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蓮華座의 象徵類型과 大乘信仰의 內在的 意味 : 간다라 佛說法圖 蓮華座를 중심으로 = Inherent Implications in Mahayana Belief and Symbolic Types of the Lotus Pedestal

조금자 2015년
' 蓮華座의 象徵類型과 大乘信仰의 內在的 意味 : 간다라 佛說法圖 蓮華座를 중심으로 = Inherent Implications in Mahayana Belief and Symbolic Types of the Lotus Pedesta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irth giving type(誕生形)
  • buddha triad(佛三尊像)
  • downward lotus type(覆蓮形)
  • faith of pure land(淨土信仰)
  • lotus pedestal(蓮華座)
  • mohamed nari
  • palace form(宮殿形)
  • preaching mudra(說法印)
  • relievo of buddha's sermon(說法浮彫)
  • relievos
  • sahri baghrol
  • siting cross-legged(結跏趺坐)
  • springing out of the land(從地湧出)
  • springing shape(湧出形)
  • three stages and eight angles(三段八角)
  • transformation-body(化身)
  • upward and downward lotus type(仰覆蓮形)
  • upward lotus type(仰蓮形)
  • womb of lotus flowers(蓮華藏)
  • 간다라
  • 대승신앙
  • 불삼존상
  • 불설법도
  • 연화좌
  • 연화화생.gandhara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 0

0.0%

' 蓮華座의 象徵類型과 大乘信仰의 內在的 意味 : 간다라 佛說法圖 蓮華座를 중심으로 = Inherent Implications in Mahayana Belief and Symbolic Types of the Lotus Pedestal' 의 참고문헌

  • 「한국불상 대좌형식의 연구(1)-금동불을 중심으로」
    김화영 이홍직박사 회 갑기념논총 [1989]
  • 「한국 불상대좌형식의 연구(2)」 史學志 Vol
    김화영 4 No.1 [1970]
  • 「탁실라(Taxila)박물관의 간다라 불상조각 연구」
    김영애 한국불교미술사학 회 [1988]
  • 「중국 남북조시대 ‘生天’ 願望 금동불에 보이는 ‘天’의 개념」
    강희정 미술사와 시각문화 2 [2004]
  • 「정토사상의 인도적 배경에 대한 일고, 동아시아불교문화 제8집
    김지곤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0]
  • 「정토교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불교학보 제12집
    정태혁 동국대 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75]
  • 「인도 초기불상의 형상과 그 의미 試考」
    이주형 미술사와 시각문화 [2013]
  • 「아잔타 석굴 설화도의 배치형식과 전승」, 강좌 미술사 11호
    박도화 한 국미술연구소 [1998]
  • 「스와트 카르카이 간다라 마애불좌상의 비교사적 연구」, 강좌미 술사 11
    문명대 한국미술사연구소 [1998]
  • 「불교예술에 나타난 연꽃의 상징성 연구」, 밀교학보
    권기현 위덕대 밀 교문화연구원 [2006]
  • 「밀교의 사종 법신관」, 밀교학보 제6집
    장 익 위덕대 밀교문화연구원 [2004]
  • 「밀교 판테온의 형성」, 밀교학보 제12집
    장 익 위덕 밀교문화연구원 [2013]
  • 「미술사와 미술사론과 미학의 관계에 대한 고찰」
    오병남 -신라불상에 대 한 본질해명의 문제를 중심으로- 미학 제30집 [2001]
  • 「도상학의 종말 혹은 또 다른 시각?: 서양 중세미술을 중심으로 본 도상해석학의 연구동향」
    최경희 미술사와 시각문화 [2010]
  • 「도상학은 정말 중요한가?」
    이주형 미술사와 시각문화 [2011]
  •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임영애 강좌미술사 34호 [2010]
  • 「간다라불상론, 강좌미술사 21
    문명대 한국미술사연구소 [2003]
  • 「간다라 출가유성 불전도의 연구」
    유근자 선문화연구 제4집 [2008]
  • 「간다라 불상의 몇 가지 양식적 유형」, 미술사학연구 , 219
    이주형 한국 미술사학회 [1998]
  • 「간다라 降魔聖道 佛傳圖의 도상」
    유근자 강좌미술사 35호 [2010]
  • 「간다라 阿育王造像式 불상의 교류연구」, 강좌미술사 25
    문명대 한국미 술사학회 [2005]
  • 「韓國 觀經變相圖와 中國 觀經變相圖의 比較 硏究」, 동국대학교
    유마리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3]
  • 「大乘說法圖像의 硏究/觀經變相과 靈山佛會 圖相과 紀原의 傳播」
    주수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栗田功, ガンダ―ラ美術 Ⅱ, 二玄社, 1990.
