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아리랑의 글로컬문화콘텐츠화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cultrural contents development of arirang by glocalizations

권갑하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권갑하
    • 형태사항 26 cm: 삽도: ix, 209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용범,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189-2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2015. 8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한양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문화
    유사주제 논문( 991)
' 아리랑의 글로컬문화콘텐츠화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cultrural contents development of arirang by glocalization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92 0

0.0%

' 아리랑의 글로컬문화콘텐츠화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cultrural contents development of arirang by glocalizations' 의 참고문헌

  • 황태규?김태균?백상민 역, 『지역브랜드 성공법칙 33』
    Akio Tanaka 한국생산성본부정보문화원 [2013]
  • 현대시의 아리랑 수용 양상
    박경수 『한국문학과 예술』 제6집,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 [2010]
  • 현대 대중예술의 아리랑 수용 양상
    김동권 『한국문학과 예술』제6집,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 [2010]
  • 한형석 작곡 한국 최초 오페라 <아리랑 > 추적
    김효정 『부산일보』 [2011]
  • 한류의 지속발전을 위한 글로컬 문화콘텐츠 전략
    김성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2]
  •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장규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권 9호, 한국콘텐츠학회 [2011]
  • 한류,글로벌 시대의 문화경쟁력
    박재복 삼성경제연구소 [2005]
  •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고정민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09]
  • 한국음반아카이브 연구단, 한국유성기음반(서울: 도서출판 한걸음 더
    일츅죠선소리판 K588-B 남도잡가 미량아라리량 대구 김금화 장고 박춘재 [2011]
  • 한국유이민사
    현규환 어문각 [1967]
  • 한국 영화 제작의 다양성을 위한 팩션 콘텐츠 활용 연구
    한달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9 No.2, 한국콘텐츠학회 [2009]
  • 핀첨-성 힐러리, 최지연 역, 「미국에서의 아리랑의 의미와 역할」, 『남도민속연구』 제26집
    남도민속학회 [2013]
  • 프랑크 하르트만, 이상엽 강웅경 역, 『미디어철학』(원제 Medienphilosophie)
    북코리아 [2008]
  • 폴 헤르나디, 김준오 역, 『장르론』,《Beyond Genre》, 문장, 크리스 젠크스, 김윤용 역, 『문화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6 [1983]
  • 편, 『일제강점기 유성기음반속의 극 영화』
    김만수 최동현 태학사 [1998]
  •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화예 산업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박에스터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통권 제25호,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1]
  •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
    「~2016 제2차 콘텐츠산업 진흥 기본계획」, 2015.5.22 [2014]
  • 촘스키, 강주현 역,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profit over people)』
    노엄 모색 [1999]
  •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 ‘융합 학제적’ 접근의 한 방향
    김동윤 인문콘텐츠 Vol.19, 인문콘텐츠학회 [2010]
  • 창조 한류를 위한 세 가지 流전략
    노준석 『창조산업과 콘텐츠』,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 진도아리랑과 문전세전, 맘대로?
