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중기 영·호남 한문학의 성격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ngnam and Honam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Dinasty

장봉수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중기 영·호남 한문학의 성격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ngnam and Honam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Dinas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영남
  • 조선 중기
  • 지방문학사
  • 호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3 0

0.0%

' 조선중기 영·호남 한문학의 성격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ngnam and Honam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Dinasty' 의 참고문헌

  • 「회재 이언적 문학연구」
    장도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호남 유학사상의 특질」
    오종일 동양철학연구 36집 [2004]
  • 「한국의인문학의 사적 계보와 성격」상, 하
    김광순 어문학 16, 17호 [1967]
  • 「한강 정구의 도학적 시세계
    구본섭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 박사
    「학봉 김성일 한시 연구」
    김현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하서 김인후 시의 표현미와 선비정신의 형상화」
    한국한문학연구 47집 [2011]
  • 「퇴계학파의 주리론에 관한 연구
    이승태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 「퇴계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퇴계 이황의 매화시에 관한 연구」
    이종남 영남대핚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청련 이후백의 시문학 연구」
    김동하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천군전과 수성지 비교연구」
    조구호 남명학연구론총 12집 [2004]
  • 「중국가전문학연구」
    안병설 중국학보 15집 [1974]
  • 「조선조 초기학당의 변모 양상 연구」
    전송렬 연세대핚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조선조 심성가전의 연구」
    이동근 인문과학연구 14집 [1996]
  • 「제봉의 유서석록 서술 특성」
    탁현숙 인문학연구 46집 [2013]
  • 「제봉 고경명의 유서석록 연구」
    이권재 고시가연구 [2000]
  • 「제봉 고경명 한시 연구」
    강지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박사
    「점필재 김종직의 시문학 연구」
    김영봉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임제의 한시 연구」
    박욱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임제소설의 문학사상 위상」
    소재영 국학연구론총 2집 [2008]
  • 「임백호의 생애와 문학」, 건국어문학 제9 10합집
    김일근박사화갑기념론총 [1985]
  • 박사
    「이황의 자연시 연구」
    이재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유산기에 나타난 유산과 독서의 상관성과 그 의미」
    김종구 어문론총 51호 [2009]
  • 「옥봉 백광훈의 시세계」
    강석중 한국한시작가연구 6호, [2001]
  • 「영남학파와 남명조식」
    이수건 동방한문학 11집 [1995]
  • 「수성지의 3단 구성과 그 의미」
    윤주필 한국한문학연구 13집 [1990]
  • 「송천 양응정의 시문학 연구」
    권순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박사
    「석천 임억령의 한시 연구」
    권혁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석천 임억령 시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서애 유성룡의 시문학 연구」
    조민경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서애 유성룡의 시문학 연구」
    최종호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박사
    「사암 박순의 시문학 연구」
    임방연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백호 임제의 시문학 연구」
    김인아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백호 임제의 시문학 연구」
    김전웅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백호 임제 문학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무등산 유산기에 대한 연구」
    남경박준규박사 정년기념론총 [1998]
  • 「면앙정 송순의 한시」
    고시가연구 4집, 1007
  • 「눌재 시문학 연구」
    유형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눌재 박상의 시문학 연구」
