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국적 시민네트워크의 형성과 정치과정 :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 1988~2015 현재

최명숙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최명숙
    • 기타서명 Formation and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transnational civil society network
    • 형태사항 x, 400 p.: 26 cm
    • 일반주기 부록: 1.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관련 주요사건 1, 2.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관련 주요사건 2(1988~2015년 현재), 3. 일본군위안부 피해 당시 주요사건 연표(1907~1948) 외, 지도교수: 徐承元, 참고문헌: p. 238-259
    • 학위논문사항 2015. 8, 中日語文學科 中日比較文化專攻, 學位論文(博士)-, 高麗大學校 大學院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高麗大學校 大學院
    • 주제어 일본군위안부 초국적 시민네트워크 한일관계
' 초국적 시민네트워크의 형성과 정치과정 :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 1988~2015 현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본군위안부
  • 초국적 시민네트워크
  • 한일관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7 0

0.0%

' 초국적 시민네트워크의 형성과 정치과정 :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 1988~2015 현재' 의 참고문헌

  • 후원회편,『나눔의 집: 일본군위안부 역사관을 찾아서』역사와비평사나라정책연구회(1998)
    나눔의집 『김영삼정부의 국정평가 및 차기정부의 정책과제』현대정보문화사 [2002]
  • 화해를 위해서
    박유하 도서출판 뿌리와 이파리 [2005]
  • 현대일본의 사회운동론
    정진성 나남출판사 [2001]
  • 현대 일본의 아시아 외교 전략: 내재적 접근에서 외재적 접근으로
    최희식 『국제정치논총』제49권 제2호 [2009]
  • 헬무트 안하이어 누노 테무도 ,“지구시민사회의조직형태”, 헬무트 안하이어 외 공저『지구시민사회』, 진영종 역
    아르케 [2004]
  • 헌법재판소(http://www
    ccourt.go.kr/cckhome/kor/main/index.do)(검색일: ∼2015.05) [2013]
  • 행정안전부(http://www
    mopas.go.kr/)(검색일: ∼05) [2015]
  • 함께 하는 시민행동(http://www
    ww.or.kr)(검색일: ∼05) [2015]
  • 한일갈등의 반응적 촉발과 원론적 대응의 구조
    박철희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9집 2호 [2008]
  • 한일 과거청산의 법적 구조
    김창록 『법사학연구』 [2013]
  • 한국행정연구원
    『시민사회단체의 운영실태 분석과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http://www
    womenandwar.net/)(검색일:∼ 2015.05) [2012]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진상조사연구위원회,『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1997]
  •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 한국정신대연구회 편
    『강제로 끌러간 조선인 군 위안부들 1』한울출판사 [1993]
  • 한국정신대 연구회『한일간의 미청산과제』헌법재판소, 『헌법재판 실무제요』
    제1개정 증보판 [2008]
  • 한국의 거버넌스
    박재창 아르케 [2010]
  • 한국언론진흥재단(http://www
    kinds.or.kr/)(검색일: ∼2015.05) [2013]
  • 한국국회회의록시스템(http://likms
    assembly.go.kr/record/index.html)(검색일: ∼2015.05) [2014]
  • 한국.국정홍보처,『국민의 정부 5년 國政資料集
    4 : 대통령편 일지편』 국정홍보처 [2003]
  •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김호기 아르케 [2007]
  • 한국 국정홍보처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 1 ∼ 8』국정홍보처 [2008]
  • 프리먼 지음, 김철효 옮김
    마이클 『인권이론과 실천』아르케 [2005]
  • 펨펠 지음 최은봉 옮김
    T. J 『현대 일본의 체제 이행』을유문화사 [2001]
  • 테렌스 볼 리처드 대거 지음 정승현 외 옮김
    『현대 정치사상의 파노라마』아카넷 [2006]
  • 테라 모리스 스즈키 지음 박광현 옮김
    『일본의 아이덴티티를 묻는다』도서출판 산처럼 [2005]
  • 터너 레오나드 비글리 찰스 파워스 지음 김문조 외 옮김
    조나단 『사회학이론의 형성』일신사 [1997]
  • 캐롤린 한난, “유엔 성주류화 전략: 성과와 한계, 국제사회의 성주류화동향과 한국여성정책전략”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5주년기념국제학술심포지엄 [2008]
  • 카스텔(Manuel Castells)지음 김묵한, 박행웅, 오은주 옮김
    마뉴엘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한울아카데미 [2003]
  • 치즈코 지음 이선이 옮김
    우에노 『내셔널리즘과 젠더』박종철출판사 [1999]
  • 청와대(http://www