    김연갑 『뉴시스』 [2012]
  • 진도아리랑 ‘문경새재’는 ‘문전세재’
    홍행기 『광주일보』 [2012]
  • 진도아리랑
    박상률 시와시학사 [2002]
  • 지자체 ‘아리랑’ 선점 기싸움 치열 : 출혈 경쟁 역사⋅전통성 훼손 우려
    박창현 『강원도민일보』 [2013]
  • 지음, 김민중 역,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기억의 장소들에 대한 문제제기』
    노라 『서양사론』 제87호 [2005]
  • 지역브랜딩 전략의 체계와 방법 시론
    이정훈 『지방행정』,,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6 [2006]
  •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브랜드개발에 관한 연구:지역의 이미지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김희경 『문화정책논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 지역 브랜딩 활용 실태와 실행 전략 연구
    이소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425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 지리적 표시 보호에 관한 연구
    김지영 『지식재산연구』, 제4권 제1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9]
  • 중소도시 관광인프라 구축연구 : 당진군을 중심으로
    정형기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08]
  • 존 A. 워커 사라 채플린, 임산 역, 『비주얼 컬처』, Isabella L, Bird Bishop, 이인화 역,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4 [2004]
  • 제주도의 아 태지역 관광거점화 정책방향, 《경영경제연구》제1집
    오상훈 충남대학교경영경제연구소 [1999]
  • 정선아리랑
    박세현 문학과 지성사 [1991]
  •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어정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3권제5호, 한국콘텐츠학회 [2013]
  • 장 마리 플로슈, 김성동 역, 『기호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2003]
  • 이소라, 『농요의 길을 따라』, 밀알, 이종수, 「텔레비전 미학」, 김성재 편, 『매체미학』, 나남출판, 1998이창식, 『어머니 아리랑』
    글누림, 2011 [2001]
  • 유리 로트만(Yuri M. Lotman), 김수환 역, 『기호계』
    문학과 지성사 [2008]
  • 유럽의 ‘한류’를 통해 본 문화혼종화 - K-pop 열풍을 중심으로 -
    이수안 『한 독사회과학논총』 제22권 제1호, 한독사회과학회 [2012]
  • 유럽연합 홈페이지(http://ec
    europa.eu/culture/404_en.htm) 검색) [2015]
  • 유네스코 무형유산 대표목록등재로 야기된 한국과 중국 간 문화적 갈등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
    신현욱 《한국언어문화》제46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 왜 글로컬문화콘텐츠인가
    박치완 인문콘텐츠 제20호, 인문콘텐츠학회 [2011]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실전마케팅학회, 「브랜드의 매력적인 변신,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Vol.47 No.2, 한국마케팅연구원, 『정선아리랑 데이터베이스 자료집』
    정선군, 2008 [2013]
  • 박사
  • 엮음, 『문경새재아리랑의 위상과 지평』
    김기현 문경문화원 [2013]
  •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이창식 『공연문화연구』 제21집, 공연문화학회 [2010]
  •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연구
    권갑하 『한민족문화연구』 48권, 한민족문화학회 [2014]
  • 아리랑의 문화콘텐츠와 창작산업 방향
    이창식 『한국문학과 예술』제6집, 숭실대한국문예연구소 [2010]
  • 아리랑소리의 생성문화 유형과 변동
    이보형 『한국민요학』제26집, 한국민요학회 [2009]
  • 아리랑소리의 근원과 그 변천에 관한 음악적 연구
    이보형 한국민요학 제5집, 한국민요학회 [1997]
  • 아리랑과 현대시
    정우택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권 2호 [2012]
  • 아리랑과 사회와 나
    나운규 『삼천리』 [1930]
  • 아리랑 형성과정에 대한 음악적 연구
    김영운 『한국문학과 예술』제7집, 숭실대한국문예연구소 [2011]
  • 아리랑 자료집3
    박민일 [2006]
  •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이창식 『Comparative Korean Studies』제20권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 아리랑 연구
