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한국어 출판번역에서의 재맥락화 양상 : ‘교육적 기대규범’ 측면에서

강경이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강경이
    • 기타서명 Recontextualization aspects in the publication translation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n Korea : focusing on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 형태사항 삽화: xii, 336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혜림, 참고문헌: p. 297-310
    • 학위논문사항 통역번역학과,, 학위논문(박사)-, 2015. 8.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 DDC 400
    • 발행지 서울 :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한국어 출판번역에서의 재맥락화 양상 : ‘교육적 기대규범’ 측면에서' 의 참고문헌

  • 황수정. 년 3월 29일. 「‘태백산맥’ 11년만에 무혐의로」
    박경호 서 울신문 [2004]
  • 현단계 아동문학 장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수록처: 『한국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김상욱 외
    여을환 서울: 청동거울. 200-230 [2013]
  • 해방 이후 아동문학 장(場)에서의 『레미제라블』 수용양상 연구
    고지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11호: 259-294 [2012]
  •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www
    hanuribook.or.kr
  • 한국현대번역문학사연구 상․하
    김병철 서울: 을유문화사 [1998]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서울: 박이정 [2009]
  • 한국출판은 왜 아동문학에 집착하는가. 수록처: 『북페뎀-01어린이책』
    한기호 서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106-114 [2002]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www
    kpipa.or.kr
  • 한국의 도서심의제도에 관한 고찰
    김상호 『서지학연구』. 32집: 161-178 [2005]
  • 한국어 은유연구
    박영순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0]
  • 한국어 교육에서의 호칭어, 지칭어 교육현황과 개선방안
    강소상 전은주 『새국어교육』. 제95호. 363-389 [2013]
  •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홈페이지 [2014]
  • 한국문학평론가협회,『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www
    kpec.or.kr
  • 한국 아동문학의 외국어 번역에 있어 자국화와 이국화―『고양이 학교』영역본 사례 연구
    오미형 『동화와 번역』. 13권: 187-214 [2007]
  • 프랑코 알셀라, 하비에르. 번역에서의 문화특정 항목. 수록처: 『번역,권력, 전복』. 윤일환 옮김
    서울: 동인. 85-125 [2007]
  • 폴킹혼, 도날드.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Narrative knowing and the304human sciences)』. 강현석, 이영효, 최인자, 김소희, 홍은숙, 강웅경 옮김
    서울: 학지사 [2009]
  • 포터. 『서사학 강의: 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우찬제, 이소연, 박상익, 공성수 옮김
    애벗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0]
  • 페어클러프, 노먼. 『담화분석방법-사회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분석(Analysing discourse : textual analysis for social research)』. 김지홍 옮김
    서울: 도서출판 경진 [2012]
  • 테오. 규범 그리고 번역의 결정: 이론적인 틀. 수록처: 『번역,권력, 전복』. 윤일환 옮김
    허만스 서울: 동인. 45-84 [2007]
  • 크레인 윌리암. 『발달의 이론: 개념과 적용(Theories of Develop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송길연, 유봉현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 출판번역과 텍스트의 ‘재맥락화’―『셀프헬프』를 중심으로
    강지혜 『번역학연구』. 8(1): 7-34 [2007]
  • 최근 출간된 청소년 소설의 경향
    한미화 『창비어린이』. 제43호: 19-32 [2013]
  • 초등 상업용 문학도서의 현황과 문제점
    곽춘옥 『독서연구』. 제26호:171-202 [2011]
  • 청소년의 욕설사용에 대한 질적연구
    손진희 이영수 최윤진 『청소년문화포럼』. 제33호: 146-172 [2013]
