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唯識의 心所對治와 認知治療의 相補性 硏究 = A Study on Complementarity of Vijnapti-m?tra Caitta Antidotal Factors and Cognitive Therapy

김신곤 2015년
' 唯識의 心所對治와 認知治療의 相補性 硏究 = A Study on Complementarity of Vijnapti-m?tra Caitta Antidotal Factors and Cognitive Therap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aitta
  • cognition
  • defilement(kle?a)
  • performance
  • personality
  • replacemant
  • schema
  • therapy
  • vijnapti-m?tra
  • wu-t'ing-hsin-kuan
  • 대치
  • 도식
  • 번뇌
  • 성격
  • 수행
  • 심소
  • 오정심관
  • 유식
  • 인지
  • 치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88 0

0.0%

' 唯識의 心所對治와 認知治療의 相補性 硏究 = A Study on Complementarity of Vijnapti-m?tra Caitta Antidotal Factors and Cognitive Therapy' 의 참고문헌

  • 李萬
    『唯識學槪論』(경서원) [2006]
  • 편저
    전재성 『빠알리語辭典』(서울:한국불교대학 출판부) [1994]
  • 통합의학에서 본 심신의학
    진영수 Hanyang Medical Reviews Vol.30 No. 2 [2010]
  • 크리스토프 거머, 김재성 역
    『마음챙김과 심리치료』(무우수) [2009]
  • 초기불교의 정서 이해 -인지심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필원 인문논총 제 67집 [2012]
  • 초기불교의 분노와 치유
    김재성 『비폭력연구』(제 4호 [2010]
  • 존 카밧진 진델 세갈 존 티즈데일 마크 윌리엄스, 차 재호 옮김
    『우울증을 다스리는 마음챙김 명상』(서울: 사람과 책) [2013]
  • 정서조절을 위한 MBCT의 치료적 과정: 근거이론 연구
    전미애 영남대학교 박사논문 [2010]
  • 장익
    『佛敎唯識學강의』(정우서적) [2012]
  • 인경, 「유가행파의 영상유식관법」
    『보조사상 29집』 [2008]
  • 인경, 「初期佛敎에서의 止觀과 四禪」
    『淨土學硏究』제 7집
  • 인경
    『명상심리치료』(명상상담연구원) [2014]
  • 인경
    『유식의 遍計所執성과 인지치료의 통합적 접근』『보조사상』제22집 [2004]
  • 인경
    『유식의遍計所執性과 인지치료의 통합적 접근』『보조사상』제22집
  • 인간의 인지
    정원식 (교육과학사) [2010]
  • 인간의 긍정적 성품
    권석만 (학지사) [2011]
  • 위빠사나 수행의 원리와 실제
    임승택 『大覺思想』제 7집 [2004]
  • 옮김(Mark Epstein 지음)
    전현수 『붓다의 심리학』(서울: 학지사) [2006]
  • 역주,『맛지마 니까야』1권
    전재성 (서울: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 안도무사오 지음, 인경 스님 이필원 옮김, 『Buddhism as Psychotherapy
    심리치료와 불교』(불광출판사) [2010]
  • 심리학 사전운허 저
    불교사전 (동국역경원)
  • 슈미트하우젠, 「聲聞地에서의 선정수행과 해탈경험」,『불교학리뷰』1집
    (충남 :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1986]
