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음절핵의 해석과 음운현상 연구

노채환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음절핵의 해석과 음운현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구성원소
  • 단모음화
  • 모음 관련 음운현상
  • 모음삽입
  • 모음조화
  • 음운현상
  • 음절핵의 해석
  • 이중모음화
  • 지배음운론
  • 통시적 변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9 0

0.0%

' 한국어 음절핵의 해석과 음운현상 연구' 의 참고문헌

  • 지배음운론이란 무엇인가
    이상직 허용 『언어학』19, 411-442쪽 [1996]
  • 지배음운론에서 본 ‘ㅡ’모음
    허용 『말소리』19?20, 58-87쪽 [1990]
  • 음절이론과 국어의 음운규칙
    김차균 『인문과학 연구소 논문집』8,35-81쪽 [1981]
  • 음운론의 이해
    김선정 허용 월인 [1996]
  • 국어음운론
    이기문 학연사 [2000]
  • 국어 음운현상에서의 지배관계
    오정란 『음성 음운 형태론 연구』1,91-104쪽 [1993]
  • 국어 음운론 강의
    이진호 삼경문화사 [2005]
  • 국어 모음체계에 대한 한 가설
    박창원 『국어국문학』95, 313-343쪽 [1986]
  • 구성원소 이론을 통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 현상 비교 연구
    노채환 심보 토모코 『이중언어학』36, 115-1362쪽 [2007]
  • 개정 지배 음운론 개관
    김선정 『언어학』19, 443-453쪽 [1996]
  • 金田一春彦(1967), “音節モラおよび拍”「日本語音韻の究」, 東京: 東京堂出版.
  • 許雄, “‘애, 에, 외, 위’의 音價”
    『國語國文學』1, 5-8쪽 [1952]
  • 窪園晴男(1999),「現代言語入門2, 日本語の音」, 東京: 岩波書店.
  • 母音調和의 崩壞와 ‘ㆍ’의 第1段階變化
    韓榮均 『국어학』20,223-236쪽 [1990]
  • 母音調和와 母音體系
    李基文 『李崇寧博士頌壽記念論叢』, 을유문화사,377-389쪽 [1968]
  • 國語의 音節構造와 音韻現象
    姜昶錫 『국어학』13, 199-228쪽 [1984]
  • 國語母音體系의 新考察
    金完鎭 『震檀學報』24, 63-99쪽 [1963]
  • 國語母音調和의 誤算問題-體言과 格語尾의 調和를 中心으로-
    都守熙 『국어국문학』4950 합집, 105-124쪽 [1970]
  • 中條修(1989),「日本語の音韻とアクセント」, 東京: 勁草書房.
  • 『현대 국어음운론』
    형설
  • 『한국어음운학』
    정음사
  • 『한국어음운론』
    태학사
  • 『최적성 이론의 언어 분석』
    한국문화사
  • 『음운학 강의』
    태학사
  • 『음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 『모음조화의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 『국어음운사연구』
    탑출판사
  • 『국어 음운론 연구』
    박종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3]
  • 『고대국어 음운』
    태학사
  • 『개정판 한국어음운학』
    샘문화사
  • 『音韻現象에 있어서의 制約』
    塔出版社
  • “후기 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어의 음절구조”
    강옥미 『어문논집』4, 3-38쪽 [1994]
  • “한국어음운사에 있어서의 부음 y에 대하여”
    『한글』179,85-132쪽
  • “한국어교육을 위한 중간 언어 음운론 기초연구: 지배음운론적 관점에 입각한 한국어 모음현상 분석”
    『언어과학연구』25, 277-298쪽
  • “한국어 음운현상에 나타난 결합 작용과 분해 작용 -지배 음운론적 접근-”
    『어문학』69, 43-63쪽
  • “한국어 모음체계의 유형적 특성 연구”
    『언어와 언어학』61,175-200쪽
  • “한국어 모음조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ATR조화-”
    이덕영 『한글』223,157-199쪽 [1994]
  • “한국어 ‘ㅡ’모음의 음운론적 실체 연구”
    『언어와 언어학』39,235-255쪽
  • “튀르크 제어의 모음조화에 대한 한 고찰”
    『한글』221, 187-207쪽
  •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의 모음조화 비교”
    연규석 『한국이슬람학회논총』20-1, 233-259쪽 [2001]
  • “최적성 이론에 의한 모음조화의 변화 분석”
    『음성 음운 형태론연구』7집 제1호, 191-213쪽
  • “지배음운론에서 본 한국어의 중화 현상”
    『언어과학연구』16,103-124쪽
  • “중세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어문연구』13, 225-239쪽
  • “중성모음 ‘ㅣ’의 투명성과 불투명성”
    『한글』257, 71-102쪽
  • “중간언어 음운론에서의 간섭현상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고찰”
    『한국어교육』15권 1호, 233-257쪽
  • “자연언어에서의 삽입모음 유형 연구”
    『언어와 언어학』49,325-348쪽
  • “엄밀 CV 이론의 재검토”, 『언어학』67, 3-19쪽李崇寧, “母音調和硏究”
    『震檀學報』16, 7-115쪽 [1949]
  • “어간말 자음 /h/의 음운론적 행위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언어학』61, 161-183쪽
  • “상태동사 파생접사 ‘ㅂ/브’에서의 모음교체에 대한 연구”
    『언어학』22, 389-410쪽
  • “비음화와 비음동화”
    『국어학』25, 137-164쪽
  • “몽골제어 모음조화에 대한 일고찰”
    『우리어문연구』6?7권,21-41쪽
  • “모음체계의 재정립과 ‘ㆍ’의 제 2단계 변화”
    애산학보 10, 애산학회. 85-109쪽 [1990]
