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壬辰倭亂期 民人의 反王朝 活動 = An activities of the people against the Chosun dynasty in the Imjin War

김만호 2015년
논문상세정보
' 壬辰倭亂期 民人의 反王朝 活動 = An activities of the people against the Chosun dynasty in the Imjin Wa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궁궐 방화
  • 기근
  • 반란(叛亂)
  • 변하복(邊遐福)
  • 부왜(附倭)
  • 송유진(宋儒眞)
  • 이몽학(李夢鶴)
  • 임진왜란
  • 점령정책
  • 토적(土賊)
  • 파천(播遷)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55 0

0.0%

' 壬辰倭亂期 民人의 反王朝 活動 = An activities of the people against the Chosun dynasty in the Imjin War' 의 참고문헌

  • 􋺷流言蜚語의 社會學􋺸
    李孝成 譯 청람문화사 [1977]
  • 􋺷嶺南人物考􋺸(姜周鎭 譯編, 􋺷嶺南人物考􋺸, 探究堂, 1967).
  • 􋺷한국의 성씨와 족보􋺸(
    이수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3]
  • 􋺷임진왜란 해전사􋺸
    이민웅 청어람미디어 [2004]
  •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이경순 정두희 (휴머니스트 [2007]
  • 􋺷임진왜란 관련 일본 문헌 해제􋺸
    김시덕 최관 도서출판 문 [2010]
  • 􋺷마을로 간 한국전쟁􋺸
    박찬승 (돌베개 [2010]
  • 􋺷鍋島直茂譜考補􋺸
  • 􋺷朝鮮王朝實錄􋺸 :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 􋺷朝鮮國租稅牒􋺸
  • 􋺷增補文獻備考􋺸
  • 􋺷國朝寶鑑􋺸
  • 􋺷北關誌􋺸(􋺷朝鮮時代 私撰邑誌􋺸, 韓國人文科學院, 1990).
  • 「􋺷서정일기(西征日記)􋺸」 (상․하)
    김시덕 􋺷문헌과 해석􋺸 58․59(문헌과해석사 [2012]
  • 「􋺷기요마사 고려진 비망록􋺸의 해제 및 번역(上)」
    김시덕 􋺷문헌과 해석􋺸 53(문헌과해석 사 [2010]
  • 「􋺷孤臺日錄􋺸에 나타난 明軍의 모습」
    한명기 􋺷南冥學􋺸 15(南冥學會 [2010]
  • 「李夢鶴亂에 대한 고찰」
    박용숙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혜안 [2007]
  • 「歷史속의 小氷期」
    김연옥 􋺷歷史學報􋺸 149(歷史學會 [1996]
  •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1392-」
    김재호 􋺷經濟史學􋺸 30(經濟史學會, 2001) [1910]
  • 「조선시대의 기후환경 -사료분석을 중심으로-」
    김연옥 􋺷지리학논총􋺸 14(서울大學校 社 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87]
  • 「조선시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저항운동」
    김준형 􋺷南冥學硏究􋺸 31(경상대학교 남명 학연구소 [2011]
  • 「조선 명종대 群盜의 발생배경과 활동의 특징」
    한희숙 􋺷朝鮮時代史學報􋺸 10(朝鮮時代 史學會 [1999]
  • 「정여립의 학문과 사상」
    이희권 􋺷全北史學􋺸 21⋅22(전북사학회 [1999]
  • 「전라도 강진의 面制와 倭軍占領政策」
    김덕진 􋺷海洋文化硏究􋺸 3(전남대학교 이순신해양 문화연구소 [2009]