  • 수산, 「아비달마 불교의 심소법 연구」,『한국선학』제 18호
    한국선학회 [2007]
  • 성제스님, 년 여름 운문지 105호, 「우울증에 대한 불교적 치료방안모색」이남경,「불교수행의 심리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박사학위논문, 2011 [2008]
  • 샤론 베글리, 이성동?김종욱 옮김, 『달라이라마, 마음이 뇌에게 묻다』
    (북섬) [2007]
  • 붓다와 명상
    임승택 3집(서울: 민족사) [2011]
  • 번역 해설
    정태혁 『붓다의 호홉과 명상1』(정신세계사) [2000]
  • 묘원,『12연기1』(서울:행복한 숲)
    『대념처경1』(서울:행복한 숲) [2011]
  • 명상을 통한 자기치유
    장현갑 인문연구. 39, 255-283, 영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0]
  • 맛지마니까야
    전재성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9]
  • 마음의 탐구
    김정오 (시그마프레스) [2011]
  • 마성스님
    『불교학 특강』(경남:콤마북스) [2102]
  • 루네 E.A.요한슨,박태섭 옮김
    『불교 심리학』(서울:시공사) [1996]
  • 로렌스 D,로젠블룸 지음, 김은영 옮김
    『오감 프레임』( 21세기 북스) [2011]
  • 딜런 에번스,오스카 저레이트 그림,이 충호 옮김
    『진화심리학』(경기도:김영사) [2008]
  • 뉴턴사이언스,강금희 번역
    『뇌와 마음의 구조』(서울:뉴턴코리아) [2009]
  • 년5월24일 계간 『불교평론』후원 불교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
    김성철 35호 [2008]
  • 냐냐난다,아눌라옮김
    『위빠사나의 명상의 열쇠 빠빤차』(서울:한언) [2006]
  • 김용환 박종래 한기연 공역
    David Brazier 『Zen Therapy( 선 치료)』(학지사) [2007]
  • 김명권 외1인 공역
    John Welwood 『깨달음의 心理學』(학지사) [2008]
  • 공저, 이우경?조선미?황태연 공역
    Segal, Z. V. Teasdale,J.D. Williams,J.M.G. 『마음챙김 영상에 기초한 인지치료』(학지사) [2008]
  • 고영건 외15인 공저, 안창일 편
    『異常心理學』(학지사) [2008]
  • 각묵스님 옮김,『디가 니까야 』2권,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2006]
  • 각묵 옮김
    『네 가지 마음챙기는 공부』(초기불전연구원) [2008]
  • 趙順姬, 「스트레스 관련 疾病의 治癒에 대한 唯識學的解釋硏究」
    威德大博士學位論文 [2010]
  • 西村實則,「『俱舍論』にみる「煩惱」「隨眠」「隋煩惱」」(『印佛硏』38,1990)
  • 經論疎類『念處經』, (大正藏1), 東魏瞿曇般若流支譯.
  • 池田練太朗,「俱舍論隨眠品の構造」(『印佛硏』26, 1977 )
  • 橫山紘一著, 묘주역
    『唯識哲學』(경서원) [2004]
  • 柏原信行,「「漏」に就いて」(『印佛硏』27, 1978 )
  • 枯木
    『新唯識學』(밀양) [2007]
  • 吳亨根, 「唯識學上의 第6意識硏究」
    『불교학보』23호
  • 吳亨根
    『新編唯識學入門』(도서출판 大乘) [2006]
  • 勝呂信靜,『唯識說の體系の成立』,『講座大乘佛敎(8)-唯識思想』(東京:春秋社), 1982.
  • 勝又俊敎, 「瑜伽師地論における止觀」,『止觀の硏究』, 關口眞大編,(東京: 岩波書店, 1975). 毛利俊英, 「聲聞地の止觀」『龍谷大學大學院紀要』10,1989.
  • 加藤純章(1989), 『經量部の硏究』(東京: 春秋社).