  • 청소년은 무엇으로 자라는가--번역된 외국 청소년소설의 어제와오늘
    박정애 『창비어린이』. 4(4): 64-76 [2006]
  • 청소년소설의 장르 용어 고찰. 수록처: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장르론』. 김상욱 외
    오세란 서울: 청동거울. 284-309 [2013]
  • 청소년 유해 영상물 이용실태 및 영향 연구보고서
    유홍식 서울: 국가청 소년위원회 [2005]
  • 청소년 욕설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이동민 『화법연구』. 제20호:171-204 [2012]
  • 청소년 권장도서 선정의 비판적 검토
    김근호 『독서연구』. 제26호:265-302 [2011]
  • 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www
    readread.or.kr
  • 창작동화에서의 문학성과 대중성―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을 중심으로
    이성자 『아동문학평론』. 37(1): 85-99 [2012]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유기웅 서울: 박영사 [2012]
  • 지난 10여 년간 동화, 아동소설의 흐름과 장르 문제. 수록처:『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김상욱 외
    선안나 서울: 청동거울. 177-199 [2013]
  • 중한 출판번역에서 나타난 다시쓰기 형태
    김혜림 『번역학연구』. 13(4):9-54 [2012]
  • 박사
    중국 출판산업의 변화와 인터넷문학
    김택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3]
  • 제대로 된 통역번역의 이해
    정호정 서울: 한국문화사 [2008]
  • 전국독서새물결모임 www
    readingkorea.org
  • 재대련. 신춘문예동화의 아동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은진 『어린이문학교육』. 5(2): 107-129 [2004]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 익숙한 곳에서 그만 떠날 때
    황선미 『창비어린이』. 제22호: 50-61 [2008]
  • 이중 독자층이 내재한 아동문학의 번역양상 고찰―『버드나무에부는 바람』을 중심으로
    선주원 『번역학연구』. 10(3): 141-159 [2009]
  • 이제 본격적인 청소년문학의 깃발을 올리자―사계절 1318문고를 만들면서. 『북페뎀-03
    최옥미 청소년 출판』. 98-121 [2003]
  • 이스라엘, 포르투나토. 『통번역과 등가( Identite, alterite, equivalence? : latraduction comme relat)』. 이향, 편혜원, 김도훈 옮김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유머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
    한성일 『텍스트언어학』. 제17호: 309-332 [2004]
  • 월 2월 18일. 「‘게르마늄 라디오', 청소년 유해성 논란」
    강종훈 연합뉴스 [2011]
  • 옮김
    남원준 정연일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영상물등급위원회 www
    kmrb.or.kr
  • 에버스, 한스 하이노. 『아동 청소년 문학의 서(Literature fur kinder und jugendliche)』. 김정회 옮김
    서울: 유로서적 [2008]
  • 에마뉘엘 외. 『검열에 관한 검은 책(Le Livre Noir de la CENSURE)』. 권지현 옮김
    피에라 서울: 알마 [2012]
  • 어린이책 동향에 관한 연구―출판유통과 마케팅을 중심으로
    신종락 『한국출판연구』. 35(1): 215-235 [2009]
  • 어린이문학은 어떤 장르를 이야기하는가?. 수록처:『한국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김상욱 외
    김서정 영미권의 서울: 청동거울. 372-408
  • 어린이도서의 서평에 관한 연구―독서교육 관점으로의 접근
    민경록 『서지학연구』. 제 55집: 491-522 [2013]
  • 어린이도서연구회 www
    childbook.org
  • 어린이 추천도서, 어떻게 볼 것인가
    최성일 『창비어린이』. 1(2): 192-205 [2003]
  • 아침독서운동 www
    morningreading.org
  • 아동발달이론
    이성태 파주 : 학현사 [2007]
  • 아동문학의 한영 번역전략 연구
    권인경 『동화와 번역』. 23권: 15-40 [2012]
  • 아동문학의 장르와 용어. 수록처: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김상욱 서울: 청동거울. 154-176 [2013]
  • 박사
  • 아동문학번역에 나타난 번역의 자율성―『크리스마스 캐럴』의경우
    이인규 『번역학연구』. 13(2): 185-208 [2012]
  • 아동문학교육
    이성은 서울: 교육과학사 [2003]
  • 아동 청소년 문학 번역의 특수성과 오류 분석
    김정용 『독어교육』. 제55집: 237-261 [2012]
  • 아동 및 청소년도서 선정도구 평가에 관한 연구― 권장도서목록을 중심으로
    이연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1-26 [2006]