    president.go.kr/)(검색일:∼2015.05) [2012]
  • 찰머스존슨, 장달중 역, 『日本의 奇蹟』
    박영사 [1984]
  • 집(http://www
    나눔의 nanum.org/)(검색일:∼2015.05) [2012]
  • 지음, 이규태 옮김
    요시미 요시아키 『일본군 군대위안부』도서출판 소화 [1998]
  • 지음 정현숙 옮김
    야스아키 오누마 『일본은 사죄하고 싶다:일본군‘위안부’ 문제와 아시아여성기금』전략과 문화 [2008]
  • 지음 소순창 라일경 옮김
    고바야시 요시아키 『현대 일본의 정치과정연구-일본형 민주주의의 계량분석』한울아카데미 [2001]
  • 지음 동북아
    정갑영 『 지역의 정치와 시민사회』도서출판 오름 [2004]
  • 지음 김효전 옮김
    미쓰오 미야다 『현대 일본의 민주주의』교육과학사 [1992]
  • 지음
    조희연 『아시아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도서출판 한울 [2010]
  • 중앙일보
    ∼ 2015. 06 현재 [1990]
  • 주한일본대사관(http://www
    kr.emb-japan.go.jp/)(검색일:∼2015.05) [2012]
  • 존 다우어(JOHN W. DOWER) 최은석 옮김
    『패배를 껴안고-제2차세계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EMBRACING DEFEAT -JAPAN INTHE WAKE OF WORLD WAR Ⅱ)』민음사 [2009]
  • 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 김찬호 옮김
    우에노 『경계에서말한다』생각의 나무 [2004]
  • 젠더 제도화의 결과와 한국 여성운동의 동학
    서두원 『아세아연구』제55권 제1호. 통권 147호 [2012]
  •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도서출판 뿌리와 이파리 [2013]
  •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대구시민모임(http://www
    or.kr/)(검색일: 2012.01∼2015.05) [1945]
  • 정부와 NGO
    김준기 박영사 [2006]
  • 정부-NGO 관계의 이론적 고찰: 자원의존모형의 관점에서
    김준기 「한국정책학회보」9(2) [2000]
  • 전시 하 여성침해의 보편성과 역사적 특수성: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정진성 『한국여성학』, 제19권 2호 [2003]
  • 저 이선이 역
    우에노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현실문화 [2014]
  • 재일대한민국민단(www
    mindan.org)(검색일: ∼05) [2015]
  • 재외동포재단(http://www
    okf.or.kr/)(검색일: ∼2015.05) [2014]
  • 재미한인시민참여센터(KACE:Korean American Civic Empowerment) (http://www
    kace.org/)(검색일: ∼05) [2014]
  • 장신 홍기문 김명재 송오식 이승우 지음
    임채완 최송자 『재외한인권익보호 단체와 활동가네트워크』북코리아 [2008]
  • 일본의 외국인 운동
    정진성 『사회과학연구』제3권, 덕성여자대학 사회과학연구소 [1996]
  •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현황과 국제인권법적 재조명
    도시환 『국제법학회논총』, 제53권 제3호 통권 제112호 [2008]
  •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역사와 법적 책임
    조시현 『민주법학』통권 45호 [2011]
  •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재고
    김창록 『법제연구』통권 제39호 [2010]
  •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강만길 선인 [2004]
  • 일본 사회의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담론의 고찰
    이지영 『한국정치학회보』제47집 제5호 [2013]
  • 이와사키 이쿠오 지음 최은봉 편역
    『아시아 국가와 시민사회』을유문화사 [2002]
  • 유엔(http://www
    un.org/)(검색일: ∼2015.05) [2012]
  • 박사
  • 와다 하루키 김성재 대담,「‘종군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왕복서한」창비, 『창작과 비평』
    제 25권 제3호 (통권 97호) [1997]
  • 오디 클로우츠 시실리아 린치 저, 손혁상 이주연 역
    『구성주의 이론과국제관계 연구전략』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 엮음『일본 민주당 정권의 탄생과 붕괴』
    신정화 진창수 도서출판 오름 [2014]
  • 엮음『국제기구의 과거 현재 미래』
    정우탁 조동준 최동주 도서출판오름 [2013]
  • 엮음
    이면우 『55년 체제의 붕괴와 정치변화』한울아카데미 [2005]
  • 엮음
    이면우 『일본의 국가 재정립』한울아카데미 [2006]
  • 역자
    김경남 아이코 우쓰미 『전후보상으로 생각하는 일본과 아시아』논형 [2010]
  • 여성차별과 여성정책의 문화이론적 해석
    전영평 『한국행정논집』제13권 제4호 [2001]
  • 여성가족부(http://www
    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4_ 01 _01.jsp)(검색일: ∼2015.05) [2012]
  •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 지음,『제3의 길(THE THIRDWAY)』 한상진
    박찬욱 옮김 생각의 나무 [2001]
  • 앤드류 헤이우드(Andrew Heywood)지음, 조현수 옮김,『정치학 ?