  • 加藤宏道,「有漏?無漏の規定」(『印佛硏』21, 1973 )
  • 加藤宏道,「斷惑論からみた九十八隋眠」(『印佛硏』30, 1981
  • 下田正弘, 「四念處に於ける不淨觀の問題」『印度學佛敎學硏究』66.(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85)
  • 『인지과학, 의식과 인지아키텍처』
    김은주 (도서출판 해명) [2011]
  • 『인간의 모든 感覺』
    최현석 (서해문집) [2010]
  • 『인간의 肯定的性稟, 肯定心理學의 관점』
    권석만 (학지사) [2011]
  • 『쌍윳따니까야』
    전재성 권4,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7]
  • 『숫타니파타』
    전재성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4]
  • 『붓다의 호홉법 아나빠나삿띠』
    김열권 이승훈 (불광출판사) [2007]
  • 『마두삔디까 숫따』
    범진 (경남:한가람) [2010]
  • 『들숨 날숨에 마음 챙기는 공부』
    대림옮김 (초기불전연구원) [2008]
  • 『나의 모습 나의 얼굴』
    Bates, Marilyn (서울; 한국심리검사 연구소) [1993]
  • 『깨달음으로 가는 오직 한 길』
    김열권 (선재 [2000]
  • 『顯揚聖敎論』(大正藏31) 無着造, 玄?譯.
  • 『雜阿含經』(大正藏2), 劉宋求那跋陀羅譯.
  • 『集異門足論』(大正藏26), 舍利子造.
  • 『阿毘達磨雜集論』(大正藏31), 無着造, 玄?譯.
  • 『阿毘達磨俱舍論』(大正藏29), 尊者世親造., 玄?譯.
  • 『阿卑達磨集異門足論』(大正藏26), 尊者舍利子說, 玄?譯.
  • 『認知心理學』
    이정모 (학지사) [2010]
  • 『解深密經』(大正藏16), 玄?譯.
  • 『異常心理學』
    원호택 ( 법문사) [1997]
  • 『瑜伽師地論釋』(大正藏30), 最勝子造, 玄?譯.
  • 『瑜伽師地論』(大正藏30), 彌勒說玄?譯.
  • 『淸淨道論』
    대림옮김 (초기불전연구원 [2004]
  • 『楞伽經』(大正藏16), 唐實叉難陀譯.
  • 『有部阿毘達磨와 經量部哲學의 硏究』
    권오민 (서울: 경서원) [1994]
  • 『攝大乘論釋』(大正藏31) 世親釋, 玄?譯.
  • 『攝大乘論』(大正藏31) 無着造, 眞諦譯.
  • 『摩訶止觀』(大正藏46), 智?造.
  • 『成實論』(大正藏16), 後秦鳩摩羅什譯.
  • 『成唯識論述記』(大正藏43), 窺基撰.
  • 『成唯識論學記』(韓佛全3), 釋太賢集.
  • 『成唯識論』(大正藏31), 護法等菩薩造., 玄?譯.
  • 『感覺과 知覺』
    E. Bruce Goldstein, 김정오 외6인 옮김 [2008]
  • 『性格心理學의 이해』
    박아청 (교육과학사) [2003]
  • 『天目中峰和尙廣錄』(卍正藏經60)『解深密經疏』(韓佛全1), 釋圓測撰.
  • 『天台四敎義』(大正藏46), 高麗諦觀造.
  • 『大毘婆沙論』(大正藏27), 五百羅漢造, 玄?譯.
  • 『大智度論』,後秦鳩摩羅什譯.
  • 『大乘起信論』2. (大正藏32), 馬鳴造, 唐實叉難陀譯.
  • 『大乘起信論』1.(大正藏32), 馬鳴造, 梁眞諦譯.
  • 『大乘義章』(大正藏44), 隨慧遠撰.
  • 『坐禪三昧經』(大正藏15), 僧家羅札造, 姚秦鳩摩羅什譯.
  • 『四敎義』(大正藏46), 智?造.
  • 『唯識無境』
    한자경 (예문서원) [2009]
  • 『唯識學에서 人間의 意志的實踐에 관한 硏究』
    권은정 [2006]
  • 『唯識十二論』(大正藏31), 世親菩薩造, 玄?譯.
  • 『唯識三十論頌』(大正藏31), 世親菩薩造, 玄?譯.
  • 『俱舍論疏』(大正藏41), 唐法寶撰.
  • 『修習止觀坐禪法要』(大正藏46), 隨智?造.
