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성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성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Officers Recruitment and the Job Security of the Korean Army
    • 형태사항 26 cm: xi, 235 p.: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 : 김동명, 박휘락, 참고문헌: p. 206-228
    • 학위논문사항 2015.8,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논문(박사)-, 정치외교학과 안보전략전공
    • DDC 335.033, 23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eng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국민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안정성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陸士卒業生
    장창국 서울: 중앙일보사 [1984]
  • 회고 90년: 1890-1981
    이응준 서울: 산운기념사업회 [1982]
  • 화랑대연구소, “사회의 민주화 과정에 있어서 한국군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 구
    ” 육군사관학교 연구보고서 [1990]
  • 헌법 제5조 ②, 제54조 ①, 제60조 ②, 제73조, 제74조 ①, 제 74조 ①ㆍ②, 제87조 ④, 제89조
    제89조 ②ㆍ⑥ㆍ⑮ [1987]
  • 핵심인재 확보양성전략
    김은환 한창수 CEO Information 제353호 [2002]
  • 합동참모본부 홈페이지(http://www
    ics.mil.kr/) (검색일: [2015]
  • 한국정치론
    장을병 서울: 범우사 [1975]
  • 한국전쟁사
    국방부 서울: 일신사 [1976]
  • 한국의 군대와 사회
    백종천 서울: 나남 [1994]
  • 한국민군관계론
    조영갑 서울: 한원출판사 [2000]
  • 한국군의 평생교육 변천과정에 관한 평가분석 연구
    박효선 중앙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군대의 사회학
    홍두승 서울: 도서출판 나남 [1993]
  • 한국군 장교양성제도 통합에 관한 연구
    신현기 대전: 충남대학교 행정대학 원 [2002]
  • 한국국방연구원
    중장기 국방인력정책 연구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0]
  • 한국경제신문 년 3월 7일자
    12월 2일자) [2013]
  • 한국 갤럽(Gallup Korea) “년 한국인과 군대문화
    ” Gallup Report (2011년 6월 23일) [2011]
  • 학생중앙군사학교. ROTC 40년사 부편 Ⅱ
    제도변천 경과 및 내용 [1994]
  • 학생중앙군사학교
    ROTC 30년사 [1998]
  • 학생중앙군사학교
    ROTC 40년사 [2001]
  • 학생군사훈련처
    대한민국 학생군사교육발전사 서울: 육군본부 [1985]
  •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 2015 [2014]
  •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 2002 [2001]
  • 지방화 시대의 민군관계
    정광섭 전략논총,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996]
  • 조진만. “제대군인을 아시나요?
    ” 울산종합일보(http://www.ujnews.co.kr) 년 12월 30일자) [2014]
  • 조직구성원의 직업불안정성이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정하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2) [2007]
  • 조선일보 년 2월 5일자
    2007년 6월 2일자) [1994]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02]
  • 정부조직법(법률 제11690호
    년 3월 23일 개정) [2013]
  • 전쟁기념사업회
    현대사 속의 국군: 군의 정통성 서울: 대경문화사 [1990]
  • 전략과 핵심인재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이갑두 산업경제연구 제24권 4호 [2011]
  • 장교인사관리제도
    미육군 Army Regulation
  • 장교양성 기관의 능률적 편성방안: 학생중앙군사학교를 중심으로
    김정수 대전: 육군교육사령부 [1998]
  • 장교보직관리제도 연구
    정선구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85]
  • 일본/한국 軍閥政治
    강창성 서울: 해동문화사 [1991]
  • 인재를 모으는 유연한 인적자원 관리방안
    박인호 주간경제 제599호 [2000]
  • 이승만 秘錄
    박일영 서울: 한국문화출판사 [1982]
  • 이스라엘 군사력(http://www
    globalfirepower.com/) (검색일: [2015]
  • 육사총동창회 홈페이지(http://www
    kmaaa.or.kr/) (검색일: [2015]
  • 육군학생군사학교 홈페이지(http://www
    armyofficer.mil.kr/) (검색일: [2015]
  • 육군학생군사학교
    획득과 [2014]
  • 육군학생군사학교
    년 교육훈련계획 , 2015 [2015]
  • 육군학사장교총동문회 홈페이지(http://www
    haksa.or.kr/) (검색일: [2015]
  • 육군인사관리의 현재와 미래
    최병순 서울: 국방대학교 [1998]
