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근대 미인 담론과 이미지

김지혜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지혜
    • 기타서명 Discourses and images on modern Korean beauty
    • 형태사항 삽화: vii, 297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홍선표, 참고문헌: p. 247-259
    • 학위논문사항 2015. 8. 졸업, 미술사학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 DDC 700
    • 발행지 서울 :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한국 근대 미인 담론과 이미지' 의 참고문헌

  • 히로시게, 김성호 역, 『미나카이백화점』
    하야시 논형 [2007]
  • 화용월태의 표상: 한국 미인화의 신체 이미지
    홍선표 『한국문화연구』6 [2004]
  • 현대성의 형성,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김진송 현실문화연구 [1999]
  • 한국화장문화사
    전완길 열화당 [1987]
  •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유선영 한국언론재단 [2007]
  • 한국영상자료원, ~2014『한국의 신문광고 100년』
    신문박물관, 2004 [2008]
  •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편
    『신문기사로 본 조선영화』~1926 [1911]
  • 한국여성철학회 엮음, 『여성의 몸에 관한 철학적 성찰』
    철학과현실사 [2000]
  •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 : 시각, 쟁점, 역사』
    창비 [2005]
  • 한국근대여성의 일상문화
    이화형 1-9, 국학자료원 [2004]
  • 한국근대미술사
    홍선표 시공아트 [2009]
  • 한국광고단체연합회, 『한국광고 100년』
    한국광고단체연합회 [1996]
  • 박사
    한국 근대의 잡지 표지 이미지 연구
    서유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한국 근대미술의 여성 표상 - 脫性化와 性化의 이미지
    홍선표 『한국근현대미술사학』10 [2002]
  • 박사
  • 하루야마 유키오, 임희선 옮김, 『화장의 역사』
    사람과 책 [2004]
  • 하루야마 유키오, 강승구 외 옮김, 『서양 광고 문화사』
    한나래출판사 [2007]
  • 표상 공간의 근대
    이효덕 소명출판 [2002]
  • 편, 『이토록 아찔한 경성: 여섯 가지 풍경에서 찾아낸 근대 조선인들의 욕망과 사생활』
    한성환 꿈결 [2012]
  • 편, 『신여성 길 위에 서다』
    나혜석 서경석 호미 [2007]
  • 편, 『동아시아의 근대와 근대성』
    홍선표 학고재 [2009]
  • 편, 『근대 일본의 ‘조선 붐’』
    박진수 역락 [2013]
  • 편, 『구보씨 사진구경 가다: 1883-』
    이경민 아카이브북스, 2007 [1945]
  • 크로포드, D.W., 김문환 옮김, 『칸트 미학 이론』
    서광사 [1995]
  • 케티 콘보이 외 엮음,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2001]
  • 초기 ‘신여성’의 사회진출과 여성교육
    박정애 『여성과 사회』, 창작과비평사 [2000]
  • 진노 유키, 문경연 역, 『취미의 탄생: 백화점이 만든 테이스트』
    소명출판 [2008]
  • 존 클락, 「근대성의 색인들」,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에서 쇼와 모더니즘까지』
    소명출판 [2012]
  • 존 버거, 편집부 역, 『이미지: 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1990]
  • 조선연구회 편저, 『조선미인보감』
    민속원 [2007]
  • 장파, 유중하 옮김,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2004]
  • 박사
  • 일제시대 ‘조선 향토색’
    박계리 『한국근현대미술사학』4 [1996]
  • 박사
    일제강점기 조선인 여성의 시각화와 이미지 생산
    윤소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3]
  • 일본어잡지로 보는 식민지영화2
    김계자 [2012]
  • 일본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해서 본 조선과 조선관광
    서기재 『日本語文學』13 [2002]
  •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 지평의 확대』
    소명출판 [2006]
  •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소명출판 [2007]