  • 「재해의 양상」
    한정수 􋺷서울災害史􋺸(서울특별시편찬위원회 [2013]
  • 「장기적인 자연재해와 전란의 피해」
    􋺷한국사 30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국 사편찬위원회 [1998]
  • 「임진왜란사 인식의 문제점과 연구과제」
    조원래 􋺷韓國史學史學報􋺸 26(한국사학사학회 [2012]
  • 「임진왜란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새로운 觀点의 임진왜란사 硏究􋺸(아세아문화 사 [2005]
  • 「임진왜란사 연구의 추이와 과제」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창작과비평 사 [2000]
  • 「임진왜란기의 경상도 의병 양상」
    이 욱 􋺷임진의병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가치􋺸(선인 [2009]
  • 「임진왜란기 의병의 항전과 일본군의 점령정책 변화」
    신윤호 􋺷이순신연구논총􋺸 11(순 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9]
  • 「임진왜란기 內浦지역과 민의 동향」
    김일환 􋺷역사와 실학􋺸 52(역사실학회 [2013]
  • 「임진왜란기 ‘부왜’(附倭) 정보와 조선 조정의 대응 -‘附賊’ 용례를 중심으로-」
    민덕기 􋺷韓日關係史硏究􋺸 47(한일관계사학회 [2014]
  • 「임진왜란 한성 방화사건을 통해 고찰한 정치적 압제와 저항」
    김성철 􋺷역사와 사회􋺸 26(원광대학교 채문연구소 [2001]
  • 「임진왜란 초기 함경도의 상황과 왜군 격퇴」
    김현영 􋺷壬辰亂硏究叢書􋺸 2(壬辰亂精神文 化宣揚會 [2013]
  • 「임진왜란 초기 전라도 관군의 동향과 호남방어」
    하태규 􋺷한일관계사연구􋺸 26(한일관 계사학회 [2007]
  • 「임진왜란 시기의 유언비어와 사회상의 변화」
    김만호 􋺷歷史學硏究􋺸 54(湖南史學會 [2014]
  • 「임란 전후 상주지방 사족의 동향」
    􋺷조선시대 향촌사회사􋺸(한길사 [1998]
  • 「왜란과 소쇄원 사람들, 그리고 소쇄원」
    김덕진 􋺷소쇄원 사람들􋺸(다미디어 [2007]
  • 「숙종대 진휼정책의 성격」
    정형지 􋺷역사와 현실􋺸 25(한국역사연구회 [1997]
  • 「송강 정철의 학문과 정치활동」
    김덕진 􋺷기축옥사 재조명􋺸(선인 [2010]
  • 「서울지역 재해의 양상」
    변광석 􋺷서울災害史􋺸(서울특별시편찬위원회 [2013]
  • 「鄭汝立의 생애와 사상 : 호남 phobia를 읽은 한 도구로서」
    신복룡 􋺷韓國政治學會報􋺸 33-1(한국정치학회 [1999]
  • 「鄭文孚와 關北義兵」
    􋺷(개정⋅증보)임진왜란사 연구􋺸(아세아문화사 [2007]
  • 「蔚山地域 壬亂義兵의 活動과 그 性格」
    􋺷歷史敎育論集􋺸 31(歷史敎育學會 [2003]
  • 「秀吉의 病死風聞과 조일강화교섭」
    김문자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경인문화사 [1998]
  • 「朝鮮前期의 土兵에 대하여」
    􋺷藍史鄭在覺博士古稀紀念 東洋學論叢􋺸(藍史鄭在覺 博士古稀紀念 東洋學論叢 編纂委員會 [1984]
  • 「朝鮮前期 安東府 在地士族의 鄕村支配」
    􋺷大丘史學􋺸 27(大丘史學會 [1985]
  • 「己丑獄死와 호남 士林」
    􋺷기축옥사 재조명􋺸(선인 [2010]
  • 「壬亂前後 韓國의 社會動態」
    􋺷아시아문화􋺸 8(한림대학 아시아문화연구소 [1992]
  • 「壬辰倭亂期 湖西地域의 叛亂과 性格 -宋儒眞⋅李夢鶴의 난을 중심으로-」
