도 가능하게 하는 칭찬의 힘
    김주영 서울:삼각형프레스 [2004]
  •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정상경험과의 관계
    진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박사
  • 박사
  • 보건복지부보육프로그램 총론
    육아정책연구소 [2013]
  • 보건복지부5세 누리과정 연령 연계 어린이집 프로그램
    보건복지부 [2012]
  • 발달심리학 : 전생에 인간발달
    정옥분 서울:학지사 [2004]
  • 박사
    발달과 학습에 관한 Vygotsky의 이론 고찰
    여미경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8]
  • 반석어린이집 만 3세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강경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박사
  • 만 5세 유아의 배려 지향적 도덕성과 주 양육자의 양육태도와의 관련성 연구
    전강복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박사
  • 또래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또래칭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해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또래칭찬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보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박사
  • 또래칭찬 및 자기리더십 집단 상담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장인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또래주도놀이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등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순영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또래의 사회적 강화가 유아의 고립행동 수정에 미치는 효과
    오점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또래관계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기술: 친구관계와 비친구관계를 중심으로
    배지희 열린유아교육연구,11(1),63-84 [2006]
  • 또래간 칭찬하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대인문제 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조영화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사
    또래 칭찬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장은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박사
  •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급응집성에 미치는영향
    최현정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지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또래 칭찬하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동화에 관한 교사의 질문의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정은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정창우 서울:교육과학사 [2004]
  • 도덕교육론
    유병열 이택휘 서울:양서원 [2001]
  • 박사
  • 담화분석을 통한 칭찬화행 연구 : 한국어 회화교재와 T.V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박경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박사
  • 박사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김경숙 국제뇌교육종 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조벽 존 가트맨 최성애 서울:한국경제신문사 [2011]
  • 나가사키 카즈노리(永崎一則) 人をほめるコツ
    叱るコツ:上に立つ者の人間關係學 [2002]
  • 꾸중을 꾸중답게 칭찬을 칭찬답게
    박성희 서울:학지사 [2006]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두산동아 [2000]
  • 박사
  • 구성주의와 유아교과교육 지도원리 - 유아과학교육을 중심으로 -
    유경숙 아동교육, 14(2),301-315 [2005]
  • 구성주의에 근거한 그룹게임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현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구성주의 접근과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통합
    김경철 한국열린유아교육 학 회 춘계학술대회 학술자료집 pp.121-140 [2006]
  • 구성주의 심리학
    이명숙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12,29-52 [1998]
  • 교육학에서의 질적 연구:학교현장 참여관찰
    이혜숙 교육비평,23,214-227 [2007]
  •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방법과 적용
    김영천 이용숙 서울:교육과학사 [2005]
  • 교육과학기술부유치원지도서 1권
    서울:교육과학기술부 [2009]
  • 교육과학기술부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부모훈련프로그램 및 연수 자료집
    서울:교육과학기술부 [2012]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교육과학기술 부 보건복지부 [2012]
  • 박사
    교실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교사 발화 전략 연구
    문선미 연세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교사의 칭찬지도와 행동 강화의 요령
    김무천 교육연구,345,44-49 [1998]
  • 박사
  • 교사의 칭찬과 학생의 도덕발달
    추병완 교육연구,369,33-37 [2000]
  • 교사의 칭찬과 꾸중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 성취목표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상철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교사의 칭찬 화법
    이경우 한국화법학회,5,263-283 [2003]
  • 박사
  • 박사
  • 교사의 상호작용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기능과 언어 발달 연구
    유연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교사의 긍적적인 언어사용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
    이강백 총신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교사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박은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교사가 사용하는 칭찬ㆍ질책용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병극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기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민혜영 미래유아교육학회지,6(1),63-88 [1999]
  • 교과교육론
    은하출판사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9]
  • 교과교육과 수업 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 질적 연구 샘플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나장함 교육연구,53,75-103 [2012]
  • 관광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칭찬의 효과 : 칭찬 측정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문상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가정연계 칭찬·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학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박사
  • 박사
  • 박사
  • “인접쌍”개념을 이용한 중국어 말하기 교재 분석:“칭찬-반응”
    박찬욱 구조를 중심으로.비교문화연구,13(2),343-364 [2009]
  • youthsettin.추병환 역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
    서울:울력 [2006]
  • mission 해결 또래칭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신지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Yarrow,M.R.,Scotte,P.M.,& Waxler,C.Z.(1973).Dimensionsandcorrelatons ofprosocialbehaviorisyoungchildren.ChildDevelopment,47,118-125.