  • 육군사관학교 홈페이지((http://www
    kma.go.kr/) (검색일: , 2014. 12. 16.) [2014]
  • 육군사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육군사관학교 60년사: 21세기를 향한 도 약~2006) 서울: 도서출판 황금알, 2006 [1996]
  • 육군사관학교 50년사 편찬위원회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50년사 ~1996) [1946]
  • 육군사관학교 30년사 편찬위원회
    육군사관학교 30년사~1976) , 1978 [1945]
  • 육군사관학교
    한국의 군인상 [1983]
  • 육군사관학교
    평가실 [2014]
  • 육군사관학교
    군대와 국가발전 서울: 육군사관학교 [1981]
  • 육군본부. 6
    25사변 육군전사 제1권 [1954]
  • 육군본부 홈페이지(http://www
    army.mil.kr/) (검색일: [2015]
  • 육군본부 분석평가단
    군 장병 양성비용 [2011]
  • 육군본부
    국군의 맥 [1992]
  • 육군본부
    인사정책제안서 [2003]
  • 육군본부
    대한민국 학생군사교육 발전사 [1986]
  • 육군본부
    “이스라엘 군사제도 시찰결과” 년 1월, 1992년 2월) [1970]
  • 육군본부
    陸軍發展史(上卷) [1976]
  • 육군본부
    육군역사일지~1950) [1945]
  • 육군본부
    육군인사역사 제1집 [1969]
  • 육군본부
    육군인사역사 제2집 [1987]
  • 육군본부
    六ㆍ二五 事變 後方戰史 人事篇 豊文社 [1956]
  • 육군본부
    創軍前史 [1980]
  • 육군대학 편. 국가, 민주주의
    통일 경남: 육군대학 [1989]
  • 육군대학 영국군 소령 J. N. Elderkin
    군사평론지 제70호 [1970]
  • 육군3사관학교 홈페이지(http://www
    kaay.mil.kr/) (검색일: [2015]
  • 육군3사관학교 충성대연구소
    충성대 사관후보생 과정의 역사 [2011]
  • 육군3사관학교 총동문회 홈페이지(http://www
    3sa.or.kr/) (검색일: [2015]
  • 육군3사관학교 총동문회
    동문록 영천: 육군3사관학교 총동문회, 2010 [2010]
  • 육군3사관학교 기획운영처
    대한민국 육군3사관학교 40년사 [2009]
  • 육군3사관학교 기획운영처
    육군3사관학교 요람 , 2015 [2014]
  • 육군3사관학교
    교수부 자료 [2014]
  • 육군3사관학교
    평가실 자료., 2015) [2011]
  • 육군 제3사관학교 충성대연구소
    장교양성 교육제도 연구 [1996]
  • 위키피디아 홈페이지(http://ko
    wikipidia.org) (검색일: [2014]
  • 우리 군 개혁의 참고모델, 이스라엘군.
    권태영 한국군사운영분석학회지 제24권 제1호 [1998]
  • 역량중심 인적자원관리(개정판)
    박성환 이준우 파주: 법문사 [2012]
  • 안 석. “학사장교 출신 공직 새 파워엘리트 인맥 부상
    ” 서울신문 년 5월 20일자) [2013]
  • 아시아경제(www
    asia.co.kr) 년 9월 28일자) (검색일: 2014. 4. 25.) [2011]
  • 신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안정성과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유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선진 국방의 비젼과 과제
    신정현 서울: 나남출판사 [1996]
  • 새정치민주연합의원
    안규백 “사관학교 출신 장교 조기전역 기회 연차 8연차 로 조정 필요 [2014]
  • 사관학교 양성교육 개선방안
    김종탁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8]
  • 병무청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mma.go.kr/www
    mma3) (검색일: [2015]
  • 병무청
    년 병무통계 연보 , 2004 [2003]
  • 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60년
    이기윤 서울: 북엣북스 [1988]
  •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최용호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 바람직한 간부상 정립 및 교육방안 연구
    온만금 홍두승 서울: 국방부정훈 교육관실 [1994]
  • 민군관계와 국가안보
    조영갑 서울: 북코리아 [2005]
  • 민군관계론
    이동희 서울: 일조각 [1993]
  • 미군정의 한국통치
    김운태 서울: 박영사 [1992]
  • 미군정의 구조와 성격-조직과 자원을 중심으로
    이혜숙 사회와 역사 45 [1995]
  • 미 프린스턴대학 홈페이지(http://www
    princetonview.com/cte/article/military) (검색일: [2014]
  • 미 육군ROTC 홈페이지(http://www
    goarmy.com/rotc/college_students.jsp) (검색일: [2014]
  • 미 육군 OCS 홈페이지(http://www
    armyocs.com/modules.php?name=Content& pa=showpage&pid=4)
  • 동아일보 년 12월 24일자
    2면) [1948]
  • 독일군 장군참모장교제도
    이한홍 서울: 화랑대연구소 [2004]
  • 독일 통일과 군간부 인력획득
    정선구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 대한민국ROTC중앙회
    회원ㆍ직장ㆍ직능별 명부~2014) 서울: 금성 기획, 2014 [1961]
  • 대한민국 ROTC 정무포럼. 21세기형 리더십
    ROTC의 정신과 혼 서울: (주)오디문 [2012]