  •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 『근대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소명출판 [2004]
  • 이목 옮김, 『미녀란 무엇인가』
    장징 뿌리와이파리 [2004]
  • 육체의 근대화 : 할리우드 모더니티의 각인
    유선영 『문화과학』24 [2000]
  • 유교경전번역총서 편찬위원회, 유교문화연구소 옮김, 『論語』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위생의 시대 - 병리학과 근대적 신체의 탄생
    고미숙 북드라망 [2014]
  • 움베르트 에코, 이현경 옮김, 『미의 역사』
    열린책들 [2005]
  • 와카쿠와 미도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일본문화 언어학과 옮김, 『황후의 초상
    소명 [2007]
  • 옮김, 『혜환 이용휴 시전집』
    박동욱 이용휴 조남권 소명출판 [2002]
  • 옮김, 『육체와 예술』
    부룩스 이봉지 피터 문학과지성사 [2000]
  • 옮김, 『내셔널리즘의 편성』
    고모리 요이치 한윤아 소명출판 [2012]
  • 옮김, 『근대 일본의 연애론』
  • 옮김, 『근대 도시공간의 문화경험: 도시공간으로 보는 일본근대사』
    나리타 류이치 서민교 뿌리와이파리 [2011]
  • 옮김, 『감성의 근대』
    고모리 요이치 허보윤 소명출판 [2011]
  • 예쁜 여자 만들기
    이영아 푸른역사 [2011]
  • 연애라는 표상
    김지영 소명출판 [2007]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 편,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4]
  •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대와 젠더 세미나팀' 옮김, 『확장하는모더니티: ~30년대 근대 일본의 문화사』
    순야 요시미 소명, 2007 [1920]
  •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新女性』
    한겨레신문사 [2005]
  •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 근대와 젠더 세미나팀' 옮김, 『근대 知의 성립』
    나리타 류이치 소명출판 [2011]
  • 역, 『백화점의 탄생: 봉 마르셰 백화점, 욕망을 진열하다』
    가시마 시게루 장석봉 뿌리와 이파리 [2006]
  •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김경일 푸른역사 [2004]
  • 엘리자베스 하이켄, 권복규, 정진영 옮김, 『비너스의 유혹』
    문학과지성사 [2008]
  • 엘리스 K.팁튼, 존 클락 엮음, 이상우 외 옮김,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에서 쇼와 모더니즘까지』
    소명출판 [2012]
  • 에로 그로 넌센스 - 근대적 자극의 탄생
    소래섭 살림출판사 [2005]
  • 언론조선총독부
    정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안석영 만문만화 연구
    신명직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아서 마윅, 채은진 옮김, 『미모의 역사: 아름다운 외모는 인간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말글빛냄 [2009]
  • 신지, 「일본 미인화의 탄생, 그리고 환영」
    하마나카 『미술사학보』25 [2005]
  •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최혜실 생각의 나무 [2000]
  • 신여성
    문옥표 청년사 [2003]
  • 신문 광고를 통해 본 근대 여성의 미의식
    이율화 『디자인학연구』21 [2008]
  • 식민지 조선의 또 다른 이름, 시네마천국
    김승구 책과함께 [2012]
  • 서양근대철학회, 『서양근대미학』
    창비 [2012]
  • 샌드라 리 바트키, 「푸코, 여성성, 가부장적 권력의 근대화」, 『여성의 몸, 어떻게읽을 것인가』
    한울 [2001]
  • 샌더 L. 길먼, 곽재은 역, 『성형수술의 문화사』
    이소출판사 [2003]
  • 상품의 시대
    권창규 민음사 [2014]
  • 사회학사전
    고영복 사회문화연구소 [2000]
  • 사토 도신, 「‘일본미술’이라는 제도」, 『근대 知의 성립』
    소명출판 [2011]
  • 베아트리스 퐁타넬, 김보현 옮김, 『치장의 역사: 아름다움을 향한 여성의 욕망, 그매혹의 세계』
    김영사 [2004]
  • 밸러리 멘데스 외, 김정은 옮김, 『20세기 패션』
    시공사 [2003]
  •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 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세계․주체
    차승기 푸른역사 [2009]
  • 미리엄 실버버그, 강진석 외 옮김, 『에로틱 그로테스크 넌센스: 근대 일본의 대중문화』
    현실문화 [2014]
  • 무라사와 히로토, 송태욱 옮김, 『미인의 탄생』