  • Wolfson,N.(1983).An empirically based analysis ofcomplimenting in American English. In N, Wolfson & E. Judd(Eds.), Sociolinguistics and language acquisition(pp.82-95).Rowley,MA:NewburyHouse.
  • Wolcott,H.F.(2002).Writing up qualitative research better.Qualitative Health Research,12(1),91-103.
  • Wolcott, H. (1997). Ethnographic research in education. In R. Jaeger(Ed.), Complementary methods forresearch in education(pp.327-362).Washington, DC:AmericanEducationalResearchAssociation.
  • Winston,A.S.,& Baker,J.E.(1985).Behavioranalytic studies ofcreativity:A criticalreview.BehaviorAnalyst,8,191-205.
  • Whitehead,L.C.(1988).Cohe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day care.ChildandYouthCareforum,17(4),255-267.
  • Whatgreatteachersdo differently:Fourteen thingsthat mattermost.송형호 외 역(2009).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Whitaker,T.D. 서울:지식의 날개 [2006]
  • Whaledone’.조천제 역(2003).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21 세기 북스
    Blanchard,K. 새날 [2002]
  • Wertsch,J.V.,& Tulviste,P.(1988).Contemporary developmentalpsychology.In H.Daniels(Ed.),An introduction to Vygotsky(pp.53-74).London and NY: Routledge.
  • Vygotsky.L.S.(1978).Mind and society:The developmentofhigher mental processes.Cambridge.MA:HarvardUniversityPress.
  • Turiel,E.(1983).The developmentofsocialknowledge:Morality and convention. Cambridge,MA:CambridgeUniversityPress.
  • Toolsof themind:The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김억환,박은혜 역(1998).정신의 도구:비고츠키 유아교육
    Bodrova,E. Leong,D.J.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 Threepsychologies.김정규 역(1991).人間行動의心理
    Nye,R.D. 서울:성원 사 [1975]
  • Theories ofmoraldevelopment.추병완 역 (1999).도덕발달이론
    Devitis,L.J. Rich,M.J. 서울:백의 [1994]
  • Theeffectsofapeer-monitoredgroupcontingencyprogram onstudents’reportsof prosocialbehaviors.PsychologyintheSchools,37,263-270.
  • The young child as scientist:A constructivist approachtoearlychildhoodscienceeducation.이종희,김선영 역(2000).유아 과 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Britain,L. Chaille,C. 서울:교육과학사 [1997]
  • Teacherandchild:abookforparentsandteachers.신흥민 역 (2003).교사와 학생사이
    Ginott,H.G. 서울:양철북 [1972]
  • Taylor,P.H.,Exon,G.,& Holley,B.(1972).A studyofnurseryeducation.Schools CouncilWorkingpaper,41.
  • Tang,S.,& Hall,V.C.(1995).The over justification effect:A meta-analysis, AppliedCognitivePsychology,9(5),365-404.
  • Stewart,P.,(2011).GreetYourTeam withThanksandPraise,November,01,2001, Firstline.
  • Sociallearningtheory.변창진,김경린 역(2002).사회적 학습이 론
    파주:한국학술정보 [1977]
  • Socialfoundation of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theory.EnglewoodCliffs.NJ:Prentice-Hall.
  • Sluss.D.J.Supporting play:birththroughageeight.김미숙 외 공역(2006). 놀이의 이해와 지도-출생에서 8세까지
    서울:박학사 [2005]
  • Skinner,C.H.,Nedden riep.C.E,Robinson,S.L.,Ervin,R.,& Jones,K.(2002). Altering educationalenvironmentsthrough positivepeerreporting:Prevention and remediation of social problems sociated with behavior disorders. PsychologyintheSchools,39,191-202.