  • 대한민국 ROTC 50년사 편찬위원회
    대한민국 ROTC 50년사 서울: 대한 민국ROTC중앙회 [2011]
  • 대학윤리교재편찬위원회 편
    직업윤리 서울: 삼광출판사 [1992]
  • 대통령령
    제24547호개정) 제4조의 3(대학교원의 신규채용) [2012]
  • 대통령령
    박정희 연설집 년 8월 15일 [1965]
  • 년 1월 10일자
    2013년 9월 4일자) [2006]
  • 군인복무규율 제4조 2항 (대통령령 제24077호
    년 8월 31일 개정) [2012]
  • 군부정치론
    유승남 서울: 녹두 [1986]
  •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라이트가 그랜트에게 보낸 서한 , RG 338, KMAG
    Box 4 [1949]
  •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Weekly Activities of KMAG RG 338, PMAG 1948~1949 / KMAG
    1948~1953 Box 9 [1949]
  • 국사편찬위원회
    주한 미군사고문단 문서(KMAG: Korean Military Advisory Group) [1999]
  • 국방인력관리론
    최병순 서울: 국방대학교 [2002]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제1권 서울: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68]
  • 국방부. 국방사 ~1950
    6) 서울: 삼화인쇄주식회사, 1984 [1945]
  • 국방부 홈페이지(http://www
    mnd.go.kr/) (검색일: [2015]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Ⅰ-해방과 건군 서울: 육군본부 [1967]
  • 국방부 병무국. “학생병역기간에 관한 제보고.” 제5회 국무회의록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176 [1956]
  • 국방부 병무국. “병역법 개정안 제38조.” 제53회 국무회의록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175 [1955]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建軍史 서울: 국방부 [2004]
  • 국방부
    건군사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 국방부
    국방개혁 추진계획 년 6월) [2003]
  • 국방부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2012 [2012]
  • 국방부
    국방저널 월호) [2014]
  • 국방부
    년 국방비용편람Ⅰ 서울: 국방부, 2011 [2011]
  • 국방부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1989 [1989]
  • 국방발전연구진
    노훈 국방정책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2030]
  • 국방대학원
    국방관리 서울: 국방대학원 [1984]
  • 국방대학원
    국방인적자원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국방대학원 [1995]
  • 국방군사연구소
    국방정책 변천사~1994) 서울: 국방부, 1995 [1945]
  • 국방군사연구소
    建軍 50年史 서울: 서울인쇄공업협동조합 [1998]
  • 국내기업 핵심인재 경영의 현황과 개선방향-채용전략을 중심으로
    차종석 임금연구 제13권 제1호 [2005]
  • 국군정보사령부
    세계의 군사력(’96~’97)
  • 국가공무원법 제2조 (법률 제12792호
    3월 28일 개정)
  • 교육투자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결정요인 분석: 소득, 직업안정성 및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전광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교부 홈페이지(www
    mofa.go.kr) (검색일: [2015]
  • 고용노동부
    고령자 고용현황 [2010]
  • 고등교육법 제14조 (법률 제1호
    2011년 9월 개정) [2174]
  • 경찰공무원법 제24조 (법률 제12233호
    년 5월 30일 개정) [2011]
  • 갑종장교단 중앙회 홈페이지(http://www
    kocs.or.kr/)(검색일: , 2015. 4. 11.) [2015]
  • 韓國의 軍部政治
    한용원 서울: 대왕사 [1993]
  • 邊 淸明, 新版 日本官僚制の硏究
    이동희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84]
  • 軍과 國家
    김영로 박두복 서울: 탐구당 [1990]
  • 軍隊文化의 뿌리: 군대의 전통과 관습을 중심으로
    양희완 서울: 을지서적 [1988]
  • 美國學徒軍事訓練團“ROTC”해설
    황봉관 국방부 병무국 [1957]
  • 秘錄 軍(상)
    고정훈 동방서원 [1967]
  • 李南浩. “學徒軍事訓練의 理念과 現況
    ” 군사다이제스트 제1권 1호 [1954]
  • 創軍: 미군의 역할과 민군관계를 중심으로
    한용원 서울: 학림출판사 [1982]
  • 創軍
    한용원 서울: 박영사 [1984]
  • 兵役法解義
    신세범 서울: 영문사 [1955]
  • 佐佐木春隆(강창구 역)
    한국전쟁사 상권: 건국과 시련 서울: 병학사 [1977]
  • 『한국병역제도론』
    김두성 서울: 제일사 [2003]
  • 『한국군사제도론』
    이동희 서울: 일조각 [1982]
  • 『한국군 베트남 참전의 결정요인과 결과 연구』
    이기종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 “陸士 위주 폐쇄적 人事독점이 한국군 망친다.”