  • 한국의 불화
    문명대 열화당 [1977]
  • 한국 불교미술의 형식
    문명대 한 언 [1999]
  • 지음, 불교의 고향 간다라
    민희식 박교순 가이아 [1989]
  •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 정토불교의 세계 』
    장휘옥 불교시대사 [1996]
  • 예술의 전당 편집부, 간다라미술
    예술의 전당 [1999]
  • 아미타경
    최종남 경서원 [2009]
  • 세계의 도상학
    배진달 연화장 일지사 [2009]
  • 삶과 초월의 미학
    최성규 정우서적 [2006]
  • 붓다의 신격화에 관한 연구
    유성욱 종교와 이성 [2007]
  • 벤자민 로울랜드, 이주형 역, 인도미술사-굽타시대까지
    예경 [1966]
  • 디트리히 제켈 지음 ․ 이주형 옮김
    불교미술 [2002]
  • 동국대학교, GANDHARA Ⅰ․Ⅱ
    한국언론자료 간행회 [1988]
  • 데헤자 지음. 이숙희 옮김, 인도미술
    비드야 한길아트 [2001]
  • 데헤자 지음 ․ 이숙희 옮김, 인도미술
    비드야 한길아트 [1998]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편찬, 세계불교사
    불광출판사 [2012]
  • 당대 불교조각
    배진달 일지사 [2003]
  • 다카다 오사무 지음 〮이숙희 옮김
    불상의 탄생 [1994]
  • 국사편찬위원회 편, 불교미술, 상징과 염원의 세계
    시공사 [2007]
  • 교류로 본 불교 조각
    임영애 학연문화사 [2008]
  •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
    문명대 한국미술사 연구소 [2009]
  • 高田修, 「ガンダ―ラ美術の佛敎背景」, 1965.
  • 高田修, 佛敎の起源 , 岩波書店, 1967.
  • 香川孝雄, 無量壽經の 製本對照硏究 , 東京, 水田文昌堂, 1984.
  • 藤田宏達, 「觀無量壽經の撰述問題」, 印度學佛敎學研究 , vol.17,no.2.
  • 色井秀讓, 「觀佛三昧海經と觀無量壽經」, 印度學佛敎學研究 , Vol. 13, 1965, No.1, 2010.
  • 色井秀讓, 「觀佛三昧海經と觀無量壽經」, 印度學佛敎學研究 , Vol. 13 1965.
  • 肥塚隆, 大乘佛敎の美術 - 大乘佛敎の初期相 講座大乘佛敎 10, 1985.
  • 精容正雄, 初期 大乘佛敎の成立過程 , 京都, 1974.
  • 竹中信常, 極樂淨土を想い觀る:觀無量壽經を讀む , 山手書房, 1985. 東京.
  • 竝河萬里, ガンダ―ラ , 岩波書店, 1984.
  • 眞光, 한국문화상징사전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두산동아 [2006]
  • 田川純三, 박도화 역, 돈황석굴
    개마고원 [1992]
  • 生江義男, シルクロドと宗敎の道: 西方淨土の起源を求めて , 日本放送出版 協會, 東京, 1984.
  • 源豊宗, 「蓮花-インド美術におけるエヅプトの影響-」, 佛敎美術 第3․4, 1925.
  • 源豊宗, 「淨土變の形式」, 佛敎美術 7, 1926.
  • 洪大韓, 「統一新羅 石佛臺座의 造形硏究Ⅰ」
    文化史學 , 19 [2003]
  • 洪大韓, 「統一新羅 石佛臺座의 造形硏究 Ⅱ」
    文化史學 , 21 [2004]
  • 樋口隆康, 「陀三尊佛の源流」, 佛敎藝術 7, 1950.
  • 平川彰 ․ 梶山雄一 ․ 高崎直道 編, 정승석 역, 대승불교 개설
    김영사 [2001]
  • 崔完秀, 불상연구
    지식산업사 [1969]
  • 岩松淺夫, 「ガンダ-ラ彫刻と阿彌陀佛」, 東洋文化硏究所紀要 123, 1994. 樋口隆康, 「彌陀三尊佛の源流」, 佛敎藝術 7, 1950.