  • 아동 독자를 고려한 번역전략 고찰―『홍당무』성인본과 아동본의 비교연구
    박선희 『통역과 번역』. 14(1): 117-138 [2012]
  • 서사교육론
    우한용 서울: 동아시아 [2001]
  • 브루디외.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Ce que parler veut dire: l'economie des echanges linguistiques)』. 정일준 옮김
    피에르 서울: 새물결 [1995]
  • 벨, 로저. 『번역과 번역하기―이론과 실제(Translation and translating:theory and practice)』. 박경자, 장연준 옮김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0]
  • 베누티, 로렌스. 『번역의 윤리-차이의 미학을 위하여(The scandals oftranslation) 』. 임호경 옮김
    서울: 열린책들 [2006]
  • 번역에 대한 제도적 관점의 중요성 고찰: ‘제도번역’ 개념을 중심으로
    강지혜 『번역학연구』. 13(5): 7-32 [2012]
  • 반공주의와 검열 그리고 문학
    이봉범 『상허학보』. 15집: 49-95 [2005]
  • 바질, 메이슨, 이안. 『담화와 번역가(Discourse and the translator)』. 최진실, 김동연, 이미경, 김성옥, 신진원 옮김
    하팀 서울: 동인 [2011]
  • 미국 아동문학과 검열
    이우학 『동화와 번역』. 제20권: 307-323 [2010]
  • 문화체육관광부 www
    mcst.go.kr
  • 문학작품의 요약번역에 대한 연구 -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를 중심으로
    김희진 『통번역학연구』. 16(1): 65-85 [2012]
  • 문학권력과 번역― 권장도서목록이 아동문학 출판번역에 미치는영향을 중심으로
    성초림 『번역학연구』. 14(5): 143-167 [2013]
  • 문학교육을 위한 텍스트의 제문제: 아동문학 텍스트와 초등 문학교육
    원종찬 『문학교육학』. 제24권: 63-86 [2007]
  • 문학 번역에서의 격식성(formality)의 변화
    김순미 『번역학연구』. 11(1) :128-159 [2010]
  • 로만 알바레즈, M. 카멘 아프리카 비달. 『번역, 권력, 전복(Tranlation, Power, Subversion)』. 윤일환 옮김
    서울: 동인 [2008]
  • 디지털 시대 미디어 폭력 연구
    곽진희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4]
  • 동화창작의 실제
    박상재 『아동문학평론』. 33(4): 157-175 [2008]
  • 독일 아동․청소년문학과 문학교육
    김정용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 독서교육과 독서평가
    천경록 『독서연구』. 제4호: 7-43 [1999]
  • 도서의 수준과 도서 선정에 관한 사회적 요인 탐색
    정옥년 『독서연구』. 26호: 97-136 [2011]
  • 대한출판문화협회 www
    kpa21.or.kr
  • 대학생들의 유교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강주희 한중일 황승연 『공자학』. 제20호: 255-299
  • 다중체계이론과 한국 현대 번역 문학사
    전현주 『번역학연구』. 5(1):167-182 [2004]
  • 니콜라예바, 마리아.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Ae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조희숙, 지은주 옮김
    서울: 교문사 [2009]
  • 년 9월 8일. 「사드 소설 '소돔의 120일' 배포중지 수거」
    백나리 연합뉴스 [2012]
  • 년 9월 30일. 「금서에서 고전으로… 불편한 진실 '10대의 性'」
    박선영 한 국일보 [2011]
  • 년 6월 21일. 「이적성 논란 통일교재 제작 이장희 교수 항소 심도 무 죄」
    이정은 동아일보 [2001]
  • 년 3월 3일. 「아쿠타가와 문학상 수상작 한국에선 청소년 유해간행 물?」
    이윤주 한국일보 [2011]
  • 년 3월 28일. 「아동청소년문학 오늘을 말한다―(하) 박상률&김종 광 작가 좌담」
    이윤주 한국일보 [2012]
  • 년 3월 27일. 「아동청소년문학 오늘을 말한다―(중) 해외는 장르화 추세」
    이윤주 한국일보 [2012]
  • 년 3월 26일. 「아동청소년문학 오늘을 말한다―(상)‘완득이’대성공 4년 후」
    이윤주 한국일보 [2012]
  • 년 2월 20일. 「美 최고 동화, 단어 한 마디에 금서 위기」
    박선영 한국일보 [2007]
  • 년 1월 11일. 「출판계 블루오션, 아동도서 시장」
    이윤주 주간한국 [2009]
  • 년 12월 10일. 「‘1318’ 본격 교양문학선 또 하나의 아우성」
    김중식 경향 신문 [1998]
  • 권장도서의 선정 현황에 관한 연구
    김시내 현은자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4(2): 17-53 [2003]
  • 권장 도서목록을 버려야 하는 이유
    김은하 『창비 어린이』. 제10호:49-67 [2005]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2008]
  • 국립국어원 www
    korean.go.kr
  •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핀 청소년 눈눞에 맞춘 집필요령.