    강 미 (부산 대학교 교육대학원(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 「壬辰倭亂中의 軍糧 調達策과 影響」
    김강식 􋺷文化傳統論集􋺸 4(慶星大學校 附設 鄕土文 化硏究所 [1996]
  • 「壬辰倭亂中의 社會動態에 關한 硏究 -義兵을 中心으로-」(檀國大學校 大學院 博 士學位論文
    ; 􋺷壬辰倭亂中의 社會動態 -義兵을 中心으로-􋺸(韓國硏究院, 1975) [1975]
  • 「壬辰倭亂中의 民衆과 義兵」
    􋺷東洋學學術會議講演􋺸 15(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 연구소 [1985]
  • 「壬辰倭亂 硏究의 現況과 課題」
    박재광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2권(한일역사공동연 구위원회 [2005]
  • 「壬辰亂 七周甲의 역사적 의미」
    한명기 􋺷壬辰亂硏究叢書􋺸 1(壬辰亂精神文化宣揚會 [2013]
  • 「壬亂中 糧餉考 -明軍의 軍糧調達을 中心으로-」, 􋺷史叢􋺸 15ㆍ16(金學燁敎授 華 甲紀念論叢
    高麗大學校 歷史硏究所 [1971]
  • 「光海君代 國家의 圖書 編纂에 대한 硏究」
    김재훈 􋺷書誌學報􋺸 33(韓國書誌學會 [2009]
  •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시대적 배경과 책의 내 용을 중심으로-」
    정일영 􋺷국어사연구􋺸 17(국어사학회 [2013]
  • 「20세기의 임진왜란사 연구성과」
    􋺷임진왜란사 연구의 새로운 관점􋺸(아세아문화 사 [2011]
  • 「19세기 전반 유민에 관한 연구」
    정형지 􋺷國史館論叢􋺸 72(國史編纂委員會 [1996]
  • 「17세기 후반 도적활동과 국가의 對策」
    한희숙 􋺷朝鮮時代史學報􋺸 21(朝鮮時代史學會 [2002]
  • 「16ㆍ17세기 향약의 구성과 성격」
    한상권 􋺷震檀學報􋺸 58(震檀學會 [1984]
  • 李載龒, 「조선초기의 土官에 대하여」
    􋺷震檀學報􋺸 29ㆍ20(震檀學會 [1966]
  • 李貞一, 「壬亂時 明兵에 대한 軍糧 供給」
    􋺷연구논문집􋺸 16-2(울산대학교 [1985]
  • 李舜臣, 􋺷壬辰狀草􋺸(朝鮮史編修會編, 􋺷亂中日記草ㆍ壬辰狀草􋺸, 朝鮮總督府, 1935).
  • 李肯翊, 􋺷燃藜室記述􋺸(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연려실기술􋺸Ⅳ)
  • 李羲權, 「鄭汝立 謀反사건에 대한 고찰」
    􋺷창작과 비평􋺸 10-3(창작과 비평사 [1975]
  • 李章熙, 「壬辰倭亂中 民間反亂에 對하여」, 􋺷鄕土서울􋺸 32(서울市史編纂委員會
    ; 「 亂中의 民間反亂」􋺷(개정・증보)임진왜란사 연구􋺸(아세아문화사, 2007) [1968]
  • 李睟光, 􋺷芝峰類說􋺸(南晩星 譯, 􋺷芝峯類說􋺸 上⋅下
    을유문화사 [1975]
  • 李相禧, 「流言蜚語의 生態學」
    􋺷流言蜚語論􋺸(청람 [1982]
  • 李相培, 「高麗時代 訛言․妖言․匿名書를 통해 본 政治․社會相에 관한 硏究」
    􋺷江原史學􋺸 17(강원대학교 사학회 [2002]
  • 李相培
    􋺷朝鮮後期 政治와 掛書􋺸(國學資料院 [1999]
  • 李熙煥, 「선조대 정여립 옥사와 정철」
    􋺷대동사학􋺸 4(대동사학회 [2005]
  • 李泰鎭, 「小氷期(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 《朝鮮王朝實錄》 -global history의 한 章-」
    􋺷歷史學報􋺸 149(歷史學會 [1996]
  • 李恒福, 􋺷白沙集􋺸(임정기 역, 􋺷국역 백사집􋺸
    민족문화추진회, ~1999) [1998]
  • 李德悅, 􋺷養浩堂日記􋺸(이명래 외 3인 옮김, 􋺷養浩堂日記􋺸
    養浩堂日記刊行會 [2012]
  • 李廷馣, 􋺷西征日錄􋺸(李章熙 譯, 􋺷西征日錄􋺸, 探求堂, 1981).
