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 서울거주 40~5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on Expectations about Successful Aging and Retirement Preparation

정석식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 서울거주 40~5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on Expectations about Successful Aging and Retirement Prepar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노화불안
  • 성공적 노화
  • 은퇴준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93 0

0.0%

'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 서울거주 40~5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on Expectations about Successful Aging and Retirement Preparation' 의 참고문헌

  •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문화관광부
  • 박사
    한국형 은퇴준비 척도 타당화 연구
    김연진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
  • 한국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30 40 50대 기혼남 여를 대상으로
    강유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6(4), 159∼174 [2005]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 노인실태조사 [201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의 노후생활인식에 대한 태도 조사』 저 출산 고령사회연구센터 [200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베이비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생활 전망 보고서’ [201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www.kihasa.re.kr
  •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 구조분석
    김경호 김지훈 한국노년학, 29(1), pp.71-87 [2009]
  •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 연구: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강혜원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 과정
    박형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한국노인과 미국노인의 노화불안 연구,『한국노인복지학 회』
    김욱 통권 47, pp.71-94 [2010]
  • 한국노동연구원
    http://www.kli.re.kr/
  •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4u.net)
    소장자료 검색 [2015]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4u.net
  • 한국 중산층 가계의 은퇴자금 적정성
    여윤경 한국노년학, 25(1) [2005]
  • 박사
  •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김동배 『한국사회복지학』,제60권 제1호, pp.211-231 [2008]
  •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최혜경 『한국가족학회지』13(3):145-168 [2008]
  • 한국 가계의 은퇴자산 적정성 판단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김진호 여윤경 금융연구, 21(2), pp.1-30 [2007]
  • 통계청
    http://www.nso.go.kr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http://kostat.go.kr [2013]
  • 통계청
    http://kostat.go.kr [2011]
  • 통계청
    e-나라지표 [2014]
  • 치매노인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유용식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7]
  •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이경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여미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혜련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신계수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추용 한국노인복지학회 43(1), pp.135-156 [2009]
  •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김양이 이채우 「한국사회조 사연구」19, pp.55-82 [2008]
  •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태도가 은퇴준비에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배재덕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중년층 노동자의 노후설계 인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김남순 박사학위논문 [2009]
  •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예측모형
    조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중년기의 여가라이프스타일, 여가인지, 여가충족 및 노후준비행동의 관계
    문현주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중년기 여성의 영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생산성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장영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중년 이후 여성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
    김은하 한국간호교육학회 지, 13(2), pp.192-202 [2007]
  • 중 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김미령 한국노인복지학회, 62, pp.57-287 [2013]
  •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박창제 한국사회복지 학」, 60(3), pp.275-297 [2008]
  •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신학진 전상남 제29호 제4호, pp.1384-1395 [2009]
  • 종업원 재무교육과 은퇴설계
    주소현 소비자학연구, 19, pp.71-89 [2008]
  • 조희선,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 델
    성혜영 한국노년학, 26(1) [2006]
  • 조지 베일런트 이덕남, 『10년 일찍 늙는 법, 10년 늦게 늙는 법』
    나무와숲 [2002]
  • 박사
  •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인숙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일부 지역 성인의 노후불안,『한국노년학』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 최순옥 제28호 제1호.pp.19-32 [2008]
  • 일 지역 노인의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김순이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pp.7-15 [2005]
  • 은퇴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주관적 인식 및 생활만족도 관계 연구 :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남성노인 중심으로
    박정식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은퇴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경숙 조선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유엔미래보고서2045
    박영숙 교보문고, p.72 [2015]
  • 유경, 생산적 노화에 대한 세대 간 인식 및 생산적 노화 척도의 타당성 분석
    강연욱 김지현 이주일 『한국심리학회지』, pp.1-27 [2011]
  • 울산광역시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및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정영자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2010 은퇴계획 및 연금보험 관련 조사, 리서치보고서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pp.1-39 [2010]
  • 실버소비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노화예방제품에미치는 영향, 노화불안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 학원
    김현정 박사학위논문 [2014]
  •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김정석 한국노년학, 20(2), pp.155-168 [2000]