  •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국어학』22, 33-56쪽
  • “모음조화현상에 대한 연구-현대어를 중심으로”
    남광우 『국어국문학』62?63, 97-109쪽 [1987]
  • “모음조화의 예외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제6집, 1-22쪽
  • “모음조화의 붕괴 요인에 대하여”
    『김형기 선생 팔순기념 국어학논총』, 창학사. 155-189쪽
  • “모음조화 유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모음교체 현상의 보편성 연구 - 영어, 아랍어, 한국어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0, 413-435쪽
  • “만주 퉁구스제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나나이어의 모음조화”
    『국어학』17, 229-246쪽
  • “국어의 음절 구조와 음절핵 안에 일어나는 음운론적 과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12, 25-69쪽
  • “국어의 모음조화의 고찰에 대한 반성”
    『어문연구』12, 47-69쪽
  • “국어음절구조의 최적이론에 의한 분석”
    조성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어 음운론에서의 강도와 기능”
    『언어』15, 195-223쪽
  • “구성원소 이론과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
    이상직 『음성 음운 형태론연구』10집 제3호, 523-542쪽 [2004]
  • “구성원소 이론과 국어의 자음표시”
    『언어학』46호, 3-29쪽
  • “母音調和의 理論”
    『語學硏究』7(2), 29-36쪽
  • “母音調和의 崩壞와 母音體系再定立의 상관성에 관한 硏究”
    『어문연구』통권 115, 33-55
  • “母音調和와 舌縮-訓民正音解例의 舌縮에 대하여-”
    김주원 『언어학』19, 29-43쪽 [1988]
  • “十五世紀의 母音體系와 二中母音의 kontraktion的發達에 대하여”
    『東方學志』1, 330-432쪽
  • “中世國語의 二重母音과 母音調和-校正廳本「小學諺解」(1588年刊)의 表記例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14, 25-59쪽
  • “中世國語母音論의 現況과 課題”
    『東洋學』9, 23-36쪽
  • “‘애, 에, 외’의 음가변이론(音價變異論)”
    한글 106, 323-333쪽 [1949]
  • “Serbo-Croatian에서의 두 가지 음운현상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언어학』19, 477-498쪽
  • “Lapsus Linguae의 音韻論的解釋”
    전상범 『언어』5-2, 15-32쪽 [1980]
  • “A Revised Theory of Syllabic Phonology”
    안상철 『언어』13-2,333-362쪽 [2003]
  • Vihman, M. M., & Velleman, S. L. (2000), Phonetics and the origins orphonology, In N. Burton-Roberts, P. Carr, & G. Docherty (Eds.),Phonological Knowledge: Conceptual and empirical issues, Oxford,UK: Oxford University Press, pp. 305-399Yoshida, S.(1996), Some Aspects of Governing Relation of JapanesePhonology, Ph. D. Dissert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 Sohn, Hyang-Sook (1987), Underspecification in Korean phonolog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 Schane, Sanford A.(1982), Generative Phonology. Prentice-Hall, Inc,Englewood Cliffs, New Jersey.
  • Rhee, Sang Jik(2002), Empty Nuclei in Korean, Ph D Dissertation, LeidenUniversity, Ttrecht: LOT.
  • Phillip Backley(2011), An Introduction to Element Theory, EdinburghUniversity Press.
  • Michael Kenstowicz & Charles Kisseberth(1979), Generative Phonology :Description and Theory, Academic Press.
  • McCune, L., & Vihman, M. M. (2001), Early phonetic and lexicaldevelopment: A productivity approach. Journal of Speech, Language,and Hearing Research 44, pp. 670-684.
  • McCarthy, John.(2002), A Thematic Guide to Optimality Theory, CambridgeUniversity Press.
  • Lee, Yongsung(1994), Onset analysis of Korean on-glides. In Y.-K. Kim (ed)Theoretical Issues in Korean Linguistics, SCLI, Stanford University,pp. 133-156.
  • Lee, Jin-Seong(1992), Phonology and sound symbolism of Korean ideophones,Ph. 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 Kiparsky, Paul.(1973),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n Three Dimension ofLinguistic Theory, O. Fujimura(ed.), New York: Holt, Rinerhart andWiston, pp. 172-202,Kisseberth, Charles.