  • 李仙喜, 「임진왜란 시기 咸陽 守令의 전란대처 -『孤臺日錄』을 중심으로-」
    􋺷震檀學報􋺸 110(震檀學會 [2010]
  • 李 魯, 􋺷龍蛇日記􋺸(韓日文化硏究所, 􋺷譯註 龍蛇日記􋺸, 釜山大學校, 1960).
  • 李 墍, 􋺷艮翁疣墨􋺸(신익철ㆍ조융희ㆍ이철희 옮김, 􋺷간옹우묵􋺸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李 墍, 􋺷松窩雜說􋺸(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대동야승􋺸ⅩⅣ)
  • 柳成龍, 􋺷懲毖錄􋺸(김시덕 역해, 􋺷교감․해설 징비록􋺸
    아카넷 [2013]
  • 柳彭老, 􋺷月坡集􋺸(劉相鐘 譯, 􋺷國譯 月坡集􋺸
    청화유상종박사추모사업회 [1992]
  • 柳一之, 「宣祖朝 己丑獄死에 대한 고찰」
    􋺷청구대논문집􋺸 2(청구대학교 [1959]
  • 羅鍾一, 「17世紀 危機論과 韓國史」
    􋺷歷史學報􋺸 94ㆍ95(歷史學會 [1982]
  • 金龍德, 「鄭汝立硏究」, 􋺷韓國學報􋺸 2-4(一志社, 1976).
  • 金烈圭, 「<民衆의 文>들에 관한 試論 -俗念. 俗談 및 浮言에 관한 연구-」
    􋺷韓國人의 生 活意識과 民衆藝術􋺸(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3]
  • 金鎔坤, 「朝鮮前期 軍糧米의 確保와 運送 -壬亂 當時를 중심으로-」
    􋺷史學硏究􋺸 32(韓國 史學會 [1980]
  • 金東洙, 「16~17세기 湖南士林의 존재형태에 대한 일고찰-특히 정개청의 문인집단과 紫 山書院의 치폐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歷史學硏究􋺸 7(全南史學會 [1977]
  • 호머 헐버트 지음, 마도경ㆍ문희경 옮김,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①
    ②(리베르 [2009]
  • 지음, 이혜순 감수, 박재금 옮김
    원중거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소명출 판 [2006]
  • 지음, 박맹수 옮김
    조경달 􋺷이단의 민중반란􋺸(역사비평사 [2008]
  • 조선후기 향촌사회 권력구조 변동에 대한 시론
    􋺷韓國史論􋺸 19(서울大學校 國 史學科 [1988]
  • 조선시대의 양반과 향촌사회
    김현영 집문당 [1999]
  • 조선시대 기근과 정부의 대책
    정형지 􋺷梨花史學硏究􋺸 30(梨花史學硏究所 [2003]
  • 조선 후기 유언비어 사건의 추이와 성격 정감록(鄭鑑錄) 관련 사건을 중심으로
    고성훈 􋺷정신문화연구􋺸 35-4(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12]
  • 정여립 연구
    배동수 책과공간 [2000]
  • 임진전쟁기 강화교섭의 결렬 원인에 대한 연구
    김경태 ( Kyueng Tae Kim ) 􋺷大東文化硏究􋺸 87(성균관대 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 박사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김경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김만호 􋺷歷史學硏究􋺸 38(湖南史 學會 [2010]
  • 임진왜란기 성주전투와 일본군의 동향
    신윤호 􋺷歷史學硏究􋺸 53(湖南史學會 [2014]
  • 임진왜란 초기 호남군병의 난과 운암전투의 실상
    하태규 􋺷역사와 담론􋺸 56(호서사학 회 [2010]