    김동권 『드라마연구』제23호, 한국드라마학회 [2005]
  • 아리랑 노래의 정전화 과정 연구
    정우택 『대동문화연구』제57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 아리랑 그 맛, 멋 그리고…
    김연갑 집문당 [1988]
  • 아고라
    김희정 심지 [2009]
  • 스토리텔링, 그 매혹의 과학
    최혜실 한울 [2011]
  • 손오공의 이야기가치와 문화콘텐츠적 활용양상 연구
    최수웅 [2011]
  • 세계화의 본질과 특징
    신현종 『산경연구』 제6집, 영남대 산경연구소 [1998]
  • 세계화 대응전략과 지역문화의 중요성, 「한국민속학」제58집
    송준 한국민속학회 [2013]
  • 서울의 예수
    정호승 민음사 [1986]
  • 삼팔선
    김동명 문륭사 [1947]
  • 북한의 아리랑 축제와 민족예술의 가능성 모색
    전영선 『한국문학과 예술』 제6집,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2010]
  • 북한 ‘아리랑’의 현대적 변용 양상과 의미
    전영선 『현대북한연구』 14권1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 배구자 양의 음악무용회
    동아일보 [1928]
  • 발굴 한국현대사 인물 70-천민의 삶 예술로 다듬어낸 대금명인 박종기
    박근애 『한겨레』 [1991]
  • 민요 <아리랑 >의 근대시 수용양상
    박경수 『한국민요학』 제3집, 한국민요학회 [1995]
  • 문화콘텐츠학과 글로컬문화
    김성수 박치완 『글로벌문화콘텐츠』 통권 제2호, 한국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 문화콘텐츠 학의 이념과 방향 - 소통과 공감의 학 -
    이기상 『인문콘텐츠 제23호』, 인문콘텐츠학회 [2011]
  • 문화콘텐츠 창작소재와 문화원형
    송성욱 『인문콘텐츠』제6호, 인문콘텐츠학회 [2005]
  • 문화기호학과 문화 콘텐츠
    백승국 다할미디어 [2004]
  • 문화기억과 기억융합으로서의 아리랑
    권오경 『한국민요학』 제39집, 한국민요학회 [2013]
  • 문경아리랑 국립박물관 연내 첫삽 반드시 떠야
    윤대열 『경북도민일보』 [2013]
  • 문경새재아리랑 원형 네 구절 ‘동아’에서 찾았다
    정양환 『동아일보』 [2013]
  • 문경새재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 관광지’ 1위
    고도현 『매일신문』 [2013]
  • 몸 바꾸기 장르(transforming-body genre) 애니메이션 연구 -합체, 변신, 진화의 장르관습을 중심으로
    김윤아 『영상문화』제15호, 한국영상문화학회, , 199쪽 [2010]
  • 로이 윌슨 이재원 백봄풀,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을 위한 효율적인 세계관구축 기술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6집
    이석호 디지털디자인학연구학회 [2007]
  • 로버트 C, 홀럽, 최상규 역, 『수용미학의 이론』
    서울 예림기획 [1999]
  • 뚜웨이밍, 김태성 역, 『문명들의 대화』
    휴머니스트 [2006]
  • 두산백과사전 EnCyber& EnCyber
    com
  •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두 얼굴의 글로컬 -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을 배경으로 한 문화콘텐츠 기획의 허와 실
    김성수 『글로벌문화콘텐츠』10호, 한국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3]
  • 다시 부르는 아리랑-밀양아리랑 현주소
    이상규 『경남신문』 [2013]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백인욱 역, 『디지털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내 안의 바다
    홍인숙(그레이스 홍) 시문학사 [2004]
  • 난타 홈페이지 http://nanta
    i-pmc.co.kr검색) [2015]
  • 깊은 뿌리
    김응준 한국학술정보 [2006]
  • 글로컬적 관점에서 본 한류에 대한 재평가
    김성수 『인문콘텐츠』제18호, 인문콘텐츠학회 [2010]
  • 글로컬문화콘텐츠의 세계관 기획에 관한 연구
    유제상 『글로벌문화콘텐츠』제13호,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3]
  • 박사
  •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역사학
    최갑수 『인문연구』 57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 박사
  • 근대적 서정의 형성과 이별의 양상
    정우택 『국제어문』 38집, 국제어문학회 [2006]
  • 공초 오상순 시선
    오상순 자유문화사 [1963]
  • 겨울의 꿈
    조재훈 창작과 비평사 [1984]
  •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화상품의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한류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화관광부 연구보고서』 [2005]