  • 岩松淺夫, 「mridaha/amridae 銘像は 果して 阿彌陀佛を 表する 非ざるか – ガンダ-ラ 彫刻の 一碑像の解釋を めぐって–」, 印度學佛敎學硏究 , 54-2, 2006.
  • 小野玄妙, 大乘佛敎藝術史の硏究 , 大雄閣, 東京, 1927.
  • 小丸真司, 「般舟三昧経」と観仏三昧」, 印度學佛教學研究 , Vol. 32, 1984.
  • 小丸真司, 「般舟三昧経」と観仏三昧」, 印度學佛教學研究 , Vol. 32, 1984, No.2.
  • 宮治昭, 「蓮のイコノロジ- 誕生 ․ 淨土 ․ 曼茶羅のシソボリスム」, (立川武藏 編), マソダラ宇宙論 , 法藏館, 1996.
  • 宮治昭, 「ガンダ-ラ美術と大乘佛敎」, 佛敎學セミナ 81호
    大谷大學 佛敎 學會 [2005]
  • 宮治昭, 「ガソダーラの半跏思惟の圖像-半跏思惟の出現と觀音菩薩との結ぴ つき-」, 涅槃と彌勒の圖像學 , 弘文館, 1992.
  • 宮治昭, 「ガソダーラの三尊形式の兩脇侍菩薩の圖像ー釋迦菩薩 ․ 彌勒菩薩 ․ 觀音菩薩ー」, 涅槃と彌勒の圖像學 第2章, 弘文館, 1992.
  • 宮治昭, ィンド美術史 , 弘文館, 1981.
  • 宮本正尊, 「大乘佛敎の大乘佛敎の成立史 硏究」, 東京, 1972.
  • 安田治樹, 「ガンダ-ラと蓮華座」, 法華文化硏究第 31號, 立正大學, 2005.
  • 大西磨布, 西方淨土變の硏究 , 中央公論美術出版, 東京, 2007.
  • 塚本啓祥, 「蓮花生と蓮花座の原流と展係」, (中村瑞降 編) 法華經の思想と 基盤 , 平樂寺書店, 1990.
  • 坪井後映, 李太元 역, 淨土三部經槪說
    도서출판 운주사 [1992]
  • 坪井後映, 韓普光 역, 淨土三部經槪論
    여래장 [1984]
  • 佛傳 圖像의 硏究
    간다라 유근자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 고정은 역, 인도미술사
    김향숙 미야지 아키라 다미디어 [2006]
  • Tucci. G, Tibetan Painted Scrolls, 3vols, Rome, 1949.
  • Sukhankar. V. S. & Belvalkar S. K., The Mahabharata (for the First critically Edited), Poona, 1950.
  • Sarat Chandra Das, A Tibetan 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1995.
  • Rosenfield, The Dynastic Arts of the Kushan, Berkeley, 1967.
  • Mus. P, Etudes Indiennes et Indochinoises, Ⅱ. Le Budda Pare, 1928.
  • Monier. Williams. M , A Sanskrit 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1995.
  • Martha Carter, It’s Place in Evolution of the Buddha Image in Gandhara, A Gandhara Bronze Buddha Statuette : Marg 39-4, 1992.
  • Krishan. Y, Was Gandhāra Art a Product of Mahāyāna Buddhism?,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No. 3/4, Oct. 1964.
  • Krishan, Was Gandhara Art a Product of Mahayana Buddhism, Journal of Royal Asiatic Society of the Great Britain and Northern Island, 1964.
  • Huntington. Susan L. Art of Ancient India, New York and Tokyo, Weatherhill, 1985.
  • Huntington. John C, The Iconography of Maitreya Images in Gandhara, Journal of Central Asia, 7.1, (1984).
  • Huntington. John C, The Iconography and Iconology of Maitreya Images in Gandhara, Journal of Central Asia 7, 1984.
  • Huntington. John C, A Gandhara Image of Amitayus Sukhavati, Annalidell Instituto Orientale di Napoli, vol. 40, 1980.
  • Daniel Boucher, The Early Iconography of Avalokitesvara. L'Iconographie ancienne d'Avalokitesvara by G rard Fussman and Anna Maria Quagliotti,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134, No.2, April-June, 2014.
  • Czuma. S. J. Kushan culture, Images from Early India, Cleveland, 1985.
  • Coomara saswamy. A. K, La sculpture de bharhut, Paris, 1956.
  • Anneliese, Peter Keilhuer 共著, 전재성 譯, 힌두교의 그림언어
    동문선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