  • 임진왜란 초기 지방관의 守土活動 - 善山府使 丁景達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경숙 􋺷朝鮮時代史學報􋺸 65(朝鮮時代史學會 [2013]
  •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수령의 동향과 의병 지원 활동
    정해은 􋺷朝鮮時代史學報􋺸 70 (朝鮮時代史學會 [2014]
  • 임진왜란 초 호남지방의 실정과 관군의 동원실태
    하태규 􋺷지방사와 지방문화􋺸 16-2 (역사문화학회 [2013]
  •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운동을 통해 본 조선사회
    김강식 􋺷지역과 역사􋺸 23(부경역사연 구소 [2008]
  • 임진왜란 시기 향리층의 동향과 전후(戰後)의 향리사회-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권기중 􋺷역사와 현실􋺸 64(한국역사연구회 [2007]
  • 워렌 A. 피터슨, 노엘 P. 기스트, 「流言蜚語와 輿論 -流言蜚語의 實驗的 硏究에 대한 反 論-」
    􋺷流言蜚語論􋺸(청람 [1982]
  • 역사문화교육연구소 편
    􋺷기축옥사 재조명􋺸(선인 [2010]
  • 순천 왜교성전투와 조선민중의 동향
    이욱 􋺷韓國史學報􋺸 54(고려사학회 [2014]
  • 서발턴과 봉
    김택현 라나지트 구하 박종철출판사 [2008]
  • 미하엘 셸레 지음, 김수은 옮김, 􋺷소문
    나를 파괴하는 정체불명의 괴물􋺸(열대림 [2007]
  • 문화공보부
    􋺷歷史的 事例로 본 流言蜚語의 心理學􋺸(문화공보부 [1986]
  • 루이스 프로이스 지음, 정성화ㆍ양윤선 옮김
    􋺷임진난의 기록 –루이스 프로이스가 본 임 진왜란􋺸(살림출판사 [2008]
  • 대기근, 조선을 뒤엎다
    김덕진 푸른역사 [2008]
  • 국립국어원 기획, 서종학 글
    􋺷구황촬요􋺸(채륜 [2011]
  •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임진의병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가치􋺸(선인 [2009]
  • 경상도 임란의병의 활동 배경과 의의
    정진영 􋺷지역과 역사􋺸 18(부경역사연구소 [2006]
  • 高承濟, 「16세기 賤民叛亂의 社會 經濟的 背景」
    􋺷韓國社會經濟史論􋺸(一志社 [1988]
  • 韓致奫, 􋺷海東繹史􋺸(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해동역사􋺸 [1996]
  • 閔仁伯, 􋺷苔泉集􋺸
  • 釜山大學校 韓日文化硏究所
    􋺷慶南의 倭城址􋺸(嶺南印刷所 [1961]
  • 金誠一 招諭 활동의 배경과 경상우도 義兵 봉기의 함의
    허태구 􋺷南冥學硏究􋺸 41(경 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 金福壽, 「루머(非公式的 大衆媒體)에 관한 연구」
    􋺷정신문화연구􋺸 28(韓國精神文化硏究 院 [1986]
  • 金仁杰, 「조선후기 鄕案의 성격변화와 在地士族」
    􋺷金哲埈博士 華甲紀念史學論叢􋺸 [1983]
  • 鄭震英, 「16世紀 鄕村問題와 在地士族의 대응 -<禮安鄕約>을 중심으로-」
    􋺷民族文化論 叢􋺸 7(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6]
  • 鄭文孚, 􋺷農圃集􋺸(李殷相 國譯, 􋺷(國譯) 農圃集􋺸, 海州鄭氏 松山宗中, 1999).