    최광렬 『북페뎀-03, 청소년 출판』 222-231 [2003]
  • 공격 영화 시청이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곽금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92]
  • 고봉만. 청소년 문학의 특성에 대한 연구- 단순화와 대체를 중심으로
    고봉만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35집: 1-33 [2011]
  • 赵凡,田海龙. 2013. 再语境化新解:元话语视角. 『天津外国语大学学报』. 20(4):1-6.
  • 譚旭東. 2005. 当代儿童小说发展述论. 『涪陵师范学院学报』. 21(1): 18-23.
  • 罗沁. 2013. 『21世纪中国儿童文学关键词研究』. 硕士學位論文, 中南大学.
  • 百度百科
  • 王菊芳, 王银泉. 2013. 商业意识形态对卡通片字幕翻译的操控―从勒菲弗尔的翻译 理论谈. 『语文学刊』. 第7期: 33-36.
  • 王建华. 2010. 权力规范对翻译活动的操纵作用研究. 『河北大学学报』. 35(1):97-103.
  • 汪徽,张辉. 2014. Van Dijk的多学科语境理论述评. 『外国语』. 37(2): 78-85.
  • 汤素兰. 2013. 中国儿童文学的变化发展趋势. 『创作与评论』. 22: 14-18. 308
  • 梁志坚. 2006. 意识形态对安徒生童话译介的操纵―以《卖火柴的女孩》中文译本 为例. 『中国翻译』. 27(1): 27-31.
  • 查明建. 2004. 文化操纵与利用:意识形态与翻译文学经典的建构―以20世纪五六十 年代中国的翻译文学为研究中心. 『中国比较文学』. 第2期: 86-102.
  • 查明建, 谢天振. 2007. 『中国20世纪外国文学翻译史』. 湖北: 湖北教育出版社.
  • 李运兴. 2010. 『翻译语境描写论纲』. 北京: 清华大学出版社.
  • 張國龍. 2011. 2000-2010年中国儿童文学现象考察. 『东岳论丛』. 32(9): 48-55.
  • 孔宝刚. 2013. 『儿童文学理论与实践』. 上海. 复旦大学出版社.
  • 向红. 2011. 『互文翻译的语境重构——以《红楼梦》英译为例』. 博士学位论文, 上海交通大学.
  • 俞佳乐. 2006. 『翻译的社会性研究』. 上海: 上海译文出版社.
  • 『홍당무』번역의 과거와 현재―아동본 번역의 쟁점들. 『번역학연구』
    박선희 13(2): 65-88 [2012]
  • 『현대소설론』
    유태영 서울: 국학자료원 [2012]
  • 『한어와 중국어의 대우어 대조 연구』
    김청룡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2]
  • 『한국의 사회와 호칭어』
    왕한석 서울: 역락 [2005]
  • 『한국어의 호칭어, 지칭어 교수―학습방안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최경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1]
  • 『한국어와 중국어 경어법 대조 연구』
    요흔동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13]
  • 『한국어 높임 표현과 중국어 높임 표현의 대조 연구』
    오영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0]
  • 『한국아동문학의 형성―아동의 발견, 그 이후의 문학』
    조은숙 서울:소명출판 [2009]
  • 『초등학교 저학년 권장도서 선정에 관한 연구』
    강향옥 석사학위논문,전남대학교 [2001]
  • 『청소년문학과 문학교육』
    성경수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0]
  • 박사
  • 박사
    『청소년 소설의 교육 방안 연구』
    박소현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13]
  • 박사
    『중등학교 독서자료 선정기준 연구』
    임영규 박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2007]
  • 『잠시 검열이 있곘습니다―먹칠과 가위질 100년의 사회사』
    한만수 서울: 개마고원 [2012]
  • 『우리말답게 번역하기』
    이석규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2]
  • 『영한 아동문학 번역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성승은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10]
  • 『영상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임선영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5]
  • 『언어유희 한영 자막번역전략 연구』
    오미형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0]
  • 『어린이문학의 즐거움(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1/ 2』. 김서정 옮김
    노들먼, 페리 서울: 시공주니어 [2001]
  • 『어린이도서선정에 관한 연구』
    김수경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995]
  • 『아동문학의 이해』
    신헌재 서울: 박이정 [2009]
  • 박사
  • 『아동문학의 교육적 기능 분석(초등학교 일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황기순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2000]
  • 『아동문학교육론―창작이론과 실제』
    임원재 서울: 신원문화사 [2000]
  • 『아동문학교육 개정판』
    강문희 이혜상 서울: 학지사 [2008]
  • 『아동문학 영한번역의 ‘규범’ 연구―가독성과 가화성을 중심으로』.