  • Skinner,C.H.,Cashwell,T.H.,& Skinner,A.L.(2000).Increasing tootling:The effectsofa peer–monitored group contingency program on students’reports ofpeers’prosocialbehaviors.PsychologyintheSchools,37(3),263-270.
  • Shea,T.M.,& Bauer,A.M.(1987).Theteacher’srolewith children atrisk for suicide.EducationalHorizons,65(3),125-127.
  • Shaffer.C.R.(2000).Socialand personality development(4th ed).Belmont,CA: Wadsworth/ThompsonLearning.
  • Self-efficacy:Theexerciseofcontrol.NY:Freeman.
  • Self-efficacy mechanisms ofanticipated fears and calamities. JournalofPersonalityandSocialPsychology,45,464-469.
  • Scott,W.E.Jr.(1975).Theeffectsofextrinsicrewardson "intrinsicmotivation": A critique.OrganizationalBehaviorandHumanPerformance,15,117-129.
  • Schunk,D.(2004).Learning theories:An educationalperspective(4th ed.).Upper SaddleRiver.NJ:Merrill/Pearson.
  •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Vygotsky and earlychildhoodeducation:홍용희 역(1995).비고스키와 유아교육.서울:창지사. Bennett,P.(1989).Is praise always positive?
    Berk,L.E. Winsler,A. TMEA/MENC Connection,3(2), 12-13 [1995]
  • Ryu,M.(1998).Teacher facilitation ofpeer interaction in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doctoraldissertation,UniversityoflllinoisatUrbana-Champaign.
  • Ruch.F.L.(1963).Psychologyandlife.Chicago:Scott,Foresman.
  • Rubin.K.H.,Fein,G G.,Vandenberg,B.(1983).Play.InE.M.Hetherington(Ed.), P.H.Mussen(SeriesEd.),Handbookofchildpsychology:Vol.4,Socialization, personality,andsocialdevelopment(pp.698-774).NY:Wiley.
  • Rubin,K.H.,Bukowski,W.,& Parker,J.(1998).Peerinteractions,relationships and groups.In W.Damon & N.Eisenberg(5th ed.),Handbook of child psychology(3):Socialemotionalandpersonality development(pp.619-700).NY: JohnWiley& Sons.
  •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Roopnarine,J.L.,& Honing,A.S.(1985).Theunpopularchild.Young Children, 40(6),59-64.
  • Rogers, C. R.(1951). Client-centered therapy: I 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and theory. Boston: Houghton Mifflin.
  • Rismiller,L.L.(2004).Effects ofpraise training and increasing opportunitiesto respond on teachers’praise statements and reprimands during classroom instruction.Columbus,OH:OhioStateUniversityPress.
  • Richards,E.(2006).The best& worstin praise.ProQuestEducation Journals, 116(1),33-35.
  • Reiss,S.,& Sushinsky,L.W.(1975).Overjustification,competing responses,and the acquisition of intrinsic inter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31,1116-1125.
  • Raising goodchildren.정새규 역(1994).자녀와 학생들을 올바르 게 기르기 위한 도덕교육
    Lichona,T. 서울:교육과학사 [1994]
  •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An introductiontotheoriesandmethods(5thed.).조정수 역(2010).교육의 질적 연 구 방법론
    Biklen,S.K. Bogdan,R.C. 서울:경문사 [2010]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designs.조홍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2010).질적 연구방법 론: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 W. 서울:학지사 [1998]
  • Piaget. J. (2003). Development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40(1),8-18.
  • Piaget,J.(1962).Play,dreams,andimitationinchildhood.NY:Norton.
  • Peshikin, A. (1988). Understanding complexity: A gift of qualitative inquiry. Anthropology& EducationQuarterly,19(4),416-424.
  • Participant observation. 신재영 역(2006). 참여관찰법
    Spradley, J. P. 서울: 시그마프레스 [1980]
  • Onwuegbuzie,A.J.,& Leech,N.L.(2007).A callforqualitativepoweranalysis. QualityandQuantity,41,105-121.