    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앙드레 슈미드 지음, 정여울 옮김
    『제국 그 사이의 한국인 1895~1919』휴머니스트 [2007]
  • 아산정책연구원, “한국인의 한미 한일관계에 대한 인식”
    AsanPublic Opinion Brief [2013]
  • 쓰지나카 유타카 편저 정미애 옮김
    『현대일본의 시민사회ㆍ이익단체』아르케 [2006]
  • 신재민, “일본 외교정책의 동아시아 지향성: 1990년대 이후 외상국회연례연설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최은봉 『일본연구』제36호 [2008]
  • 식민지 관계 청산은 왜 이루어질 수 없었는가
    장박진 논형 [2009]
  • 스즈키 유코 지음 이성순 한예린 옮김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젠더』나남 [2010]
  • 소프트파워와 21세기 권력- 네트워크 권력론의 모색
    김상배 한울 [2009]
  •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Korean Women’s International Network) (http://kowin
    mogef.go.kr/hom/main/main.do)(검색일:∼05) [2015]
  • 성공회대 인권평화연구소 엮음
    『동아시아 인권의 새로운 탐색』삼인 [2002]
  • 새뮤얼 헌딩턴 지음, 이희재 옮김
    『문명의 충돌』김영사 [2006]
  • 사토 요시유키 지음, 송석원 옮김
    『NPO와 시민사회: 결사(Association)론의 가능성』아르케 [2004]
  • 빅터 차
    『적대적 제휴』문학과 지성사 [2004]
  • 브루스 커밍스 지음, 김동노, 이교선, 이진준 한기욱 옮김
    『브루스 커밍스 의 한국현대사』창비 [2006]
  • 법제처(www
    moleg.go.kr)(검색일: ∼2015.05) [2014]
  • 박은정 편저
    『NGO와 법의 지배』박영사 [2006]
  • 바우넷저팬(http://www1
    jca.apc.org/vaww-net-japan/index.html)(검색일: ∼ 2015.05) [2012]
  • 미주한인100년사 100년의 발자취(www
    koamhistory.com)(검색일:∼ 05) [2015]
  • 미국한인유권자센터(KAVC Korean American Voters Council) (http://kavc
    org) (검색일 ∼2015.05) [2013]
  • 문화일보
    ∼ 2015. 06 현재 [2010]
  • 무라마쓰 미치오 이토 미쓰토시 쓰지나카 유타카 지음, 조규철 김웅희 옮김
    『일본의 정치』도서출판 푸른산 [1993]
  • 리단, “재외한인의 정치세력화 가능성 모색”
    이춘호 『디아스포라연구』제4집 2호 [2010]
  • 로버트 액슬로 로버트 커해인
    “무정부 상태하에서의 협력달성: 전략과제도”『국제관계론 강의Ⅰ』한울아카데미 [2011]
  •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문제 통합본:주요현안분석』2007년 4월∼ 12월호 (통권1∼9호) [2007]
  •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문제 통합본:주요현안분석』2008년 1월∼ 12월호(통권10∼21호) [2008]
  • 독립신문사
    「시사저널」통권797호 [2005]
  • 나비기금페이스북(https://www
    facebook.com/groups/HopeNabi/)(검색 일:∼2015.05.31) [2014]
  • 국제여성지도력센터(CWGL)(http://www
    cwgl.rutgers.edu/globalcenter/progh igh. html)(검색일:∼05) [2015]
  • 국제기구 :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
    서창록 다산출판사 [2004]
  • 국사편찬위원회
    『한일현대사자료집성(1952∼1955)』한일회담관계 미국무부 문서Ⅰ. Ⅱ [2007]
  • 국가기록원(http://www
    pa.go.kr/research/contents/speech/index.jsp)(검색일 :∼2015.03.11) [2014]
  • 교부(http://www
    mofa.go.kr)(검색일: ∼2015.05) [2012]
  • 공편
    마사오 문정인 오코노기 『시장 국가 국제체제』(한일공동연구총서 4) 아세아연구소출판부 [2002]
  • 고이치 지음 김현욱 옮김,『거리로 나온 넷우익』
    야스다 후마니다스 [2013]
  • 게오르게 A
    쿠르베타리스 지음 박형신 정헌주 옮김『정치사회학』일신사 [2003]
  • 高畠通敏(2003),『現代市民政治論』世織書房.
  • 高田昭彦(1998)「市民運動から市民活動へ,そしてNPO」『アジア太平洋研究』 No.16.
  • 首相官邸(http://www
    kantei.go.jp)(검색일: ∼05) [2015]
  • 電通総研(1996),『NPOとは何か』日本経済新聞社.
  • 鈴木裕子(1997),『戦争責任とジェンダー:「自由主義史観」と日本軍「慰安婦」 問題』未来社.
  • 郡司 淳(2009),『近代日本の国民動員 ー「隣保相扶」と地域統合ー』刀水書房. 
  • 辻中豊・廉載鎬 編(2004),『現代韓國の市民社會 利益團體 : 日韓比較による體 制移行の硏究』木鐸社.
  • 辻中豊(2002),『現代日本の市民社会・利益団体』木鐸社.
  • 財団法人明るい選挙推進協会(http://www
    akaruisenkyo.or.jp)(검색일: ∼2015.05) [2014]
  • 西野留美子・東海林路得子(2010),『暴かれた真実:NHK番組改ざん事件』現代書 舘.
  • 藤原帰一「帝国は国境を越える」日本国際政治学会  編(2009),『日 本の国際政治学2; 国境なき国際政治』有斐閣.
  • 美根慶樹  編(2011),『グローバル化・変革主体・NGO;世界におけるNGOの行 動と理論』新評論
  • 笹川紀藤・金勝一・内藤光博(2010),『日本の植民地支配の実態と過去の清算  : 東アジアの平和と共生に向けて』風行社.
  • 独立行政法人統計センター(http://www
    e-stat.go.jp)(검색일: ∼05) [2015]
  • 永原陽子(2009),『「植民地責任」論ー脱植民地化の比較史』青木書店.
  • 民衆の表現の自由を確立する会『現代日本における右傾化の構造』JCA出版. 目加田説子(2003),『国境を超える市民ネットワーク;トランスナショナル・ビル ソサエティ』東洋経済新聞社.
  • 柏木宏(2008),『NPOと政治-アドボかシーと社会変革の新たな担い手のために』 明石書房.
  • 枝谷利恵子, 「グロバル化とシティズンシップ」日本国際政治学会 編(2009)『日 本の国際政治学 2; 国境なき国際政治』有斐閣.
  • 林博史( 2 0 1 0 ) ,『戦犯裁判の研究ー戦犯裁判政策の形成から東京裁判・ BC級裁判まで』勉誠出版.
  • 杉下恒夫(2000),『NPO NGO ガイド』自由国民社.
