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김미정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강제동원
  • 여성노동력
  • 전시체제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5 0

0.0%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의 참고문헌

  • 「억압된 여성의 주체형성과 군 위안부 동원」
    정진성 사회와 역사제54집 [1999]
  • 李萬烈 金英喜, 「년대 朝鮮 女性의 존재 양태」
    國史館論叢89輯, 2000 [1930]
  • 綠旗
  • 해방 후 조선방직의 경영과 그 성격
    배석만 『지역과 역사』 9 [2001]
  • 한일여성공동역사교재 편찬위원회,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
    한울아 카데미 [2005]
  • 한국정신대연구소편,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한울 [1997]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1997]
  • 한국여성연구회, 『한국여성사-근대편』
    풀빛 [1992]
  • 한국여성사연구회 여성사분과(편), 『한국여성사-근대편』
    풀빛 [1992]
  •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변화와 정체성
    강이수 문화과학사 [2011]
  •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
    변은진 선인 [2013]
  • 종합여성사연구회 저, 최석완・임명수 역, 『지위와 역할을 통해 본 일본여성의 어제와 오늘』
    어문학사 [2006]
  • 전시체제기 청년단의 조직과 활동
    허수 『國史館論叢』 88 [2000]
  • 일제하 조선의 노동정책 연구
    이상의 혜안 [2006]
  • 일제말기의 여성동원과 군국의 어머니
    이상경 『페미니즘연구』2 [2002]
  • 일제말기 조선인 여자근로정신대에 관한 실태연구
    여순주 이화여대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1994]
  • 일제말기 전시체제와 모성의 식민화
    안태윤 『한국여성학』 제19권 3호, 한국여성학회 [2003]
  • 와카쿠와 미도리, 『전쟁이 만들어낸 여성상: 제2차 세계대전 하의 일본 여성동 원을 위한 시각 선전』
    소명출판 [2011]
  • 엮음, 『일제의 한국식민통치』
    차기벽 정음사 [1985]
  • 야야, 「한국과 일본의 현모양처 사상: 개화기로부터 년대 전반까 지」, 『모성의 담론과 현실』
    가와모토 나남, 1999 [1940]
  • 아시아태평양 전쟁기 조선인 종군간호부의 동원실태와 정체성
    신영숙 『여성과 역사』 14, 한국여성사학회 [2011]
  • 식민지 조선경제의 종말
    김인호 신서원 [2000]
  • 식민지 자본주의화 과정에서의 여성노동의 변모
    정진성 『한국여성학』 4, 한 국여성학회 [1988]
  • 도미야마 이치로, 임성모 번역, 『전장의 기억』
    이산 [2002]
  • 대동아
  •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사료선집 3: 지방을 살다
    지방행정 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2006 [1930]
  • 가와가오루(河かおる), 김미란 옮김, 「총력전 아래의 조선 여성」, 『실천문학』
    가을 [2002]
  • 長尾和郞, 『關東軍軍隊日記』, 經濟往來社, 1968
  • 鈴木裕子, 「新聞報道にみる女性と勤勞動員」, 『日本女性運動資料集成第6巻-生 活・勞動Ⅲ-十五年戰爭と女性勞動者・無産婦人運動』, 不二出版, 1994
  • 金慶玉, 「총력전체제기 일본의 여성노동정책과 인구정책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일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 蘇智良, 慰安婦硏究, 上海書店 出版社, 1999
  • 藤原 彰編, 『戰爭と民衆』, 三省堂, 1975
  • 若桑みどり, 『戰爭がつくる女性像-第二次世界大戰下の日本女性動員の視覺的 プロパガ ンダ』, 筑摩學藝文庫, 2000
  • 百懶孝, 『事典 昭和戰前期の日本:制度と實態』, 吉川弘文館, 1990
