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백제 후기 정치 세력 연구 = A Study on political forces in the latter part of Baekje

장미애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장미애
    • 형태사항 26 cm: 235 p.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순근
    • 학위논문사항 국사학과 한국고대사,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논문(박사)-, 2015. 8
    • 발행지 부천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백제 후기 정치 세력 연구 = A Study on political forces in the latter part of Baekje' 의 참고문헌

  • 「唐의 羈縻支配와 北方 遊牧民族의 對應」
    김호동 『역사학보』137 [1993]
  • 笠井敏光
    「昆支王と飛鳥千塚古墳群」『백제문화』50 [2014]
  • 李賢惠, ,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
    일조각 [1984]
  • 李純根, , 「新羅時代 姓氏取得과 그 意味」『韓國史論』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0]
  • 李純根, , 「三國統一期 三國의 對外戰略(1)」『人文科學硏究』3
    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8]
  • 李浩炯
    「公州 丹芝里 橫穴墓群을 통해 본 古代 韓日交流」『한국고대사연구』50 [2008]
  • 柳元迪
    「唐 前期의 支配層」『강좌 중국사Ⅱ』 [1990]
  • 鈴木英夫, 1980, 「7世紀中葉における新羅の対倭外交」『国学院雑誌』81-10
  • 梁正錫
    「彌勒寺址 塔址의 調査過程에 대한 檢討」『한국사학보』36 [2009]
  • 盧泰敦, , 「三國의 成立과 發展」『한국사』2
    국사편찬위원회 [1984]
  • 羅濟同盟의 結成 背景과 高句麗의 對外關係
    강종훈 『대구사학』105 [2011]
  • 羅幸柱
    「왜 왕권과 백제 신라의 『質』」『일본역사연구』24 [2006]
  • 金裕哲
    「梁 天監初 改革政策에 나타난 官僚體制의 新傾向」『魏晉隋唐史硏究』1집 [1994]
  • 한성시대 후기 정치사의 전개
    양기석 『한성백제사2-건국과 성장』,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8]
  • 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이한상 서경문화사 [2009]
  •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백제학회 편, , 『대발견 사리장엄 미륵사의 재조명』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백제학회 [2009]
  • 엘리아데, 이은봉 역,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 신라 집권관료제 연구
    하일식 혜안 [2006]
  • 수촌리 백제고분군 조영세력 검토
    강종원 『백제연구』42 [2005]
  •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05]
  • 삼국통일전쟁사
    노태돈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 백제정치사연구
    노중국 일조각 [1988]
  • 백제의 천도
    김수태 『한국고대사연구』36 [2004]
  • 백제의 국제관계
    양기석 서경문화사 [2013]
  • 백제와 근초고왕
    김기섭 학연문화사 [2000]
  • 백제사회사상사
    노중국 지식산업사 [2010]
  • 백제부흥운동사
    노중국 일조각 [2003]
  • 백제 탕정성 연구
    유 원 재 『백제논총』3 [1992]
  • 백제 사비시대의 좌평제 연구
    양기석 『충북사학』9 [1997]
  • 백제 무왕의 정국운영
    김주성 『신라사학보』16 [2009]
  •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이남석 『선사와 고대』26 [2007]
  • 백제 東城王 암살사건 재검토
    김기섭 『한국학논총』34 [2010]
  • 목간
    이용현 『백제문화사대계 연구총서』1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 당 고종대 대외 정책의 성격과 의미
    염경이 『중국사연구』75 [2011]
  • 관산성전투에 대한 새로운 고찰
    전덕재 『신라문화』34 [2009]
  • 고흥 안동고분 축조의 역사적 배경
    김영심 ( Young Shim Kim ) 『백제문화』5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 고대한일관계사
    연민수 혜안 [1998]