    김종대 조선일보 년 8월 26일자) [2013]
  • “年齡超過한 大學在學生, 隨時로 徵集斷行.”
    동아일보 년 9월 22일 자) [1955]
  • “來年부터 實施키로, 國防部 學徒軍訓에 합의.”
    동아일보 년 2월 20 일자) [1960]
  • “來年부터 大學生에 豫備將校訓練.”
    경향신문 년 10월 19일자) [1960]
  • “합동참모부가 동경의 더글라스 맥아더 육군대장에게”
    [1946]
  • “한국의 군부정치에 관한 연구: 정치정향을 중심으로.”
    양병기 한국정치학 회보 제27집 2호 [1994]
  • “한국군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1990]
  • “한국군 망하면 北아닌 폐쇄적 人事 탓.”
    정철순 문화일보 년 8월 26일자) [2013]
  • “한국과 미국의 육군 HRM(인적자원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최흥섭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사
    “한국 직업군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응.”
    조영갑 경남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학위논문 [1997]
  • “한국 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박종연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2]
  • “학생군사훈련 실시에 관한 건”
    (의안번호 296호) 제58회 국무회의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205 [1961]
  • “학군장교(ROTC) 종합발전 계획서 작성 연구: 우수자원 확보ㆍ 육성ㆍ관리를 중심으로.”
    최광표 [2012]
  • “특별부록 2: 대남침투ㆍ도발사건.”
    국방부 정책기획관실 기본정책과 [2010]
  • “초급장교 의무복무기간의 인식 전환과 산정방법.”
    김혜인 현익재 주간국 방논단 제1189호(08-5) [2008]
  • “초급장교 우수인력 획득에 관한 연구: 학군사관후보생 및 군장학생 을 중심으로.”
    김재철 국방대학원 안보과정 석사학위논문 [1997]
  • “초급간부 지휘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교육 혁신.”
    육군교육사령부 [2014]
  • “창끝 전투력, 초급간부 충원 힘써야.”
    박효선 동아닷컴 년 2월 25 일자) [2013]
  • “진성준, 장군진급자 육사출신에 편중.”
    김문경 YTN뉴스 년 10월 14일자) [2014]
  • “직업의 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직업군인의 획득정책 방향 연구.”
    정길호 국방논집 제24호, 한국국방연구 원 [1993]
  • “직업군인의 행정윤리 확립에 관한 연구.”
    정광덕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5]
  • “중 장기 우수 초급간부 획득정책”
    육군본부 [2014]
  • “주한미군의 對韓 정세 인식과 창군계획: 사설군사단체에 대한 대응 과 ‘뱀부계획’의 입안과정을 중심으로.”
    노영기 한국민족운동사 연구 45 [2004]
  • “조건부 의무로서의 복종의 의무.”
    조승옥 제5회 화랑대 국제학술심포지움 논문집 [1989]
  •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과제와 발전방안.”
    문채봉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5]
  • “제대군인 전직지원의 활성화 방안.”
    김문범 선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1]
  • “제대군인 전직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구영휘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제3세계의 민군관계: 비교분석을 위한 시각.”
    정태동 정치학 자료 선집 서울: 육군사관학교 [1987]
  • “정예 독일군 장교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신종태 조선뉴스프레스 년 11월 13일자) [2014]
  • “정보화군을 이끌어갈 직업군인 획득 및 양성방안.”
    최병순 국방대학교 안보 문제연구소 [2000]
  • “전시학생은 연기, 병사당국서 재확인.”
