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과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관한 질적·양적 통합 연구 = Mixed methods research concerning school orchestra activ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박은승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과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관한 질적·양적 통합 연구 = Mixed methods research concerning school orchestra activ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근거 이론
  • 녹명윈드오케스트라
  • 사회성
  • 질적 연구
  • 통합 연구
  • 학생 오케스트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376 0

0.0%

'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과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관한 질적·양적 통합 연구 = Mixed methods research concerning school orchestra activ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의 참고문헌

  • 한국형 엘 시스테마(El Sistema) 제도화에 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김지연 한국교원대학교 [2013]
  •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백과사전 <http://preview
    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2g1214a> [2015]
  • 학생오케스트라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은 이은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5(2), 121-152 [2013]
  •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이 학생의 인성에 끼친 영향
    윤성원 음악교육공학. 16(4), 137-159, 2013 [2013]
  •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운영실태 분석과 발전방향 탐색: 교육부 1차(2011) 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송향금 한국교원대학교 [2015]
  • 초등학생의 친한 친구 사귀기 과정 –근거이론 접근 방법으로–. 박사 학위논문
    안경숙 서울여자대학교 [2001]
  • 초등기악교육론
    조효임 서울: 예일출판사 [2005]
  • 청소년들의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한 긍정적 영향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석사 학위논문
    박영미 이화여자대학교 [2010]
  •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배은주 교육인류학 연구, 11(2), 1-27 [2008]
  •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과 그 예: 문화기술지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김영천 교육학 연구, 35, 225-251 [1997]
  •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조용환 교육인류학 연구, 7(2), 55-75 [2004]
  • 전교생이 오케스트라 단원…‘학교폭력’이라곤 없을 듯. 정책브리핑
    조기제 [2012]
  • 전교생 39명으로 오케스트라 만든 부산 녹명초등 박은승 교사 “열악한 여건 뚫고 첫 연주…모두가 울었어요”. 부산일보, 29
    백현충 [2011]
  • 전교생 36명이 오케스트라 단원, 학교가 환해졌어요. 부산일보, 29
    천영철 [2013]
  • 작은 학교 오케스트라의 명랑 외유. 국제신문, 8
    조봉권 [2012]
  • 음악치료학
    최병철 서울: 학지사 [2006]
  • 음악은이
    조선우 홍정수 서울: 음악춘추사 [2000]
  • 음악교육학총론
    민경훈 서울: 학지사 [2009]
  • 음악교육의 사회학적 연구 –베네수엘라 ‘FESNONIV’사례를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김정은 경희대학교 [2010]
  • 음악 단체 활동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조사
    양종모 음악교육 연구. 41(2) [2012]
  • 오케스트라를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학생오케스트라 사업의 개선 방안
    박은승 음악응용 연구, 5, 37-60 [2012]
  •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박선영 부산대학교 [2014]
  • 엘 시스테마 형 오케스트라의 확산 분석과 국내 적용에 관한 연구.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신소영 한국예술종합학교 [2013]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에 대하여
    김미숙 교육사회학 연구, 16(3), 43-64 [2006]
  • 상징적 상호작용론
    강상철 최건수 교육발전론집, 9, 23-38 [1988]
  • 부산 초등교 '전교생 오케스트라' 첫 해외공연. 연합 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4/16/0200000000AKR20120416093000051
    차근호 HTML?did=1179m> [2012]
  • 부산 초 중 고교의 음악실력은…31일 벡스코서 신년음악회 열려. 국제신문, 19
    조봉권 [2013]
  • 부산 녹명초교 오케스트라 “대만서 첫 해외공연… 설레요”. 동아일보
    윤희각 [2012]
  •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 홈페이지 <http://fundamusical
    org.ve> [2015]
  • 미국 음악교육에서 질적 연구의 동향 분석
    신혜경 음악교육 연구, 42(2), 91-117 [2013]
  • 다문화 여성의 초등학생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상생과 행복을 위한 감인대(堪忍待)의 삶. 박사 학위논문
    이승민 위덕대학교 [2013]
  • 녹명초교 '녹명윈드오케스트라' 대한민국 관악경연대회 은상. 부산일보, 29
    백현충 [2012]
  • 근거이론을 통한 노인장기요양 실천현장의 사례관리 수행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최정호 영남대학교 [2014]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서울 경기지역 학생 오케스트라의 운영실태 조사
    장근주 정수현 음악교육공학, 17, 97-120 [2013]
  • 강서구 녹명초교, 녹명윈드오케스트라 첫 해외공연 진출!. 아시아 투데이
    김옥빈 [2012]
  • 『음악교육철학』
    권덕원 경기: 교육과학사 [2012]
  • “비행기 타고 해외공연 갑니다”
    백현충 설레는 초등생들. 부산일보, 9. [2012]
  • “물 흐르는 듯한 연주에 감탄 절로”
    노덕일 금강일보, 18. [2012]
  • ‘꿈의 오케스트라(El Sistema Korea)’가 학생의 사회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신영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13 [2013]
  • [독자칼럼] 꿈은 이루어졌다. 부산일보, 22
    박은승 [2012]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New Jersey: Publishers.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역)(2011). 근거이론의 발견
    Anselm, L. S. Barney, G. G. 서울: 학지사 [1967]
  • Teddlie, C. & Tashakkori, A.(2009). Foundations of mixed methods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 Tashakkori, A. & Teddlie, C.(1998). Mix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1
  •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최귀순 정신간호학회지, 14(1), 82-90 [2005]
  • Psychological Foundation of Musical Behavior. Charles C. Illinois: Thomas Publisher. 최병철 방금주(역)(2002). 음악심리학
    David, B. Rudolf, E. R. 서울: 학지사 [1997]
  •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Sage.
  • Musical Elaborations. 박홍규 최유준(역)(2008). 음악은 사회적이다
    Edward, W. S. 서울: 한영문화사 [1991]
  • Music Psychology in Educati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고선미(역)(2001). 음악교육 심리학