  •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권오영 돌베개 [2005]
  • 고구려사 연구
    노태돈 사계절 [1999]
  • 高句麗의 漢水流域 喪失의 原因에 대하여
    노태돈 『韓國史硏究』13 [1976]
  • 韓國考古學槪說
    金元龍 일지사 [1979]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1992,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鈴木靖民
    「7세기 중엽의 정변과 동아시아」『백제사의 비교연구』 [1993]
  • 遺民墓誌로 본 고구려, 백제의 官制
    김영심 『韓國古代史硏究』75 [2014]
  • 遠山美都男, 1996, 「「丁未の役」の再構成-推古朝 成立前夜の權力鬪爭」『国史学』159
  • 近藤浩一
    「新羅 眞平王代 後期의 對倭外交」『일본학연구』22 [2007]
  • 百濟 박사제도의 운용과 변천
    양기석 『백제문화』49,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 百濟 黑齒家의 成立과 黑齒常之
    강종원 『백제연구』, 충남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3]
  • 百濟 威德王代 王興寺의 創建과 背景
    양기석 『문화사학』31 [2009]
  • 田村圓澄, 2002, 「古代朝鮮と仏敎」『古代東アジアの国家と仏敎』, 吉川弘文館
  • 田中史生, 2010, 『倭國と渡來人 - 交錯する「內」と「外」』, 吉川弘文館
  • 武田幸男, 1980, 「六世紀における朝鮮三国の国家体制」『日本古代史講座4朝鮮三国と倭国』, 學生社
  • 椵岑城의 位置와 그 戰鬪의 역사적 성격
    전덕재 『역사와 경계』87 [2013]
  • 森公章, 2002, 「倭國から日本へ」『日本の時代史3 倭國から日本へ』, 吉川弘文館
  • 村山正雄, 1974, 「百濟の大姓八族について」『古代の朝鮮』
  • 朴天秀
    「榮山江流域 前方後圓墳을 통해 본 5~6세기 韓半島와 日本列島」『백제연구』43 [2006]
  • 日本書紀
  •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이기동 [1984]
  • 彌勒寺 舍利奉安記를 통해 본 武王・義慈王代의 政治的 動向
    정재윤 『한국사학보』37 [2009]
  • 山本孝文, , 「百濟 泗沘都城의 官僚와 居住空間」『古代 都市와 王權』
    서경 [2005]
  • 山本孝文
    「考古學으로 본 三國時代의 官人」『한국고대사연구』54 [2009]
  • 山尾幸久, 2003, 『古代の日朝關係』, 塙選書
  • 山尾幸久
    「7世紀 中葉의 동아시아」『백제연구』23 [1992]
  • 坂元義種, 1978, 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吉川弘文館
  • 古代東亞細亞幕府體制硏究
    金翰奎 일조각 [1997]
  • 古代 韓日 政治交涉史 硏究
    정효운 학연문화사 [1995]
  • 南東信
    「新羅 中古期 佛敎治國策과 皇龍寺」『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22 [2001]
  • 加耶聯盟史
    김태식 일조각 [1993]
  • 佐藤信
    「6世紀 倭와 韓半島諸國」『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1권 [2005]
  • 今西龍, 1934, 『百濟史硏究』, 近澤書店
  • 井上直樹, 이재석 역, ,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와 가야제국」『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梁書』, 『周書』, 『北史』, 『隋書』, 『舊唐書』, 『新唐書』, 『冊府元龜』
  • 『羅州 新村里 9號墳』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 『정치학』
    이극찬 법문사 [1999]
  • 『익산 입점리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1989]
  • 『백제의 성곽』
    서정석 학연문화사 [2002]
  • 『백제왕흥사』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8]
  • 『백제사 연구』
    이기동 일조각 [1996]
  •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 서경곽장근, 1999, 『湖南東部地域 石槨墓硏究』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편 [2004]
  • 『백제 국가권력의 확산과 지방』
    강종원 서경문화사 [2013]
  • 『동아시아 속의 백제 정치 제도』
    정동준 일지사 [2014]
  • 『百濟史料原文集(Ⅱ)』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5]
  •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增東國輿地勝覽』
  • 「禮山 鳳首山城(任存城)의 現況과 特徵」
    이남석 『백제문화』28 [1999]