    이정원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남명한시문학연구」
    김려석(Ryo Suk Kim)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금호 임형수의 한시 연구」
    박지영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고죽 최경창 한시연구」
    임호선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退溪詩學(終)」
    왕소 퇴계학보 25집 [1980]
  • 「濂洛風 漢詩로서의 林居詩 연구」
    大東漢文學, 30잡 [2009]
  • 「寒暄堂 金宏弼의 道學的 詩世界와 인간자세」
    김시업 大東文化硏究 48집 [2004]
  • 「南冥의「神明舍圖」 「神明舍銘」에 대하여」
    최석기 『남명학연구 4호 [1994]
  • 「16세기 삼당시인의 당시풍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16세기 사림파 문학의 연구」
    김종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林悌,『林白湖集
  • 林億齡,『石川先生詩集,『石川集
  • 林亨秀,『錦湖遺稿
  • 李陸, 『靑坡集
  • 李賢輔, 『聾巖先生文集
  • 李睟光,『芝峯類說
  • 李瀷,『星湖僿說
  • 李濟臣,『淸江先生鯸鯖瑣語
  • 李滉,『退溪先生文集
  • 李植,『澤堂先生別集
  • 李後白,『靑蓮先生集
  • 李彦迪,『晦齋先生集
  • 李宜茂,『蓮軒雜稿
  • 李奎報,『東國李相國全集
  • 李叔樑,『梅巖先生文集
  • 柳成龍,『西厓先生文集
  • 柳夢寅,『於于野談
  • 禮記
  • 梁敬之,『方菴遺稿
  • 梁應鼎,『松川先生遺集
  • 論語
  • 羅緯素,『松巖遺集
  • 호남시단의 연구-조선전기시단을 중심으로
    박준규 전남대출판부 [2007]
  • 한훤당선생기념사업회,『國譯 景賢錄(全)
    삼화출판사 [1984]
  •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임형택 (주)창작과 비평사 [2002]
  • 한국문학과 한
    천이두 이우출판사 [1985]
  • 쳥량산박물관 역,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 1
    봉화군 [2006]
  • 지역연구, 어떻게 하나
    전경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
    김창원 『우리어문연구29 [2007]
  • 지방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고석규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집 [1998]
  •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일조각 [1999]
  • 조선전기 기호사림파 연구
    이병휴 일조각 [1984]
  •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경옥 『역사학 연구40집 [2010]
  • 조선 중기의 유산기 문학
    이혜순 집문당 [1997]
  • 전라남도지편찬위원회,『전라남도지
    전라남도 [1996]
  • 저(신호열 임형택 공역), 역주 白湖全集, 상 하
    임제 창작과 비평사 [1997]
  • 윌프리드 L. 게린 외(鄭在浣 譯), 『文學의 理解와 批評
    靑鹿出版社 [1995]
  • 올리히 바이스슈타인(이유영 옮김),『비교문학론
    기린원 [1991]
  • 영남의 전설
    유증선 형설출판사 [1971]
  • 앙리 베르그송(정연복 옮김),『웃음 –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
    세계사 [2008]
  • 신재주선생유적선양회
    『愼齋全書 咸安郡 [1979]
  •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최석기 돌베개 [2000]
  • 바스넷(송진한 옮김), 비교문학
    수잔 전남대학교출판부 [2012]
  • 미학의 이해
    김문환 문예출판사 [1989]
  • 면앙정 송순 연구
    이종건 개문사 [1982]
  • 남명학연구원,『동강 김우옹
    예문서원 [2012]
  • 남명의 신명사도·명과 언어구조
    조일규 평택대학교 논문집 18집 [2004]
  • 국문학과 자연
    최진원 성균관대 출판부 [1981]
  • 구상, 「멋과 한 이야기」
    『문학사상 월 [1990]
  • 고봉 기대승의 시문학 연구
    조정림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고려가요의 연구
    이명구 신아사 [1974]
  • 경북민담
    김광순 형설출판사 [1978]
  • 경기체가 연구
    임기중 태학사 [1997]
  • 高麗史節要
  • 高敬命,『霽峯集
  • 高應陟,『杜谷先生文集
  • 閔丙秀,『韓國漢文學槪論, 太學社, 1997.
  • 金麟厚,『河西先生全集
  • 金馹孫,『濯纓先生文集
  • 金誠一,『鶴峯先生文集,『鶴峯逸稿
  • 金成遠,『棲霞堂遺稿
  • 金宗直, 『佔畢齋文集
  • 金宇顒, 『東岡先生文集
  • 鄭逑,『寒岡先生文集
  • 鄭澈, 『松江集,『松江歌辭
  • 鄭汝昌,『一蠹先生遺集
  • 鄭仁弘,『來庵集
  • 郭期壽,『寒碧堂先生文集
  • 詩經
  • 許筠, 『惺所覆瓿藁
  • 蘇世讓,『陽谷先生集
  • 莊子
  • 續東文選
  • 程敏政,『心經附註
  • 白光弘,『岐峯集
  • 白光勳,『玉峯詩集
  • 王甦(成宜濟 옮김),「退溪의 文學觀」,『退溪學硏究1
    단국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987]
  • 漢文學史
    이가원 탐구당 [1969]
  • 海東歌謠
  • 權鼈,「海東雜錄」,『大東野乘
  • 權好文,『松巖先生文集
  • 東文選
  • 朴祥,『訥齋先生集
  • 朴淳,『思菴先生文集
  • 朴善長,『水西先生文集
  • 朴允默,『存齋集
  • 朴仁老,『蘆溪先生文集
  • 朴世采,『南溪先生朴文純公文外集
  • 朴世茂,『童蒙先習
  • 朱子語類.