    너머북스 [2010]
  • 몸 주체 권력-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강미라 이학사 [2011]
  • 모던일본사,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
    어문학사, 2007 [1939]
  • 모던일본사,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
    어문학사, 2009 [1940]
  • 모던걸- 일본제국과 여성의 국민화
    신하경 논형 [2009]
  • 리어우판, 장동천 외 옮김, 『상하이 모던: 새로운 중국 도시 문화의 만개, -1945』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930]
  • 로버트 보콕, 양건열 옮김, 『소비: 나는 소비한다, 고로 존재한다』
    시공사 [2003]
  •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권중달 휴머니스트 [2006]
  • 돈 슬레이터, 정숙경 옮김, 『소비문화와 현대성』
    문예출판사 [2000]
  • 대중적 감수성의 탄생-도박, 백화점, 유행
    강심호 살림출판사 [2005]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편, 『근대 한국의 일상생활과 미디어』
    민속원 [2008]
  • 다네히사, 신나경 옮김, 『예술의 조건: 근대 미학의 경계』
    오타베 돌베개 [2012]
  • 기무라 료코, 이은주 옮김, 『주부의 탄생: 일본여성들의 근대와 미디어』
    소명출판 [2013]
  • 기모노 모습의 여성상에 비춰진 근대 일본의 아이덴티티: 메이지 중기에 새롭게 만들어진 ‘미인’ 표현에 대해
    고지마 가오루 『美術史論壇』28 [2009]
  • 근대적 일상과 풍속의 징조: 한국 개화기 인쇄미술과 신문물 이미지
    홍선표 『美術史論壇』21 [2005]
  • 근대적 육체와 일상의 발견
    서범석 경희대학교출판국 [2006]
  • 근대의 책읽기: 독자의 탄생과 한국 근대문학
    천정환 푸른역사 [2003]
  • 근대의 역습—우리를 디자인한 근대의 장치들
    오창섭 홍시커뮤니케이션 [2013]
  • 박사
    근대 소설의 형성과 삽화 연구
    공성수 서강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박사
    근대 문학시장의 형성과 신문·잡지의 역할
    유석환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강명관 휴머니스트 [2012]
  • 국사편찬위원회, 『‘몸’으로 본 한국여성사』
    경인문화사 [2011]
  • 국민국가의 정치적 상상력
    이승원 소명출판 [2003]
  • 광고로 보는 한국화장의 문화사
    신인섭 김영사 [2002]
  • 고이치 저, 연구공간수유 역, 『일본 근대의 풍경』
    유모토 그린비 [2004]
  • 경성의 모던걸
    서지영 여이연 [2013]
  • 경성리포트
    최병택 시공사 [2009]
  • 겡이치, 민주식 역, 『미학사전』
    사사키 동문선 [2002]
  • 게오르그 짐멜, 안준섭 외 역, 『돈의 철학』
    한길사 [1983]
  • 黒岩比佐子, 『明治のお嬢さま』, 東京: 角川学芸出版, 2008
  • 高階秀爾, 『美人畵の系譜: 心で感じる「日本繪畵」の見方』, 東京: 小學館, 2011.
  • 韓國女性洋裝變遷史
    유수경 일지사 [1990]
  • 韓國近代美學의 前史
    金文煥 『한국학연구』4 [1992]
  • 開闢
  • 開化期 日本留學生들의 言論出版活動 硏究: 1884-1898
    차배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金井景子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女学校と女子教育』, 東京: ゆまに書 房, 2009.
  • 近代 日本에서 官展의 역할과 주요 作品分析
    고지마 가오루 『美術史論壇』13 [2001]
  • 聞広告を中心に」, 『コミュニケーション科学』, 2004.
  • 細野正信, 『近代の美人』, 京都: 京都書院, 1988.
  • 竹内幸絵, 『近代広告の誕生: ポスターがニューメディアだった頃』, 東京: 青土社, 2011.
  • 皇城新聞
  • 疋田雅昭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出版メディア』, 東京: ゆまに書房, 2012.
  • 生田誠, 『モダンガール大図鑑: 大正・昭和のおしゃれ女子』, 東京: 河出書房新社, 2012.
  • 水谷真紀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少女』, 東京: ゆまに書房, 2009.
  • 每日申報
  • 榧野八束, 『近代日本のデザイン文化史 1868-1926』, 東京: フィルムアート社, 1992.
  • 林みちこ, 「초기 文展에 보이는 ‘여성독서도’에 대하여」
    『美術史論壇』3 [1996]
  • 東亞日報
  • 朝鮮日報
  • 朝鮮中央日報
  • 朝光
  • 時代日報
  • 時事新聞
  • 方一柱, 「戦前期の朝鮮における日本の広告: 大正期(1913-1926)の「京城日報」の新
  • 新女性
  • 新聞広告奨励会 編纂, 『新聞廣告総覧』, 東京: ゆまに書房, 2004.
