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마디즘적 인간이해와 감응의 교육 = A Study on Human Understanding in Nomadism and Education of Affect

송혜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노마디즘적 인간이해와 감응의 교육 = A Study on Human Understanding in Nomadism and Education of Affec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감응교육
  • 노마디즘
  • 인간이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0 0

0.0%

' 노마디즘적 인간이해와 감응의 교육 = A Study on Human Understanding in Nomadism and Education of Affect' 의 참고문헌

  • 후지다 히데노리 기로에 선 학교: 학교상(像)의 재검토. 내일을 여는책
    처음처럼, 제16호, 75-98 [1999]
  • 후 현 대 주 의 교 육 학
    목영해 서울: 교육과학사 [1994]
  • 현대 문화에 있어서 노마디즘과 이동성의 의미 ? Attali와Maffesoli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불어불문학연구
    조윤경 제66집 여름, 325-354 [2006]
  • 현대 건축과 패션에 나타나는 노마디즘 연구. 건국대학교
    김남정 석사학위논문 [2006]
  • 혁명의 변증법- 모택동과 메를로-퐁티
    정화열 서울: 민음사 [1999]
  • 해체와 윤리 : 변화와 책임의 사회철학
    문성원 서울: 그린비 [2012]
  • 필로시네마, 혹은 영화의 친구들
    이진경 서울: 소명출판 [2002]
  • 포스트구조주의의 욕망론 ?들뢰즈를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윤성우 프랑스학연구, 제36집, 125-146 [2006]
  • 타자의 타자성의 교육학적 메시지: E. Levinas의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권희숙 노상우 교육학연구, 제47권 제4호, 1-25 [2009]
  • 청소년의 노마디즘적 문화연구. 전북대학교
    송혜린 석사학위논문 [2009]
  • 철학의 탈주. 서울: 새길이진경(2002a). 노마디즘1
    신현준 이진경 서울: 휴머니스트 [1995]
  •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
    김상환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2]
  • 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서울: 그린비 [2009]
  • 질 들뢰즈의 잠재성의 철학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김명주 박사학위논문 [2013]
  • 제3공화국 초기 공교육 개혁과 에콜 폴리테크닉의 대응
    문지영 프랑스의 교육과 정치: 제4회 한국프랑스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65-78 [2013]
  • 저, 한정헌 역(2007). 들뢰즈 이해하기 (UnderstandingDeleuze)
    Colebrook, C. 서울: 그린비 [2002]
  • 저, 임인숙 역(2011). 몸의 사회학
    Shilling, C. 서울: 나남출판사 [1999]
  • 저, 이정하 역(2009). 들뢰즈와 예술
    Sauvagnargues, A. 파주: 열화당 [2005]
  • 저, 이정우 역(2005). 싹트는 생명: 들뢰즈의 차이와반복
    Pearson, K. A. 서울: 산해 [1999]
  • 저, 이성동 역(1996). 육체의 문화사
    Kern, S. 서울: 의암출판 [1975]
  • 저(1885), 장희창 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Nietzsche, F. 서울: 민음사 [2004]
  • 저(1701), 소두영 역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
    Descartes, R. 서울: 동서문화사 [2009]
  • 아르토의 잔혹극 연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김겸섭 인문과학연구, 제28집, 99-125 [2004]
  • 신체론으로서의 감각론 ? 스피노자의 물음 ‘신체는 무엇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들뢰즈의 답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성기현 탈경계 인문학, 제6권 2호, 171-198 [2013]
  • 소수문학들의 정치학
    고길섶 서울: 문호과학사 [1990]
  • 사회불평등 구조의 변화
    김문조 한국사회학회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한국사회이론학회, 사회이론
    김종길 제33호 (2008년 봄/여름), 201-245 [2007]
  • 브레인보우: 행위에 의해 완성되는 감성언어. 한국영상문화학회
    이유선 정인경 영상문화, 제18집, 183-217 [2011]
  • 배움과 나눔으로 삶을가꾸는 남한산초등학교 이야기
  • 발도르프교육론의 전인교육적 고찰?교육사상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발도르프교육연구회
    정영근 발도르프교육연구, 제2집 1호, 1-20 [2010]
  •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문화 새로운 상상력
    조윤경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 무의식의 감정과 감각의 힘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구성 ? 프로이트와 들뢰즈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철학회
    연효숙 한국여성철학, 제20권, 41-64 [2013]
  • 몸의 정치
    정화열 서울: 민음사 [1999]
  • 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고요한 박사학위논문 [2000]
  • 몸에 관한 哲學的談論과 그 敎育學的示唆. 한국교육철학회
    이병승 교육철학, 제18집, 227-251 [2000]
  •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와 푸코의 ‘몸-권력’ 비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강미라 박사학위논문 [2008]
  • 맥루한과 벤야민. 한국언론학회
    오창호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3호, 410-435 [2004]
  • 들뢰즈의 철학
    서동욱 서울: 민음사 [2002]
  • 들뢰즈의 실험적 배움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최승현 박사학위논문 [2014]
  •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여성주의적 의미: 새로운 신체 생산과 여성주의 정치. 한국여성철학회