  • ㆍ님 웨일즈 지음, 조우화 역, 『아리랑』, , 동녘엘리자베스 코스토바, 조영학 역, 『히스토리언2』
    김산 김영사, 2005 [1984]
  • 『한국잡가전집』
    정재호 계명문화사 [1984]
  •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고은, 「아리랑」, 백낙청 엮음, 『어느 바람-고은 시선』
    강등학 창작과 비평사, 2002 [1996]
  • 『콰이강의 다리』
    정동주 한길사 [1999]
  • 『조선의 집단체조』
    김성모 평양. 조선평양외국문출판사 [2002]
  •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김기덕 신광철,『문화콘텐츠 입문』
    고정옥 인문콘텐츠학회 편, 북코리아, 2006 [1949]
  • 『정선의 아라리』
    김시업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2003]
  • 『절대의 철학』
    신오현 문학과 지성사 [1993]
  • 『전환기의 동아이사 문학』
    임형택 창작과비평사, 1985 [1985]
  •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 종합계획』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3]
  • 『아리랑현황조사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09『옥스퍼드 신조어사전(The Oxford Dictionary of New Words)』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1991]
  • 『아리랑특별전도록』
    국립민속박물관 [2012]
  • 『아리랑, 역사여 겨레여 소리여』, 조선일보사, 김종이, 『꽃소식』
    김열규 정은출판, 2008 [1987]
  • 『민속문화의 정체성 연구』
    이창식 집문당, 이태희, 「한국관광정책10(2001.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1 [2001]
  • 『문화기호학』, 아르케, 시노부 쥰페이(信夫淳平),「인천항25년사」『한반도』
    송효섭 동경당서점, 1901 [2000]
  • 『글로벌 한류 동향 및 활용 전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11]
  • 『광고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문정희, 『사랑의 기쁨』
    백승국 시월, 2010 [2005]
  • 『CT 비전 및 로드맵』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진흥원 [2005]
  • 『1896년 7월 24일 한민족 최초의 음원』
    정창관 국악녹음집(10) 특별판 CD [2007]
  • 「향토민요 아리랑의 존재양상과 장르동향」
    『소암권오성박사회갑기념음악회논총』 [2000]
  • 「한인 디아스포라 아리랑의 원형과 파생관계 연구」
    김보희 한국음악연구 제51집, 한국국악학회 [2012]
  • 「한류 3.0시대, 대장금, 겨울연가에서 K-POP까지」
    이투데이 [2012]
  • 「한국 음악민요의 유형적 고찰」
    金晋均(Kim Jin-Gyun) 『동서문화』 4, 동서문화연구소 [1970]
  • 「한국 넌버벌 포퍼먼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난타>공연의 문화기호학적방법론을 중심으로」
    유미애 인하대학교 대학원 문화경영학 석사논문 [2011]
  • 「통속민요의 성격과 전개양상 연구」
    홍성애 강릉대학교 석사논문 [1999]
  • 「케이팝(K-Pop)의 글로컬 전략과 혼종정체성: ‘포스트-한류’시대 케이팝의 사회문화적 지형에 대한 소고」
    양재영 『음악응용연구』 통권 제4호, 한국음악응용학회 [2011]
  • 「칼 융과 머세아 엘리아데의 종교 이해에 관한 비교연구: 원형이론을 중심으로」
    김재영 『종교연구』 17호, 종교연구학회 [1999]
  • 「칼 융 이후의 원형이론: 앙리 콜벵과 제임스 힐만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재영 『라캉과 현대정신분석』 8권1호,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06]
  • 「최승희 양의 무용을 보고-남다른 육체미」
    『동아일보』 [1927]
  • 「창극 연출에 대한 단상: 완판창극 <춘향전>을 중심으로」
    임진택 『세계화시대의 창극』, 국립중앙극장,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2002]
  • 「집단체조를 더욱 발전시킬 데 대하여」, 『김정일선집』 9권, 평양
    김정일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 「진화알고리즘을 이용한 Hub&Spoke 수송 네트워크 설계에 한한 연구」
    신경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6]
  • 「진도아리랑의 민속문학적 자질과 특징」
    이옥희 『남도민속연구』 제26집, 남도민속학회 [2013]
  • 「진도아리랑 형성의 음악적 배경」
    김혜정 『한국음악연구』35, 한국국악학회 [2004]
