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정형표현 연구 : 대규모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장석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정형표현 연구 : 대규모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llocation
  • corpus
  • formulaic expressions
  • grammar expressions
  • korean language education
  • korean textbook
  • lexical bundles
  • morpheme n-gram
  • n-gram
  • 말뭉치
  • 어휘꾸러미
  • 연어
  • 정형표현
  • 표현문형
  • 한국어 교재
  • 한국어교육
  • 형태 n-gram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44 0

0.0%

' 한국어 정형표현 연구 : 대규모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남길임 『한 국사전학』제18권, 한국사전학회. [2011]
  • 한국어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담화기능별 문형표현 단위에 대한 연구*: ‘거절’의 담화기능을 중심으로
    강현화 『응용언어학』제23권 제1호, 한국응용언어학회 [2007]
  • 한국어의 정형화된 표현 연구
    남길임 송현주 최준 『담화와 인지』제 17권 제2호, 163-190, 담화인지언어학회. [2010]
  •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강현화 『이중언어학』제34권, 이중언어학회. [2007]
  • 한국어 정보 처리와 연어 정보
    서상규 『국어학』39, 국어학회, 321-360 [2002]
  •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임홍빈 『국어학』제 39권, 국어학회 [2002]
  •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 의미적 성격에 대한 토론
    김진해 『국어학』39, 국어학회. 313-320 [2002]
  • 한국어 연어 연구
    임근석 서울: 월인 [2010]
  • 박사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안정은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이미혜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005]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이미혜 『한국어 교육』제13권 제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
  • 한국어 기본문형 교육 연구
    구재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 한· 불사전에서의 연어 처리
    박성숙 『불어불문학연구』34, 한국불 어불문학회 [1997]
  • 박사
  • 연어연구
    김진해 한국문화사 [2000]
  • 어휘 기술을 위한 연어정보의 추출 및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한영균 『국어학 39, 국어학회, 137-171 [2002]
  • 부정소 호응 부사에 의한 연어와 사전 기술
    임유종 『한국언어문 화』27 [2005]
  • 문법적 연어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임근석 『한국언어문화』34 [2007]
  •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임근석 『국어학』51 [2008]
  • 박사
    명사와 동사 결합 구성의 유형론과 기계 번역
    송정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명사를 중심어로 하는 문법적 연어 구성
    이은경 『한국어 의미학』 제17권, 한국어의미학회 [2005]
  • 김진해의 『연어』(2000) 다시 읽기, 형태론 5-2
    강현화 박이정, 419-434 [2003]
  • 국어정보학 입문
    서상규 한영균 태학사 [1999]
  • 박사
    국어 연어 관계 연구
    이동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국어 어미적 연어의 필요성과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임근석 『한 국언어문화』42 [2010]
  • 국어 공기관계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박병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3]
  •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국립 국어원 [2005]
  • ㄷ). “형태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문법적 연어 추출”
    임근석 한국언어 학회 2005 가을발표대회 발표집 [2005]
  •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표현 연구 :문법표현 선정과 등급화를 중심 으로」
    유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현대 국어 관용구의 결합관계 고찰”
    이희자 제 6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 처리 논문 발표 대회 발표 논문집 [1994]
  • “한국어교육을 위한 표현문형에 관한 연구”
    손연정 연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 정형화된 표현의 분석 단위에 대한 연구”
    남길임 『담화와 인지』제20권 제1호, 담화·인지언어학회. [2013]
  • 박사
    “한국어 연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이민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명사를 중심으로”
    신아랑 한성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박사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학”
    이효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 술대회논문집』제2010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의 검토”
    김서형 『문법 교육』제3권, 한국문 법교육학회 [2005]
  • “텍스트 장르에 따른 문장 확대 양상 연구”
    남길임 『텍스트언어학』 21. 179-206 [2006]
  • 박사
  • “연어에 기반한 최상의 번역 선택”
    김영택 옥철영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Vol. 20, No. 4. 한국정보과학회 [1993]
  • “연어관계의 제자리 찾기”
    김진해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229-260 [2007]
  • “연어 지도가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미혜 영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연어 중심 어휘지도가 중학생의 어휘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 향”
    이연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연어 제약에 대하여”
    박진희 『어문연구』33 [2005]
  • “연어 구성의 기능동사에 관한 연구”
    최경숙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7]
  • “어휘 함수에 의한 한국어 어휘기술과 사전편찬, 해방 50주년 세계 속의 한국학”
    홍재성 인하대 40주년 기념 제2회 한국학국제술회의, 인하 대 한국학 연구소 [1995]
  • “약속의 문법; 서술명사의 어휘, 통사적 기술과 사전”
    홍재성 『동방 학지』81호,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3]
  • “대학생 구어 말뭉치에서의 조사 어미의 분포화 사용 양상”
    박석준 『한국어 구어 연구(2)-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서상규 구현정 (공편), 한국문화사 [2005]
  • 박사
    “국어의 연어적 의미연구”
    이동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박사
  • “'명사+동사' 합성구의 형태론적 특징”
    한영균 『울산어문논집』12 [1997]
  • [체언+용언]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강현화 『사전 편찬학 연 구 제 8집, 한국문화사 [1998]
  • Wray, A. (2002). Formulaic Language and the Lexic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ray, A. & Perkins, M. (2000) The functions of formulaic language: an integrated model. Language and Communication, 20, 1-28.