  • 日本軍慰安婦問題関西ネットワーク(http://www
    ianfu-kansai-net.org/index.ht ml)(검색일: ∼05) [2015]
  • 日本軍「慰安婦」問題解決全国行動(http://restoringhonor1000
    info/contents03 .html (검색일: ∼05) [2015]
  • 日本外務省(http://www.mofa.go.jp/
    mofaj/area/taisen/ianfu.html)(검색일: ∼05) [2015]
  • 日本国際政治学会 編(2009),『日本の国際政治学2; 国境なき国際政治』有斐閣.
  • 日本国会会議録システム(http://www
    ndl.go.jp)(검색일: ∼2015. 05) [2014]
  • 日本内閣府(http://www
    cao.go.jp/)(검색일: ∼06) [2015]
  • 日本内閣府 NPOホームページ(https://www
    npo-homepage.go.jp) (검색일:∼05) [2015]
  • 新しい日本を作る国民会議(ht tp://www
    secj.jp/mani_chronology)(검색 일:∼05) [2015]
  • 新しい公共をつくる市民キャビネット(ht tp: / /shimin-cabinet
    net)(검색 일:∼05) [2015]
  • 斎藤洋(2009),『戦後日本の課題と検討』虹有社.
  • 戸谷由麻(2009),『東京裁判 ー第二次大戦の法と正義の追求ー』みすず書房.
  • 戸塚悦郎(1997),「日本が知らない戦争責任」、『法学セミナー』No.509. 512.
  • 市民活動レポート(經濟企劃廳國民生活局
    ∼2012)(검색일: 2015.01∼05) [1997]
  • 岡部一明(1991),『日系アメリカ人強制収用から戦後補償へ』岩波書店.
  • 岡田舜平(2009),『二つの戦犯裁判』光人社.
  • 岡山正則(2000),「戦後補償をめぐる日本の対応」、地明観 外『日韓の相互理解 と戦後補償』日本評論社.
  • 山本正(1998),“日本のシビルㆍソサエテイの發展とガバナンスへの影響”,『官 から民へのパワーシフト:誰のための公益か』, TBS ブリタニカ.
  • 山岡義典(1998),“市民活動の全體像と諸分野”,『NPO基礎講座 2』ぎょうせい.
  • 山內直人(1999),『NPO入門』,日本{經濟新聞社.
  • 山下英愛(2008),『ナショナリズムの狭間からー「慰安婦」問題へのもう一つの視 座ー』明石書店.
  • 小熊英二(2004),『市民と武装  -アメリカ合衆国における戦争と銃規制』慶應義 塾大学出版会株式会社.
  • 小林良彰・富田広士・粕谷裕子(2007),『市民社会の比較政治学』慶應義塾大学.
  • 太田宏「地救公共財とNGO」日本国際政治学会  編(2009), 『日本の国際政治学  2;国境なき国際政治』有斐閣.
  • 大越愛子
    “일본의 페미니즘운동과 일본군 성노예 법정” 김명혜 편역『여성과 민주화운동』경인문화사 [2004]
  • 大芝亮「国境なき国際政治」日本国際政治学会  編(2009), 『日本の国際政治学  2; 国境なき国際政治』有斐閣. 
  • 大日方純夫(2007), 「安部政権と歴史認識問題:四半世紀間の脈絡」,『前衛』.
  •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http://www
    ipss.go.jp)(검색일: ∼05) [2015]
  • 吉田傑俊(2005),『市民社会論』大月書店.
  • 半藤一利・保阪正康・井上亮(2009),『「東京裁判」を読む』日本経済新聞出版社.
  • 北川隆義・浅見和彦(2010),『社会運動・組織・思想』日本経済評論社.
  • 加瀬みき(2007),「日本がまだ理解できない同盟相手の価値観 ー『人権問題』とい うアメリカの虎の尾(特集日米同盟を脅かす慰安婦発言)」,『中央公論』
  • 中村陽一(1999),『日本のNPO 2000』日本評論社.
  • 上野千鶴子(1998),『ナショナリズムとジェンダー』青土社.