  •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 연구-호남지역 문화유산브랜딩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백승국 오장근 전형연 『인문콘텐츠』 제12호, 인문콘텐츠학회 [2008]
  • 「지리적 표시제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주헌 전현진 『지역발전연구』제19권 제1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0]
  • 「중세 판타지 게임의 세계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서성은 한국콘텐츠학회 [2009]
  • 「중국인이 느낀 아리랑 이미지」
    강보유 『남도민속연구』 제26집, 남도민속학회 [2013]
  • 「중국 실경공연 '印象(Impression) 시리즈' 벤치마킹 전략 연구: 문경새재 실경뮤지컬 '새재사랑가'를 중심으로」
    권갑하 『문화예술콘텐츠』 제5호 [2010]
  • 「종합편성채널의 브랜드 정체성과 브랜드 체계」
    윤홍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14, No.2, 한국콘텐츠학회 [2014]
  • 「조선팔도민속개관」
    송석하, 『신동아』 [1936]
  • 「조선총독부가 년에 실시한 ‘이요 이언급 통속적 독물 등 조사’에 대하여」
    임동권 『한국민요집』Ⅵ, 집문당, 1981 [1912]
  • 「조선민요아리랑-조선민요의 연구2」
    김지연 『조선』6월호, 조선총독부 [1930]
  • 「조선민요 아리랑 세계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록」
    북한 노동신문 [2015]
  • 「정암촌 '청주아리랑'의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충북학』제10집, 충북도,안신국, 「통일체적 세계관을 통한 소외된 여가의 극복」
    안상경 『동양사회사상』제23집,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2008]
  • 「전통민요의 자료 활용과 문화콘텐츠」
    이창식 『한국민요학』 11집, 한국민요학회 [2002]
  • 「전통민요의 자료 활용과 문화콘텐츠」
    『한국문학콘텐츠』, 청동거울 [2005]
  • 「전통문화유산의 지역문화콘텐츠 활용에 대한 고찰: 호남지역의 무형문화유산을중심으로」, 『한국민속학』Vol.49 No.1
    이윤선 한국민속학회 [2009]
  • 「전정환 정선군수, "년은 정선아리랑 세계화의 원년"」
    홍춘봉 『뉴시스』,2014.12.04 [2014]
  • 「전승절 60돌 경축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2013]
  • 「재현으로서의 남성성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분석: 비보이 현상을 중심으로」
    이수안 『사회과학연구』, 16권2호,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 「장소판촉과 장소성의 관광상품화」 , 『경영정보』Vol.15 No.2, 전남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 16쪽이정원 공정배 김용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의 배경 연구-중국조선족의 문화적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이정록 『한민족문화연구』제40집, 한민족문화학회, 2012 [2004]
  • 「장소의 재탄생」
    박상훈 장동련 디자인하우스 [2009]
  • 「작가의 말」
    송수권 『달궁아리랑』, 종려나무 [2010]
  • 「작가의 말」
    조정래 『아리랑』 1권, 해냄 [2007]
  • 「인문학 진흥? 인문학 위기 사회과학으로 번져」
    이유진 『한겨레』 [2014]
  • 「이스탄불-경주엑스포 ‘문경새재아리랑공연’ 뜨거운 관심」
    최주호 『아주경제』 [2013]
  • 박사
  • 「유네스코가 인정한 3만 명의 ‘떼창’ 놀랍다.」
    서진석 『오마이뉴스』 [2014]
  • 「유네스코 아리랑, 中 北 이의제기」
    김연갑 『뉴시스』 [2013]
  • 「연성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대한지리학회지」
    이정훈 제43권 제6호, 대한지리학회 [2008]
  • 「역사팩션 영상스토리텔링 유형 연구」
    장경재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석사논문 [2013]
  • 「아카지마 아리랑③ 일본으로 끌려간 한국남녀, 군부 위안부 아리랑」
    김연갑 『뉴시스』 [2015]
  • 「아리랑의 정체성과 현장성」
    이창식 『민요론집』 6집, 민요학회 [2001]
  • 「아리랑의 정신분석-상실에 맞서는 애도, 우울증, 열락의 언어」
    김승희 『Comparative Korean Studies』20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 「아리랑의 원형 연구」
    조용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아리랑의 브랜드화 전략에 관한 연구」
    황영미 동국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아리랑의 부류별 국면과 문화형질의 전승 맥락」
    강등학 『한국민요학』제35집, 한국민요학회 [2012]