  • 朝鮮王朝實錄
  • 朝鮮小說史
    김태준 학예사 [1939]
  • 朝鮮中期 道學詩와 生態學的 想像力
    유호진 동양한문학연구 25집 [2007]
  • 曺植,『南冥先生集
  • 新增東國輿地勝覽
  • 成俔, 虛白堂集
  • 成侃, 『眞逸遺稿
  • 張顯光,『旅軒先生文集
  • 張維, 谿谷集
  • 崔致遠,『孤雲先生文集
  • 崔慶昌,『孤竹遺稿
  • 尹善道,『孤山遺稿
  • 宋純, 『俛仰集
  • 孟子
  • 孝經
  • 姜翼,『介庵先生文集
  • 姜希孟,『村談解頥
  • 奇大升,『高峯先生文集
  • 大東野乘
  • 大學
  • 周易
  • 周世鵬,『武陵雜稿
  • 吳澐,『竹牖先生文集
  • 南孝溫,『秋江先生文集
  • 中庸
  • 三國史記
  • 丁若鏞,『與猶堂全書
  • 丁克仁,『不憂軒集
  • 『嶺南士林派의 形成
    이수건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 『호남전통문화론
    박만규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9]
  • 『호남의 시조문학
    김신중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단 [2006]
  • 『한국한문학사
    김병주 경인문화사 [1995]
  •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2000]
  • 『한국시가사강
    조윤제 을유문화사 [1958]
  • 『한국문학통사1,2
    조동일 3 (주)지식산업사 [1989]
  • 『한국고전소설의 이해
    정병헌 박이정 [2013]
  •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두산동아 [1999]
  • 『우리말 큰사전, 한글학회
    어문각 [1992]
  • 『용이 머리를 숙인 듯 꼬리를 치켜든 듯
    보고사 [2008]
  • 『영남성리학연구
    이상익 심산출판사 [2011]
  • 『고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새문사 [2006]
  • 『고려조 한시 연구
    변종현 태학사 [1994]
  • 『고려말 성리학의 수용과 한시
    이병혁 태학사 [2003]
  • 『개고 호남 가단연구
    정익섭 (주)민문고 [1989]
  • 『風流
    신은경 보고사 [1999]
  • 『韓國의 科擧制度
    이성무 한국일보사 [1976]
  • 『韓國文學史
    장덕순 同和文化社 [2002]
  • 『韓國擬人小說硏究
    새문사 [1987]
  • 『韓國小說發達史
    신기형 창문사 [1960]
  • 『韓國古典小說硏究
    김기동 교학사 [1983]
  • 『退溪評傳
    정순목 지식산업사 [1993]
  • 『矗石樓詩集
    진주시 진주시 공보실 [1978]
  • 『瀟灑園事實
  • 『漢韓大辭典,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008.
  •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上海, 2003.
  • 『溓洛風雅
  • 『樂學拾零』
  • 『朝鮮古代小說史
    주왕산 정음사 [1950]
  • 『書痙
  • 『恨脈源流
    김열규 主友 [1981]
  • 『天君小說 硏究, 螢雪出版社, 1982.
