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국내 외국인 근로자 폭력범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Violent Crimes of Foreign Workers

최봉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국내 외국인 근로자 폭력범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Violent Crimes of Foreign Worke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긴장
  • 문제음주습벽
  • 분노
  • 일반긴장이론
  • 차별
  • 폭력범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08 0

0.0%

' 국내 외국인 근로자 폭력범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Violent Crimes of Foreign Workers' 의 참고문헌

  • 형사소송법
    이재상 서울: 박영사 [2012]
  • 한국청소년 음주 및 약물남용과 비행행동간의 상관관계
    김헌수 김현실 한국 신경정신의학회,「신경정신의학」, 제41권 제3호 [2002]
  • 한국인의 음주실태
    제갈정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연구보고서」 [2001]
  •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파주: 21세기사 [2013]
  • 청소년폭력비행에 있어 일반긴장이론의 검증: 상황론적 논의를 통해
    이성식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 제15권 제2호 [2003]
  • 청소년비행에 있어서 허쉬의 사회통제이론에 대한 수정된 논의
    이성식 한국 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 제6권 제4호 [1995]
  • 청소년 비행의 원인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사회통제이론과 차별접촉이론을 중심으로
    이성식 한국사회학회,「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권 2호, 1993 [1993]
  • 청소년 비행의 원인에 관한 주요 이론들의 검증에 관한 연구: 종단적 패널 연구자료의 분석
    이성식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 제17권 제3호 [2006]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한국 술 문화에 젖은 외국 인들
    한국와서 술꾼 됐다” , p. A10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전국 공원...주폭이 점령
    술 먹고 구토까지...” p. A8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외국인 폭력 절반이 주폭
    가족도 없이 사회적 외톨이”, , p. A10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외국인 주폭 70%가 중국 인
    임금체불 고독감이 가장 큰 고통”, , p. A10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숙취해소제 챙겨들고 죽기 살기로 마셔...과음자랑하는 나라
    한국뿐” , p. A8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국민 6명 중 1명 고위험 음 주자
    한 번에 소주 7잔 이상...” , p. A10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같은 술 마시고...고향선 고 분고분, 한국선 주폭되는 중국인
    주폭신고 90%가 중국인”, , p. A10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외국인 주폭 70%가 중국 인...”. , p. A10 [2012]
  • 조선일보, “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 서울대 신입생 오리엔테이 션때 술 추방...”,. , p. A1 [2013]
  • 조선일보
    “멱살만 잡아도 벌금 100만원”, , p. A11 [2014]
  •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유미숙 윤소영 한국놀이치료학회,「한국놀이치료학회지」, Vol. 14, No. 4 [2011]
  •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연구
    김재엽 박경나 송아영 한국사회복지연구회,「사회복지연구」, Vol. 37 [2008]
  • 외국인 범죄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박영숙 한국교정복지학회,「교정복 지연구」, 제18호 [2010]
  • 연합뉴스, “보이스피싱 가담 중국인 유학생 14명 적발”
    (http://new s. naver,com/ 검색일: 2014. 5. 8) [2010]
  • 수형자의 교도소내 인간관계와 프로그램 참여: 교도소화 대 사회통제이론의 경합
    민수홍 한국형사정책학회,「형사정책」, 제21권 제1호 [2009]
  • 박사
    성격과 음주동기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신행우 신행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8]
  • 새경찰학개론
    신현기 서울: 우공출판사 [2011]
  • 살인과 자살의 문화적 사회구조적 원인-머튼의 아노미이론 검증을 위한 국가 간 비교연구
    신동준 한국사회학회,「한국사회학」, Vol. 38, No. 4 [2004]
  •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법 ①
    오택섭 최현철 서울: 나남출판사 [2003]
  • 비행친구와 비행행동의 인과성에 대한 검증
    노성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Vol. 68 [2006]
  • 부모 및 친구애착과 비행 간 관계 : 종단 연구
    이주리 한국아동심리재활협회, 「놀이치료연구」, Vol. 15, No. 2 [2011]
  • 박사
    법교육이 청소년의 폭력에 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승호 부산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 요인에 관한 연구
    호산나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사
    대학생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종순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협회학술지」, Vol. 26, No. 4 [2000]
  • 다문화사회 범죄문제의 사회적 맥락: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을 중심으로
    신동준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 Vol. 92 [2012]
  • 국민일보, “‘한국인이 폭행 무시’ 외국인 보복성 범죄 급증”
    (http://news. kukinew. com/ 검색일: 2014.5.8) [2011]
  • 국민일보
    “ ‘데이트 폭력’ 느는데 처벌은 솜방망이”, p. 10 [2014]
  •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이학식 임지훈 서울: 법문사 [2007]
  • 가해자/피해자의 음주상태에 따른 폭력범죄 특성
    전영실 한국피해자학회, 「피해자학연구」, Vol. 12, No. 2 [2004]