  • 田口亞紗, 『生理休暇の誕生』, 靑弓社, 2003
  • 梶川勝, 陸軍二等兵の戦争体験, 1991
  • 桶口雄一, 『植民地と戰爭責任』, 「戰時下朝鮮における女性動員-1942-1945年を中心に」, 吉川弘文館, 2005
  • 桶口雄一, 「太平洋戰爭下の朝鮮女性動員-愛國班お中心に」, 『朝鮮史硏究論文集』32, 朝鮮史 硏究會, 1994
  • 東洋之光
  • 朴慶植, 『조선인 강제연행의 기록』
    고즈윈 [2008]
  • 朴慶植, 『日本帝國主義의 朝鮮支配』
    청아출판사 [1986]
  • 朝鮮勞務協會, 『朝鮮勞務』
  • 朝鮮農會報
  • 朝鮮行政
  • 朝鮮總督府警務局, 「朝鮮不穩言論取締集計書」, 1942
  • 朝鮮總督府篇, 『朝鮮の習俗』
    민속원, 2014 [1935]
  • 朝鮮總督府,『昭和十四年十五年 南洋行農業移民關係』
    국가기록원 [1939]
  • 朝鮮總督府, 『勞務調整令解說』, 1942
  •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調査月報』
  •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年報』
  • 朝鮮總督府, 『朝鮮國勢調査報告』
  • 朝鮮總督府, 『朝鮮』
  • 朝鮮總督府, 『施政年報』, 各年度
  • 朝鮮總督府 學務局社會敎育科, 『朝鮮社會敎化要覽』
  • 朝鮮總督府 內務局 社會果, 『昭和15年 勞務資源調査に關する件』
    국가기록원 [1940]
  • 朝鮮放送協會, 『放送之友』
  • 朝光
  • 早川紀代 編, 『戰爭・暴力と女性2-軍國の女たち』, 吉川弘文館, 2005
  • 新時代
  • 文敎の朝鮮
  • 戰後補償問題硏究會, 『戰後補償問題資料集』第1輯,戰後補償問題硏究會, 1990
  • 富平史編纂委員會
    『富平史』1권 [2003]
  • 家庭の友
  • 大藏省 管理局 編, 『日本人の海外活動に關する歷史的調査』, 1947
  • 大同書院編輯部, 『勞務統制法規總攬』, 1942
  • 吉見義明・林博史 編, 共同硏究 日本軍慰安婦, 大月書店, 1995
  • 吉見義明編, 従軍慰安婦資料集, 大月書店, 1992
  • 半島の光
  • 加納實紀代, 『女たちの<銃後>』, イザラ書房, 1995
  • 內鮮一體
  • 佐藤千登勢, 佐藤千登勢, 『軍需産業と女性勞動-第二次世界大戰下の日米比較』, 彩流社, 2003
  • 伊藤桂一, 『戰旅の手帳』, 光人社, 1986
  • 京城紡織株式會社, 『京紡70年史』, 1989.12
  • 京城日報社, 『朝鮮年鑑』
  • 京城府, 『京城職業紹介所所報』(特輯號), 1940
  • ジーン ペスキーエルシュテイン小林史子 広川紀子 訳,『女性と戰爭』, 法政大學出版局, 1994.4
  • 『女性』
  • 『한국근현대 여성사-정치 사회1』
    전경옥 모티브북 [2011]
  • 『한국근대간호사』
    이꽃메 한울아카데미 [2002]
  • 『캠프마켓』
    한만송 봉구네책방 [2013]
  • 『조선인 강제연행 강제노동1, 일본편』
    선인 [2006]
  • 『전시기(戰時期) 주부의 벗(主婦之友)에 나타난 여성담론과 야스쿠니신사』
    이은주 건국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 『일제의 노동정책과 조선노동자: ~1945』
    곽건홍 신서원, 2001 [1938]
  • 『일제시대 구술실록』
    제1권, 전주문화재단 [2007]
  • 『일제 식민지배와 강제동원』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景仁文化社 [2010]
  • 『일제 강 제동원 동원규모 등에 관한 용역』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2013]
  • 『여성주의 역사쓰기』
    이재경 아르케 [2012]
  • 『아시아 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모성에 관한 연구: 여성동원 수단으로써 의 모성의 관점에서』
    김경주 숙명여대일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 『식민지하의 실업학교 교육과정 변천연구』
    박소영 부산대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 『식민정치와 모성』
    안태윤 한국학술정보 [2006]
  • 『들리나요? 열두소녀의 이야기』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2013]
  • 『년도 남양청 동원 조선인 노무자 피해실태 조사』
    2012.12.27 [1944]
  • 『남양군도 지역 한인노무자 강제동원 실태에 관한 조사~1941)』