  • 上野千鶴子(1998),“ポスト冷戦と日本版歴史修正主義、シンポジウム”,『ナ ショナリズムと慰安婦問題』, 日本の戦争責任資料センター, 青木書店. ロバート ペッカネン2000, 秋), “法,國家,市民社會”,『レヴァイアサン』. レスタ-ㆍMㆍサラモン,HㆍKㆍアン ハイア-(1996:21∼23).『臺頭する非營利 セクタ-:12ヵ國の規模ㆍ構成ㆍ制度ㆍ資金原の現狀と展望』,ダイヤモン
  • デジタル記念館慰安婦問題とアジア女性基金(http://www
    awf.or.jp/)(검색일: ∼2015.05) [2013]
  • シーズ・市民活動を支える制度をつくる会(http://www
    npoweb.jp)(검색일: ∼05) [2015]
  • コリアNGOセンター(http://korea-ngo
    org/link.html)(검색일: ∼05) [2015]
  • 『한일관계의 흐름 2006~2007』
    최영호 논형 [2008]
  • 『한일관계의 어제화 내일을 묻다』
    신각수 최상용 제이앤씨 [2014]
  • 『한국일보』
    ∼ 2015. 06 현재 [1990]
  • 『한국의 소수자정책:담론과 사례』
    전영평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한국의 소수자운동과 인권정책』
    전영평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26집, 집문당 [2011]
  • 『한국의 사회운동』
    조대엽 나남 [1998]
  • 『한국사회의 연결망 연구 1』______(2006),『한국사회의 변동과 연결망 2』______(2007),『네트워크 사회의 구조와 쟁점 3』잭 도널리 지음 박정원 옮김(2002),『인권과 국제정치: 국제인권의 현실과 가능성 및 한계점』
    송호근 오름 [2004]
  • 『한국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 민주화 공고화 안정화』한울, 박상필(1999), “비영리단체(NGO)의 개념틀 정립을 위한 이론적 논의,”「한국행정연구」,8(2)______(2002),『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박기덕 아르케 [200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겨레신문』
    ∼ 2015. 06 현재 [1988]
  • 『탈냉전기 한일과계의 쟁점』
  • 『탈냉전기 미국 패권의 국제적 정당성 분석: UN총회 표결을 중심으로』
    김치욱 세종연구소 [2111]
  • 『창조적 세계화론』
    박세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조선일보』
    ∼ 2015. 06 현재 [1990]
  • 『정치과정에서의 NGO』
    주성수 한양대학교출판사, 2004 [2004]
  • 『정신대자료집 Ⅹ, 시모노세키; 재판 평석회』
  • 『정신대자료집 Ⅸ, 제 5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 연대회의 보고서』
  • 『정신대자료집 Ⅷ, 제 4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 연대회의 보고서』
  • 『정신대자료집 Ⅶ, 정신대 운동 어디까지 왔나?』
  • 『정신대자료집 Ⅵ,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북한의 대응』
  • 『정신대자료집 Ⅴ, 제 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 연대 회의 보고서』
    [1995]
  • 『정신대자료집 Ⅲ, 제 1차 아시아 연대회의 보고서』
  • 『정신대자료집 Ⅱ』, 왜 우리는 지금 이 문제에 도전하고 있는가?』
  • 『정신대자료집 Ⅰ』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1991]
  • 『재외동포현황』
    교부 [2013]
  • 『재외동포단체현황』
    교부 [2014]
  • 『재외동포단체조직현황』
    [2012]
  • 『일본의 정치과정』
    이상훈 보고사 [2003]
  • 『일본군성노예제』
    정진성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박사
  • 『일본개황』
    [2012]
  •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서
    박철희 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일계인 디아스포라』
    박구용 임영언 임채완 북코리아 [2013]
  • 『인권법 -사회적 이슈와 인권-』
    이준일 홍문사 [2008]
  • 『외교백서 2002』
    [2003]
  • 『외교백서 2001』
    [2002]
  • 『외교백서 2000』
    [2001]
  • 『외교백서 1999』
    [2000]
  • 『외교백서 1998』
    교통상부 [1999]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부 [2005]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2006]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부 [2007]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부 [2008]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부 [2009]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2010]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2011]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2012]
  •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2013]
  • 『여성정책 기본계획의 실효성 재고 방안연구』여성부. 김혜영(2007),『여성정책:집행성과 결정론』
    김양희 한국학술정보 [2001]
  • 『시민운동론』
    이상돈 세창출판사 [2007]
  • 『시민사회의 정치과정』
    고바야시 요시아키 임현백 아연출판부 [2006]
  • 『서울신문』
    ∼ 2015. 06 현재 [1990]
  •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현황』
    행정안전부 [2008]
  • 『북풍과 태양』
    서승원 고려대학교출판사 [2012]
  • 『변화와 혁신(문민정부)1∼4』
    한국.국정홍보처
  • 『미주한국일보』
    ∼ 2015. 06 현재 [1990]
  • 『동아일보』
    ∼ 2015. 06 현재 [1990]
  •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영토분쟁』
    유철종 삼우사 [2006]
  • 『국제인권법』
    이석용 세창출판사 [2005]
  • 『국제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
    서창록 다산출판사 [2005]
  • 『국제관계이론』
    이상우 박영사 [2006]
  • 『경향신문』
    ∼ 2015. 06 현재 [1990]
  •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사
  • 『거버넌스:확산과 내재화』
    곽진영 대경 [2009]
  • 『강제로 끌러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3』
    한울출판사 [1999]
  • 『강제로 끌러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한울출판사 [1997]
  • 『読売新聞』
    ∼ 2015. 06 현재 [1990]
  • 『産経新聞』
    ∼ 2015. 06 현재 [1990]
  • 『毎日新聞』
    ∼ 2015. 06 현재 [1990]
  • 『朝日新聞』
    ∼ 2015. 06 현재 [1990]
  • 『朝日新報』
    ∼ 2015. 06 현재 [1990]
  • 『“북경+10” 이후 여성정책의 새로운 도전』