  • 鄭慶雲, 􋺷孤臺日錄􋺸(南冥學硏究院 옮김, 􋺷譯註 孤臺日錄􋺸 上․下
    태학사 [2009]
  • 鄭弘俊, 「壬辰倭亂 직후 統治體制의 整備過程 -性理學的 秩序의 强化를 중심으로-」
    􋺷奎 章閣􋺸 11(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所 [1988]
  • 鄭大德, 「社會的 意味로 본 流言蜚語의 考察」
    􋺷論文集􋺸 3(서강정보대학 [1983]
  • 鄭 琢, 􋺷藥圃集􋺸(황만기⋅이기훈 옮김, 􋺷약포집(藥圃集)􋺸
    성심인쇄소 [2013]
  • 都世純, 􋺷巖谷逸稿􋺸 「龍蛇日記」(도두호 옮김, 􋺷용사일기􋺸
    새박 [2009]
  • 趙湲來, 「􋺷亂中雜錄􋺸으로 본 임진왜란중의 社會相」
    􋺷韓國史學史硏究􋺸(于松趙東杰先生停 年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7]
  • 趙慶男, 􋺷亂中雜錄􋺸(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대동야승􋺸 Ⅵ, Ⅶ)
  • 趙 靖, 􋺷黔澗先生文集􋺸(豊壤趙氏黔澗公文集 重刊推進委員會 編, 􋺷黔澗先生文集􋺸, 大譜社, 2008).
  • 貫井正之, 「「壬辰倭乱」における義兵活動と民衆反乱」, 􋺷朝鮮史研究会論文集􋺸 16(朝鮮史硏 究會, 1979).
  • 藤井誠一, 「李夢鶴の亂について」, 􋺷靑丘學叢􋺸 22(靑丘學會, 1935).
  • 芝葛盛, 「文祿役に於ける占領地收稅の一斑」, 􋺷弘安文祿征戰偉績􋺸(富山房, 1905).
  • 米谷均, 「조선침략 전야의 일본 정보」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권(한일역사공동연 구위원회 [2005]
  • 秀吉의 病死風聞과 朝日交涉 -조선침략 전쟁중의 정보전달 문제의 일례로-
    김문자 􋺷 日本歷史硏究􋺸 8(일본사학회 [1998]
  • 禹仁秀, 「鄭汝立 謀逆事件의 眞相과 己丑獄의 性格」
    􋺷歷史敎育論集􋺸 12(歷史敎育學會 [1988]
  • 申 炅, 􋺷再造藩邦志􋺸(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대동야승􋺸Ⅸ)
  • 淸水幾太郞, 􋺷流言蜚語􋺸(岩波書店, 1947).
  • 洪良浩, 􋺷海東名將傳􋺸(해천서당 편역
    􋺷새로 풀어 쓴 해동명장전􋺸(박이정 [2014]
  • 洞富雄, 「文祿⋅慶長の役」, 􋺷日本の合戦􋺸 6(人物往来社, 1965).
  • 池內宏, 􋺷文祿慶長の役􋺸 別編第一(東洋文庫, 1936).
  • 柳成龍, 􋺷辰巳錄􋺸(이재호 번역‧감수, 􋺷국역 진사록(국역 서애전서 Ⅰ-3)􋺸
    사단법인 서애 선생기념사업회 [2001]
  • 李正守, 「16세기 도적 발생과 그 사회⋅경제적 의미」
    􋺷韓國史硏究􋺸 92(韓國史硏究會 [1996]
  • 李廷馣, 􋺷四留齋集􋺸
  • 朴東亮, 􋺷寄齋史草􋺸(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대동야승􋺸ⅩⅢ)
  • 朴京夏, 「倭亂 直後 鄕約에 대한 硏究 -高坪洞 洞契를 중심으로-」
    􋺷中央史論􋺸 5(中央大 學校 中央史學硏究所 [1987]
  • 朝鮮朝 己丑獄事와 宣祖의 對應
    이상혁 􋺷歷史敎育論集􋺸 43(역사교육학회 [2009]
  • 朝鮮時代의 旌表政策
    朴珠 一潮閣 [1990]
  • 朝鮮時代 커뮤니케이션 硏究
    金福壽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 朝鮮 中宗代 盜賊의 활동과 그 특징-16세기 民의 動向에 대한 一硏究-
    한희숙 􋺷歷 史學報􋺸 157(歷史學會 [1998]