  • 『增補退溪全書
  • 『國譯 霽峯全書
  • 『國文學史
    김사엽 정음사 [1953]
  • 『國文學全史
    백철 이병기 신구문화사 [1957]
  • 『史記 <孔子世家>
  • 『古今歌曲
  • 『中國詩論』
    차주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 「林白湖의 「愁城誌」에 대하여」
    정학성 『도솔어문 1호 [1985]
  • 「六歌의 수용과 전승에 대한 고찰」
    최재남 『관악어문연구12 [1987]
  • 「嶺湖南士林과 錦南 崔溥」
    『韓國古詩歌文化硏究 27집 [2011]
  • 「嶺南地域 樓亭文學 硏究(1)」,『大東漢文學 22집
    오용원 대동한문학회 [2005]
  • 「嶺南 性理學의 형성과 전개」,『동양철학8
    이동희 한국동양철학회 [1997]
  • 「麗末鮮初 佛敎詩論 序說」,『麗末鮮初 漢文學의 再照明
    인권환 태학사 [2003]
  • 「旅軒 張顯光의 文論 硏究」,『동양한문학연구18집
    권진호 동양한문학회 [2003]
  • 「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민족문화연구40
    우응순 유호진 고려대학 교민족문화연구원 [2004]
  • 「흥의 미학」
    辛恩卿 『고전문학연구 9집 [1994]
  • 「호남시가의 풍류성 연구」,『호남문화연구13집
    정익섭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3]
  • 「호남시가의 풍류고」,『고시가연구1
    한국고시가문학회 [1993]
  • 「호남문화의 배경」,『호남전통문화론
    이병도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9]
  • 「호남문학의 문화적 배경과 정신사적 제양상」,『호남의 언어와 문학
    이종주 백산서 당 [1998]
  • 「호남가단의 시가문학」,『고시가연구5집
    전일환 한국고시가문학회 [1998]
  • 「호남 한시단 연구의 단면과 서술시적 전통 고찰」,『남도논문집8호
    최한선 전남도립 대학교 [2006]
  • 「해학의 미적 범주」,『해학과 우리. 한국 해학의 현대적 변용
    시공사 [1998]
  • 「해학 연구 서설-한국해학문학연구①」
    김진악 『논문집3, 배재대학 [1982]
  • 「한국문학의 양상과 미적 범주」,『한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조동일 집문당 [1997]
  • 「한국고전시가의 미의식 체계론」,『한국고전시가의 연구
    김학성 원광대출판국 [1980]
  • 「한국 도학시 연구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한국고전연구 제10집
    홍학희 한국고 전연구학회 [2004]
  • 「판소리와 탈놀이의 비교발생론」,『국어국문학100호
    박진태 국어국문학회 [1988]
  • 「퇴계학파의 여헌 장현광 비판에 관한 연구」
    김용현 한국연구재단(NRF)연구성과 물 [2007]
  • 「퇴계의 산수문학 연구」
    손오규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1990]
  • 「퇴계와 순정문학」
    정규복 『퇴계학보19호 [1978]
  • 「퇴계를 중심한 영남가단」
    조윤제 『청구대논문집 8집 [1965]
  • 「초의선사의 시문학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청련 이후백 한시에 나타난 두 가지 새로운 경향」,『한국언어문학53집
    한국 언어문학회 [2004]
  • 「진각국사 혜심의 선시 연구」
    김석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지역문화의 특성과 편견」
    백정현 『한국동북아논총12집 [1999]
  • 「지역문학사 서술방법론」
    양영길 『영주어문학3 [2001]
  •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남송우 『한국문학논총45 [2007]
  • 「지역문학 연구의 방향」
    박태일 『지역문학연구2 [1998]
  • 「지역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한국한문학연구39집
    이종호 한국한문학회 [2007]
  • 「지역 한문학 연구의 실상과 문제점」,『한국한문학연구39집
    정만호 한국한문학회 [2007]
  • 「지방사 연구 : 그 이론과 실제」,『현대의 역사이론
    오규환 한길사 [1993]
  • 「지방문학의 구조적 늑질과 활성화방안」
    손광은 『용봉논집19권 [1990]
  • 「지방문학의 개념 범주와 연구 방향」
    박종렬 『고시가 연구, 제17집 [2005]
  • 「조선후기 호남의 불교한시 연구」,『고시가연구 16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5]
  • 「조선후기 시조가단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조선초 영남 사림파의 도학적 문학사상」,『한국학논집,45집
    이구의 계명대학교 한 국학연구소 [2011]
  • 「조선조 전기 전남의 누정시단 연구」,『호남문화연구14집
    전남대학교 호남문 화연구소 [1996]
  • 「조선전기 도학파의 시취향과 설리시」,『한문학논집제13집
    단국한문학회 [1995]
  • 「조선시대 시인과 시정신 -15, 16세기 영남 사림파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59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 「조선시대 생원진사 연구」
    최진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4]
  •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
    원창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77]
  •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현대 공개체용시험 비교」
