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존 듀이의 미적 경험에 토대한 예술교육 연구

박주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박주희
    • 형태사항 26 cm: ii, 112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선보, 참고문헌: p. 106-112
    • 학위논문사항 2015. 8, 교육학과 교육철학및교육사학전공,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발행지 서울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고려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듀이
    유사주제 논문( 131)
' 존 듀이의 미적 경험에 토대한 예술교육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듀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2 0

0.0%

' 존 듀이의 미적 경험에 토대한 예술교육 연구' 의 참고문헌

  • 학회지를 통해 본 교육철학 연구 동향: JPE, ET, KJPE룰 중심으로
    우정길 교육철학연구. 33(2). 79-100 [2011]
  •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
    강승규 서울: 동문사 [2008]
  • 플라톤의 PAIDEIA 이념:『국가』와 『법률』을 중심으로
    이강서 대동철학. 8. 75-91 [2000]
  •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기초한 ‘예술적 교사’ 이해-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양은주 교육철학연구. 40. 109-137 [2007]
  • 프래그머티즘
    김동식 서울: 아카넷 [2002]
  • 질성적 사고의 교육적 가치
    이돈희 교육학연구. 30(3). 33-41 [1992]
  • 좋은 수업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듀이의 성장 개념을 중심으로
    김무길 교육철학연구. 33(3). 25-47 [2011]
  •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에서 ‘하나의 경험’의 의미론적 함의
    정순복 미학. 37. 113-152 [2004]
  • 존 듀이의 철학에서의 자연과 ‘트랜스액션(transaction)'의 문제
    정순복 미학. 20. 311-339 [1995]
  • 존 듀이의 선 연구
    강승규 한국교육학회. 33(3). 1-28 [1995]
  • 존 듀이의 교육미학
    김연희 서울: 교육과학사 [2012]
  •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의 가치론적 함의
    정순복 미학. 31. 101-131 [1997]
  • 존 듀이 철학에서의 예술과 ‘유기체’의 문제
    정순복 미학. 25(1). 129-164 [1998]
  • 유기체적 삶의 변화와 듀이의 탐구 개념에 관한 고찰-듀이의 Logic: The Theory of Inquiry을 중심으로
    이상원 교육철학. 43. 161-191 [2011]
  • 윌리엄 제임스 교육론
    조상식 서울: 문음사 [2005]
  • 예술의 뿌리로서의 공공성-존 듀이 예술론의 새로운 해석
    민주식 인문연구. 68. 175-206 [2013]
  • 예술교육에 관한 개념적 연구
    백형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7(3). 171-178 [2006]
  • 실존적 교육관에서 본 교사-학생간의 관계본질에 관한 연구-부버의 ‘만남’의 철학을 중심으로
    강선보 한국교육. 10(1). 5-24 [1983]
  • 실용주의철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유선 동서사상. 8. 51-84 [2010]
  • 서울대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011]
  •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백영제 서울: 산지니 [2008]
  • 부버의 교사관과 유학(儒學)의 교사관 비교 연구
    강선보 신창호 교육철학. 28(2). 113-136 [2001]
  • 미학으로 읽는 미술
    오병남 서울: 월간미술 [2007]
  • 미적 경험과 초등교육: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양은주 초등교육연구. 17(2). 109-126 [2004]
  • 맥신 그린의 미학이론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임부연 문화예술교육연구. 8(4). 1-21 [2013]
  • 로티의 듀이 해석
    노양진 철학연구. 54. 205-230 [1995]
  • 듀이의 하나의 경험에 비추어 본 교육적 경험의 성격 : 수단으로서의 지식과 내재적 가치의 의미
    박철홍 교육철학연구. 13. 81-109 [1995]
  •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에 기초한 교육철학의 성격
    양은주 교육철학연구. 43. 31-63 [2008]
  • 듀이의 예술론과 예술교육. 박사학위논문
    이경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3]
  • 듀이의 교육적 경험론에 내재된 Transaction의 의미
    김무길 교육철학. 25. 17-35 [2001]
  • 듀이의 경험이론과 교육인식론
    박천환 서울: 학지사 [2012]
  •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이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작용
    박철홍 교육철학연구. 33(1). 79-104 [2011]
  • 듀이의 경험 미학과 예술 교호작용. 박사학위논문
    박연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 듀이 예술철학을 통해 본 교육적 경험의 의미
    양은주 교육과정평가연구. 3(1). 47-62 [2000]
  • 듀이 美學의 敎育學的 解釋. 박사학위논문
    이은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 대중예술에 대한 교육학적 숙고
    한명희 교육철학연구. 23. 27-50 [2000]
  • 교육의 미학적 탐구
    한명희 서울: 집문당 [2002]
  • 경험철학의 원리
    김재만 서울: 대동문화사 [1965]
  • 경험교육의 원리
    김재만 서울: 재동문화사 [1965]
  • ‘하나의 경험’에서 작용하는 사고의 특성에 비추어 본 탐구의 성격: 반성적 사고 단계의 앎에 대한 분석
    박철홍 교육철학연구. 35(1). 67-95 [2013]
  • Zeltner, P. M.(1975). John Dewey's Aesthetic Philosophy. Amsterdam: B. R. Gruener B. V.
  • Variations on a Blue Guitar
    Green, M. Teachers College Press. 블루기타변주곡. 문승호 역(2011). 서울: 다빈치 [2001]
  • The wow factor : global research compendium on the impact of the arts in educatio.. 백령 역(2007).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 세계 예술교육 현장 리포트
    Bamford, A. 파주: 한길아트 [2006]
  • The Metaphysical Club. 정주연 역(2006). 메타피지컬 클럽
    Menand, L. 서울: 민음사 [2001]
  • Sidney, M.(1977). Dewey and His Critics. The Journal of Philosophy. Inc. New York.
