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보수주의 헤게모니 재형성의 동학 : 1998-2014

장신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보수주의 헤게모니 재형성의 동학 : 1998-2014'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lass politics
  • conservative hegemony
  • economic crisis
  • social consolidation
  • social order
  • state's management capacity
  • statism
  • tradition
  • 경제위기
  • 계급정치
  • 국가운영능력
  • 국가주의
  • 보수주의 헤게모니
  • 사회질서
  • 사회통합의 위기
  • 전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82 0

0.0%

' 보수주의 헤게모니 재형성의 동학 : 1998-2014' 의 참고문헌

  • 현대경제연구원
    “자영업은 자영업과 경쟁한다 - 자영업자의 10대 문제”. 통 권 498호 [2012]
  • 한국형 창조경제의 길
    김광두 김영욱 FKI미디어
  • 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김동노 한국인문사회과학회.『현 상과인식』111 : 203-224 [2010]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
    bok.or.kr)
  • 한국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강원택 나남 [2010]
  • 한국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망
    김문조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포 럼』통권 제150호 : 2-4 [2009]
  •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송복 현대문학 [1990]
  •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김호기 아르케 [2007]
  • 한국 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최장집 나남 [1996]
  •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이론
    현택수 『경제와 사회』32 : 85-105 [1996]
  • 폴리뉴스 (http://www
    polinews.co.kr)>
  • 통계청 http://kostat
    go.kr/portal/korea/index.action)
  • 취향의 정치학
    홍성민 현암사 [2012]
  • 정책위원회. 『날아간 서민의 희망 : 노무현 정권 4년 평가 자료 집』
    한나라당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2006]
  • 자유지식인선언 편. 『한국 국민에게 고함』
    기파랑 [2007]
  • 이념의 과잉 : 한국 보수세력의 사회정치 담론 전략(2005~2006년, 2008~2009년)
    이항우 비판사회학회.『경제와사회』89 : 217-268 [2011]
  •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오찬호 개마고원 [2013]
  • 우리民族의 나갈 길 : 社會再建의 理念
    박정희 동아출판사 [1962]
  • 연대와 열광: 에밀 뒤르켐의 현대성 비판 연구
    김종엽 창작과 비평사 [1998]
  •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경험과 노동계급 계급의식
    조돈문 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79 : 184-213 [2008]
  • 소외의 사회학
    이홍균 한울 [2004]
  • 세넷, 리처드.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조용 역
    문예출판사 [2002]
  •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벡 울리히 홍찬숙 역. 길 [2011]
  • 샌델, 마이클. 『왜, 도덕인가』. 안진환?이수경 공역
    한국경제신문 [2010]
  • 새누리당 홈페이지(http://www
    saenuriparty.kr)
  • 사회통합의 현황과 향후 정책과제
    노대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 포럼』150 : 6-19 [2009]
  • 사토 요시유키. 『신자유주의와 권력』
    후마니타스 [2014]
  •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신진욱 비판사회학회.『경제와 사회』89 : 10-45 [2011]
  • 불안 증폭 사회
    김태형 위즈덤하우스 [2010]
  • 벡, 울리히. 『위험사회』. 홍성태 역
    새물결 [1997]
  • 베버, 막스. 『지배의 사회학』. 금종우 전남석 역
    한길사 [1981]
  • 박근혜 정부 지지율의 비밀
    장덕진 『황해문화』82 : 32-47 [2014]
  • 바우만, 지그문트. 『쓰레기가 되는 삶들』. 정일준 역
    새물결 [2008]
  • 민중에서 시민으로
    최장집 돌베개 [2009]
  • 민주주의의 민주화
    최장집 후마니타스 [2006]
  • 무페, 샹탈. 『정치적인 것의 귀환』. 이보경 역
    후마니타스 [2007]