    2009 [1939]
  • 『남양군도 밀리환초에서 학살된 강제동원 조선인에 대한 진상조사』
    [2011]
  • 『결전』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4 [1999]
  • 『黃海道 全羅南道 府尹郡守會議報告書綴』
    국가기록원 [1942]
  • 『韓國女性史2』
    이화여대한국여성사편찬위원회 [1972]
  • 『進明七十年史』, 進明女子中 高等學校, 1980
  • 『總動員』
  • 『看護史』
    이영복 수문사 [1995]
  • 『淑明七十年史』, 淑明女子中 高等學校, 1976
  • 『東一紡織社史』
    동일방직주식회사 [1982]
  • 『朝鮮地方行政』
  • 『日曜新聞』, 『기독교신문』
  • 『日帝下戰時體制期政策史料叢書』
    民族問題硏究所編, 제86권~98권
  • 『日帝下勤勞挺身隊被害補償 請求訴訟』
    太平洋戰爭犧牲者光州遺族後援會, 예원 출판사 [2000]
  • 『戰時下勞務動員基礎資料集』
    綠陰書房, 1~5권
  • 『慶南女高六十年史』, 慶南女高六十年史編纂委員會, 1987
  • 『忠淸北道, 咸鏡北道, 忠淸南道 府尹郡守會議報告書綴』
    국가기록원 [1942]
  • 『府尹郡守會議指示事項參考書類』
    국가기록원 [1942]
  • 『全州女子高等學校六十年史』, 全州女子高等學校同窓會, 1986
  • 『仁川女高百年史』, 仁川女子高等學校總同窓會, 2009
  • 『京城日報』, 『每日新報』, 『東亞日報』, 『朝鮮日報』, 『京鄕新聞』, 『韓國日報』,
  • 『Can you hear us? : The untold narratives of comfort women』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2015]
  • 「해방 이후 강제연행 생존자의 사회적응과정」
    鄭惠瓊 『한국근현대사연구』 29, 한국근현대사학회 [2004]
  • 「한국식민지 자본주의화 과정에서 여성노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년대 방직공업을 중심으로」
    안연선 이화여대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1930]
  • 「한국내 ‘일본군’위안부 연구동향」
    김미정 『군위안부문제 연구에 대한 검토와 과 제』 국제학술대회자료집 [2007]
  • 「총동원체제와 근로보국대를 통한 “국민개로”-조선에서 시행된 근로보 국대의 초기운용을 중심으로~1941)」
    김윤미 『한일민족문제연구』 14, 2008 [1938]
  • 「총동원체제와 근로보국대를 통한 ‘國民皆勞’-조선에서 시행된 근로보 국대의 초기 운용을 중심으로~1941)」
    김윤미 『한일민족문제연구』14, 2008 [1938]
  • 「조선총독부의 노무동원 관련 행정조직 및 기능분석」
    정혜경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4,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8]
  • 「조선총독부 내무부서와 식민지의 내무행정-지방과와 사회과를 중심으 로」
    서호철 『사회와 역사』102집 [2014]
  • 「조선 주둔 일본군('조선군')의 성격과 역할」
    신주백 『동양학』 39, 단국대동양 학연구소 [2006]
  • 「전시체제기~1945)일제의 노동이동 제한정책」
    곽건홍 『한국사학보』5, 1998 [1937]
  • 「전시체제기~1945) 조선여성에 대한 '성(性)동원'실태」
    김미정 고려대학 교한국사학과 석사논문, 2005 [1937]
  • 「전시체제기 죠반(常磐)탄전 관련 명부자료를 통해 본 조선인 노무자의 사망실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9,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 「전시체제기 樺太 전환배치 조선인 노무자 관련 명부의 미시적 분석」
    『숭실사 학』 22, 숭실사학회 [2009]
  • 「일제하의 한국노동상황과 노동운동」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 정우사 [1989]
  • 「일제하 綠旗聯盟의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10, 한국근현대사학회 [1999]
  • 「일제하 여성의 근대경험과 여성성 형성의 ‘차이’」
    강이수 『사회과학연구』, 서 강대사회과학연구소 [2005]
  • 「일제하 공업노동에서의 민족과 성」