  • Olshtain,E.,& Cohen,A.D.(1991).Researchingtheproductionofsecond-language speech act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Issues,10,143-156.
  • O'Malley,J.M.(1977).Researchperspectiveofsocialcompetence.Merrill-Palmer Quarterly,23,29-44.
  • Mueller,C.M,& Dweck,C.S.(1998).Praise for intelligence can undermine children’s motiva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75(1),33-52.
  • Morine-Dershimer,G.(1982).Pupilperceptionsofteacherpraise.The Elementary SchoolJournal,84(3),421-434.
  • More,S.G.(1982).Prosocialbehavior in the early years: Parent and peer influence. In B. Spodek(Ed.), Handbook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NY:Macmillan.
  • Moral classroom, moral children: Creating a constructivistatmosphereinearlyeducation.이은화‧이경우‧곽향림 역(1997).유 아를 위한 사회 도덕성 교육
    DeVries, R. Zan, B. 서울:창지사 [1994]
  • Mehrabian,A.(2007).Nonverbalcommunication.New Brunswick.NJ:Transaction.
  • McCarteny, K.,Scarr, S.,Phillips, D., Grajekk, S.,& Schwaz, J. C. (1982). Environmental differences among day care center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sdevelopment.In E.Zigler& E.Gorden(Eds.),Day Care:Scientific andsocialpolicyissues.Michigan,MA:AuburnHouse.
  • McCandless,B.R.(1970).Adolescents behavior and development.Hillsdale,NJ: TheDryden.
  • Maslow.A.H.Towardapsychologyofbeing.이혜성 역(1982).존재의 심리 학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68]
  • Maslow,A,H.(1970).Motivationandpersonality.NY:Harper.
  • Marshall,M.N.(1996).Sampling forqualitativeresearch.Family Practice,13(6), 522-252.
  • Manes,J.& Wolfson,N.(1981).The complimentformula.In F.Coulmas(Ed.), Conversationalroutine:Explorations in standardized communication situations andprepatternedspeech(Vol.2,pp.115-132).Hague,Netherland:Mouton.
  • Manes,J.(1983).Compliments:A MirrorofCulturalValues.In N.Wolfson & E. Judd(Eds.),Sociolinguistics and Language Acquisition(pp.96-102).Rowley, MA:NewburyHouse.
  • Lincoln, Y. S., & Guba, E. G. (1981). Effective evolu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 Lewin,K.,Lippit,R.,& White,R.K.(1967).Patternsofaggressive behaviorin experimentally created socialclimate,interaction analysis:Theory,research andapplication,ReadingMass:Addison–Wesley.
  • Learning:Reinforcementtheory.김옥환 역(1990).學習心理學 (强化理論)
    Keller,F.S. 서울:문음사 [1969]
  • Kostelnik,M,J,.Whiren,A.P.,Soderman,A.K.,Stein,L,C.,& Gregory,K. Guiding children'ssocialdevelopment:theorytopractice.박경자,김송 이,권연희 역(2005).유아를 위한 사회 정서 지도
    서울:교문사 [2005]
  • Kohn,A.(2001).Fivereasonstostop saying "Good job!".Young Children,56(5), 24-28.
  • Knapp.M.L.,& Hall.J.A.,& Horgan,T.G.(2014).Nonverbalcommunicationin humaninteraction(8thed.).Boston:Wadsworth.
  • Kirschenbaum,H.(1994).100Waystoenhancevaluesandmoralityinschoolsand
  • Kelly,F.D.(2002).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gender,and grade upon children’s preference for praise of encouragement.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58,197-207.
  • Kay,A.C.,& Jost,J.T.(2003).Complementary justice:effects of"poor but happy"and"poorbuthonest"stereotypeexemplarsonsystem justificationand implicitactivation ofthe justice motive.Journalof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85,823-837.
  • Katzenbach,J.R.(1993).The wisdom ofTeams:Creating the High-performance Organization.Cambridge,MA:HarvardBusinessPress.