    Susan, H.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 Michael, Uy.(2012). Venezuela’s Na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El Sistema: Its Interactions with Society and its Participants’ Engagement in Praxis, Music and Arts in Action, 4(1), 5-21.
  • Merriam, A. P.(1964). The anthropolpgy of music.(n. p)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 Majno, M.(2012). From the model of El Sistema in Venezuela to current applications: learning and integration through collective music educa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252, 56-64.
  • MBC 투데이 부산 <녹명윈드오케스트라
    부산 꿈을 연주하다> [2011]
  • Lauren, R. S. Globalizing El Sistema: Explor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l Sistema inspired programs around the world, University of Oregon, Masters thesis, 2013.
  • Kaplan, M.(1990). The Arts: A social perspective. Rutherford, NJ: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 KBS 다큐멘터리 <학교
    오케스트라를 만나다> [2013]
  • Johnson, R. B., & Onwuegbuzie, A. J.(2004). Mixed Method Research: A 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Educational Researcher, 33(7), 14-26.
  • Hollinger, D. M. Instrument of social reform: A case study of Venezuelan system of youth orchestrs, Arizona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2006.
  • Hallam, S.(2010). The Power of Music: Its Impact on the Intellectual,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8, 269-289.
  • Gresham, F. M., Elliott, S. N., Vance, M. J., & Cook, C. R.(2011). Comparability of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to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System: Content and Psychometric Comparisons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Age Level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6(1), 27-44.
  • Gresham, F. M. & Elliot, S. N.(1984).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children’s social skills. School Psychology, 13(3), 292-301.
  • Govias, J. A.(2011). The five fundamentals of El Sistema, B. Bolden (Ed.), Canadian Music Educator, 53(1), 21-23.
  • Gillespie, R., Hamann, D. L.(1998). The Status of Orchestra Programs in the Public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6(1), 75-86.
  • Elliott, S. N., Malecki, C. K., & Demaray, M. K.(2001). New Directions in Social Skil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ionality, 9, 19-32.
  • Elliott, S. N., DiPerna, J. C., & Shapiro, E.(2001). Academic intervention monitoring system.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 Elliott, S. N., & Gresham, F. M.(2008). Social Skills Improvement System: Rating Scales. Bloomington, MN: NCS Pearson Assessments. 2008.
  • Elliott, S. N., & Gresham, F. M.(2008). SSIS-RS intervention guide. Bloomington, MN: NCS Pearson Assessments.
  • Elliott, S. N., & Gresham, F. M.(2008). SSIS Rating Scales Manual. Bloomington, MN: NCS Pearson Assessments.
  • Elliott, S. N., & Gresham, F. M.(2007). SSIS performance screening guide. Minneapolis, MN: NCS Pearson.
  • Elliott, S. N., & Gresham, F. M.(2007). SSIS classwide intervention program teacher’s guide. Minneapolis, MN: NCS Pearson.
  • Elliott, S. N. & Busse, R. T.(1991). Social Skil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Training Procedure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12, 63-83.
  • Elliott, D. J.(1995). Music matters: a new philosophy of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Elliot, S. N. & Gresham, F. M.(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 Eisner, E. W.(1987). The role of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Art Education, 40(5), 6-26.
  • EBS 학교 가기 좋은날 <녹명초등학교 2편> <http://media
    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20120504234914844> [2012]
  • EBS 학교 가기 좋은날 <녹명초등학교 1편> <http://media
    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20120503234319700> [2012]
  • Denzin, N. K.(1989). Interpretive interactionism. Newbury Park, CA: Sage.
  • Das Orchester. 김용환 김정숙(역)(2010). 오케스트라
    Bekker, P. 경기: 음악세계 [1936]
  • Creswell, J. W., & Plano Clark, V. L.(2007).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 Creswell, J. W.(2010). Mapping in developing landscape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A. Tashakkori & C. Teddlie (Eds.), SAGE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2nd ed., 45-68.
  •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박현선 이상균 이채원(역)(2013).근거이론의 구성
    Kathy, C. 서울: 학지사 [2006]
  • Bryman, A.(2006).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ow is it done?. Qualitative Research, 6, 97-113.
  • Bazeley, P.(2002). Issues in mix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 research, UK: Palgrave Macmillan, 141-156.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bury Park, Calif: Sage Publication. 김수지 신경림(역)(2000). 근거이론의 이해
    Corbin, J. Strauss, A.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0]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신경림(역)(2001). 근거이론의 단계
    Corbin, J. Strauss, A. L. 서울: 현문사 [1998]
  • Asa, B. & Monica, L.(2014). Studying El Sistema as a Swedish community music project from a critic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Music, 7(3), 365-377.
  • A history of Western Music, 7th ed. New York: Norton. 민은기 외(역)(2007). 서양 음악사
    Burkholder, J. P. Grout, D. J. Palisca, C. V.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