  • 新東亞
  • 彗星
  • 廼地戎雄, 『明治・大正・昭和のラベル、ロゴ、ポスター』, 東京: 誠文堂新光社, 2008.
  • 宮内淳子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女優と男優』, 東京: ゆまに書房, 2011.
  • 姬D市立美術館 印刷博物館 編, 『大正レトロ昭和モダン廣告ポスタ―の世界: 印刷技術 と廣告表現の精華』, 東京: 國書刊行會, 2007.
  • 大韓民報
  • 大韓每日申報
  • 大阪每日新聞
  • 大谷省吾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広告と商業美術』, 東京: ゆまに書房, 2005.
  • 大伏肇, 『近代日本広告史: 資eが語る』, 東京: 東京堂出版, 1990.
  • 垂水千恵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モダンガール』, 東京: ゆまに書房, 2006.
  • 和田博文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資生堂』, 東京: ゆまに書房, 2006.
  • 別乾坤
  • 兒島薰, 「文展開設の前後おける「美人」の表現の変容について」, 『近代畵說』16, 2007. 12.
  • 倉田公裕, 『鏑木清方: 逝きし明治のおもかげ』, 東京: 平凡社, 2008.
  • 佐野宏明 編, 『浪漫図案: 明治・大正・昭和の商業デザイン』, 京都: 光村推古書院, 2010.
  • 佐藤朝美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美容・化粧・装身』, 東京: ゆまに書 房, 2009.
  • 佐伯順子, 『明治美人論』, 東京: NHK出版, 2012.
  • 京城日報
  • 井上章一, 『美人論』, 東京: 朝日文芸文庫, 1995.
  • 井上章一, 『美人コンテスト百年史』, 東京: 朝日文芸文庫, 1997.
  • 井上章一, 『性欲の研究: エロティック・アジア』, 東京: 平凡社, 2013.
  • 久米依子 編,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 職業’人』, 東京: ゆまに書房, 2011.
  • 三好一, 『日本のポスター: 明治大正昭和』, 東京: 紫紅社, 2003.
  • タニ・バーロウ, 伊藤るり 外, 『モダンガールと植民地的近代』, 東京: 岩波書店, 2010
  • 『女性』
  • 『女人』
  • 『한국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박용옥 지식산업사 [2003]
  • 『한국광고사』
    신인섭 나남, [1986]
  •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권보드레 소명 [2012]
  • 『한국 근대 광고 걸작선 100: 1876-』
    신인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945]
  • 『학교의 탄생: 100년 전 학교의 풍경으로 본 근대의 일상』
    이승원 humanist [2005]
  • 『풍류정신으로 보는 중국문학사』
    최병규 예문서원 [1997]
  • 『파란만장한 일제강점기 기생인물 생활사 꽃을 잡고』
    신현규 덕경 [2005]
  • 『투상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1945년의 한국영화사를 되집다』
    김려실 삼인, 2006 [1901]
  • 『질병의 사회사』
    신규환 살림 [2006]
  • 『중국의 광고』
    신인섭 나남 [1991]
  • 『조선 회화』
    홍선표 한국미술연구소CAS [2014]
  • 『일본어 잡지로 보는 식민지 영화』3
    정병호 [2012]
  • 『일본어 잡지로 보는 식민지 영화』1
    김태현 [2012]
  • 『일본 근대 서양화』
    국립중앙박물관 [2008]
  • 『연애의 시대: 년대 초반의 문화와 유행』
    권보드레 현실문화연구, 2003 [1920]
  • 『여학생, 근대를 만나다』
    엄미옥 역락 [2011]
  • 『신여성, 근대의 과잉: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 담론과 젠더정치, -1934』
    김수진 소명출판, 2009 [1920]
  • 『식민지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
    이경돈 천정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 『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한국근대공예사론』
    최공호 미술문화 [2010]
  •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식민지 조선을 파고든 근대적 감정의 탄생』
    소래섭 웅진지식하우스 [2011]
  • 박사
    『별건곤』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맹현정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명화를 만나다: 한국근현대회화 100선』
    국립현대미술관 [2013]
  • 『동양미학론』
    이상우 시공아트 [2012]
  •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이경민 사진아카이브연구소 [2005]
  • 『근대 채색인물화』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11]
  • 『광고로 읽는 한국 사회문화사』
    마정미 개마고원 [2004]
  • 『광고로 읽는 여성: 년대 잡지광고에 비친 여성의 모습』
    김대환 이희복 한경사, 2007 [1930]
  • 『광고 그리고 일상(1876-』
    부산근대역사관, 2004 [1945]
  • 『고백: 광고와 미술, 대중』
    일민미술관 [2012]
  • 『경성 카메라 산책』
    이경민 아카이브북스 [2012]
  • 『겸재 정선: 붓으로 펼친 천지조화』
    국립중앙박물관 [2009]
  • 『靑春』
  • 『芸術新朝: 美人畵考現學』, 1984. 8.