    김은주 한국여성철학, 제21권,95-119 [2014]
  • 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유목주의와 자율주의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한국비평이론학회
    오길영 비평과이론, 제10권 제2호,145-172 [2005]
  • 들뢰즈/가타리의 주체이론. 문예미학회
    김겸섭 문예미학, 제10호,215-230 [2002]
  •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 대한 고찰 - ?천개의 고원? 제6장 ‘기관 없는 신체’를 만드는 법을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동서사상연구소
    신승철 철학 사상 문화, 제1호, 133-173 [2005]
  •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김재춘 배지현 초등교육연구, 제24집 1호, 131-153 [2011]
  •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 탐색. 영남대학교
    배지현 박사학위논문 [2012]
  •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배움의 우연성에기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배지현 교육과정연구, 제30권 제4호, 1-27 [2012]
  •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한국교육학회
    김재춘 배지현 교육학연구, 제50권 제3호, 125-149 [2012]
  • 들뢰즈 기호론의 교육학적 해석. 영남대학교
    김비아 박사학위논문 [2013]
  • 들뢰즈 감성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차이와 반복?의 ‘강도’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김재춘 배지현 초등교육연구, 제25집1호, 1-29 [2012]
  • 들뢰즈 가타리의 ‘되기’의 정치학이 지닌 교육적 함의. 영남대학교
    김비아 석사학위논문 [2007]
  • 니체의 몸철학
    김정현 서울: 지성의 샘 [1995]
  • 노마디즘의 수용상황 분석과 이해. 프랑스학회
    최영주 프랑스학연구, 제52집, 385-437 [2010]
  • 노마디즘에 나타난 교육인간상 탐구. 교육사상연구회,교육사상연구
    노상우 송혜린 제28집 제1호, 207-226 [2014]
  • 노마디즘에 나타난 ‘감응’의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노상우 송혜린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4호, 143-164 [2014]
  • 노마디즘, 사회적 비판의식을 무력화하는 이데올로기. 인물과사상사, 인물과사상, 통권 125호
    박민영 9월호, 102-119 [2008]
  • 노마디즘 2
    이진경 서울: 휴머니스트 [2002]
  • 교육과정탐구
    이홍우 서울: 박영사 [1977]
  • 감정교육으로서의 예술교육: 예술경험의 교육적 가치탐색. 한국교육철학학회
    곽덕주 최진 교육철학연구, 제37권 제1호, 117-137 [2015]
  • 감응의 커뮤니케이션: 들뢰즈 가타리의 커뮤니케이션 사상을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오창호 한국언론학보, 제10권 제2호, 117-159 [2014]
  • 감성의 교육학적 수용: Levinas와 Deleuze의 경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육과학연구
    강선보 최승현 제42집 제2호, 1-23 [2011]
  •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노상우 교육철학연구, 제34권 제1호, 71-97 [2012]
  • 가타리의 분열분석과 미시정치. 동국대학교
    신승철 박사학위논문 [2010]
  • “기관 없는 신체”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고길섶 - 들뢰즈/가타리와 알튀세르의 한 해후. 문화과학사, 문화과학, 제30호, 237-271 [2002]
  • ‘학교지식과 권력’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고찰?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학’의 경우-. 한국교육사회학회
    최명선 한국교육사회학연구, 제15권 제1호, 213-235 [2005]
  • ‘타자성 철학’의 현대교육학적 함의 ? Derrida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노상우 안오순 교육철학, 제42집, 135-156 [2008]
  • ‘욕망’ 개념을 통해서 본 들뢰즈 철학의 의미 - ‘탈주’와 ‘생성’. 새한철학회
    김명주 철학논총, 제57집 제3권, 32-50 [2009]
  • Williams J.(2013). Time and education in the phi losophy of Gi llesDeleuze. Edinbrugh: Edinbrugh university Press.
  • Uexkull, J. V.(1965). Mondes animaux et monde humain. Paris:Gonthier.
  • Scruton, R.(2011). Beauty: A Very Short I ntrodution.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 Rodowick, D. N.(1997). Gi lles Deleuze’s Time Machine . Durham andLondon: Duke university Press.
  • Proust, Marcel. 저, 김창석 역(2001).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스완네 집 쪽으로(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서울: 국일미디어 [1913]
  • Peters, R. S.(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Unwin, Ltd.
  • Peters, R, S.(1970).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an. Philosophy ofSocial Science”, P hi losophy of Education, Vol. 4, Issue 1, 5-20.
  • Merleau-Ponty 저, 류의근 역(2002). 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1945]
  • Merleau-Ponty 저, 김정아 역(2008). 눈과 마음: 메를로 퐁티의회화론
    서울: 마음산책 [1964]
  • Merleau-Ponty 몸 담론의 교육적 의미 탐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이병승 교육사상연구, 제15집, 167-190 [2004]
  • Massumi, B(2002). P arables for the Virtual . Durham & London: DukeUniversity Press.