  • 모멸감,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김찬호 문학과지성사 [2014]
  • 맥도넬, 다이안. 『담론이란 무엇인가』. 임상훈 역
    한울 [1992]
  • 르불, 올리비에. 『언어와 이데올로기』. 홍재성 권오룡 역
    역사비평사 [1994]
  • 레이코프?로크리지 연구소. 『프레임 전쟁』. 나익주 역
    창비 [2007]
  • 레이코프, 조지. 유나영 역.『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삼인 [2006]
  • 대한민국 선진화 전략
    박세일 21세기 북스 [2006]
  • 대통령기록관 http://www
    pa.go.kr/index.jsp)
  •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이기형(Kee-Hyeung Lee) 『언론과사회』14(3) : 106-145 [2006]
  • 니스벳, 로버트. 『보수주의』. 강정인 역
    이후 [2007]
  • 노인빈곤율 완화를 위한 노인복지지출과 정책과제
    오미애 『보건복지포 럼』196 : 25-35 [2013]
  • 근대의 그늘
    김동춘 당대 [2000]
  •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이슈모니터링”. Vol 1 [2014]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
    kr)
  • 공적연금제도의 노후빈곤 완화효과: 국민연금제도를 중심으로
    장현주 『한 국 사회와 행정연구』23(4) : 265-286 [2013]
  • 『희생양과 죄의식』
    강준만 김환표 개마고원 [2004]
  • 『희망의 근거』
    김근태 당대 [1995]
  •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보건사회연구원 [2014]
  • 『제노사이드와 기억의 정치』. 강성현 역
    히르쉬, 허버트. 책세상 [2009]
  • 『제16대 대통령선거 투표행태』
    한국갤럽 [2003]
  • 『정치적인 것의 개념』. 김효전 정태호 역
    슈미트, 칼. 살림 [2012]
  • 『전쟁정치』
    도서출판 길 [2013]
  • 『인물과 사상』
    강준만 4. 개마고원 [1997]
  • 『오마이뉴스(www.ohmynews.com)』
    주대환 인터뷰 [2014]
  •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박명림 인터뷰 [2014]
  •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현대성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 임을 찾아서』
    민문홍 아카넷 [2001]
  • 『싸가지 없는 진보』
    인물과 사상사 [2014]
  • 『신자유주의와 공모자들』
    김성구 나름북스 [2014]
  • 『신자유주의 간략한 역사』. 최병두 역
    하비, 데이비드. 한울 [2007]
  • 『서울신문』
    유시민 인터뷰 [2011]
  • 『새로 쓴 우리들의 대한민국』
    이상우 기파랑 [2012]
  • 『상징의 정치적 이용』. 류영옥 역
    엘더, 찰스 콥, 로저 홍익제 [1993]
  •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이근영 역
    허쉬만,앨버트 웅진지식하우스 [2010]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최장집 후마니타스 [2005]
  • 『독일 제2제국』. 이두헌 역
  • 『대처리즘의 문화정치』. 임영호 역
    홀, 스튜어트. 한나래 [2007]
  • 『경제와 사회』
    김수행 박성환 역. 문학과 지성사 [1997]
  • “현대사회와 인간소외”
    박승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인문연구』 13(2) : 211-244 [1992]
  • “헤게모니에서 시큐리티로-신자유주의 통치체제는 어떻게 작동하는 가”
    정정훈 정정훈 외『휘말림의 정치학-부커진 R4』. 그린비 : 237-257 [2012]
  • “한반도 통일전략”
    홍관희 자유지식인선언 편.『한국 국민에게 고함』 : 70-81 [2007]
  • “한국사회 변화와 자유민주주의 위상: ‘진보와 보수’ 담론을 중심으 로”
    김면회 송병헌?이나미?김면회 편.『한국 자유민주주의의 전개와 성격』. 오름 : 151-193 [2004]
  • “한국 학생운동의 구조와 기능”
    박병영 柳錫春(유석춘) 한국사회학회편.『현대한국사 회문제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 94-118 [1991]
  • “한국 선거에서의 "계급 배반 투표"와 사회 계층”
    강원택(Won-Taek Kang) 한국정당학회. 『한국정당학회보』12(3) : 5-28 [2013]
  • “최장집, 그는 민주주의를 어떻게 말하는가”
    최장집 2007. 최장집?박찬표? 박상훈 공저.『어떤 민주주의인가』: 8-82 [2007]
  • “질적 연구 방법과 젠더: 여성주의 문화기술지의 정립을 향하여”
    윤택림 『한국여성학』18(2) : 201-229 [2002]
  • “정치적 상징과 담론 정치”
    강명구 박상훈 『한국사회학』31(1) : 123-159 [1997]
  • “정치사회적 담론의 구조 변화와 민주주의의 동학”
    조희연 조희연 편.『한 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읽는책 : 33-120 [2003]
  • “정치개혁 : 유러피언 드림, 아메리칸 로드?”