    동아일보 년 2월 21일자) [1953]
  • “전문가 및 핵심인력 관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 금융기관의 사 례를 중심으로.”
    차종석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논집 제17집 제1호 [2003]
  • “장병 복지욕구 성향 조사 분석”
    한국국방연구원 [1994]
  • “장기복무 전역간부 설문조사 결과(2000~2002년)”
    육군본부 [2003]
  • “장교양성 관리체계 발전방향 연구: 육군 장교의 양 성체계를 중심으로.”
  • “장교 획득 및 양성 발전 방안: 학사ㆍ학군ㆍ간부사관 중심으로.”
    조영진 한국국방연구원 [1999]
  • “장교 양성제도 개선연구.”
  • “잇따른 성범죄, 軍 ‘성범죄 무관용’ 원칙 유명무실.”
    세계일보 년 10 월 22일자) [2014]
  • “이스라엘 군사제도의 고찰.”
    문병장 군사연구 제120집 [2004]
  • “육사교장, 3사관학교장은 100% 모교 출신... 학생중앙군사학교장은 10%만 학군 출신.”
    뉴스에이 년 10월 15일자) [2014]
  • “육군의 서자(庶子) 단기사관은 장군이 될 수 없는가.”
    신우용 신동아 통 권 577호 년 10월호) [2007]
  • “육군의 미래 인력운영체계 발전방향.”
  • “육군, 학교장 편중인사 심각해.”
    박영훈 사회일보 년 10월 15일자) [2014]
  • “육군, 년도 석ㆍ박사 111명 탄생.”
    연합뉴스 (2006년 2월 27일자) [2006]
  • “육군 초급장교 인적자원관리 발전 방향.”
    곽상엽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3]
  • “육 해 공군사관학교 출신장교 임관 5년차 전역 현황(최근 5년간)”
    안규백 새정치민주연합의원 [2014]
  • “위기의 ROTC... 초급장교 60% ‘군 인력풀’이 흔들린다.”
    전현석 조선일보 년 2월 19일자) [2013]
  • “우수 학군사관후보생 선발 및 양성교육 향상방안 연구.”
  • “오늘의 淨軍과 내일의 淨軍.”
    손창규 軍事評論 제5호 육군대학 [1959]
  • “역사 속으로 사라진 甲種장교.”
    김경수 주간조선 년 5월 27일자) [2007]
  • “양성교육체계 정비 추진 정책회의 결과 보고.”
    육군본부 [2010]
  • “안보 소강국을 가다: 군, 격식 파괴... 자율ㆍ책임 강조.”
    세계일보 년 2월 21일자) [2013]
  • “실록 제5공화국 (3)배반의 총성.”
    조갑제 월간조선 년 7월호) [2003]
  • “신한국의 직업군인제도.”
    김종탁 오경조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 학 술논문 [1987]
  • “신군부의 세력, 하나회.”
    이종각 신동아 [1988]
  • “서울대 60년사.”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른 병역제도 발전방향.”
    최돈걸 제1회 KIDA 국방포 럼자료 [2003]
  • “사달 난 ‘늑대’ 사단장, 결딴 난 軍.”
    서울경제 년 10월 12일자) [2014]
  • “사관후보생 양성교육기관 전환 계획.”
    육군본부 [2011]
  •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국제비교,”
    구혜란 한국사회학 회 [2005]
  • “미육군 장교교육훈련검토보고서(U.S. Army RETO: Review of Education &Training for Officers)”
    [1978]
  • “독일군 장교양성 교육의 교훈.”
    김종두 국방일보 년 8월 9일자) [2004]
  • “독일 국방군 지휘통솔 연구 결과 보고서.”
  • “대장 對 대위: 제35대 재향군인회장 선거 파격 기류.”
    이정훈 신동아 제 665호 년 2월호) [2015]
  • “다큐멘타리, 월남파병.”
    이상우 월간조선 8월호 [1983]
  • “년 국감: 장군진급 사관학교출신 편중.”
    양낙규 아시아경제 (2011년 9월 28일자) [2011]
  • “끼리 문화 벗어나야 선진국 가능하다.”
    김주현 서울경제 년 10월 27일자) [2013]
  • “김관진과 독일 육사 출신들: 실전 위주로 배워 야전에 강하다.”
    오동룡 월 간조선 년 7월호) [2014]
  • “군피아 ‘利敵행위’ 막을 근원적 처방.”
    김종하 문화일보 년 7월 18 일자) [2014]
  • “군인 직업성 제고의 필요성 및 발전방안.”