  • Kamii,C.(1985).Young children reinvent arithmetic: Implications ofPiaget’s theory.NY:TeachersCollege.
  • Jost, J. T., & Kay, A. C. (2005). Exposure to benevolent sexism and complementarygenderstereotypes:consequencesforspecificanddiffuseforms of system justification.Journalof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88, 498-509.
  • Jarret,J.L.(1991).Theteachingofvalues.ChildDevelopment,54,1041-1053.
  • Hurlock,E,B.(1985).Child development,Sixth Edition.Singapore:Kin Keong printingCo.
  • Huizinga,J.(1955).HomoLudens:A studyoftheplayElementinCulture.Boston: TheBeaconPress.
  • Horst,Christof.KessErziehen.신흥민 역(2007).미운 4살부터 막무가내 8살 까지 아이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서울:책그릇 [2005]
  • Honebein, P. (1996). Seven goals for the design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 B. Wilson(Ed.),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pp. 17-24).NJ:EducationalTechnologyPublications.
  • Holmes, J. (1988).Paying compliments: A sex-preferential politeness strategy. Journal ofPragmatics,12(4),445-465.
  • Hilgard,E..R..& Bower,G H.(1967).Theoriesoflearning(3rded).NY:Appleton CenturyCrofts.
  • Herbert,R.(1990).Sex-based differences in compliment behavior.Language in Society,19(2),201-224.
  • Henderlong.J.,& Lepper,M.R.(2002).Theeffectsofpraiseonchildren’sintrinsic motivation:A review andsynthesis.PsychologicalBulletin,128(5),774-795.
  • Hatch,J.A.(1987).Status and socialpowerin a kindergarten peergroup.The ElementarySchoolJournal,88,79-82.
  • Hartup. W. W. (1970a). Peer interaction and social organization. In P. H. Mussen(Ed.).Carmichael’s manualofchild psychology(3rd ed.pp.361-456). NY:Wiley.
  • Hartup,W.W.(1933)& Stevens,N.(1999).Friendshipsandadaptationacrossthe lifespan,CurrentDirectionsinPsychologicalScience,8(3),76-79.
  • Harris,K,R.& Grahm,S.(1994).Constructivism: Principles,paradigms,and integration,JournalofSpecialEducation,28(3),233-248.
  • Hammer,W.C.,& Foster,L.W.(1975).Are intrinsic and extrinsic rewards additive:A test of Deci's cognitive evaluation theory of task motivation. OrganizationalBehaviorandHumanPerformance,14,398-415.
  • Greene,David:Lepper,Mark R.(1974).Effectsofextrinsicrewardson children’s subsequentintrinsicInterest.ChildDevelopment,45(4),1141-1145.
  • Graue,M.E.,& Walsh,J.D.(1998).Studying children in context:Theories, methods,andethics.NewburyPark,CA:Sage.
  • Gowen,J.W.(1995).Theearlydevelopmentofsymbolicplay.Young Children,52, 75-83.
  • Gorger,L.,& Mayberry,P.S.,& Straker,J.K.(1999).Whatwe didn’tlearn because ofwho would nottalk to us.Qualitative Health Research,9(6), 829-835.
  • Glaser,B.& Strauss,A.(1967).The Discovery ofground theory:Strategiesfor qualitativeresearch.Chicago:Aldine.
  • Ginott,H.G.(1965).Betweenparentandchild.NY:Macmillan.
  • Gauze,C.,Bukowski,W.,Aquan-Assee,J.,& Sippola,L.K.(1996).Interactions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friendship and associations with self-perceived well-being during early adolescence.Child Development,67, 2201-2216.
  • Flanders,N.(1970).Analyzingteachingbehavior.Oxford:Addison-Wesley.
  • Finegold,B.D.,& Mahoney,M.J.(1975).Reinforcement effects on intrinsic interest:Underminingtheoverjustificationhypothesis.Therapy,6,367-377.
  • Fine,A.G.& Sandstorm,L.K.(1988).Knowing children:Participantobservation withminors.Newbury:Sage.