    한국여성개발원 제23차 여성정책포럼 [2004]
  • 『NGO학-자율, 참여, 연대의 동학』
    박기덕 아르케 [2005]
  • 『2009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09]
  • 『 Ⅳ, 강제종군위안부와 일본의 법적 책임』
    정신대자료집 __________
  • 박사
    「한일회담에서의 식민지관계 청산연구; 청산소멸의 정치논리를중심으로」
    장박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국제관계학과 박사논문 [2007]
  • 「한국사회운동단체의조직과사회자본에관한사회학적연구」
    윤민재 한국사회이론학회,『사회이론』봄 여름호 [2004]
  • 「한국사회사회운동단체의연결망과민족주의」
    윤민재 송호근 이재열 김우식 편저『한국사회의연결망연구(1)』서울대출판부 [2004]
  • 「제국주의」
    박지향 서울대학교출판사 [2000]
  • 「일본군위안부 운동의 전개와 문제의식에 대한 연구: 정대협의활동을 중심으로」
    김정란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박사논문 [2004]
  • 「일본군‘위안부’문제의 해결의 전망」
    박원순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진상』역사비평사 [1997]
  • 박사
  • 「사회운동조직간의 연대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이민아 서울대석사논문 [1998]
  • 「비정부기구(NGO)의 정보화모형에 관한 연구」
    김준기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정보통신부 [2002]
  • 「공공서비스 제공자로서 일본시민단체의 대두」
    이숙종 『작은 정부와 일본시민사회의 발흥』도서출판 한울 [2005]
  • “현대 일본 시민운동의 흐름”
    한영혜 『일본의 지역사회와 시민운동』도서출판 한울 하워드 라인골드지음 이운경역『참여군중』황금가지 [2003]
  • “한일관계의 진전, 그리고 내셔널리즘의 유혹”
    서승원 『저팬리뷰2010』 [2010]
  • “한일관계와 미국 그리고 일본군위안부 문제”
    최희식 국회입법조사처보. 통권22호 [2014]
  • “한국사회운동과 국제정치”
    구갑우 하영선 외,『변화하는 세계 바로보기』나남출판사 [2004]
  • “한국 여성정책의 형성과정:1990년대를 중심으로”
    심영희 『한국 젠더정치와 여성정책』나남출판사 [2006]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하위 주체로서의 여성 개념을 중심으로”
    태혜숙 『한국 여성학』13권 1호 [1999]
  • “참회의 가치도 없다”
    아이코 오오고시 『내셔널 히스토리를 넘어서』삼인 [1999]
  • “지구시민사회와한국NGO”
    조효제 조효제엮음,『NGO시대의지식키워드21』, 아르케 [2003]
  • “증오와 화해의 국제정치”
    김학성 『국제정치논총』Vol.51 No.1 [2011]
  • “조선식민정책의 일환으로서 일본군 ‘위안부’”
    윤정옥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역사비평사 [1997]
  • “정치학과 젠더: 사회분석 범조로서 젠더에 대한 이해”
    김미덕 『한국정치학회보』 제45집 제2호 [2011]
  • “정신대와 우리의 임무”
    윤정옥 『순국』3월호 [1991]
  • “정보화주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사회”
    마뉴엘 『네트워크 사회(TheNetwork Society)』마르쿠스 슈뢰르 지음 정인모 배정희 옮김(2010),『공간, 장소, 경계』에코리브르 [2003]
  • “전후 일본의 정치과정”, 『한국과 국제정치』______(2000), “1990년대 일본정치의 개혁정책”
    최은봉 『아세아연구』Vol. 43 No. 1 [1995]
  • “재미 한인단체의 현황과 조직적 특성”
    나형욱 『한국동북아논총』제31집 [2004]
  • “일본중학교 역사교과서:2005년도 검정분석 일제강점기 및 현대한일관계를 중심으로”
    신주백 『한국근현대사연구』제33집 [2005]
  • “일본의 평화운동”
    정진성 『국제지역연구』 [1998]
  • “일본의 안보정책 전환과 보통국가화”
    이원덕 『일본형 시스템』, 일조각 [2005]
  • “일본의 대외정책 결정패턴의 변화”
    박철희 이면우엮음『일본의 국가재정립』한울아카데미 [2006]
  • “일본여성운동의 사회통합적 성격”
    정진성 『사회와 역사』제51집,한국사회사학회 [1997]
  • “일본시민운동의 담론형성”
    한영혜 『일본의 지역사회와 시민운동』도서출판 한울 [2004]
  • “일본군위안부 원폭피해자 관련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의 의미와 전망”
    장완익 『역사와 책임』제2호 [2011]
  •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외교적 보호권 활용방안”
    조시현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강제 동원 진상규명 시민연대주최 일본군위안부 ,『 문제해결을 위한 전망 토론회 자료집』 [2006]
  •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한일 청구권협정에서의 중재절차”
    조시현 『민주법학』제48호 [2012]
  • “일본군성노예문제와 여성운동”
    신혜수 「광복 60년 기념 제7차 종합학술대회 한국여성학회 자료집」 [2005]
  • “일본 저널리즘의 현황:관련업계의 동향과 논단의 추이”
    박선영 『저팬리뷰 2010』도서출판 문 [2010]
  • “일본 시민사회의 여성적정대표성과 시민사회의 평등성”
    정정숙 『작은 정부와 일본시민사회의 발흥』도서출판 한울 [2005]
  • “이중적 시민사회와 공론자의 구조변동”
    김호기 임혁백 고바야시 요시아키 외(2006),『시민사회의 정치과정』아연출판부 [2006]
  • “유엔개혁과 여성인권”
    신혜수 『젠더리뷰』제1호 [2006]
  • “위안부 결의안 통과에 부쳐”
    『중앙일보』 [2007]
  • “우리나라 여성정책의 성과 및 평가”,『“북경+10”
    강선혜 이후 여성정책의 새로운 도전』한국여성개발원 제23차 여성정책포럼 [2004]
  • “역사적 정의 부정하는 일본”
    『한국일보』 [2008]
  • “여성과 법”
    이상돈 여성사회연구소편『새로쓰는 여성과 한국사회』사회문화연구소 [2000]
  • “아베 정권과 한일관계의 개선 가능성”, 제주평화연구원『JPi정책포럼』최이윤정 조영주(2005), “여성인권과 평화운동”
    진창수 심영희 김엘리 엮음『한국여성평화운동사』한울아카데미 [2014]
  • “신사회운동의 제도화와 민주주의 발전: 이론과 쟁점”
    서두원 『한국사회과학』22 [2000]
  • “민족 담론과 여성”, 『한국여성학 10권』______(1999),“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의 논리와 가부장성”
    김은실 『당대비평』가을호 [1994]
  •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한 현안과 과제”
    전동진 『국제관계와 한국정치』세종출판사 [1999]
  • “동일본대지진, 그리고 한일 양국의 위기관리체제”,『저팬리뷰2012』신기현 (2001), “민주화, 정보화, 세계화, 지방화 속의 NGO”
    서승원 『지방자치』 [2012]
  • “동아시아 거버넌스와 NGO연대”
    곽진영 『국제지역연구』 [2006]
  • “논쟁에 휩싸인 일본의 역사교육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
    정재정 동국대『일본학』제17집 [1998]
  •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정치리더십 연구: 내재화된 변혁적 리더십의 성과와 한계”
    최희식 『한국정치학회보』, Vol. 46, No. 5 [2012]