  • 「아리랑의 권역별 음악특성 연구」
    이주연 원광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박사논문,26~28쪽
  • 「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
    강등학(Kang Deung-hag) 『남도민속연구』 제26집, 남도민속학회 [2013]
  • 「아리랑을 민족유산으로 지정한 북한, 그런데 우리는?」
    김연갑 『뉴시스』 [2012]
  • 「아리랑을 마치며, 글감옥에서 가출옥」, 『아리랑』 12권, 해냄, 주형진,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2010~2012)」
    조정래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6 [2007]
  • 「아리랑?동학정신, 청소년 즐겨 듣는 힙합 속에 담아야」
    이걸재 『대전일보』 [2014]
  • 「아리랑 연구의 현황과 과제」
    趙容晧 『어문논집』제43집, 민족어문학회 [2010]
  • 「아리랑 연구사」
    趙容晧(Cho Yong-ho) 『한국문학과 예술』제6집 [2010]
  • 「아리랑 기원의 제설에 대한 검토」
    김창주 『대동사학』 제2집, 대동사학회 [2003]
  •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
    김연갑 『한국의 아리랑 문화』, 도서출판 박이정 [2011]
  • 「싸이, 3D애니 ‘넛잡’ 특별출연 “‘강남스타일’ 말춤 춘다”」
    박민경 『세계일보』 [2013]
  •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 세계화 방법론」
    김영재 『한국언어문화』 제44집,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 「신무대 초연을 보고」
    극예술동인회합평, 『동아일보』 [1931]
  • 「신동립의 잡기노트 329-아리랑, 사이 강남스타일처럼」
    신동립 『뉴시스』 [2012]
  • 「식민지 영화의 내셔널리티와 ‘향토색’: 년대 후반 조선영화 담론 연구」
    이화진 『상허학보』제13집, 상허학회, 2004 [1930]
  • 「시조의 시대성 수용 양상과 형식미학」
    권갑하 『한국시조시학』제2호, 한국시조시학회 [2014]
  •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 이후의 아리랑 전쟁」
    『주간조선』2243호 [2013]
  • 「브랜드 아이덴티티 측면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위한 콜라보레이션 전략연구」, 『다자인지식저널』Vol. 23
    박찬음 장청건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 「북한잡지가 소개한 아리랑의 연원과 의미」
    김두환 『연합뉴스』 [2002]
  • 「북한 아리랑, 유네스코 등재된다면…공동선의 정치역학」
    김연갑 『뉴시스』 [2014]
  • 「북 생활문화스포츠 10대 뉴스」
    김소열 데일리NK, 2008.12.25 [2008]
  • 「민족의 노래, 아리랑 세계 속으로」
    SBS뉴스 [2012]
  • 「민요창극」
    박주언 『진도군지』, 진도군지편찬위원회 [2007]
  • 「민요의 정치사학」
    이창식 『비교민속학』 26집, 비교민속학회 [2004]
  • 「민요소고(1)」
    이광수 『조선문단』 제3호, 조선문단사, 이기형, 『해연이 날아온다』, 실천문학사, 2007 [1924]
  • 「민요 〈아리랑〉에 대한 북한의 인식 태도」
    김영운 『한국음악연구』 제54집, 한국음악학회 [2013]
  • 「미디어 아트 기반의 체험형 문화콘텐츠 연구」
    김민경 손영실 윤준성 한국디자인포럼 Vol.22,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 「문화콘텐츠 산업의 국제화 사례 연구」
    고정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11]
  • 「문화원형 개념과 활용」
    김교빈 『인문콘텐츠』 6호, 인문콘텐츠학회 [2005]
  • 「문화강국 코리아를 위한 제언」
    Breen, M. L.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최 ‘한류 콘텐츠글로벌 진출 활성화 컨퍼런스’ 발표자료 [2011]
  • 「문경아리랑의 정체성-역사적 기억의 재현」
    김연갑 『국립아리랑박물관건립 국회 정책토론회 자료집』 [2013]
  • 「문경새재아리랑 위상의 음악적 검토」
    최헌 《문경새재아리랑 위상과 지평》, 문경문화원 [2013]
  • 「무형문화조사사업의 의미와 아리랑유산 지정」
    이창식 『한국민요학』제36집, 한국민요학회 [2012]
  • 「무궁화의 국가 문화브랜드화 전략 연구」
    김영만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망각된 냉전체제하의 ’아리랑‘: 년 남북단일팀 국가가 되기까지의 남북한 <아리랑> 정전화 과정」
    임경화 상허학보 37집, 상허학회, 2013 [1963]
  •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두드림의 공감각적 장치와 맛의 이미지」
    백승국 오장근 전형연 『한국학논집』 제31집, 한국학회 [2004]
  • 「동아시아 대중문화물의 수용과 혼종성의 이해」
    김수정 양은경 『한국언론학보』제50권 1호, 한국언론학회 [2006]