  • 「한반도 남부지역의 왜계 횡혈식석실의 구조와 계통」
    홍보식 『한반도의 전방후원분』 [2013]
  • 「한국 고대사회의 용 신앙 연구」
    황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충남지역 백제 성곽 연구」
    김영심 『백제연구』30 [1999]
  • 「죽은 왕자를 위해 원찰을 세운 창왕의 애도기, 왕흥사지 사리기 명문」
    노중국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 학연문화사 [2014]
  • 「익산지역의 백제편입 과정과 武王의 세력 기반」
    장미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 「익산 미륵사 창건의 신앙적 배경」
    조경철 『한국사상사학』32 [2009]
  • 「의자왕 후기 지배층의 분열과 백제의 멸망」
    남정호 『백제학보』4 [2010]
  • 「웅진시대 백제의 귀족세력」
    이기백 『백제연구』9 [1982]
  •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정재윤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웅진 천도 배경과 사비 천도 조성 과정」
    박순발 『백제도성의 변천과 연구상의 문제점』 [2002]
  • 「웅진 사비시기 百濟의 領域」
    김영심 『古代 東亞細亞와 百濟』, 서경문화사 [2003]
  • 「왕궁리유적의 최근 발굴성과」
    전용호 『익산왕궁리유적 발굴조사 20 [2009]
  • 「신라 왕경의 방어체계」
    강종훈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27 [2006]
  • 「수촌리 고분군과 백제의 웅진천도」
    이남석 『역사와 역사교육』11 [2005]
  • 「성왕의 한강 유역 점령과 상실」
    김주성 『백제사상의 전쟁』, 서경문화사 [2000]
  • 「백제지방통치체제의 연구」
    김영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 「백제의 좌평」
    이종욱 『진단학보』45 [1975]
  • 「백제의 대왜외교」
    연민수 『백제연구』27 [1997]
  • 「백제 의자왕대의 對倭外交」
    김수태 『백제연구』33 [2004]
  • 「백제 사택지적비의 연구사와 사상경향」
    조경철 『백제문화』45, 공주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11]
  • 「백제 사비시대 정치사 연구」
    김주성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백제 사비도성의 축조시기에 대하여」
    심정보 『사비도성과 백제의 성곽』 [2000]
  • 「백제 사비도성의 경영과 왕권」
    강종원 『고대 도시와 왕권』 [2005]
  • 「백제 사비 천도의 재검토」
    이도학 『동국사학』39 [2003]
  • 「백제 복성(複姓)의 출현과 그 정치적 배경」
    오택현 『역사와 현실』88 [2013]
  • 「백제 귀족가문 연구」
    노중국 『대구사학』48 [1994]
  • 「백제 沙氏勢力의 중앙귀족화와 재지기반」
    강종원 『백제연구』45 [2007]
  • 「묘제를 통해 본 수촌리 유적의 연대와 성격」
    이훈 『백제문화』33,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4]
  • 「대전지역 고대산성고」
    성주탁 『백제연구』5 [1974]
  • 「관산성 전투의 양상과 영향」
    양기석 『중원문화논총』12 [2008]
  • 「관산성 전투 전후 시기 대가야 백제와 신라의 대립」
    김영심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고흥 길두리고분 출토 金銅冠과 백제의 王 候制」
    문안식 『한국상고사학보』 55 [2007]
  • 「고구려 도살성고」
    민덕식 『사학연구』36 [1983]
  • 「고고자료를 통한 백제 사비 천도의 재인식」
    이남석 『백제문화』43, 공주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10]
  • 「경기도 화성에서 금동관모와 금동신발 등 출토」
    문화재청보도자료 [2014]
  • 「가야의 대외관계」
    이용현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1]
  • 「高句麗 平壤 遷都의 原因에 대하여」
    김병남 『전북사학』19 [1997]
  • 「舍利器 銘文을 통해 본 백제 사비시기 국왕과 귀족세력의 권력관계」
    김영심 『한국사연구』163 [2013]
  • 「益山지역 정치체의 史的 전개와 百濟史上의 益山勢力」
    노중국 『마한 백제문화』15,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1]
  • 「百濟의 貴族家門 硏究 : 木劦(木)씨 세력을 중심으로」
    노중국 『대구사학』48 [1998]
  • 「百濟의 姓氏와 貴族家門의 出自」
    노중국 『대구사학』89 [2007]
  • 「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