  • Scott, R. S.(2011). John Dewey and the Artful Life.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 Schl ter, S.(2012). Wechselwirkung und Erziehung von Johann Friedrich Herbart bis John Dewey. Bad Heilbrunn: Klinkhardt
  • Scheffler, I.(1974). Four Pragmatism. Routledge and Kegan Paul Inc.
  • Problems of art : ten philosophical lectures. 이승훈 역(1990). 예술이란 무엇인가
    Langer, S. K. 서울: 고려원 [1957]
  • Pragmatist aesthetics. 김광명 김진엽 역(2010). 프라그마티즘 미학: 살아있는 아름다움, 다시 생각해보는 예술
    Shusterman, R. 서울: 북코리아 [2002]
  • Platon. 박희영 역 향연
    서울: 이제이북스 [2007]
  • Philosophische Aesthetik. 임지연 역(2014). 철학적 미학-미적 경험으로의 초대
    Balmer, H. P. 파주: 미진사 [2009]
  • Peter W. E.(2002).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A treatise on the art of living.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Ph. D. University of Oregon.
  • Not For Profit. 우석영 역(2011).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Nussbaum, M. 서울: 궁리 [2010]
  • Morris, B.(1970). "Dewey's Theory of Art", Guide to the Works of John Dewey, ed. by Jo Ann Boydston,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56-182.
  • Kim, J.(2009). "Dewey’s Aesthetic and Today’s Moral Education." Education and Culture. 25(2). Purdue University Press. 50-60.
  • Kaplan, A.(1987). "Introduction", Art as Experience(1934). John Dewey: The Later Works, Vol. 10. ed. by J. A. Boydston.
  • John Dewey의 판단이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승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1990]
  • John Dewey
    Bernstein, R. J.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정순복 역(2012). 존 듀이 철학 입문. 서울: 예전사 [1996]
  • Jackson, P. W.(1998). John Dewey and the Lessons of Ar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Hook, S.(1974). Pragmatism and the Tragic Sense of Life. New York. Basic Books.
  • Goodman, N.(1976). Language of Art: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 Experience and Nature. 경험과 자연. 신득렬 역(1982).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Dewey, J. (EN) [1925]
  • Experience and Education. 경험과 교육. 강윤중 역(2004). 서울: 배영사
    Dewey, J. (EE) [1938]
  • Emergence: The Connected Lives of Ants, Brains, Cities, and Software, Scribner Book Company. 김한영 역(2004). 이머전스
    Johnson, S. 서울: 김영사 [2002]
  • Education through Art. 황향숙 외 역(2008). 예술을 통한 교육
    Read, H. 서울: 학지사 [1945]
  • Ecker, D.(1974). "Teaching Art Criticism as Aesthetic Inquiry." Crriculum Network. Vol 4(2/3). 112-123.
  • Dissanayake, E Homo Aestheticus. 김한영 역(2009) 미학적 인간 호모에스테티쿠스
    서울: 위즈덤 하우스 예담 [1995]
  • Dewey, J.(1913).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in The Middle Works. Vol 7. Carbor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Dewey, J. (1934). A common faith.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Dewey, J. (1931). Philosophy and Civilization,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6, ed. Boydson, by Jo Ann Boydston.(2008). Carbor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Dewey, J. (1930). "Qualitative Thought",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5. ed. Boydson, by Jo Ann Boydston.(2008). Carbor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QT)
  • Dewey, J. (1922). Human Nature and Conduct: Carbondale, Il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HN)
  • Democracy and Education.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1996). 서울: 교육과학사. 민주주의와 교육. 김성숙ㆍ이귀학 역(2008). 서울: 동서 문화사
    Dewey, J. (DE) [1916]
  • Croce, B.(1948). "On the Aesthetics of Dewey". JAAC 6(3). 203-207.
  • Beardsley, M(1966). Aesthetics from classical Greece to the present : a short history. Alabama :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 Art as Experience: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0, ed, by Jo Ann Boydston. Carbondale, Ill
    Dewey, J.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8. 경험으로서의 예술. 이재언 역(2003). 서울: 책세상.(AE) [1934]
  • Art and fear. 임경아 역(2012). 예술가여, 무엇이 두려운가
    Bayles, D. Orland, T. 서울: 루비박스 [2009]
  • Alexander, T. M.(1987). John Dewey's theory of art, experience, and nature : the horizons of feeling. Alba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광부화가들>과 경험으로서의 예술- 존 듀이 철학의 경험 개념에 근거하여
    박연숙 인문과학연구. 41. 323-34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