    최태욱 강원택?장덕진 엮음. 『노무현 정부의 실험: 미완의 개혁』. 한울 : 65-89 [2011]
  • “정당성 정치의 구조와 동학”.『한국사회학』47(1) : 35-69 신진욱?이영민. 2009. “시장포퓰리즘 담론의 구조와 기술”
    신진욱 『경제와 사회』81 : 273-299 [2013]
  • “저소득층일수록 보수정당을 지지하는가?”
    신진욱 전병유 한국사회과학연구 회.『동향과전망』91 : 9-51 [2014]
  • “일탈의 정치-노무현과 386운동의 정치사적 의미”
    김세중 김광동 외.『노 무현과 포퓰리즘 시대』. 기파랑 : 19-61 [2010]
  • “인터넷 커뮤니티와 정치 : 「노사모」 사례 연구”
    김용호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3]
  • “우리나라 가계자산 구조의 현황과 시사점”
    박종상 『주간금융브리프』 22-49 [2013]
  • “왜 다시 해방 전후사인가”
    이영훈 박지향 김철 김일영 이영훈 엮음.『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책세상 : 25-63 [2006]
  • “연고집단과 사회발전”
    류석춘 장미혜 이승환 외.『아시아적 가치』. 전통과 현대 : 123-162 [1999]
  • “역대선거통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스튜어트 홀 ? 이데올로기와 재현의 정치”
    박선웅 김호기 엮음.『현대 비 판 사회이론의 흐름』. 한울 : 125-149 [2001]
  • “선진화 문턱에서 본 한국 법치주의의 현주소”
    김인섭 포럼 굿 소사이어티 건국 60주년 연속기획 대토론회 발표문 [2008]
  • “사회정책: 한국의 복지현실과 공동체자유주의”
    『공동체 자 유주의-이념과 정책』. 나남 : 379-410 [2008]
  • “사회경제고통지수로 본 삶의 고통”
    배민근 송태정 LG경제연구원.『LG주 간경제』 [2006]
  • “불안시대의 삶과 정치”
    고병권 이진경 외.『전지구적 자본주의와 한국사회 -부커진 R2』. 그린비 : 118-135 [2008]
  • “보수주의와 현실주의”
    함재봉 박효종 외 6인.『한국의 보수를 논하다』. 바오출판사 : 189-214 [2005]
  • “박정희체제의 이데올로기”
    송호근 임현진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 169-207 [1994]
  •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연구”
    전재호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8]
  • “박정희 시대와 민족주의의 네 얼굴”
    김일영 『한국정치외교사논총』28(1) : 223-256 [2006]
  • “박근혜 정부의 통치전략-헤게모니 없는 배제의 정치”
    김정한 『문화/과 학』77 : 63-76 [2014]
  • “박근혜 정부의 지배체제 형성과 작동”
    김성일 『문화/과학』통권 77호 : 138-159 [2014]
  • “박근혜 정권의 ‘국정원 정치’ : ‘구조적 파시즘’하에서의 국가주의의 재등장”
    『경제와 사회』101 : 27-52 [2014]
  • “막스 베버의 지배사회학 연구”
    전성우 전성우 편. 『막스 베버사회학의 쟁 점들』. 민음사 [1995]
  • “대학 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형성 제고방안”
    김영철 『KDI FOCUS』 23 [2012]
  • “노무현 정권 하의 좌우대립”
    류석춘 자유지식인선언 편.『한국 국민에게 고함』. 기파랑 : 160-171 [1997]
  • “년 노동조합 조직현황”
    고용노동부 [2013]
  • “국가주의 지배담론”
    김윤철 손호철 조희연 편.『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 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읽는 책 : 237-292 [2003]
  • “공포, 개인화 그리고 축소된 주체”
    정수남 한국학중앙연구원.『정신문화연 구』121 : 329-357 [2010]
  • “공동체자유주의: 이념과 정책”
    박세일 박세일 나성린 신도철 공편『공동체 자유주의-이념과 정책』. 나남 : 219-285 [2008]
  • “계급투쟁의 의미생산과 문화정치”
    강내희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1 : 312-333 [2003]
  • “‘자기관리’와 ‘가족경영’ 시대의 불안한 삶: 신자유주의와 신자유주 의 주체”
    박소진 『경제와 사회』84호 : 12-39 [2009]
  • “‘노무현 정치’의 전사적 특징과 그림자”
    박효종 김광동 외.『노 무현과 포퓰리즘 시대』. 기파랑 : 65-116 [2010]
  • “1970년대 기능공 양성과 아산 정주영" 아산사회복지재단 편
    김형아 류석춘 『아산 정주영과 한국경제 발전 모델』 집문당 [2011]
  • 박사
  • “18대 대선 평가 보고서 패배 원인 분석과 민주 당의 진로”
    민주통합당 대선평가위원회 [2013]
  • ‘시장화된 개인화’와 복지 욕구(welfare needs)
    신경아 『경제와사회』 98 : 266-303 [2013]
  • Snow, David A. and Robert D. Benford. 1988. “Ideology, Frame Resonance and Participant Mobilization”. International Social Movement Research. 1 : 197-217
  • Polanyi, Karl. 1957. The great transformation. Boston : Beacon Press
  • Manheim, Karl. 1952.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London : Routledge & Kegan Paul
  • Lew, Seok-Choon., Woo-Young Choi and Hye Suk Wang. 2013. “Confucian Ethic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in Korea”. Lew, Seok-Choon. 2013.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al Path. Palgrave Macmillan : 25-46