    노중국 『한국사론』4,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8]
  • 「百濟 義慈王代의 政治變動」
    김수태 『한국고대사연구』5 [1992]
  • 「百濟 義慈王代의 政治 變動에 대한 檢討」
    이도학 『백제문화』33, 공주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4]
  • 「百濟 義慈王代 王族의 動向」
    김수태 『백제연구』28 [1998]
  • 「百濟 武王의 大耶城 進出 企圖」
    김주성 『백제연구』49 [2009]
  • 「百濟 武王代의 阿莫城 전투의 과정과 그 결과」
    김병남 『역사학연구』22 [2004]
  • 「百濟 武王代의 政治勢力」
    김수태 『마한 백제문화』14 [1999]
  • 「百濟 末 政治 勢力과 百濟의 滅亡」
    장미애 『백제연구』58,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 「百濟 官等制의 成立과 運營」
    김영심 『국사관논총』82 [1998]
  • 「百濟 威德王의 정치와 외교」
    김수태 『한국인물사연구』2 [2004]
  • 「百濟 典支王 蓋鹵王代 王族의 擡頭와 王權强化」
    문동석 『경희사학』24 [2006]
  • 「百濟 ‘王權中心 貴族國家’ 政治運營體制 硏究」
    전우식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白江에 대한 硏究現況과 問題點」
    심정보 『백제문화』32 [2002]
  • 「泗沘都城의 행정구역 편제」
    김영심 『泗沘都城과 百濟의 城郭』, 서경문화사 [2000]
  • 「東城王의 卽位와 政局 運營」
    정재윤 『한국고대사연구』20 [2000]
  • 「東城王代 倭係 세력의 동향」
    정재윤 『역사학연구』49 [2013]
  • 「東城王 23年 政變과 武寧王의 執權」
    정재윤 『한국사연구』99 100 [1997]
  • 「新羅의 遷都 문제」
    이영호 『한국고대사연구』36 [2004]
  • 「新羅와 百濟의 管山城 戰鬪」
    김갑동 『백산학보』52 [1999]
  • 「態津時代 백제의 귀족세력」
    이기백 『백제연구』9,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78]
  • 「彌勒寺址 출토 舍利奉安記와 백제의 王妃」
    주보돈 『백제학보』7 [2012]
  • 「古代 韓日 外交史」
    연민수 『한국고대사연구』27 [2002]
  • 「古代 貴族의 존재양태와 변화」
    김영하 『강좌 한국고대사』2 [2003]
  • 「公州 水村里遺蹟」
    이훈 『백제문화』32, 공주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3]
  • 「三國의 官等制」
    노중국 『강좌 한국고대사』2 [2003]
  • 「『일본서기』에 보이는 오경박사와 오음」
    이근우 『일본역사연구』31 [2010]
  • 「『三國史記』 道琳 記事 檢討를 통해 본 百濟 蓋鹵王代 政治 狀況」
    이도학 『선사와 고대』27 [2007]
  • 「7세기대 한일관계의 연구(하)」
    정효운 『고고역사학지』7,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1]
  • 「7세기 중엽의 백재와 왜」
    정효운 『백제연구』27,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 「7세기 중엽 당의 한반도 지배전략」
    최현화 『역사와 현실』61 [2006]
  • 「7세기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전쟁」
    임기환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 「6세기 야마토 정권의 對韓政策」
    이재석 『임나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 「6세기 신라와 야마토 정권의 관계」
    박찬흥 『임나 문제와 한일관계』 [2005]
  • 「5세기후반 백제와 왜국」
    연민수 『일본학』13 [1994]
  • 「5세기 백제와 왜국의 관계」
    李在碩 『백제연구』39,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4]
  • <王興寺址 舍利器 銘文 > 分析을 통해 본 百濟 威德王代의 政治와 佛敎
    이도학 『한국사연구』142 [2008]
  • 6세기 중반 한강 유역 쟁탈전과 管山城 戰鬪
    장창은 『진단학보』111 [2011]
  • 6~7세기 삼국의 관료제 운영과 신분제- 衣冠制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
    김영심 『韓國古代史硏究』54 [2009]
  • 5~6세기 백제의 지배세력 연구
    문동석 『역사와 현실』55 [2005]
  • 4세기 백제사 연구
    강종원 서경 [2002]
  • (宮崎市定) 지음, 임대희 신성곤 전영섭 옮김, , 『구품관인법의 연구』
    미야자키 이치사다 소나무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