    안석기 정주성 주간국방논단 제1353호(11-13) [2011]
  • “군의 전문직업주의 향상 방안.”
    윤종호 군직업주의와 리더십. 국방대학교 안보연구시리즈 제4집 7호 [2003]
  • “군사훈련 반편성 완료.”
    연세춘추 년 5월 13일자) [1961]
  • “군복무 18개월로 줄텐데 28개월 ROTC 누가 가겠나.”
    유용원 조선일보 년 2월 19일자) [2013]
  • “군구조 개편과 연계한 미래 육군 인력획득체계 개선 연구.”
  • “군, 계급별 정년 1~3년 연장 추진... ‘20년 근무’ 보장,”
    연합뉴스 년 4월 13일자) [2014]
  • 박사
  • 박사
    “군 직업보도 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록 호남대학교 행정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0]
  • “군 조직구성원의 직업보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왕영진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박사
    “군 정년제와 직업성 보장에 관한 연구.”
    장영현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2]
  • 박사
    “군 장교의 직업성 보장에 관한 연구,”
    김동식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5]
  • “국방인력 및 인사관리체계 발전 방향 연구: 국방인력관리본부 설치 타당성 분석 중심.”
    한국국방연구원 [1996]
  • “국방부・문교부서 ROTC방문, 후보생 대표와 회견후 수업상태 시찰.”
    연세 춘추 년 3월 26일자) [1962]
  • “국방 및 병역환경 변화와 중장기 육군 초급장교 정예화 정책방향.”
    양충식 육군정책연구 제21호(15-3) [2015]
  • “국립대 병원 현직의사들의 모교 출신 현황.”
    연합뉴스 년 10월 25 일자) [2010]
  • “국가방위의 중심군: 영국 육군.”
    김대영 육군지 제12월호 [2014]
  • “교육의 수월성(秀越性) 제고를 위한 육군 학군단 운영체계 발전 방향.”
    김원대 週間國防論壇 제1467호(13-24) [2013]
  •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에 관한 소고.”
    양현모 황성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7권 제1호 [2010]
  • “경쟁환경, 기술변화, 전략과 핵심인재 관리의 강도간의 관 계에 관한 연구.”
    윤현중 이경묵 경영학 연구 제36권 5호 [2007]
  • “각종 교재와 훈련복 지급.”
    연세춘추 년 5월 29일, 1면) [1961]
  • “각종 고등학교 학교단위 군사훈련폐지에 관한 件”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BA0085174 [1955]
  • “魅力없는 ROTC.”
    고대신문 년 4월 29일자) [1961]
  • “韓國軍部의 職業主義와 民軍關係.”
    양병기 한국정치외교사 논총 제14집 [1996]
  • “軍訓 16日부터 實施.”
    건대신문 년 5월 13일자, 1면) [1961]
  • “軍 간부 대량 유출 ‘심각’...장교 77%가 임관 3년 내 전역 .”
    고승민 뉴시 스 년 10월 27일자) [2014]
  • “英 엘리트주의 심각...고위층 71% 사립학교 출신.”
    한지숙 헤럴드 경제 년 8월 29일자) [2014]
  • “本校 ROTC敎育.”
    한양대학보 년 5월 10일자) [1961]
  • “文敎部의 立場과 主張: 憂慮되는 學園의 空白”
    신태양사 新太陽 통권 제 44호 [1956]
  • “戰時學生은 延期, 兵事當局서 再確認.”
    동아일보 년 2월 1일자, 2 면) [1953]
  • “學生徵集延期制度廢止의 必要性.”
    강영훈 新太陽 제44호 [1956]
  • “學徒軍事訓鍊制度의 發展策: 均衡된 3軍兵力確保를 中心으로.”
    임순혁 國 防硏究 제16호 [1964]
  • “學徒軍事訓練에 虜獲武器를 배정.”
    동아일보 년 12월 15일자) [1953]
  • “學徒軍事訓練에 國防文敎合意, 六月부터 全國 一齊히 實施.”
    동아일보 년 5월 7일자) [1952]
  • “學徒軍事訓練實施.”
    부산대학신문 년 5월 15일자, 3면) [1961]
  • “學徒軍事訓練 復活.”
    동아일보 년 9월 13일자) [1957]
  • “學徒軍事訓練 흐지부지, 國防・文敎 未合意.”
    경향신문 년 1월 21일 자) [1958]
  • “大學生과 軍事訓練.”
    박세환 高大文化 8 [1968]
  • “大學敎育과 ROTC.”