  • Laclau, Ernesto and Chantal Mouffe. 1985. Hegemony & socialist strategy :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politics. London : Verso
  • Keohane, Robert O., 1984, After Hegemony: Cooperation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essop, Bob. 1990, State Theory: Putting the Capitalist stste in its Place, Polity Press
  • Hunt, Scott A., Robert D. Benford, and David A. Snow. 1994. “Identity Fields: Framing Processes and Social Construction of Movement Identities.” in Enrique Larana, Hank Johnston, and Joseph R. Gusfield (ed.), New Social Movements: From Ideology to Identity, Philadelphia : Temple University Press : 185-208
  • Hobsbawm, Eric. 1983. “Inventing Traditions”. Hobsbawm, Eric and Terence Ranger (ed). 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14
  • Hall, stuart. 1985. “Signification, Representation, Ideology: Althusser and the Post-Structuralist Debates”.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2(2) : 91-114
  • Grossberg, Lawrence ed. 1986. “On Postmodernism and Articulation An Interview with Stuart Hall”.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10(2) : 45-60
  • Gramsci, Antonio. 1971,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of Antonio Gramsci, International Publishers
  • Goffman, Erving. 1974. Frame Analysis :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 Harper & Row
  • Giddens, Anthony. 1979. Central Problems in Social Theory: Action, Structure and Contradiction in Social Analysis. Berk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Frank, Thomas. 2004. What's the matter with Kansas? : how conservatives won the heart of America. Metropolitan Books
  • Firth, Raymond. 1973. Symbols: Public and Privat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 Edelman, Murray. 1964. The symbolic uses of politics. Urbana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Eccleschall, Robert. 1994. “Liberalism”. Robert Eccleshall et al. Political ideologies : an introduction. London : Routledge : 28-59
  • Eagleton, Terry. 1991. Ideology: an introduction. Verso.
  • Cutler, Neal E. 1969. “Generation, Maturation, and Party Affiliation: A Cohort Analysis”. Public Opinion Quarterly. 33 : 583-588
  • Cerulo, Keren A. 1997. “Identity Construction: New Issues, New direc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 385-409
  • Barthes, Roland. Mythologies. New York : Noonday Press : Hill and Wang Bennett, W. Lance., Murray Edelman. 1985. “Toward a New Political Narrative”. Journal of Communication. 35(4) : 156-171
  • Althusser, Louis. 1971.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New York : Monthly Review Press
  • <프레시안(www
    pressian.com)>
  • <조선닷컴(www
    chosun.com)>
  • <이데일리(www
    edaily.co.kr)>
  • <오마이뉴스(www
    ohmynews.com)>
  • <뷰스앤뉴스(www
    viewsnnews.com)>
  • 3김을 넘어서』
    손호철 푸른숲 [1997]
  • (http://archives
    노무현 사료관 knowhow.or.kr)
  • 1988. Constructing the Political Spectacle.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971. Politics as symbolic action ; mass arousal and quiescence. Chicago : Markham Pub.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