  • “김대중정권기 한일관계”
    곽은영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14]
  • “글로벌화와 일본의 시민사회 (Globalization and CivilSociety in Japan)”
    정미애 國際政治論叢, Vol.42 No.4 [2002]
  • “글로벌시민사회와NGO”
    주성수 김동춘 외『NGO란무엇인가』아르케 [2000]
  •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에 여성정치의 변화”
    전복희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6집 1호 [2006]
  • “국제규범의 집행에서의 협력적 관계의 중요성”
    백태웅 『국제법학회논총』제55권 제4호 통권 제119호 [2010]
  • “日정부, 정의와 양심으로 국제사회에 응답해야”
    『서울신문』 [2007]
  • “「식민지」책임의 청산과 일본군위안부”
    김창록 『한일협정체제와 식민지책임 재조명국제학술대회자료집』 [2012]
  • “NGO NPO 연구의 최근동향:초국적사회운동을중심으로”
    임현진 한국 NGO 한국NPO 학회춘계공동학술회의발표논문 [2003]
  •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에서 남북공동기소장갖는 의의”
    장완익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해결의 전망』풀빛 [2001]
  • “2000년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과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
    조시현 김부자 외(2009),『한일간 역사현안의 국제법적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09]
  • “1990년대 일본시민운동의 특징”
    양기호 『시민사회운동』법문사 [1999]
  • spring.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000), "Introduction." eds. Nye and Donohue, Governance in a Globalizing World.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 _______________(2008), “Comfort Women,” Korea Times .
  • _____________. (2002 b). “Globalizing resistance : The battle of Seattleand the future if social movements", in Jackie Smith and HankJohnston(eds), Globalization and Resistance, Boston: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 _____________. (2002 a), "Globalization and Resistance:An Introduction",in Jackie Smith and Hank Johnston(eds), Globalization andResistance, Boston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__________(2006),「アジア女性基金の歴史的総括のために」『生き延びるための 思想:ジェンダー平等の罠』岩波書店.
  • _______(1996), Inside Agitators: Australian Femocrats and the State,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 Weiss and Leon Gordenker, eds. NGOS, The UN, and GlobalGovernance(Boulder:Lynne Rienner Publishers, 1996)Muramatsu Michio, Ito Mitsutoshi, Tsujinaka Yutaka,(1986),『SengoNihon no atsuryokudantai』, (Tokyo : Toyo Keizai Shinposha,) :Frank Schwartz, Susan Pharr et al..., The state of civil societyin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pp.11∼12.
  • Viotti, Paul R. Kauppi, Mark V.(2005),『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Prentice Hall.
  • VAWW-NET Japan(2000),『「慰安婦」戦時性暴力の実態Ⅰ;日本・台湾・朝鮮 編』緑風出版.
  • VAWW-NET JAPAN編(2005),『番組改編と政治介入』世織書房.
  • Tripp. Aili Mari(2006),“The Evolution of Transnational Feminism:Consensus, Conflict, & New Dynamics”, Myra Marx Fereee &Aili Mario Tripp(eds.), Global Feminism: Trasnational Women’sActivism, Organizing and Human Rights(New York and London:New York University Press).
  • Thomas Risse, Stephen C. Ropp, and Kathryn Sikkink(1999),『ThePower of Human Rights:International Norms andDomestic』 ChangeCambridge University Press.
  • Stephen M. Walt. “Alliances in a Unipolar World.”World Polities. Vol. 61. No. 1(January 2009:111).
  • Smith, Jackie.(1997),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transnational socialmovement sector", in Jackie Smith, Charles Chatfield and RonPagnucco (eds),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and globalpolitics, New York : Syracuse Univesity Press.
  • Risse-Kappen, Thomas(ed.).(1995).『Bringing Transnational RealtionsBack In: Non-State Actors, Domestic Structures andInternational Institutions』.Cambridge:Cambridge UniversityPress.
  • Radhika, Coomaraswamy(1996), Report On the Mission to the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Koreaand Japan on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in Wartime. (E/CN.4/1996/53/Add.1). New York: UN Commission on HumanRight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 Pekkanen Robert Joseph(2002), Japan's dual civil society: Memberswithout advocates, Harvard University.
  • Pekkanen Robert J.(2002), Japan's dual civil society: Members withoutadvocates.(Harvard University).
  • Oye(ed), Cooperation Under Anarchy, Princeton UniversityPress, Art Robert J. and Robert Jervis.(2007),『Internationalpolitics: enduring concepts and contemporary issues』, PearsonEducation, Inc.