  • Tracy-Ventura, N., V. Cortes and D. Biber. (2007). ‘Lexical bundles in Spanish speech and writing’ in G. Parodi (ed.) Working with Spanish Corpora, pp. 354-75. London: Continuum.
  • Tognini-Bonelli, E. (2001). Corpus Linguistics at Work. Amsterdam: John Benjamins.
  • Stubbs, M. (1995). Collocations and semantic profiles: on the cause of the trouble with quantitative methods. Functions of Language 2:1, 1-33.
  • Skehan, P. (1992).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trategies and task-based learning. Thames Valley University Working Paper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Volume 1, 178-208.
  • Sinclair, J. (1991). Corpus Concordance Colloc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Schmitt, N. (2005). Formulaic language: Fixed and varied. ELIA 6, 13-39.
  • Schmidt (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pp. 29-59). London and New-York: Longman.
  • SALEM, A. 1987. Pratique des Segments Repetes. Paris : Institut National de la Langue
  • Pawley, A. & F.H. Syder. (1983). Two puzzles for linguistic theory: nativelike selection and nativelike fluency. In J.C. Richards & W.
  • Paquot, M. & Granger, S. (2012). Formulaic language in learner corpora.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32, 130-149.
  • Nick C. Ellis et al. (2009). Language is a Complex Adaptive system : Position Paper, Language Learnig 59, pp.1-26.
  • Nesi, H. and H. Basturkmen. 2006. ‘Lexical bundles and discourse signaling in academic le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rpus Linguistics 11 (3), pp. 283-304.
  • Nattinger, J.R. & J.S. DeCarrico. (1992) Lexical Phrases and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oon, R. (1997). ‘Vocabulary connections: multi-word items in English’ in N. Schmitt and M. McCarthy (eds)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pp. 40-6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artinez, R. and Norbert Schmitt. 2012. A phrasal expression list. Applied Linguistics 33:3, 299-320.
  • Lewis, M. (1993) The Lexical Approach: the State of ELT and a Way Forward. Hove: Language Teaching Publications. as indicators of idiomaticity, fluency, and proficiency. VDM Verlag Dr. Muller.
  • Leech, G. (2000). Grammars of spoken English: New outcomes of corpus-oriented research. Language Learning 50, 675-724.
  • Lakoff G. (1972). Hedges: a study in meaning criteria and the logic of fuzzy concepts. English Regional Meeting of the Chiacago Linguistic Society, 183-228.
  • Kim, Y. (2009). Korean lexical bundles in conversation and academic texts. Corpora, 4:2, 135-165.
  • Kathy C., N Schmitt. (2008). Formulaic sequences: Are they processed more quickly than nonformulaic language by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Applied Linguistics 29:1, 72-89.
  • Jenny C. (2005). Syntactic variation and spoken language. Syntax and Variation, 81-107.
  • Istvan K. (2007). Formulaic Language in English Lingua Franca. Explorations in Pragmatics, 191-218.
  • Hyland K. (2008). As can be seen: Lexical bundles and disciplinary variati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7, 4-21.
  • Hunston, S., G. Francis. (2000). Pattern grammar: A corpus-driven approach to the lexical grammar of English. Amsterdam: John Benjamins. Text 20, 29-62.