    신지선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아동문학 中韓 번역에서의 문장 형태 연구: ‘용구슬 소동(龍王鬧海)'을 중심으로』
    이수연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09]
  • 『신춘문예 동화의 문학 교육적 연구』
    이은진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2004]
  • 『소학독본』에서 ‘해리포터’ 시리즈까지―한국 어린이 출판의작은 역사. 『북페뎀- 01 어린이책』
    이현주 138-148 [2002]
  • 『번역학 입문: 이론과 적용(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먼디, 제레미 [2006]
  • 『동화의 교육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 읽기교과서를 중심으로』
    허미은 석사학위 논문, 중부대학교 [2002]
  • 『관련성 이론에 근거한 영한 영상번역연구』
    정인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07]
  • 박사
  • 박사
    『고등학교 권장도서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이주희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2012]
  • 『걸리버 여행기』번역에 나타난 교육적 목적의 변환 고찰. 『동화와 번역』
    선주원 11권: 171-195 [2006]
  • 『20세기 한국문학 중역사(中譯史) 연구―이데올로기와 문학번역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학철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9]
  • 「콘텐츠산업통계」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발간 [2011]
  • 「콘텐츠산업통계」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발간 [2012]
  • 「도서저작권 수출 가이드북―중국편」
    출판진흥원 발행 [2014]
  • 「국민독서실태 조사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발간 [2013]
  • 「교육학개론」
    김범준 서울: 서현사 [2007]
  • 「개정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2007]
  • 「간행물심의연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발간 [2013]
  • “大中華”論 과 當代 중국민족주의 분석
    김경국 이강복 최승현 최지현 『중국학논총』. 제21집: 395-411 [2006]
  •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 정치―1950년대 번역 정책과 번역문학장
    박지영 『대동문화연구』. 제71집: 477-514 [2010]
  • Van Dijk, Teun A. 2009. Society and Discourse: A sociocognitive approach. Cambr 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ymoczko, Maria. 2006. "Translation: ethics, ideology, action”. Assachusetts Revi ew. 47(3): 442-461.
  • Thomson-Wohlgemuth, Gaby. 2006. “Flying High-- Translation of hildren’s liter ature in East Germany”. In Children’s literature in translation-challeng es and strategies. Edited by Jan Van Coillie, Walter P. Verschueren. 47-60. Manchester: St.Jerome.
  • Stolze, R. 2003. “Translating for children―world view or pedagogics?”. Meta. 48(1-2): 208-221.
  • Sperber, Dan. and Wilson, Deirdre. 1986. Releve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 n. Oxford: Blackwell.
  • Shavit, Zohar. 2006.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A Reader. Edited by Gillian Lathey. 15-24. Clev edon: Multilingual Matters.
  • Sch ffner, Christina. 2003. Third Ways and New Centres: Ideological Unity or Dif ference? In Apropos of Ideology. Edited by Maria Calzada-P rez. 23-41. Manchester: St. Jerome.
  • Pounds, Gabrina. 2011. “'Foreignizing' or 'Domesticating' the Ideology of Paren tal Control in Translating Stories for Children: Insights from Contrastive Discourse Analysis”. Applied Linguistics. 32(3): 277-298.