  • Norgren Tiana(1998:59∼94), Abortion before Birth control : Theinterest group politics behind postwar reproductionpolicy.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Vol.24).
  • NGO活動推進センター(1998),『NGOデータブック:数字で見る日本のNGO』東 京:JANIC.
  • NCRR(http://www
    ncrr-la.org/)(검색일: ∼05) [2015]
  • Moon, Chung-in and Seung-won Suh(2007), “Overcoming History ThePolitics of History and Nationalism”, Global Asia. Vol.2. No.
  • Meenaghan, T. M. and R. O. Washington(1980), Social Policy and SocialWelfare, London: The Free Press.
  • Martha Alter Chen(1996),“Engerdering World Conference:TheInternational Women’s Movement and the UN.” Tomas G.
  • Lippmann, W.(1922). Public opinion, New York: The Free Press.
  • Linkhart, “Korean NGOs in historicizingforeign affairs and democratizing foreign policies: agendasetting and discourse framing in the Dokdo / Takeshima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2005∼2008”
    Andrew K. Suh Doowon 『국제관계연구』제16권 제2호 통권 제31호 [2011]
  • Keohane Robert O.(1967), “The Study of Political Infuence in theGeneral Assembly.” International Organization 21(2).
  • Keohane Robert O. and Joseph S. Nye, Jr.(1973)『TransnationalRelations and World Politics』(Cambridge, Mass.: HarvardUniversity Press) An Introduction A Conclusion.
  • Keck, Margaret E. and Kathryn Sikkink.(1998). "Transnational AdvocacyNetworks in International Politics: Introduction"『ActivistsBeyond Borders: Advocacy Networks in InternationalPolitics . Ithaca, NY: Cornell 』 University Press.
  • JACL(http://www
    jacl.org/)(검색일: ∼05) [2015]
  • Inn Hea Park,”Gender frames of women'smovements in Korea : a case study of the Korea women's hotline between the 1970s and 1990s“
    Andrew K. Suh Doowon 『여성학논집』제28집 제2호 [2011]
  • Ikenberry, G. John and Charles A. Kupohan(1990), “Socialization andHegemonic Pow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44(2).
  • ILO(http://www
    ilo.org)(검색일: ∼05) [2015]
  • Hutchison, Emma and Roland Bleikerand(2009),“Emotional Reconciliation:Reconstituting Identity and Community after Trauma.“Europenan Journal of Social Theory 11-3.
  • Giddens Anthony(2002),『The Third Way and Its Critics』Thinking TreePublishing Co. Ltd.
  • Gaer, Felice D.(1996), “Reality Check; Human Rights NGOs ConfrontGovermments at the UN.” Thomas Weiss and LeonGordenker eds. NGOs, the UN, and Global Governance. London: Lynne Rienner.
  • Friedman Elisabeth Jay(2003),“Gendering the Agender:The Impact ofthe Transnational Women’s Rights Movementat the UN Conferences of the 1990s”Women’sStudies International Forum, vol. 26. no. 4.
  • Fight for Justice 日本軍「慰安婦」:忘却への抵抗・未来の責任 (http://fightforjustice
    info)(검색일: ∼05) [2015]
  • Field, Norma(1997), War and Apology : Japan, Asia, the Fiftieth andAfter, Positions: east asia cultures critique. vol. 5 no. 1.
  • Eisenstein, Hester. (1990). “Femocrats, Official Feminism and the Uses of Power”. in Sophie Watson ed., Playing the State: Australian Feminist Interventions. Verso: New York.
  • Donnelly Jack(1998),『International Human Rights』United States byWestview Press.
  • Doh See-hwan(2007),“S. House Panel's Resolution‘comfortWomen” Korea Focus (Vol. 15, No. 3, Autumn )
  • De Tocgueville Alexis.(1990). Democracy in America, New York:Random House.
  • Dauglas, M.(1982), "Cultural Bias" In Douglas, M. ed. In Active Voice,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0-192.
  • Cox, Robert W.(1996), "Social Forces, States and world Orders: BeyondInternational Relation Theory." Robert O. Keohane. eds. Neorealism and Its Critic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Press.
  • Chou, Chi Cheih(2002),“An Emerging Transnational Movement inWomen’s Human Rights: Campaign of NongovernmentalOrganization on ”Comfort Women“ Issue in East Asia,”Journal of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4(2).
  • Chalmers Johnson(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StanfordUniversity Press.
  • Bunch Charlotte(2001), “Transforming Human Rights from a FeministPerspective”, Julie Stone Peters & Andrea Wolper(eds.),Women’s Rights, human right: international feminist perspective(New York: Routledge)Chomsky, N.(1989), Necessary Illusions: thought control in democratic societies,London: Pluto Press.
  • Berger, P. and T. Luckman.(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Garden City, NY: Anchor.
  • Benjamin Miller.(2010), “Explaining Changes in U.S. Grand Strategy:9/11. the Rese of Offensive Liberalism andthe War in Iraq.”Secutity Studies. 19.
  • Axelrod Robert and Robert O. Keohane(1986), "Achieving CooperationUnder Anarchy:Strategids and Institution," in Kenneth A.
  • A. L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김기훈 역
    『링크』동아시아 [2003]
  • ?김철?김일영?이영훈 엮음
    박지향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2』책세상 [2006]
  • 2000년 여성국제법정을 통해 본 초국적 여성 연대의 가능성 : 한일 사회 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강가람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