  • Howarth, P. (1998). ‘Phraseology and second language proficiency’, Applied Linguistics 19, pp. 24-44.
  • Hoey, M. (2005). Lexical priming: a new theory of words and language. London and New-York: Routledge.
  • Foster, P. (2001) ‘Rules and routines: A consideration of their role in the task-based language production of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In Bygate, M, Skehan, P. and Swain, M..(eds) Language tasks: Teaching, learning and testing (pp 75-93 ), Longman
  • Firth, J. R. (1957). Papers in Linguistics 1934-1951.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Erman, B. & B. Warren. (2000). The idiom principle and the open choice principle. Text, 20, 29-62.
  • Elma Kerz, Florian Haas. (2009). The aim is to analyze NP: The function of prefabricated chunks in academic text. Formulaic Language vol. 1, 97-115.
  • Ellis, N., R. Simpson-Vlach. and C. Maynard. (2008). Formulaic language in native and second language speakers: psycholinguistics, corpus linguistics, and TESOL. TESOL Quarterly 42:3, 375-396.
  • Ellis, N. (2008). Phraseology: the periphery and the heart of language. In Meunier, F. & Granger, S. (Eds.), Phraseology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msterdam & Philadelphia: Benjamins, 1-13
  • Ellis, N. (1996). ‘Sequencing in SLA: phonological memory, chunking and points of order’,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 pp. 91-126.
  • Cowie, A.P. (1994). Phraseology. In R.E. Asher & J. Simpson (Eds.)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pp. 3168-3171). Oxford: Pergamon Press.
  • Cortes, V. (2007). ‘A comparative analysis of lexical bundles in academic history writing in English and Spanish’, Corpora 3 (1), pp. 43-57.
  • Cortes, V. (2006). Teaching lexical bundles in the disciplines: An example from a writing intensive history class. Linguistics and Education 17, 391-406.
  • Cortes, V. (2004). ‘Lexical bundles in published and student disciplinary writing: examples from history and biology’,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3, pp. 397-423.
  • Bybee, J. (2006). From usage to grammar: the mind's response to repetition. Language 82(4): 711-733.
  • Bybee, J. (2003). Mechanisms of Change in Grammaticization: The role of frequency, The handbook of historical linguistics, eds. by Brian D. Joseph and Richard D. Janda, 602-23. Oxford, U.K.: Blackwell.
  • Butler, C.S. (1997). ‘Repeated word combinations in spoken and written text: some implications for functional grammar’ in C.S. Butler, J.H. Connolly, R.A. Gatward and R.M. Vismans (eds) A Fund of Ideas: Recent Developments in Functional Grammar, pp. 60-77. Amsterdam: IFOTT, University of Amsterdam.
  • Biber, D., Y. Kim, and N. Tracy-ventura (2010). Corpus-driven approach to comparative phraseology: Lexical bundles in English, Spanish, and Korean. Japanese/Korean Linguistics 17: 75-94.
  • Biber, D., S. Johansson, G. Leech, S. Conrad and E. Finegan. (1999).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Harlow, Essex: Pearson Education.
  • Biber, D., S. Conrad and Viviane Cortes. 2004. If you look at: lexical bundles in university teaching and textbooks. Applied linguistics 25:3, 371-405.
  • Biber, D., S. Conrad and V. Cortes. (2003). ‘Lexical bundles in speech and writing: an initial taxonomy’ in A. Wilson, P. Rayson and T. McEnery (eds) Corpus Linguistics by the Lune, pp. 71-93. Frankfurt/Main: Peter Lang.
  • Biber, D. and F. Barbieri. (2007). 'Lexical bundles in university spoken and written register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6, pp. 263-86.
  • Biber, D. (2009). A corpus-driven approach to formulaic language in English: Multi-word patterns in speech and wr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rpus Linguistics 14:3, 275-311.
  • Biber, D. (2006). University Language: A Corpus-based Study of Spoken and Written Registers. Amsterdam and Philadelphia: John Benjamins.
  • Anthony, L. (2006). Developing a freeware multiplatform corpus analysis toolkit for the techncal writing classroom. IEEE Transactions on Professional Communication, 49(3), 275-286.
  • Altenberg, B. (1998) On the phraseology of spoken English: The evidence of recurrent word combinations. In A.P. Cowie (ed.), Phraseology.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101-122.
  •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임용기 국립국어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