    건대신문 년 4월 5일자, 3면) [1962]
  • “在學生은 一年 服務토록: 中央敎委 三案件을 建議키로.”
    동아일보 년 2월 18일자) [1956]
  • “國防部서 學生徵集延期問題 中央敎委 建議案을 拒否.”
    경향신문 년 2월 24일자) [1956]
  • “四年間에 20週 曰, 學徒軍事訓練 要領 協議.”
    조선일보 년 9월 14 일자) [1957]
  • “兵役法改正案의 通過를 보고.”
    이정휴 國會報 제14호 [1956]
  • “兵役法 改正案 李大統領 裁可.”
    경향신문 년 3월 6일자) [1955]
  • “兵役法 改正案 國務會議에 上程.”
    경향신문 년 3월 6일자) [1955]
  • “兵學一致와 ROTC制.”
    이한우 조대신문 년 1월 1일자) [1958]
  • “兵務行政의 不平等性.”
    이철승 新世界 제1호 [1956]
  • “兵務行政革新要綱.”
    경향신문 년 4월 3일자) [1955]
  • “〔국감〕군 장성 진급 육사 출신 80%로 압도적.”
    황경상 경향신문 년 10월 14일자) [2014]
  • “‘인문정신을 시민의 지혜’로 문화융성의 길 7대 중점과제.”
    뉴시스 년 8월 6일자) [2014]
  • “‘여군의 적은 남군’이라는 우리 군의 현실.”
    한겨레 오피니언 년 10 월 25일자) [2013]
  • “Talent 개념을 SUPEX리더와 챔피언으로 구분, 관리.”
    인사관리 [2004]
  • “ROTC 소개.”
    최준명 군사평론 제28호 [1962]
  • “ROTC 본교엔 250명.”
    주간성대 년 5월 2일자) [1961]
  • “ROTC 豫備將校訓練團 明年四月一日부터 實施.”
    조선일보 년 2월 20일자 석간) [1960]
  • “ROTC 總七六七名志願.”
    대학신문 년 5월 11일자) [1961]
  • “ROTC 1週에 5시간 訓練.”
    부산대학신문 년 3월 1일자, 3면) [1961]
  • “ROTC 15일부터 訓練에.”
    대학신문 년 5월 15일자, 1면) [1961]
  • “Quaterly Historical Summary(U): Office of the Senior Personnel/Adjustant General Advisor, ROKA, January-March 1965.” (1965. 4. 23.) RG 550, Entry 1-A(1), Box 238.
  • “Population Representation in the Military Services.”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ce, personnel and readiness(2011)
  • “Final Report of General Maddox, Chief KMAG 1954” (1954. 10. 16.) RG 550, Entry 1-a(1) Box 44.
  • “39個大學 二萬五千名 志願.”
    동아일보 년 12월 24일자) [1957]
  • “2000년대의 군 위상 정립과 전문직업주의화 방안.”
    유재갑 윤종호 국방 대학원 안보문제연구소 정책보고서 [1990]
  • “06~07 군 인력운영 분석-Ⅱ.”
    한국국방연구원 [2007]
  • dongA
    com 년 10월 16일자) [2014]
  • Wright Quincy. A Study of War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5.
  • Wraxall Lascells. The Armies of the Great Powers. London, 1859.
  • Wakin Malham M. War, Morality, and Military Profession (1986)
  • U.S. National Defense Annual Report(2002)
  • U.S. Dept. of the Army, RETO, P.Ⅲ-10.
  • U.S. Army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2012)
  • Stepan Alfred. “The New Professioinalism of Internal Warfare and Military Role Expension.” Abraham F. Lowenthl ed, Armies and Politics in Latin America. New York: Holmes & Meier Pub. Inc(1976).
  • Stepan Alfred. The New Professionalism of Internal Warfare and Military Role Expension in Alfred Stepan ed., Authoritarian Brazil: Origins, Policies and Futur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7.
  • Stepan Alfred. Authoritarian Brazil: Origin, Politics and Future. New Haven: Yale Univ. Press, 1973.
  • Seeley. J. R. Life and Times of stein 2 vols. Boston, 1879.
  • Sawyer Robert K. Military Advisors in Korea: KMAG in Peace and War,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Washington D.C.: Department of the Army, 1962.
  • ROTC중앙회 홈페이지(http://www
    rotc.or.kr/) (검색일: [2014]
  • Prahalad, C. K. and Hamel G. . “The Core Competitiv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1990).