  • 『中阿含經』(大正藏1), 東晋, 僧伽提婆, 譯.
  • 「초기불교에서 五停心觀의 위치」
    김재성 『불교학연구』제14호 [2006]
  • 「첫 번째 선정의 의의와 위상에 대한 고찰」
    임승택 『불교학연구』제6호, 불교학연구회 [2003]
  • 「인지치료의 관점에서 본 佛敎』心理學의 연구문제」
    권석만 (서울대학교心理과학연구소 [1997]
  • 「유가행파의 수행도」
    김성철 (서울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 개념에 대한 고찰」
    권석만 유성진 『한국심리학회지』권 27
  •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
    임승택 『보조사상』제16집,보조사상연구원 [2001]
  • 「사띠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임승택 『명상치료연구』3집, 한국명상치료학회 [2009]
  • 「사고의 역기능과 그 해결」
    안양규 [2006]
  • 「사고의 역기능과 그 해결-붓다의 가르침과 아론백의 인지치료를 중심으로」
    안양규 『보조사상 28집』 [2007]
  • 「불교수행법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 삼학을 중심으로, 심리학의연구문제(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불교 교학에서 본 MBCT의 치유효과의 원리」
    안양규 『불교연구』제39집
  • 「명상의 깨달음과 심리치료의 통찰」
    최훈동 『大覺思想』제 7집 [2013]
  • 「마음지킴(sati)의 위상과 용례에 대한 재검토」
    임승택 『정토학연구 』제7집
  •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위빠사나 선(禪)의 상보성(相補性)」
    고진호 『종교교육학연구』제 15권 [2002]
  • 「說一切有部와 瑜伽行波의 修行論比較硏究」
    강명희 박사학위논문 [1999]
  • 「認知治療의 觀點에서 본 佛敎」
    권석만 『심리학의 연구문제』 [1997]
  • 「禪宗史에서 看話禪의 위치」
    강혜원 『普熙思想』제 13집. 불일출판사 [2000]
  • 「瑜伽行波의 止觀과 관련 심소법에 대하여」
    김치온 『불교학보』40, (서울 :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2003]
  • 「瑜伽師地와 十七地」
    오형근 『한국불교학』권10
  • 「唯識學의 五位百法에 대한 考察」
    오형근 『硏究論集』제 4집 [1974]
  • 「唯識學과 精神分析學의 比較硏究」
    최연자 전북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논문 [2001]
  • with P. B. Myers Gifts differing: Understandingpersonality type. Palo Alto, CA: Davies-Black;Marjorie E. Weishaar 지음, 권석만 옮김, 『인지치료의 창시자 아론 벡』
    Myers I. B. (학지사), 2007 [1980]
  • de Gardelle, V., & Kouider, S (2009). Cognitive theories of Consciusness.In P,B. William(Ed), Encyclopedia of Consiousness(pp. 135~146). New York: Academis Press
  • Young외 2인 공저, 권석만 외 5인 공역
    Jeffrey E. 『심리도식치료』(학지사) [2005]
  • Wiliam James, 정양은 옮김
    『심리학의 원리 제1~3권』(서울 아카넷) [2005]
  • Teasdale, J.D., Segal, Z.V., Williams, J.M.G., et al., Prevention of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2000. Roemer,L, & Orsillo, S.M., Mindfulness : A Promising Intervention Strategy inNeed of Further Study, Clinical Psychology : Science & Practice10(2), 2002.
  • Suttanipata(Sn)
  • Shapiro, D. H., Adverse effects of meditation : A preliminaryinvestigation of long term medit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Psychosomatics 39, 1992.
  • Segal, Z. V.,Teasdale,J.D.,& Williams,J.M.G.(2004). Mindfulness-basedcognitive therapy : Theoretical rationale and empirical status. In S.C.
  • Segal, Z. V., Teasdale,J.D.,& Williams,J.M.G.(2002). Mindfulness-based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 A new approach to preventingrelapse. New York : Guilford Press.
