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왕릉 수목식재에 관한 연구

김은경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은경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tree planting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 형태사항 ix, 196 p.: 천연색삽화: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기원, 참고문헌: p. 184-191
    • 학위논문사항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8, 산림과학과 산림자원학전공, 학위논문(박사)-
    • DDC 634.9, 23
    • 발행지 서울
    • 언어 eng,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국민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조선왕릉 수목식재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의 나무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모든 것.돌베개
    김진석 김태영 파주.pp.688 [2011]
  • 한국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한국민속 종합조사 보고서 20책.문화재관리국
    서울.pp.374 [1989]
  • 박사
  • 풍수사상에서 본 조선왕릉원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下-1)
    김영빈 연구논문집 41(1):351-392 [1990]
  • 편찬,유지복 역주.譯註昌陵誌.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장서각 성남.pp.368 [2013]
  • 편찬,김동석 이태희 역주.譯註光陵誌.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장서각 성남.pp.414 [2012]
  • 편찬,김덕수 역주.譯註獻陵誌.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장서각 성남.pp.423 [2010]
  • 중국 역대 능침 제도.서경문화사
    양관 서울.pp.186 [2005]
  • 조선후기의 요역과 직역의 고용노동화
    전난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조선후기 왕릉재실의 변천과 여주 寧陵재실의 건축특성 연구
    김동욱 우희중 건축역사연구 18(3):61-78 [2009]
  • 박사
    조선후기 오군영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염정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조선후기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장인의 조영활동에 관한 연구
    문영식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조선후기 등록에 대한 연구
    延甲洙 역사문화연구 12:189-205 [2000]
  • 조선후기 능참봉의 경제생활의 실제-18세기 황윤석의 『이재난고』를 중심으로
    정수환 민족문화총론 38:113-151 [2008]
  • 조선초기의 노비문제
    鄭旿瀧 조선대학교 국사연구소:45-55 [1979]
  • 조선조 산릉 정자각 연원 소고
    김동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5:121-126 [2008]
  • 박사
  • 조선왕조실록
  •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일지사
    한영우 서울.pp.995 [2005]
  • 조선왕릉의 신로 어로 형식에 관한 연구-비정형 신로 어로를 중심으로
    김규연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조선왕릉의 식생관리 기준에 관한 연구:동구릉,광릉,서오릉을 중심으로
    조아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조선왕릉의 가정자각에 관한 연구-규범화 과정을 중심으로
    홍석주 한국디지털·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3(4):77-86 [2013]
  • 박사
    조선왕릉 태릉의 역사경관림 변화와 관리방안 연구
    김명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조선왕릉 자원해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은경 국민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1]
  • 조선왕릉 연지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김흥년 고려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조선왕릉 능역 복원에 관한 연구
    조운연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조선시대 왕릉 재실의 배치 형식의 시대적 변화
    엄지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5:81-88 [2009]
  • 조선시대 왕릉 관련 문헌의 서지적 연구
    최지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 조선시대 산릉의 가재실과 정재실의 운영
    정정남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5:117-120 [2008]
  • 조선시대 능참봉직의 조경사적 의의
    신현실 이원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139-148 [2011]
  • 조선시대 능지 연구-창릉지를 중심으로
    유지복 장서각 31:180-209 [2014]
  • 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재 및 관리 사실에 관한 연구-서오릉을 중심으로
    김영모 이선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88-101 [2004]
  • 조선 후기 도감의궤의 건축도설 명칭에 관한 연구:영건도감의궤 및 산릉도감의궤에 출현하는 건축도면을 중심으로
    박언곤 신동철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4(11):217-228 [1998]
  •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궁중문화.돌베개
    신명호 서울.pp.303 [2002]
  • 조림학본론.향문사
    임경빈 서울.pp.346 [1997]
  • 정치와 종교
    조성윤 사회와 역사 53:11-37 [1998]
  •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신구문화사
    정해득 성남.pp.400 [2009]
  • 정조대 전교축을 통해 본 『승정원일기』의 문서 등록 체계
    명경일 고문서연구 44:77-116 [2014]