    정현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전라남도 누정의 성격과 기능」,『호남문화연구24집
    최재윤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 구소 [1996]
  • 「전남의 누정제영 연구」,『호남문화연구24집
    김신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96]
  •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퇴계학과 한국문화 32집
    고영진 경북대 되계연구소 [2003]
  • 「유학자의 자연이해의 한 局面 -주세붕의 「遊淸凉山錄」과 소위 이황의 「청량 산가」에 대하여-」
    김동협 『大東漢文學 제15집 [2001]
  •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
    『퇴계학과 한국문화제37호 [2005]
  • 「영남지역 가단의 성립과 그 계승」,『국문학연구12집
    권두환 국문학회 [2004]
  • 「영남문화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 시각」,『한국문화인류학21
    김택규 한국문화인류학 회 [1989]
  • 「영남문화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영남학창간호
    권연웅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 원 [2001]
  • 「영남문학 연구의 과제와 인물전설의 의의」,『영남학창간호
    경북대학교 영남 문화 연구원 [2001]
  • 「영남가단 연구」,『시조학논총34
    한국시조학회 [1988]
  • 「영 ‧ 호남 문학의 특성 고찰」,『어문학50집
    최정락 한국어문학회 [1989]
  • 「염락풍 시의 성격 –거울로서의 본질과 기능」
    송준호 『한중철학제4집 [1998]
  • 「여성화자 시의 한시 전통」
    이혜순 『한국한문학연구19집 [1996]
  • 「아암 혜장의 사상적 지향과 시문학의 양상」,『고시가연구18
    한국고시가문학 회 [2006]
  • 「시조가단고」
    이정탁 『안동대학논문집8집 [1986]
  • 「순천 송광사의 선시 전통」,『배달말 37집
    조태성 배달말학회 [2005]
  • 「순천 송광사 간행 고승문집 연구」,『동방한문학24집
    박명희 동방한문학회 [2003]
  • 「송강 정철의 누정제영고」,『고시가연구2,3합집
    한국고시가문학회 [1995]
  • 「소통(疏通)의 문학:중국 산수유기(山水遊記) 다시 읽기」
    권석환 『中國文學硏究 제45 집 [2011]
  • 「성산 가단연구」,『호남문화연구 7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75]
  • 「산수유록으로서의 <錄>체와 두류기행록」
    정용수 『泮橋語文硏究제11집 [2000]
  • 「사상사적으로 본 호남」,『호남전통문화론
    박종홍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9]
  • 「사대부 한시에 나타난 여성 정감의 미적 특질과 사적관계」
    박영민 고려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998]
  • 「불교문학, 선과 시의 상관성 -순천 송광사를 중심으로」,『교육과학연구제9 집
    김갑기 청주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5]
  • 「분강가단 연구」,『사림의 향촌 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1997]
  • 「문학지리학을 위한 출발선상의 토론」,『한국문학연구27집
    동국대학교 한국 문학연구소 [2004]
  • 「묵암 최눌의 유불 교섭시」,『호남문화연구35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4]
  • 「무의자 혜심의 시 연구」
    박재금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무용 수연대사의 시문 연구」,『고시가연구14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4]
  • 박사
    「무등산 유산기 연구」
    김순영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멋의 연구」,『조지훈전집 7
    조지훈 일지사 [1973]
  • 「대흥사의 시풍과 시단의 모색을 위한 시론」,『호남문화연구 40집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대둔사 선승의 시세계」,『한문교육연구29호
    김미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 「눈물 속의 웃음, 한국 해학의 전통」,『牛岩語文論集 제22호
    황병익 부산외국어대학 교 [2001]
  • 「누정연작제영 <식영정 20영> 연구」
    황민선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남도인의 인성구조」,『호남전통문화론
    나경수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9]
  • 「나주지방의 누정제영 조사연구」,『나주지방 누정문화의 종합적 연구
    전남대 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8]
  • 「기묘사화와 16세기 전반의 호남학파」
    이해준 『전통과 현실2 [1991]
  • 「기대승과 기호학」,『기호학파와 철학사상
    오종일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995]
  • 「고봉 기대승의 정치사상」,『동양철학 14집
    허창무 한국동양철학회 [2001]
  • 「고려후기 백련결사 정신의 변질과 계승」
    황인규 『백련불교논집제10집 [1992]
  • 「경북지역의 한문학 연구」,『동방한문학26집
    주승택 동방한문학회 [2004]
  • 「경남지역 한문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동방한문학26집
    하권수 동방한문학회 [2004]
  • 「경기체가 연구」