  • Segal, Z. V., Gemar, M., & Williams, S.[1999], Differential cognitiveresponse to a mood challenge following successful cognitive therapy orpharmacotherapy for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108, 3-10
  • Samyutta Nikaya(相應部二雜阿含)(SN)
  • Safran(Ed.), Psychoanalysis and buddhism: An unfolding dialogue(Boston:Wisdom publications, 2003.
  • Polya, G.(1962). Methematical discovery(Vol.1). New York: Wiley.
  •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he contribution of metacognitions andresponsibility.
  • Myers, S.G., & Wells, 2005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9.
  • Myers I. B. & M. H. Macaulley(1985). Manual: A Guide to thedevelpo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Palo Alto,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 Michael L. Free(1999), Cognitive Therapy in Groups England : wiley.
  • Majjhima-Nik?ya(中部經)(MN)
  • MBTI 개발과 활용
    김정택 심혜숙 제석봉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995]
  • Kutz, I., Borysenki, J. Z., & Benson, H., Meditation and psychotherapy:A rationale for the integration dynamic psychotherapy, the relaxationresponse and mindfulness medit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1985.
  • Kornfield, 1989 Yoga Journal 88, Even the best meditators have oldwounds to heal. sheldon&king, American Psychology,2001.
  • Kane, K., The phenmenoloy of meditation for female survivors ofintimate partner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12(5), 2006.
  • Hayes, V. M.Follette, & M.M.Linehan, (Eds.), Mindfullness and acceptance :Expanding the cognitive-behavioral tradition. New York : Guilford Press.
  • Gardner, H.(1993), Multiple inteligence : The theory in practice. NewYork: Basic Books.
  • Fray, D. E., Embracing the pain; Effects of longterm meditation onsurvivors of trauma as abuse memories awaken, Unpublished Master'sthesis, Smith College, Northampon, MA, 1996.
  • Francine Rasco, Zen and Psychotherapy: East Meets West on the Roadto Enlightenment,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Vol.30, No,4(Institutes ofReligion and Health, 1991).
  • Engler J., Being somebody and being nobody: A reexamination of theunderstanding of self in psychoanalysis and buddhism, In J. D.
  • Eich, J. E.(1980)., The cue-dependent nature of state-dependentretention, Memory and Cognition, 8.
  • D?gha-Nik?ya(長部經)(DN)
  • Craven, J. I.,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Canadian Journal ofPsychiatry 34, 1989.
  • ChristopherK.Germer RonaldD.Siegel PaulR.Fulton, 김재성역
    『마음챙김과 심리치료』(서울: 학지사) [2012]
  • Benson, H, 정경호 역
    『마음으로 몸을 다스린다(The Relaxation Response)』(동도원) [2006]
  • Beck, 최영희?
    Judith S. 이정흠 공역 『인지치료』(서울 : 하나의학사) [1997]
  • Beck, Arthur Freeman, Denise D. Davis, & Associates공저, 민병배?
    Aaron T. 유성진 공역『성격장애의 인지치료』(학지사) [2008]
  • Beck
    Aron T. 제석봉 옮김『사랑만으론 살 수 없다』(서울 : 학지사) [2002]
  • Baddeley. A. D. (1990). Human memory : Theory and practice. Boston.MA : Allyn&Bacon.
  • Anderson, J.R(1995). Learning and memory. New York : Wiley.
  • Alloy, John H. Riskind, Margaret J. Manos, 홍창희 조진석 이명주 최성진 옮김
    Lauren B. 『Abnormal Psychology(이상심리학)』(박학사) [2010]
  • A?guttaranik?y(AN)
  • (유진),「말나식의 성립과 현대적 의미」
    정준기 『백련불교논집』제 7집
  • (묘주),「『成唯識論』의 二障형성 및 소멸 원리」,『한국불교학제 24집』김묘주,「깨달음의 근거와 실현의 원리」,『白蓮佛敎論集第5
    김명실 6合集』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