  •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한종식 박사학위논문 [2009]
  •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재중 백석대학교 기 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 성인학습을중심으로
    조해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강인 노인복지연구, 20 [2003]
  •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윤영애 대구한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민주 대구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인식에 관한 연구
    윤형준 강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성공적 노화모델 연구: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성혜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성공적 노화 개념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홍현방 박사학위논문 [2001]
  • 박사
  • 부부간 인식 차이에 따른 은퇴 후 가족관계 변화
    장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보험연구원
    우리나라 국민들의 은퇴준비 현황 [2012]
  •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mw.go.kr
  • 박사
  •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백은영 사회보장연구, Vol.27 No.2 [2011]
  •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 관계 연구
    박현식 한국노인 복지학회, 58, pp.281-302 [2012]
  •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창제 社會보장 연구, Vol.27, No.4 [2011]
  •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김태호 박사학위논문 [2015]
  • 박사
  • 박사
  •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은퇴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신영 사회과학논총, 28(1) [2009]
  • 도구개발을 통한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연구
    최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대한민국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 대학생의 교육적, 사회적, 가정 환경적 요인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지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대학생과 노인의 노화불안과 특성불안 및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
    장휘숙 pp.1-18 [2012]
  • 박사
  • 노후보장을 위한 재정설계와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이일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노화불안 척도의 타당성 연구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 최순옥 『정신 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92-301 [2008]
  • 박사
  • 박사
  • 노인의 자아 통합감 영향요인
    주희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노인의 역할수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송혜자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승훈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참여 태도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여미옥 목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3]
  • 노인의 성공적 노화 구조모형
    서은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주대학교
    강신옥 박사학위논문 [2009]
  • 박사
  •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묘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2]
  •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세대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권중돈 한국노년학, pp.25-2 [2005]
  • 노인생애체험이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유리 노인복지연구, 46, pp.193-214 [2009]
  • 노인상담
    이호선 서울; 학지사 [2005]
  •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여윤경 한국가정관리학회, 21(5) [2003]
  • 노인복지학
    최성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노년기 성공적 노화의 삶의 만족도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유재남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네이버 위키백과
    자기효능감의 정의 [2015]
  • 박사
  •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 관한 일 고찰
    이신영 복지행정논총,16(1), pp.117-136 [2006]
  • 광주 전남 중년층의 은퇴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이정화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2) [2009]
  •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신수민 「사회보장연구」, 44(3), pp.57-83 [2013]
  • 경제협력개발기구
    2011년 OECD 고령화와 고용정책보고서 [2013]
  • 박사
    경제적 은퇴준비 특성과 은퇴생활수준
    허균석 전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13]
  • 갱년기 여성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김순안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개인적 심리적 직업관련 변인이 은퇴기대와 은퇴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배문조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행복한 독종』
    이시형 리더스북 [2010]
  •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 [2012]
  • 『장수리스크 산정과 국제 비교』
    경제투데이 [2009]
  • 『은퇴가 없는 나라』
    김태유 삼성경제연구소, p.32, p.231 [2013]
  • 『스마트 에이징을 선도할 10대 미래 유망 기술 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3]
  •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
    조선일보 [2015]
  • 『성인발달과 노화』
    정옥분 김수정 외 10인 옮김 (서울: 시 그마프레스, , 15 [2001]
  •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한국노년 학』
    박경란 이영숙 22(3) [2002]
  • 『생명보험협회, 고령화 사회 통계』
    파이낸셜뉴스 [2015]
  • 『보건사회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보건사회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 『노년학』
    김태현 교문사, pp.20~24 [2012]
  • 『65세 고령자들이 겪는 어려움』
    파이낸셜뉴스 [2015]
  • 『100세 시대 은퇴 대사전』
    송양민 우재룡 21세기북스 [2014]
  • “중년층의 재무교육,은퇴기대,사회적 지지가 노후준비에 미 치는 영향”
    강신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최성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 Yan, Tingjian, Silverstein, Merril and Wiber, Kathleen H.(2011), Does Race/Ethnicity Affect Aging Anxiety in American Baby Boomers? Research on Aging, 33(4), 361-378.
  • Wong(1989), T. P.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 30(3). pp.516-525.
  • Well-dying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성공적 노화에미치는 영향
    정의정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Wakins, R. E. Coates, R, & Ferroni, P.(1998).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in an Elderly Australi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46(4), pp.319-332.
  • WHO(2002). Active Aging : A Policy Frame. Geneva: WHO.