  • Fetterman, D. M. (1989). Ethnography: step by step. Newbury Park, CA: Sage.
  • Farson,R.E.,(1963). Praisereappraised.HarvardBusinessReview,41(5),61-66.
  • Farr, J. L. (1976). Task characteristics, reward contingency, and intrinsic motivation.OrganizationalBehaviorandHumanPerformance,16,294-307.
  • Fagot,B.I.(1973).Influenceofteacher’sbehaviorinthepreschool.Developmental Psychology,9,198-206.
  • Englander,M.E.(1986).Strategiesforclassroom discipline.NY:Greenwood.
  • Emmer.E.T.(1987).Praise and the instructionalprocess.JournalofClassroom Interaction,23(2),32-39.
  • Ekman,P.(1985).Tellinglies.NY:W.W.Norton.
  • EBS제작팀 아이의 사생활
    서울:지식채널 [2009]
  • Dweck,C.S.(1999).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personality,and development.Philadelphia:PsychologyPress.
  • Dinkmeyer,D.,& McKay,G.D.(1983).Systematictraining foreffectiveparenting: Parent'shandbook,CirclePines,MN.:AmericanGuidanceServices.
  • Diaz.R.M.(1992).Methodologicalconcernsinthestudyofprivatespeech.In R. M.Diaz& L.E.Berk(Eds.),Private speech:From socialinteraction to self regulation.Hillsdale.NJ:LawrenceErlbaum.
  • Diaz,R.M.(1986).Theunionofthoughtandlanguageinchildren'sprivatespeech. The Quarterly Newsletter of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7,16-22.
  • Dessler,D.(2011).HumanResourceManagement.NY:Pearson.
  • Denzin,N.K.(1989).Interpretiveinteractionism.NewburyPark:Sage.
  • Deci,E.L.Koestner,R.& Ryan,R.M.(1999).A meta-analytic review of experimentsexaminingtheeffectsofextrinsicrewardsonintrinsicmotivation. PsychologicalBulletin,125(6),627-668.
  • Deci,E.L.,Koestner,R., & Ryan,R.M.(2001).Extrinsicrewardsand intrinsic motivation in education: Reconsidered once agai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71(1),1-27.
  • Deci,E.L.(1975).Intrinsicmotivation.NY:Plenum.
  • DeVries,R.(2002).Playintheearlyeductioncurriculum:Fourinterpretations.InR. DeVries,B Zan,C.Hidebrandt,R.Edmiaston,& C.Sales(Eds.),Developing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curriculum(pp.13-32).NY:Teachers College Press.
  • Damon,W.(1977).Thesocialworldofthechild.SanFrancisco:Jossey-Bass.
  • Dalgarno,B,& Lee,M.J.W.(2010).Whatare the learning affordances of3D virtualenvironments?BritishJournalofEducationalTechnology,41(1),10-32.
  • Cronbach,L.J.(1954).Educationalpsychology.NY:HarcourtBraceJovanovich.
  • Cotler.S & Palrner,R.J.(1971).Socialreinforcement,individualdifferencefactors and the read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andSocialPsychology,18(1),97-104.
  • Corpus,J.H.(2000).Beneficialand detrimentaleffects ofpraise on children’s motivation: Performance versus person feedbac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tanfordUniversity.
  • Contemporarybehaviortherapy.전윤식,강 영심,황순영 역(2004).행동치료
    Davied,C.G. Michael,D.S. 서울:시그마프레스 [2003]
  • Coie.J.D.,Dodge.K.A,& Kupersmidt.J.B.(1990).Peergroup behavior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17-59).NY:CambridgeUniversityPress.
  • Cobb,P.(1994).Whereis the mind? Constructivistand socioculturalperspectives onmathematicaldevelopment.EducationalResearcher,23(7),13-20.
  • Cimpian.A.,Aree,H.M.C.,Markamn,E.M.,& Dweek,C.S.(2007).Subtle linguistic cues affect children's motivation. Psychological Science, 18(4), 314-316.