  • 『美しき日本, 大正・昭和の旅』, 東京都歷史文化財團, 東京都江戶東京博物館, 每日新 聞社, 2005.
  • 『百貨店, 근대의 별천지』
    부산근대역사관 [2013]
  • 『獨立新聞』
  • 『浮世絵美人くらべ: ポーラ文化硏究所コレクション』, 東京: ポーラ文化硏究所, 2004.
  • 『江戶のMODE』, 那珂川町馬頭広重美術館, 2009.
  • 『日本の美術: 美人風俗畵』, 東京: 至文堂, 2006.
  • 『新女子』
  • 『新家庭』
  • 『広告は語る: アドミュージアム東京 収藏作品集』, 東京: 吉田秀雄記念事業財團, 2005.
  • 『帝國新聞』
  • 『官展にみる近代美術: 東京, ソウル, 台北, 長春』, 福岡アジア美術館, ”中市美術館, 兵庫県立美術館, 2014.
  • 『大阪資e 古典籍室 小展示』77, 大阪: 大阪”立圖書館, 2007. 5.
  • 『和モード: 日本女性, 華やぎの裝い』, 東京:サントリー美術館, 2007.
  • 『協成會會報』
  • 『佳人, 동양미술 속의 아름다운 사람들』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11]
  • 『中央』
  • 『中外日報』
  • 『三千里』
  • 『ダブル・インパクト: 明治ニッポン美』, 東京: 東京藝術大學大學美術館, 2015.
  • 『’人』
  • 『AD STUDIES: 特輯 明治期の広告, 近代広告の幕開き』9, 東京: 吉田秀雄記念事業 財團, 2004.
  • 『1920-30년대 한국의 영화 관객성 연구』
    주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2005]
  • 「황색 식민지의 서양영화 관람과 소비실천, -1942: 제국에 대한 ‘문화적 부인’의 실천성과 정상화 과정」
    유선영 『언론과 사회』, 2005 [1934]
  • 「한말 일제하 사회진화론 연구」
    박성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8]
  • 「한국미술사에서의 근대와 근대성」
    홍선표 『동아시아의 근대와 근대성』, 학고재 [2009]
  • 「한국 근대회화에서의 누드」
    김영나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5 [1993]
  • 박사
    「한국 근대광고 형성과 발전에 미친 미국과 일본의 영향」
    신기혁 중앙대학교대학원 신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 「한국 근대 여성잡지의 표지화를 통해 본 여성 이미지: 『新女性』과 『女性』을 중심으로」
    이윤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사
  • 「한국 근대 신문소설 삽화 연구: ~1920년대를 중심으로」
    강민성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10]
  • 「한국 근대 신문광고 디자인의 변화에 관한 사회사적 고찰」
    함부현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청대의 미인 이미지 고찰」
    박청아 『근대를 만난 동아시아 회화』, 사회평론 [2011]
  • 「전람회 시대: 『京城日報』-1945)의 미술자료」
    문정희 『美術史論壇』38,2014. 6 [1906]
  • 「일제시대 대전과 조선미전의 식민주의」
    문정희 『모던 혼성: 동아시아의 근현대미술』, 한국미술연구소CAS [2014]
  • 박사
  • 「일상 속의 영화: 2, 30년대 영화와 일상생활의 관련 양상 연구」
    장두식 『근대한국의 일상생활과 미디어』, 민속원 [2008]
  • 「일본 근대 여성의 신여성론 연구: 년대를 중심으로」
    최현주 서강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910]
  • 「우리영화 100년」
    김종원 정중헌 현암사 [2001]
  • 「욕망으로서의 근대」
    목수현 『아시아문화』 [2010]
  • 「식민지 문학의 여성 얼굴성 연구: -30년대 여성화장 담론을 중심으로」
    김경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20]
  • 「식민지 ‘조선’과 제국 ‘일본’의 여성표상」
    김혜신 시노부 이케다 『확장하는 모더니티: ~30년대 근대 일본의 문화사』, 소명출판, 2007 [1920]
  • 「소년에서 청춘까지, 근대적 지식의 스펙터클」
    윤세진 『소년과 청춘의 창: 잡지를 통해 본 근대 초기의 일상성』,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 「상하이 모던 경성 모던: 소비문화 공간의 매체와 여성 이미지」
    문정희 『모던 혼성: 동아시아의 근현대미술』, 한국미술연구소CAS [2014]
  • 「기생사진과 조선향토색의 유통」
    이경민 『황해문화』, 봄 [2005]
  • 「근대기 멜로드라마 서사 형성의 한 장면: 영화와 영화설명 <東道>를 중심으로」
    구인모 『한국민족문화』48 [2013]
  • 「근대광고 50년: 자본주의의 식욕과 배탈」
    목수현 『광고의 신화, 욕망, 이미지』 [1992]