  • Maffesoli, M.(1993). La contemplation du monde: Figures du stylecommunautaire. Paris: Grasset.
  • IT와 새로운 사회질서의 형성
    김문조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 Gregoriou, Zelia.(2004). “Commencing the Rhizome: Toward a MinorPhilosophy of Education”, Educational P hi losophy and Theory(36/3), 233-251.
  • Foucault, Michel. 저, 이규현 역(2007). 광기의 역사(Histoire delafolie a l'age classique)
    파주: 나남출판 [1961]
  • Foucault, Michel. 저, 이규현 역(2004). 성의 역사1: 앎의 의지((La)volont'e de savoir)
    파주: 나남출판 [1975]
  • Englisch, Gundula 저, 이미옥 역(2002). 잡노마드 사회: 직업의 유랑자들
    서울: 문예출판사 [2001]
  • Dudrick. David.(2005). “Foucault, Butler and the Body”. EuropeanJ ournal of P hi losophy, Vol. 13, Issue 2, 226-246.
  • Deleuze의 되기, 생성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교육원리학회,교육원리연구
    김재춘 제15집 제1호, 1-38 [2010]
  • Deleuze, Gilles. 저, 한정헌 정유경 역(2012). 경험론과 주체성: 흄에따른 인간 본성 시론
    서울: 난장 [1953]
  • Deleuze, Gilles. 저, 하태환 역(2008). 감각의 논리(Francis BaconLogique de la sensation)
    서울: 민음사 [1981]
  • Deleuze, Gilles. 저, 이찬웅 역(2004).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Le P li , Leibniz et le Baroque)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8]
  • Deleuze, Gilles. 저, 이정하 역(2005). 시네마2: 시간-이미지(Cinema Ⅱ: L’image-Temps)
    서울: 시각과 언어 [1985]
  • Deleuze, Gilles. 저, 이정우 역(1999). 의미의 논리(Logique duSens)
    서울: 한길사 [1969]
  • Deleuze, Gilles. 저, 이경진 권순모 역(2003).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Spinoza et la P roblem de Lexpression)
    고양: 인간사랑 [1968]
  • Deleuze, Gilles. 저, 이경신 역(2001). 니체와 철학(Nietzsche et laphi losophie)
    서울: 민음사 [1962]
  • Deleuze, Gilles. 저, 유진상 역(2002). 시네마1: 운동-이미지(Cinema Ⅰ: L’image-Mouvement)
    서울: 시각과 언어 [1983]
  • Deleuze, Gilles. 저, 서동욱 이충민 역(1997). 프루스트와 기호들(P roust et les signes)
    서울: 민음사 [1964]
  • Deleuze, Gilles. 저, 서동욱 역(2006). 칸트의 비판철학: 능력들에 관한 이론((La)phi losophie critique de Kant)
    서울: 민음사 [1963]
  • Deleuze, Gilles. 저, 박기순 역(1999). 스피노자의 철학(Spinoza-phi losophie pratique)
    서울: 민음사 [1981]
  • Deleuze, Gilles. 저, 김재인 역(2000). 베르그송주의(Le Bergsonisme)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66]
  • Deleuze, Gilles. 저, 김상환 역(2004). 차이와 반복(Difference etRepetition)
    서울: 민음사 [1968]
  • Deleuze Guattari 저, 최명관 역(1994). 앙띠 오이디푸스(Anti-Oedipus)
    서울: 민음사 [1972]
  • Deleuze Guattari 저, 이진경 역(2004).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Kafka, P our une Litterature Miseure)
    서울: 동문선 [1975]
  • Deleuze Guattari 저, 이정임 윤정임 역(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Quest-ce que la phi losophie?)
    서울: 현대미학사 [1991]
  • Deleuze Guattari 저, 김재인 역(2002). 천 개의 고원(Mi lleP lateaux)
    서울: 새물결 [1980]
  • Colebrook, C.(2008). Leading out, Leading on: The soul ofEducation, Nomadic Education: Variations on a Theme byDeleuze and Guattari . Rotterdam: Sense Publishers.
  • Cole, D.(2011). “The Actions of Affect in Deleuze: Others using languageand the language that we make …”.Educational P hi losophy andTheory, Vol. 43, Issue 6, 549-561.
  •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 in J.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Education. New york: Greenwood.
  • Bourdieu, P.(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 udgementof Taste . London: RKP.
  • Bogue, R.(2007). “Search, Swim and See: Deleuze’s Apprehenticeship inSignes and Pedagogy of Images”. Educational P hi losophy andTheory, Vol. 36, Issue 3, 327-342.
  • Attali, Jacques. 저, 편혜원 정혜원 역(1999). 21세기 사전
    서울: 중앙M&B [1999]
  • Attali, Jacques. 저, 이효숙 역(2007).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서울: 웅진닷컴 [2003]
  • ?차이와 반복? 중 들뢰즈 연보
    김상환 서울: 민음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