  • 저.譯註宣靖陵誌.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유지복 장서각 성남.pp.436 [2014]
  • 임업연구원 편, 『밤나무 재배 관리 기술』.임업연구원
    서울.pp.366 [2001]
  • 일성록
  • 이기백 한국사학논집 5:한국 고대 정치사 연구.일조각
    이기백 서울.pp.397 [1996]
  • 웨슬러.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고즈윈
    서울.pp.504 [2005]
  • 원색 대한식물도감 상.향문사
    이창복 서울.pp.915 [2003]
  •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소나무.현암사
    전영우 서울.pp.416 [2004]
  •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Ⅱ)-헌인릉 식물 군집의 천이
    송근준 오구균 우종서 이경재 한국조경학회지 17(3):35-47 [1990]
  • 왕릉의 식생경관 구조 및 관리 대책에 관한연구(Ι)-동구릉식물군집의 천이
    오구균 이경재 전용준 한국조경학회지 16(1):13-26 [1988]
  • 옮김.상군서.소명출판
    상앙저 우재호 서울.pp.518 [2005]
  • 예기(禮記)
  • 박사
    영조대 승정원일기의 개수에 관한 일고찰
    강성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영조 대의 양역 정책과 균역법.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정연식 성남.pp.203 [2015]
  • 역해,양화소록.아카넷
    강희안저 이종묵 서울.pp.497 [2012]
  • 신고 수목학.향문사
    이창복 서울.pp.331 [1986]
  • 승정원일기
  • 소나무와 우리 문화.숲과문화연구회
    전영우 서울.pp.205 [1999]
  • 세기 능참봉 김두벽의 관직생활과 왕릉수호-지문일기를중심으로-
    김경숙 규장각 28:109-135 [2005]
  • 세계문화유산 동구릉의 식생경관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정진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선정릉의 적정수용능력 추정 및 관리방안 Ι-토양환경 및 식생분석
    권영선 오구균 이경재 한국조경학회지 14(3):35-45 [1987]
  • 선정릉의 역사와 관리제도
    신명호 역사와실학 31:119-151 [2006]
  • 선원보감 편찬위원회.선원보감
    璿源譜所.25장 [1989]
  • 서오릉의 식생 현황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배상원 이선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43-52 [2006]
  • 산릉의궤 건축도 및 도설의 표현 특징
    손은미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3]
  • 산릉도감의궤를 통해 본 17세기 정자각의 원형 연구
    구선이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사단법인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조선왕릉 제향.사단법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서울.pp.242 [2014]
  • 비변사등록
  • 반고 저.신정근역.백호통의(白虎通義).소명출판사
    서울.pp.455 [2005]
  • 문화재청,헌릉
    인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2010]
  • 문화재청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산림생태 현황 보고서 [2010]
  • 문화재청
    동구릉 산림생태조사 연구 보고서 [2001]
  • 문화재청
    광릉 산림생태조사연구 보고서 [2004]
  • 문화재청
    세계유산 조선왕릉 보존관리 및 활용 기본계획 연구 [2009]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저,국역 고려사:지.경인문화사
    서울.pp.500 [2011]
  • 대한제국 황제릉의 식생구조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경기도 남양주 홍유릉을 대상으로
    이수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능참봉 관련 기록을 통해 본 조선왕릉의 녹지관리 정책
    신현실 이원호 전나나 한국환경과학회 정기학술발표회 논문집 19:449-453 [2010]
  • 나무백과 3.일지사
    임경빈 파주시.pp.445 [1990]
  • 나무백과 1.일지사
    임경빈 파주시.pp.358 [1977]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DB http://db
    history.go.kr
  • 국립문화재연구소.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Ⅵ.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pp.620 [2014]
  • 강이천의 「한경사」에 대하여-18세기 서울의 시적 형상화
    정우봉 한국학보.pp.26-51 [1994]
  • 『효현왕후경릉산릉도감의궤』
  • 『효종영릉산릉도감의궤』
  • 『효정왕후경릉산릉도감의궤』
  • 『현종숭릉산릉도감의궤』
  • 『현륭원원소도감의궤』의 건축기술 사료적 가치- 산릉의궤와 영건의궤의 비교 시론
    김동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5:311-316 [2007]
  • 『헌종경릉산릉도감의궤』
  • 『철종예릉산릉도감의궤』
  • 『철인왕후예릉산릉도감의궤』
  • 『주례(周禮)』
  • 『조선왕조실록』
    신병주 의 풍수지리문헌 연구:청오경,금낭경,호수경을 중심으로.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정조건릉산릉도감의궤』
  • 『정순왕후원릉산릉도감의궤』
  • 『장렬왕후휘릉산릉도감의궤』
  • 『인현왕후산릉도감의궤』
  • 『인조대왕산릉의궤』
  • 『인원왕후명릉산릉도감의궤』
  • 『인선왕후산릉도감의궤』
  • 『인목왕후목릉산릉도감의궤』
  • 『인경왕후익릉산릉도감의궤』
  • 『이재난고』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회사 - 조선후기 능참봉에 관한 연구
    김효경 고문서연구 20:213-236 [2002]
  • 『의인왕후유릉산릉도감의궤』
  • 『영조원릉산릉도감의궤』
  •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
  • 『순조인릉산릉도감의궤』
  • 『순원왕후인릉산릉도감의궤』
  • 『선의왕후산릉도감의궤』
  • 『문조수릉산릉도감의궤』
  • 『명성황후홍릉산릉도감의궤』
  • 『명성왕후숭릉산릉도감의궤』
  • 『명릉산릉도감의궤』
  • 『경종의릉산릉도감의궤』
  • Antrop,M.2005.Why landscape ofthe pastare importantfor thefuture.LandscapeandUrbanPlanning70:20-34.
  • 8세기 서울 주변 왕릉의 축조,관리 및 천릉 논의
    이희중 서울학연구 17:1-55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