  • 張顯光, 􋺷龍蛇日錄􋺸(김사엽 譯, 􋺷國譯 龍蛇日錄(避難錄篇)<김사엽전집> 13􋺸
    도서출판 박 이정 [2004]
  • 張東杓, 「조선중기 함안지역 재지사족층의 형성과 향촌지배」
    􋺷釜山史學􋺸 37(釜山史學會 [1999]
  • 崔潤熙, 「유언비어의 본질에 관한 小考」
    􋺷水原大文化􋺸 4(수원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1988]
  • 崔永禧, 「壬辰丁酉亂時 沿海民의 動態」
    􋺷史叢􋺸 2(高麗大學校 歷史硏究所 [1957]
  • 崔永禧
    􋺷壬辰倭亂中의 社會動態 -義兵을 中心으로-􋺸(韓國硏究院 [1975]
  • 崔槿默, 「壬辰倭亂때의 湖西地方의 民間反亂」
    􋺷百濟硏究􋺸 5(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74]
  • 尹國馨, 􋺷聞韶漫錄􋺸(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대동야승􋺸ⅩⅣ)
  • 尹國馨, 􋺷甲辰漫錄􋺸(민족문화추진회 편
    􋺷국역 대동야승􋺸ⅩⅣ)
  • 宣祖연간의 崔永慶 獄事와 정치사적 의미
    김강식 􋺷역사와 경계􋺸 46(부산경남사학회 [2003]
  • 宋正炫, 「왜란의 발발과 경과」
    􋺷한국사 29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국사편찬위원 회 [2013]
  • 孔俊元
    􋺷五宮과 都城􋺸(세계문예 [2009]
  • 太田秀春, 􋺷朝鮮の役と日朝城郭史の硏究􋺸(淸文堂, 2005).
  • 天荊, 􋺷西征日記􋺸
  • 壬辰倭亂과 慶尙右道의 義兵運動
    金康植 혜안 [2001]
  • 吳希文, 􋺷瑣尾錄􋺸(李民樹 譯, 􋺷瑣尾錄􋺸 上․下, 海州吳氏楸灘公派宗中, 1990).
  • 北島万次, 􋺷朝鮮日々記・高麗日記􋺸(そしえて, 1982).
  • 北島万次, 「第1次朝鮮侵略における秀吉の占領政策について」, 􋺷豊臣政權の硏究􋺸(吉川弘文 館, 1984).
  • 北島万次, 「壬辰倭亂에서의 두 개의 和議條件과 그 風聞」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景 仁文化社 [2010]
  • 北島万次 編, 􋺷壬辰倭乱-秀吉の朝鮮侵略-関係史料稿本􋺸 1(八王子, 2005).
  • 元佑鉉 엮음
    􋺷流言蜚語論􋺸(청람문화사 [1982]
  • 佐賀縣立名護屋城博物館 編集, 􋺷(佐賀縣立名護屋城博物館ㆍ韓國國立晉州博物館學術交流 記念 特別企劃展) 秀吉と文祿ㆍ慶長の役􋺸(佐賀縣立名護屋城博物館, 2007).
  • 中村榮孝, 􋺷日鮮關係史の硏究(中)􋺸(吉川弘文館, 1979).
  • 中村榮孝, 「文祿役にわが軍は朝鮮で何をしたか」, 􋺷朝鮮􋺸 271(朝鮮總督府, 1937).
  • 丁景達, 􋺷盤谷集􋺸(􋺷盤山世稿(盤谷亂中日記)􋺸
    서울亞細亞文化社 [1987]
  • “16세기 말 17세기 초 《疫病》 발생의 추이와 대책”
    김호 􋺷韓國學報􋺸 71(一志社 [1993]
  • ________, 􋺷豊臣秀吉の朝鮮侵略􋺸(吉川弘文館, 1995).
  • ________, 􋺷豊臣政権の対外認識と朝鮮侵略􋺸(校倉書房, 1990).
  • ________, 􋺷加藤淸正􋺸(吉川弘文館, 2007).
  • J. 노이바우어 지음/박동자․황승환 옮김
    한스 􋺷소문의 역사􋺸(세종서적 [2001]
  • 16, 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성격
    􋺷역사와현실􋺸 3(한국역사연구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