  • 「근대 한일 잡지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김대환 이희복 『일본학연구』18 [2006]
  • 「근대 신문광고(1886- 내용분석 연구」
    김인숙 이두원 『광고학연구』15:5,2004 [1949]
  • 「근대 상품광고로 본 신여성의 이미지」
    김응화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근대 문화자본의 태동과 소비 주체의 형성」
    권창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관광의 형성과정을 통해 본 근대 시각성 연구: 년대 이후 일본의 조선관광과 여행안내서를 중심으로」
    전수연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00]
  • 「검열이 예술의 제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년대 여성나체화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배홍철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20]
  • 박사
    「개화기 신문 광고 시각 이미지 연구」
    박혜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감상의 시대, 조선의 미국 연속영화」
    백문임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4]
  • 「韓國 開化期의 揷畵硏究」
    홍선표 『美術史論壇』15 [2002]
  • 「美人萬能, 한국 근대기 화장품 신문 광고로 읽는 미인 이미지」
    김지혜 『美術史論壇』37 [2013]
  • 「美 개념 유형에 따른 유가미학 해석방법에 대한 고찰: 기존 유가미학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성진숙 『동양철학연구』64 [2010]
  • 「朝鮮美術展覽會」의 室內女性像 硏究」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明代 女性作家의 美人圖 題畵詩 硏究: 미인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강경희 『中國語文學誌』39 [2012]
  • 「日帝强占期 化粧品 廣告에 나타난 女性像의 美意識 考察」
    박경미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安碩柱 신문소설 삽화 연구: 년대를 중심으로」
    이유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920]
  • 「大韓民報」의 만화에 대한 연구」
    정희정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경성인’의 형성과 근대 영화산업 전개의 상호연관성 연구」
    유코 호시노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0世紀 韓國繪畵에서의 傳統論」
    박계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930년대 여성 잡지광고에 비친 여성의 이미지」
    이희복 『커뮤니케이션학 연구』15:3, 2007 [2007]
  • 「1910년대 『매일신보』의 성격에 관한 연구」
    김진두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1910年代 『每日申報』飜案小說 揷畵 硏究: <長恨夢>과 <斷腸錄>을 중심으로」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09]
  • 박사
  • Sarah Jane Downing, Beauty and cosmetics, 1550-1950, Oxford, UK: Long Island City, NY: Shire, 2012.
  • Elwood Watson, Darcy Martin, There she is, Miss America: the politics of sex, beauty, and race in America's most famous pageant,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4.
  • Elissa Stein, Beauty queen: here she comes, San Francisco: Chronicle Books, 2006.
  • Carol Dyhouse, Glamour: women, history, feminism, London: Zed Book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0.
  • Candace Savage, Beauty queens: a playful history, New York: Abbeville Press, 1998.
  • 박사
  • 1920-30년대 신여성담론과 상징의 구성
    김수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