    변유유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韓國의 樓亭攷」,『湖南文化硏究17
    박준규 전남대 호남문화연구소 [1987]
  • 「霽峯 高敬命의 文學 硏究」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鄭汝立 硏究」
    배동수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1999]
  • 「逍遙太能의 禪思想 硏究」
    백남귀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退溪의誠敬哲學과文學認識」
    『東方漢文學제10집 [1994]
  • 「退溪의 書院교육의 특성」,『퇴계학과 유교문화 27호
    박양자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1999]
  • 「自然과 人間存在」,『韓國思想大系1
    최진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3]
  • 「百濟文學의 연구」
    안동주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瀟灑園의 歷史와 人文活動 硏究」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2008]
  • 「瀟灑園事實을 통한 瀟灑園 硏究」
    권수용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2005]
  • 「浮休善修의 시에 나타난 선사상과 현실인식」, 『古詩歌硏究 12집
    한국고시 가문학회 [2003]
  • 「江湖認識의 한 樣相」, 『泮橋語文硏究
    여기현 泮橋語文學會 [1988]
  • 「棲霞堂 金成遠의 詩世界」
    김성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松江鄭澈詩文學硏究」
    김진욱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朝鮮朝嶺南詩歌의 硏究」
    이동영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 「朝鮮朝 18세기 禪詩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朝鮮前期의 濂洛詩風 漢詩 硏究」
    조창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文學作品의 歷史的 연구」,(申東旭 編)『文學批評論
    이보영 고려원 [1997]
  • 「愛情漢詩의 전통과 美學」,『국문학연구제5호
    이종묵 국문학회 [2001]
  • 「宋純의 詩歌文學 硏究」
    김성기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安東地方 樓亭文學 硏究」,『語文學 83집
    한국어문학회 [2004]
  • 「圓鑑國師 冲止의 詩精神 考察」
    김홍규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95]
  • 「喚惺 志安의 詩 硏究」
    박성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周世鵬論」,『국어국문학103호
    정재호 국어국문학회 [1990]
  • 「南冥 曹植과 南冥學派」,『동방한문학17
    정우락 동방한문학회 [1999]
  • 「兒庵 慧藏에 대한 硏究」
    권동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傳統意識과 恨의 의미」
    하희주 『現代文學 72호 [1960]
  • 「任亂期 佛家文學 硏究」
    배규범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16세시 호남 시단과 당풍」
    김종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16세기초 호남사림의 형성과 사림정신」
    조원래 『금호문화89-2 [1989]
  • 「16세기 호남한시의 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16세기 호남한시의 여성화자 유형과 의의」,『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20집
    한 국여성고전문학회 [2010]
  • 「16세기 호남시 미의식」,『동방한문학50집
    동방한문학회 [2012]
  • 「16세기 호남사림 한시의 무인 형상」,『고전문학연구27집
    한국고전문학회 [2005]
  • 「16세기 호남사림 시세계의 한 양상」,『한문학보9집
    박종우 우리한문학회 [2003]
  • 「16세기 호남 한시의 특성」,『고시가연구5집
    김은수 한국고시가문학회 [1998]
  • 「16세기 호남 한시에 나타난 무인형상과 그 의미」,『한성어문학26
    한성대 학교한성어문학회 [2007]
  • 「16세기 호남 시의 음영성」,『한국한시연구14집
    한국한시학회 [2006]
  • 「16세기 호남 시의 미적 특성」,『한국한문학연구39집
    한국한문학회 [2007]
  • 「16세기 호남 사대부 한시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한국한문학연구29집
    박은숙 한 국한문학회 [2002]
  • 「16세기 식영정 시단의 시세계 연구」
    권혁명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누정제영의 문학사적 의미」,『우리어문연구32 집
    우리어문학회 [2008]
  • 「16世紀 士林派의 文學意識」,『漢文學硏究
    임형택 정음문화사 [1983]
  • 「15‧16세기 한국 여성화자 시가의 의의」,『한국문화19집
    서울대 한국문화연 구소 [1997]
  • Tain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trans, H. Van Laun(Holt & Williams, 1872)
  • P. 방 티겜(김종원 역), 『비교문학
    예림기획 [1999]
  • N. 하르트만(전원배 역, 『미학
    을유문화사 [1995]
  • 3인(역), 국역 無等山遊山記
    김대현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