  • Vaillant, G. E. (1994). Successful Aging and Psychosocial Well-Being: Evidence from a 45-year study. In E.H. Thompson, Jr.(Ed). Older Men's Liv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 Torres(2002), Relational Values and Ideas Regarding Successful Aging,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3(3), pp.417-431.
  • Tallis, F. Eysenk, K., & Mathews, A.(1991), The Role of Temporal Perspective and Ego-Relevance in the Activation of Worry Structur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 pp.909-915.
  • Strawbridge(1996), W. J. Successful Aging: Preditors and Associated 138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Epidemology. 144. pp.135-141.
  • Stone, R. G. (1996). Gerontology Manual. Warner Tacoma, WA: Univ. of Puget Sound.
  • Sociology of Aging, 최신덕 역. 노년 사회학
    Cole, W. E. Harris, D. K. 서울: 경문사 [1986]
  • Silverstein,M., & Abramson,A.(2008)."How Baby-Boomersin the United States Anticipate Their Aging Future: Implication for the Silver Market, The Silver Market Phenomenon, 1: 55-69.
  • Sigelman, C. K. & Shaffer, D. R.(1995), Life-Span Human Development, Pacific Grore. CA: Books/Cole.
  • Shaughnessy,J.(1988). Pre-retirementandtheroleofoccupational health nurs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Journal,3 6(2), pp.70-77.
  • Ryff, C. D.(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2, pp.34-55.
  •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 Rowe, J. W., & Kahn R. L..(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pp.433-440.
  • Rowe, J. W., & Kahn R. L.,.(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 pp.143-149.
  • Rowe & Kahn Rowe,J.W. & Kahn,R.L.(1999),『성공적 노화』, 최혜경
    권유경 역; 서울: 도서출판 신정 [1987]
  • Pezzin, L. E., Polka, R. A., & Schone, B. S.(2013), Complex Families and Late-Life Outcomes among Elderly Persons: Disabi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Longev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5, pp.1084-1097.
  • Peter, C.(2001), If You Got Everything, it's good enough : Perspectives on Aging Successful in a Canadian Inuit Community,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16(2), pp.127-155.
  • Palmore, E.(1979),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19(5) 427-431.
  • Nynch, S. M.(2000), Measuer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pp.533-558.
  •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pp.134-143.
  • Netz, Y., Zach, S., Dennerstein, L., & Guthrie, J. R.(2005). The Menopausal Transition: Does it Induce Women's Worries about Aging? Climacteric, 8, pp.333-341.
  • Neikurg, S. M. (2003). Worrying about a Frightening Old Age. Aging Ment Health, 7(5), pp.326-333.
  • Moody, H. R.(2005). 'From Successful Aging to Conscious Aging', In M. L. Wykle, P. J. Whitehouse, D. L. Morris(Eds.), Successful Aging Through the Life Span: Intergenerational Issues in Health, 55-68,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McConatha, J. T., Schnell, F., Volkwein, K., Riley, L.,& Leach, E.(2003), Attitude toward Ag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Young Adoul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lnt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7(3), pp.203-215.
  • Marshall, V. W.(1980).A sociology of Aging and Dying, Belmont, Calf: Wadsworth
  • Lynch, S. M. (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pp.533-558.
  • Lemon. B. w., V. L. Bengtson, & J. A. Peterson.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 pp.511-523
  • Lasher, K. P., & Faulkender, P. J.(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7(4), pp.247-259.
  • Kurger, A. (1994). The Midlife Transition: Crisis or Chimera? Psychology Report, 75, pp.1299-1305.
  • Klemmack. D. L. and Roff, L. L. (1984). Fear of Personal Aging and Objectives Well-Being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39(6), pp.756-758.
  • Kalish, R. Q., Late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Berkeley : Cole Publishing Co. 1975), pp.128-133.
  • Kalish, R. A. & Reynolds, D. K. Death and Ethnicity : A Psychocultural Study. Los Angele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mia Press. 1976.
  • Kafer, R. A., Rakowski,W., Lachman, M., & Hickey, T.(1980), Aging Opinion Survey: A Report on Instrument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1:319-33.
  • Jeong, G. H., Yang, S. O., Lee, K. O., Pye, O. J., Lee, M. R, Baik, S. H., & Kim, K. W., (2003). Bone Mineral Density,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e, 9(2), pp.170-178.