  • 「글로컬문화콘텐츠의 원형 분석: ‘트랜스포머’를 중심으로」
    유제상 『글로벌문화콘텐츠』 8호, 한국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2]
  • 「글로벌시대의 문화,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박치완 『해석학연구』 제27권, 해석학회 [2011]
  • 「근대민요 아리랑의 성격 형성」
  • 「근대 초기 한 조선인 혁명가의 동아시아 인식-님 웨일즈의 <아리랑>을 중심으로」
    이해영 『한중인문학연구』27, 한중인문학회 [2009]
  • 박사
  •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 모델을 적용한 현대건축의 특성 분석」
    홍근표 고려대 대학원박사논문 [2013]
  • 「권력 세습과 예술정치: 『극장국가 북한』 저자(정병호 권헌익)에게 듣는다」
    안은별 『프레시안』 [2013]
  • 「국가 문화브랜드로서 창극의 새로운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제26집, 한국언어문화학회, ,김용범, 「문화관광부의 100대 민족문화상징의 선정과 향후 과제」
    김용범 『아시아민족조형학보』통권 제7집,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07 [2004]
  • 「국가 문화브랜드 아리랑의 글로벌 콘텐츠화 전략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53집
    권갑하 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 「관현악 ‘문경고개’의 음악적 특성에 대한 연구」
    方權一(Quan-Yi Fang) 『남북문화예술연구』 통권 제7호, 남북문화예술학회 [2010]
  • 「고전문학 작품의 정체성과 그 현대적 변용-<옥루몽>의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김풍기 『고전문학연구』 제30집, 한국고전문학회 [2006]
  • 「北 김정은 후계체제 '상징 조작」
    조수영 『세계일보』 [2010]
  • 「『매천야록』소재 <아리랑> 기사의 실상과 의미」
    기미양 『한국민요학』제36집, 한국민요학회 [2012]
  • 「‘문화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화」
    박상천 제33집, 한국언어문화학회, , 한국언어문화학회, 2007쪽 [2007]
  •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아 연구: 스마트 미디어기반 실감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심희철 조병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3권 제5호, 한국콘텐츠학회 [2013]
  • 「F. 줄리앙의 신문화론과 글로컬 공공선」
    김기홍 박치완 동서철학연구 73권, 한국동서철학회 [2014]
  • 「CT혁명 문화 판도를 바꾼다<3> 디지털로 부활하는 역사」
    윤환준 donga.com [2009]
  • 「<아리랑>곡의 유래」,『이병도 수필집: 두계잡필』
    이병도 일조각 [1956]
  • 「6 25 생존노병 찾는데 혈안이 된 김정은의 꼼수」
    주성하 『동아일보』 [2013]
  • 「'영향'에서 '대화'로: 문화상호작용과 글로컬리티」
    김수환 인문연구 제57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 ‘아리랑’등 자작 전부를 말함
    나운규 『삼천리』 [1932]
  • ‘아리랑’ 영화들에 나타난 내셔널 시네마적 특성 연구
    황영미 『ComparativeKorean Studies』 20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 http://www.youtube.com/watch?v=_aVi1LpMKmg&feature=youtu.be“아리랑고개 집을 짓고 오는 이 가는 이 정들어 주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띄어라 노다 가자”, http://www.youtube.com/watch?v=wwjjbfd1tWk(2014.2.16.)정선군청(www.jeongseon.go.kr), 진도군청(www.jindo.go.kr),밀양시청(www.miryang.go.kr), 문경시청(www.gbmg.go.kr)(2014.2.23.)도시와 다른 도시 간 거리를 총 합계한 거리. ‘네이버 실시간 길찾기 서비스’ 확인(2014.4.9.), http://map.nate.com/maps/route/#!
    /main한스타일 홈페이지 http://www.han-style.com [2014]
  • http://baykoreans
    net/current/115651검색) [2015]
  • Wellman, B., “Little Boxes, Glocalization, and Networked Individualism”, DigitalCities Ⅱ; Computational and Sociological Approaches, (ed) Makoto Tanabe, Petervan den Besselaar, and Toru Ishida. A volume in Springer Lecture Notes inComputer Science: The State of the Art Series, Springer-Verlag, 2002, pp.11~25.