  • Pascua-Febles, Isabel. 2006. “Translating Cultural References― The Language of Young People in Literary Texts”. In Children’s literature in translation -challenges and strategies. Edited by Jan Van Coillie, Walter P. Verschue ren. 111-121. Manchester: St.Jerome.
  • O’Sullivan, Emer. 2003. “Narratology meets Translation studies, or The voice o f the Translator in Children’s Literature”. Meta. 48(1-2): 197-207.
  • O’Connell, Eithne. 2006. “Translating for children”. In The Translation of chil dren’s literature- A Reader. Edited by Gillian Lathey. 15-24.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 Oittinen, Riitta. 2006. “No innocent act―On the Ethics of Translating for childr en”. In Children’s literature in translation-challenges and strategies. Ed ited by Jan Van Coillie, Walter P. Verschueren. 35-45. Manchester: St.Jer ome.
  • Nike K, Pokorn. 2012. Post-socialist Translation Practices- Ideological strugglein c hildren’s literature. Amsterdam/Philadelphia: J. Benjamins.
  • Mdallel, Sabeur. 2003. “Translat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e Arab World: The State of The Art”. Meta. 48(1-2): 298-306.
  • Lefevere, Andr . 1992. Translation, rewriting and the manipulation of literary fra me. London: Routledge.
  • Joosen, Vanessa. 2006. “From Breaktime to Postcards—How Aidan Chambers Go es(Or Does Not Go) Dutch” In Children’s literature in translation-chall enges and strategies. Edited by Jan Van Coillie, Walter P. Verschueren. 61-78. Manchester: St.Jerome.
  • Inggs, Judith A. 2011. “Censorship and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in the So viet Union—The example of the Wizards OZ and Goodwin”. Target. 23 (1): 77-91.
  • House, Juliane. 2006. “Text and context in translation”. Journal of pragmatics. 38(3): 338-358.
  • Halliday, M.A.K. and Hasan, Ruqaiya. 1989. Language, context, and text: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 semiotic perspective. Oxford and New York: Oxfo rd University Press.
  • Halliday, M.A.K. 1994. An Introduction to Fuctional Grammar(2nd ed.). London: Edward Arnold.
  • Gutt, Ernst-August. 2000. Translation and relevance: Cognition and context(2nd e dition). Manchester: St. Jerome.
  • Frank, Helen T. 2007. Cultural Encounters in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I mage of Australia in French Translation. Manchester: St. Jerome.
  • Fernandez Lopez, Marisa. 2006. “Translation studies in contemporary children’s literature: a comparison of intercultural ideological factors”. In The Tra 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A Reader. Edited by Gillian Lathey. 41 -53.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 Fairclough, Norman. 1995.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 guage. New York/London: Longman.
  • Desmidt, Isabelle. 2006. “A prototypical approach within descriptive translation st udies? Colliding norms in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 s literature in translation-challenges and strategies. Edited by Jan Van C oillie, Walter P. Verschueren. 79-96. Manchester: St.Jerome.
  • Coillie, Jan Van. 2008. “The Translator’s New Clothes Translating the Dual Au dience in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Meta 53(3): 549-568.
  • Chesterman, Andrew. 1997. Memes of Translation: The spread of ideas in transla tion theory. Amsterdam/Philadelphia: J. Benjamins.
  • Bernstein, Basil. 1990. The structuring of pedagogic discourse. London: Routledge.
  • Baker, Mona. 2006b. Translation and Conflict: A Narrative Account. New York/Lo ndon: Routledge: Routledge.
  • Baker, Mona. 2006a. “Contextualization in translator- and interpreter-mediated e vents”. Journal of pragmatics. 38(3): 321-337.
  • Alvstad, Cecilia. 2003. “Publishing strategies of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I n argentina: a combined approach”. Meta. 48(1-2): 266-275.
  • (좌담)한중 아동문학의 만남―“교육적 구속과 상업적 유혹에서 아동문학을 구하자”
    류쉬위안 원종찬 『창비어린이』. 제30호: 208-223 [2010]
  • (좌담)아동문학의 르네상스를 돌아본다―새천년10년간의 한국 아동문학
    선안나 원종찬 이재복 『창비어린이』. 제28호: 23-5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