  • Hooyman, N, R & Kiyak, h. a. (2007).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Social Gerontology, 8. Allynand Bacon.
  • Henretta, J. C.(2001). Work and Retirement. 255-271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Edited by Robert Binstock and Linda George NY: Academic Press.
  • Havighurst, R. J.,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Let's Learn about Aging, A Book of Reading, J. R. Barry & Wingrove (Eds.), (N. Y. Schenkman Publishing Co. Inc., 1977), pp.139-148.
  • Havighurst, R. (1963). Successful Aging. In R. William, C. Tibbits, & W. Donahue (Eds.), Processes of Aging (Vol. 1, pp. 299-320), New York : Atherton Press.
  • Harris, L. A., & Clancy Dollinger, S. M.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Anxiety about Ag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4, pp.187-194.
  • Guse, L. W.,& Masesar, M. A.(1999). Quality of Life and Successful Aging in Long-Term Care: Perceptions of Resident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0, 527-539.
  • Glass, J. C.(1990). Changing Death Anxiety through Death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s, Death Studies, 14(1), pp.31-52.
  • George, L. K, and Clipp, E. C.(1991), “Sudjective Components of Aging Well”, Generations, Vol.15, No.1, pp.57-60.
  • Gatz, M., Zarit, S. H.(1999). A Good Old Age: Paradox Orpossibility, In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ed. by Bengston and Schaie), New York : Springer.
  • Friedman, S. L., & Scholnick, E. K. (1997). An Evolving "Blueprint" for Planning. Psychological Retirements, Task Characteristice,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In S. L.
  • Friedman, E., & Havighurst, R. (Eds.). (1954). The Meaming of Work and Retirement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Flood, M.(2002).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6(2), pp.105-108.
  • Fisher, B. J.(1995),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1(3): 239-250
  • Fisher, B. J. & M. A. Specht. Successful Aging. NY: John Wiley & Sons Inc. 1999.
  • Featherman, D. L., Smith, J.and Peterson, J. G.(1991). Successful Aging in a Post-Retired Society .in Baltes, M. M. & Baltes, P. B.(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 Ekerdt, D. J. & DeViney, S.(1990). On Defining Persons as Retried. Journal of Aging Studies, 4(3), pp.211-229.
  • Cumming, E., & Henry, W. E.(1961), Growing old: The Process of Mixed engagement, New York: Basic Book.
  • Cumming, E. & W. E. Henry.(1961). Growing Old. New York, NY: Arno Press.
  • Crowther, M. R, Parker, M. W., Achebay, W. A., Larinmore, W. L., & Koenig, H. G. (2002). Rowe & Kahn's Model of Successful Aging Revisited Positive Spiritualty-The Forhatten Factor. The Gerontologist, 42(5), pp.613-620.
  • Crosnoe, R., & Elder, G. H.(2002).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her Years, Social Psychology Quality, 65(4), pp.309-328.
  • Collings, P. “If You Got Everything, It's Good Enough: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in a Canadian Inuit Community."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16 (2001): 127-155.
  • Chou, K. L., & Chi, I.(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54(1), pp.1-14.
  • Butrica, Barbara A., Howard M. Iams, and Karen E. Smith, 2003, "It All Relative : Understanding the Retirement Prospects of Baby Boomers", Chestnut Hill, Mass.: Boston College Center for Retirement Research.
  • Borland, D. C. (1982). A Cohort Analysis Approach to the Empty-nest Syndrome among Three Ethnic Groups of Women: A Theoretical Position,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44, 117-129.
  • Barber, D.(1998). The Dawning of the 'Third Age', Management, 45(5), 46-48.
  • Bandura, A.(1986) Sefl-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NY:Cambridge University.
  •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34.
  • Baltes, P. B.(1993), The Aging Mind: Potential and Limits. The Gerontology, 33, pp.580-594.
  • Atchley, R. (1979). Issues in Retirement Research. The Gerontologist, 19(1), pp.44-54.
  • Atchley, R. (1971). Retirement and Leisure Paricipation : Continuity or Crisis? The Gerontologist, 11, pp.13-17.
  • Atchely(1976), Retirement and Work Orientation, The Gerontologist, vol.11, pp.29-32.
  • 1,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최은영 박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