  • Childrenlearnwhattheylive.김명렬 역(2002).칭 찬받으며 자란 아이는 자신감을 배운다
    Harris,R. Nolte,D.L. 서울:동쪽나라 [1998]
  • Charlesworth,R.,& Hartup,W.W.(1967).Positive socialreinforcementin the nurseryschoolpeergroup.ChildDevelopment,38,993-1002.
  • Casestudyresearchineducation.허미화 역(1994).교육학에 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
    Merriam,B.S. 서울:양서원 [1991]
  • Cameron, J., & Pierce, W. D. (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3), 363-423.
  • Brophy,J.,(1981).Teacherpraise:A functionalanalysis.Review ofEducational Research,51(1),5-32.
  • Brich,S.H.,& Ladd,G.W.(1997).The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schooladjustment.JournalofPsychology,35(1),61-79.
  • Breland,K.,& Breland,M.(1961).The Misbehavior of Organisms.American Psychologist,16,681-684.
  • Bredekamp,S.,& Rosegrant,T.(1992).Reaching potentials through appropriate curriculum: Conceptual frameworks for applying the guidelines. In S. Bredekamp and T. Rosegrant(Eds.), Reach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assessmentforyoungchildren.Washington,DC:NAEYC.
  • Boxer,R.,Mccarthy,M.,& Colley,B.(1987).A schoolsurvey of perceived effectivenessofrewardsandsanctions.PastoralCare,5,93-102.
  •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 관계론
    유혜령 이현주 열린유아교육연구,8(4),293-315 [2004]
  • Bohlin,L.C.(2000).Determinantsof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dominance strategies during play(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Proquest DissertationandThesesdatabase(UMINo.9993607).
  • Bernet,T.J.,& Perry,T.B.(1986).Children'sperceptionsoffriendshipsupportive relationships.DevelopmentalPsychology,22(5),640-648.
  • Belsky,J.,& MacKinnon,C.(1994).Transitiontoschool:Developmentaltrajectories andschoolexperiences.EarlyEducation& Development,5(2),106-119.
  • Becomingaqualitativeresearcher.안혜준 역(2008).질적 연구자 되 기
    Glesne,C. 서울:아카데미프레스 [2005]
  • Battle,J.(1981).Culture-free self-esteem inventories for children and adults. Seattle,WA:SpecialChildPublication.
  • 박사
  • Bandura,A.,& Walters,R.H.(1963).Sociallearning andpersonalitydevelopment. NY:Holt,RinchartandWinston.
  • Bandura,A.(1977a).Self-efficacy:Towardaunifying theoryofbehavioralchange. PsychologicalReview,84(2),191-215.
  • Apter,S.J.,& Conoley,J.C.(1984).Childhood behaviordisordersand emotional. disturbance:An introduction to teaching troubled children.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 Anderson,H.H.(1939).Themeasurementofdominationandofsociallyintegrative behaviorinteacherscontactswithchildren.ChildDevelopment,10(2),73-89.
  • Anderson, R., Manoogian, S., & Reznick, J. (1976). The under-mining and enhancing ofintrinsicmotivation in preschoolchildren.JournalofPersonality andSocialPsychology,34,915-922.
  • Allen,J.P.,& Bell,K.L.(1995).Attachmentandcommunicationwithparentsand peers in adolescence.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inChlidDevelopment,Indianapolis,VA.
  •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김미란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Adleriancounseling:A practitioner’sapproach.노안영‧강만 철,오익수,김광운,송현종,강영신,오명자 역(2005).개인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Sweeney,T.J. 서울:학지사 [1998]
  • 박사
  • 3,4세 유아를 위한 이야기나누기:3,4세 유아교육프로그램의 이 론과 실제
    유희정 이영자 1995년 한국 어린이 육영회 1995년 학기 교사 강습회 [1995]
  • (엄마 아빠의)칭찬기술
    손석한 서울:거름출판사 [2005]
  • (1970b).The socialworlds ofchildhood.American Psychologist, 34(10),944-950.
  • 박사
    '칭찬·격려 활동'을 통한 아동의 도덕적 성장 돕기
    배연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