    이정옥 서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1990]
  • 「일제하 공업 고무노동자의 상태와 노동운동」
    김경일 『일제하의 사회운동』, 문학과 지성사 [1987]
  • 「일제의 조선공업정책과 조선인자본의 동향~1945)」
    김인호 고려대학교사학 과 박사학위논문, 1996 [1936]
  •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41)」
    김명환 『한국민족운 동사연구』 64, 2010 [1939]
  •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P’s Note No2」
    정혜경 미간행발표문 [2011]
  • 「일제강점기 조선의 체력장검정에 관한 연구」
    손환 『한국체육학회지』,제48권 제5호 [2009]
  • 「일제 말기 조선인 군노무자의 실태 및 귀환」
    鄭惠瓊(Chung Hye-kyung)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3]
  • 「일제 말기 ‘남양군도’의 조선인 노동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4, 한 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 「일본군‘위안부’제의 식민성 연구: 조선인‘위안부’를 중심으로」
    강정숙 성균관대 사 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아시아태평양전쟁시기 일본군'위안부'정체성: 여자군속의 종군간호부와 비교 연구」
    신영숙 『동북아연구논총』 25,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식민지시대 여성노동운동에 관한 연구」
    서형실 이화여대여성학과 석사학위논 문 [1990]
  • 「기억에서 역사로: 일제 말기 일본제철(주)에 끌려간 조선인 노동자」
    정혜경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4]
  • 「근로보국대 제도의 수립과 운용~1941)」
    김윤미 부경대학교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1938]
  • 「군위안부동원에 있어서의 한국인 여성간의 계층차에 관한 고찰: 군위안부로 동원된 하층여성과 군위안부에 동원되지 않은 상층여성들의 사례 비교」
    오꾸야마 요꼬 『동덕여성연구』 2,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997]
  • 「近代 身體文化 形成과 日帝强占期 學校體育」
    이승규 고려대 체육학과 박사논문 [2013]
  • 「移民斡旋依賴ニ關スル件」
    『昭和十四年十五年南洋行農業移民關係』, 국가기록원
  • 「日帝末期~45)의 靑年動員政策-靑年團과 靑年訓練所을 중심으로」
    최원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999 [1937]
  • 「日帝末期 慶北지역 出身 强制動員 勞務者들의 抵抗」
    『한일민족문제연구』 25, 한일민족문제학회 [2013]
  • 「‘창씨개명’과 ‘총동원’의 모성담론 전략」
    전은경 한국현대문학연구 [2008]
  • 「‘남양군도 송출 조선인 관련’문서철~1940)과 조선인 송출실태」
    『강제동원을 말한다-명부편(2)』, 선인, 2012 [1939]
  • 「~30년대 식민지 조선과 '남양군도'」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6, 한 국민족운동사학회, 2006 [1920]
  • 「1930·40년대 조선여성의 존재양태」
    김영희 이만열 『國史館論叢』89, 2000 [2000]
  •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1945) 형성 정책?
    안자코 유카 고려대학교한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1937]
  •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
    전미경 『한국가정교육학회지』 17, 2005 [2005]
  • (藤目ゆき)저, 김경자・윤경원 역, 『성의 역사학-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유키 후지메 삼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