  • Kim-Renaud, Yong-Key(1975), Korean Consonantal Phonology, Seoul, TowerPress.
  • Kim, Seon Jung(1996), The Representations of Korean PhonologicalExpressions and their Consequences. Ph. D. Dissertation, SOAS,University of London.
  • Kim, Jong Shil(2007), Vowel harmony in Korean, Studies in Phonetics,Phonology and Morphology 13-3, pp. 433-451.
  • Kaye, J., Lowenstamm, J & Vergnaud, J-R(1985), The Internal Structure ofPhonological Elements: a Theory of Charm and Government,Phonology Yearbook 2, pp. 305-328.
  • Kaye, J(1989), Phonology : a cognitive view, LEA publishers.
  • Hong, Sung-Hoon(2008), Variation and Exceptions in the Vowel Harmony ofKorean,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24-2, pp. 405-428.
  • Heo, Yong(1990), Empty nuclei in Middle Korean, SOAS Working Papers inLinguistics and PhoneticsⅠ, pp. 21-37.
  • Hebb, D. (1949),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New York: Wiley.
  • Harris, J.(1990), Segmental Complexity and Phonological Government,Phonology 7-2, pp. 255-300.
  • Han, Eunjoo(2009), Vowel harmony in hiatus contexts is korean verbalmorphology,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15-2,pp. 341-360.
  • Gussman, E. & Kaye, J.(1993), Polish Note from a Dubrovnik Cafe, SOASWorking paper in Linguistics & Phonetics 3, pp. 427-462.
  • Goldsmith, J.(1976), Autosegmental phonology, Doctoral dissertation, IT. NewYork: Garland Press.
  • Durand, J.(1990), Generative and Non-linear Phonology, Longman. London.
  •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95), A constraint-based theory of phonologicalmarkedness and simplification procedures, Linguistic Inquiry 26(2), pp. 373-463.
  • Denwood, A(1992), The Behaviour of eh Element I in Kalkha Mongolian ?Vowel Harmony versus Umlaut, MA. Dissertation, SOAS, Universityof London.
  • Coady, J. A., & Aslin, R. N.(2003), Phonological neighborhoods in thedeveloping lexicon, Journal of Child Language 30, pp. 441-469.
  • Clements, G. N.(1980), Vowel Harmony in Nonlinear Generative Phonology,Bloomington : Indiana University Linguistics Club.
  • Chung, Chin Wan(2000), An optimality-theoretic account of vowel harmonyin Korean ideophones,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Morphology 6-2, pp. 431-450.
  • Chomsky, N.(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Foris Publications
  • Chomsky, N. & Halle, M.(1968),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Harper & Row.
  • Cho, Mi-hui and Shinsook Lee(1997), Korean Ideophone Harmony inOptimal Domain Theory.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Morphology 3, pp. 279-294.
  • Cho, Mi-Hui(1994), Vowel harmony in Korean : A grounded PhonologyApproach, Ph. 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 Charette, M.(1991), Conditions on Phonological Government,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 Charette, M. & G oksel, A.(1994), Switching and Vowel Harmony, SOAS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and Phonetics 4, pp. 71-78.
  • Carlos Gussenhoven And Haike Jacobs(1998), Understanding Phonology,London: Hodder Arnold.
  • Calabrese, Andrea(1988), Towards a theory of phonological alphabet, Ph. D.
  • Brochkaus, W. G.(1992), Final Devoicing: principles and parameter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College London.
  • Archangeli, Diana(1984), Underspecification in Yawelmani Phonology andMorphology, Ph. D. Dissertation, MIT.
  • Anderson, John M. & Colin J. Ewen. (1987), Principle of DependencyPhon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世紀國語의 母音體系와 母音調和
    李秉根 『국어국문학』72?73,1-14쪽 [1976]
  • (1990b), Government in Phonology: The Case of Morocan Arabic. TheLinguistic Review 6, pp. 131-160.
  • (1990a), Coda licensing, Phonology 7-2, pp. 301-330.
  • The Fundermentals of Particle Phonology,Phonology Yearbook 1, pp. 129-155.
  • Phonological Government in Japanese, Camberra: Facultyof Asian Studies Monographs New Series No.20, The AustralianNational University. Yoshida, Y.
  • On the functional unity of phonological rules. Linguistic Inquiry 1, pp. 291-306.
  • Markedness and Economy in a Derivational Modelof Phonology, Mouton de Gruyter.
  • Licensing constraints and Vowel Harmonyin Turkic languages, MS. SOAS, University of London.
  • Government in Tonkawa: Vowel Elision and Cyclicity,SOAS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and PhoneticsⅠ. 53-70.
  • English Sound Structure, Blackwell.
  • Empty Categories and Korean Phonology, Ph. D. Dissert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 Derivation and interfaces, SOAS Working Papers inLinguistics and Phonetics 3, pp. 90-126.
  • Constituent Structure and Government in Phonology,Phonology 7-2, pp. 193-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