  • Popper Karl Raimund.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1945.Democracy. New York: Harper & Row, 1973.
  • Petrosky D. J. “Regular Army Commissions for ROTC Graduates.” US Army War Collage, Report Paper(1988).
  • Occupation. Eenyclopedia of Social Sciences. N.Y: Macmillian Co, Publishers, 1944.
  • Nordlinger. Eric A. Soidiers in Politics: Military Coups and Government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77.
  • Nordlinger Eric A. Soldiers in Politics: Military Coups and Government.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77.
  • Neiberg Michael S. 2000 Making Citizen-Soldiers: ROTC and the Ideology of American Military Servi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 National Security Action Memorandum 55, Jerome Slater. “A Political Warrior or Soldier Stateman.” Armed Force. & Society Vol. 4, (November, 1977).
  • Moskos Jr. Charles C. “Institutional / Occupational Trends in Armed Forces an Update.” Armed Forces & Society, 12 (Spring, 1986).
  • Moskos Jr. Charles C. “From Institution to Occupation: Trends in Military Organization.” Armed Forces and Society 4 (Fall, 1977).
  • Moskos Jr. Charles C. The Emergent Military: Calling, Profession, Occupation? in Franklin D. Margitta(ed) The Changing World of the American Military.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1978.
  • Mosca Gerato. The Ruling Class. New York, 1939.
  • Morris Janowitz. The Professional Soldier New Edition. New York: Free Press, 1971.
  • Mills. C. W. The Power Elit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 McCall, M. W. High Flyers.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8.
  • Maslow A. “A theory of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1943).
  • Lyons. G. M. Education and Military Leadership, Prinston: Prinston Univ. Press, 1959.
  • Kolvereid L. “Prediction of Empolyment Status Choice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1(1), (1996).
  •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68.
  • Huntington Samuel P. The Soldier and The State: The Theory and Politics of Civil-Military Relations.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57.
  • Hope, J. and T. Hope. Competing in the third wav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 Hong C. Leonard.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War Policy and the First Year of Occupation - 1941~1946.
  •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3.
  • Histories Division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Department of the Army, 1970.
  • Herzberg F. “The Motivation to Work.” N. Y.: Wiley(1959).
  • HR Executive. “핵심인재, HRSP로 관리
    ” Job Korea [2004]
  • HQ USAFIK. “Report of proceeding of Board of Officers.” (1945. 11. 18.)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2. 5.~12. 6. #91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2. 5.~12. 6. #88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2. 3.~12. 4. #86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2. 29.~12. 30. #111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2. 20.~12. 21. #103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1. 4.~11. 5. #57
  •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1945. 10. 31.~11. 1. #53
  • Guy Station Ford. Stein and the Era of Reform in Prussia, 1807~1815 passim, but esp, ch. 8. Prinston, 1922.
  • GLOBAL LEADER (경제전문월간지
    년 6월호) [2008]
  • Flammer Philip M. “Conflicting Loyalties and American Military Ethic.” Henning Charles A. “Army officer Shortage :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CRS Report for Congress(2006).
  • Finer S. E. The Man on Horseback. N. Y.: Praeger, 1962. General Headquartera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Summation of Non-Miliyary Activities in Japan and Korea No. 1. 1945.
  • English, A. Professionalism and the Military-Past, Present, the Future: A Canadian Perspective, The Canadian Forces Leadership Institute(2002)
  • Dept, of U.S. Army. A Review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officers(RETO) (Washington, D.C.; USGPO, June 1978, p.Ⅲ-3.
  • Delbr ck Hans, Gneisenau. Berlin, 2 vols., 1882.
  • Das Militarische Wei buch Deutchlands(1994)
  • Cohn, Eliot A. Supreme Command: Soldiers, Statesmen and Leadership in Wartime. New York: The Free Press, 2002.
  • Cleveld Martin van
    Kraft(전투력) Freiburg [1989]
  • Borgatta. E.F., Ford R. N. and Bohrnstedt G. W., “Work Orient actions. Hygienic Orientation: A Bi-Polar Approach to the Study of Work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3).
  • Barney, J. B. “Firm Resource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0) (1991).
  • 21세기 한국군의 군사혁신 비전과 방책
    권태영 노훈 백용기 성춘일 서 울: 한국국방연구원 [1997]
  • 21세기 국가와 군의 관계변화 연구: 군인 모델의 비교 검토
    조한승 [2013]
  • (http://www
    조선닷컴 chosun.com/ (검색일: 2015. 3. 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