  •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sota: Universityof Minnesota Press. 1977.
  •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Managing Brand Equity(2nd edition), Prentice, (케빈 레인 켈러, 이상빈?김준석?최윤희 역, 『브랜드 매니지먼트』
    Keller, K. L. 비즈니스북스, 2007.) [2007]
  • Simon, Anholt, Brand new justice-the upside of Global Brand. 2003.
  • Ritzer, G., Globalization, Wiley-Blackwell, 2010
  • R. Young. Colonial desire: hybridity in theory, culture and race. New York:Routledge, 1995
  • Paul Hopper, Understanding Cultural Globalization Cambridge: Polity Press, 2007.
  • Morgan, N., Pritchard, A and Pride, R., 2002. Destination Branding - Creating theunique destination proposition, Elsevier Science LTD.
  • Michael Ryan, Cultural Studies. A Practical Introduction, Wiley-Blackwell, 2010
  • Malcolm Waters, Globalization, New York: Routledge, 2001.
  • L. Boia, pour une histoire de l'imaginaire, Les Belles Lettres, 1998
  • Kotler, et al.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s, industries and tourism tocities, states and n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1993.
  •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thecustomer-based brand eauity. 1993.
  • Kavaratzis M., From city marketing to city branding; Towards a theoreticalframework for develoing city brands:, Place Branding, Vol. 1, 1, 2004
  • K-pop의 성장 지속화 방안 : 가수 싸이(PSY)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이현진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석사논문 [2014]
  • H-R. Wicker. From complex culture to cultural complexity, Debating CulturalHybridity: Multi-Cultural Identities and the Politics of SimonHenry Jenkins, Convergence Culture
    (New York: NYU Press), ,(헨리 젠킨스,『컨버전스 컬쳐』, 김정희원 김동신 역, 비즈앤비즈, 2008) [2006]
  • Eugene Chen Eoyang, Two-way Mirrors--Cross-Cultural Studies inGlocalization, (Plymouth: Lexington Books), 2007
  • E, Gray and L. R. Smeltzer, SRM forum: corporate image-an integral part ofstrategy, Sloan Management Review, 1985H.B Hulbert, 「Korean Vocal Music」,『The Korea Repository』 1896. 2.
  • Davi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s, Free Press. NY. 1996.
  • Cultures and societies in a changing world
    Wendy, Griswold (Newbury Park: P i n eForge Press), <신문 방송> [1994]
  • Clifford Geertz, The Interpreation of Cultures, (New York: Basic Books, INC), 1973
  • Chris Barker, The Sage Dictionary of Cultural Studies, (London: Sage Publications),2004
  • Cai, L. A., Cooperative branding for rural destin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29(3), 2002.
  • Anti-Racism(deds. by Werbner, Pnina and Tariq Modood). London & New Jersey:Zed Books, 1997
  • Aaker?Erich Joachimsthaler, Brand leadership: the next level of the brandrevolution, (이상민?최윤희 역, 『브랜드 리더십』, 서울. 비즈니스북스?
    David A. 브랜드앤컴퍼니, 2007.) [2000]
  • ?임경호, 「공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사례 분석」, 「조형학연구」, Vol.12 No 6
    이지혜 기초조형학회 [2011]
  • 박사
    <밀양아리랑 >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 연구
    곽동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2]
  • <문경새재소리아리랑 >의 아리랑사적 위상
    김기현 『한국민요학』제29집, 한국민요학회 [2010]
  • <논문>강등학, 「19세기 이후 대중가요의 동향과 외래양식 이입의 문제」, 『인문과학』 제31집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2001]
  • 80년대, 산업 현장과 아리랑-영화 <구로아리랑 >의 사회적, 수사적 의미
    이채원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 19세기 인천에서 불려졌던 <아리랑 >의 근대적 성격
    허경진 『동방학지』제115집,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2]
  • (이정훈?김사라?조아라 역, 『장소 브랜딩: 고유한 목적지 가치 제안』, ,경기개발연구원.)Pellemans, Le marketing qualitatif
    Amserdam, 199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