  • 가정, 학교, 친구관계에서 발생하는 긴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종합 긴장모형과 세부 긴장모형을 통한 탐색
    이철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3호 [2009]
  • 『형사소송법 요론』
    신호진 서울: 문형사, p. 210 [2012]
  • 『형법총론』
    김용희 파주: 법문사 [2002]
  • 『형법총론』
    청웅 (靑雄) 서울: 박영사 [2003]
  • 『형법총론』
    정성근 서울: 홍문사 [2005]
  • 『한국경제』
    김병연 “이주민의 징검다리...”, , p. A18 [2014]
  • 『청소년비행과 범죄연구: 이론들과의 논쟁과 통합』
    이성식 서울: 청록출판 사 [2011]
  • 『즉결심판업무안내』
    서울 : 경찰청 [2014]
  • 『조선일보』
    “인재 내쫓는 21세기...”, , p. A34 [2013]
  • 『매일경제』
    “다문화 공존에 부정적”, p. A5 [2012]
  • 『매일경제』
    “100만 다문화가정...”, , p. A4 [2013]
  • 『동아일보』
    “시비 붙어 따귀 1대면 벌금 100만원” , p. 12 [2014]
  • 『김중근 형법기본서』
    김중근 서울: 도서출판 에이스 [2013]
  •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김주환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 『교통사고조사 매뉴얼 Ⅱ』
    경찰청 교통관리관실 서울: 경찰청 [2012]
  • 『경찰통계연보』
    서울: 경찰청 [2013]
  • 『경찰실무종합』
    서울: 경찰청 [2013]
  • 『개정 경범죄처벌법 해설서』
    서울: 경찰청 [2013]
  • 『112신고처리 매뉴얼』
    경찰청 생활안전국 서울: 경찰청 [2012]
  • 「경찰범죄통계」
    사이버 경찰청 (http://www. police. go. kr/ 검색일: [2014]
  • 「경찰 형사사법정보시스템 운영규칙」
    경찰청 훈령 제 639호 [2011]
  • 「경기청 민간인 및 경찰관 통역요원 현황」
    경기지방경찰청 [2014]
  • 「112신고센터 운영 및 신고처리 규칙」
    경찰청 예규 제 416호 [2009]
  • 「112 종합상황실 상황별 무전 매뉴얼」
    의왕경찰서 생활안전과 [2014]
  • “한국의 청소년 비행화에 관한 연구”
    魯成昊(Noh Seong Ho)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 연구」, Vol. 18 [1994]
  • “한국에서 AUDIT을 통한 알코 올리즘의 선별기준”
    김갑중 김종성 박병강 오미경 오장균 이민규 대한가정의학회,「대한가정의학회지」, Vol. 20, No. 9 [1999]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 (AUDIT)의 개발”
    남궁기 이병욱 이충헌 이필구 최종문 대한신경정신의학회,「신경정신의학」, Vol. 41, No. 1 [2002]
  • “폭력의식의 형성과 유형에 대한 연구 : 청소년을 중심으로”
    오승호 한국법교 육학회,「법교육연구」, Vol. 4 No. 2 [2009]
  • “폭력범죄의 현황과 그 대책”
    김기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서울대학교 법 학」, 16권 1호 [1975]
  • “폭력범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형민 탁종연 황정인 한국형사정책연 구원,「연구총서」, Vol. , No. 10, 2010 [2010]
  • “폭력범죄에 대한 상호행위론적 접근: 자존심의 손상과 폭행과의 관계 를 중심으로”
    이성식 한국청소년개발원,「한국청소년연구」, 제25호 [1996]
  •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원인변인간의 상대적 중요성 을 중심으로”
    남재봉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 통권 제18호 [1991]
  • “직장 근로자들의 문제음주 및 직무스트레스”
    도복늠 도은영 경북대학교 간호 과학연구소,「경북간호과학지」, Vol. 8, No. 1 [2004]
  • “중국인 유학생의 문제음주행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대학생과 비교”
    유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적정음주에 대한 사회 문화적 접근”,
    한태선 「대한보건협회학 술지」, 제26권 제4호 [2000]
  • “재한 몽골근로자의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히식보양 숭실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일탈적 태도의 유발요인으로서의 경찰 하위문화와 긴장: 에그뉴의 일 반긴장이론의 적용”
    김성언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7 호 [2007]
  • “일차진료에서 문제음주자 선별을 위한 AUDIT-C의 타당도 조사”
    성정환 건 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이민사회와 범죄: 쟁점과 전망”
    김정규 신동준 한국사회이론학회, 「사회이 론」, 39호 [2011]
  •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외상환자에서 알코올 섭취가 손상의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외국인, 외국인범죄 그리고 합리적 형사정책”
    신동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제21권 제4호 [2010]
  • 박사
    “외국인 범죄와 경찰 대응에 관한 연구”
    박장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외국인 밀집지역의 범죄와 치안실태 연구”
    강석진 김미선 김일수 최영신 한국형사정책연구 원,「연구총서」, Vol. , No. 9, 2012 [2012]
  • “아노미와 범죄”
    金昌君 제주대학교 법과 정책연구소,「법과 정책」, 제8호 [2002]
  • 박사
  • “비행청소년의 취중상태와 범죄행동 양상간의 관계”
    김헌수 김현실 한국신경 정신의학회,「신경정신의학」, Vol. 38, No. 4 [1999]
  • “비행청소년의 범죄양상과 음주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김정기 민병근 이길흥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중앙의대지」, Vol. 8, No. 3 [1983]
  • “범죄학 이론: 차별접촉이론”
    장규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소 식」, 제39호 [1997]
  • “문제음주와 범죄행동의 연관성 연 구”
    고명숙 김명석 박영일 박종순 천성수 한국알코올과학회,「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권 제1호 [2000]
  • “문제음주가 범죄행위에 미치는 다차원적 변인 분석.”
    김명석 아주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국내 체류 외국인 조직범죄의 억제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수 한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계층에 따른 학업성적과 비행과의 관계 : 긴장이론과 사회통제 이론의 논쟁을 중심으로”
    김준호 이성식 한국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 제7 권 제4호(통권 제28호) [1996]
  •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와의 관계 연구”
    김재운 동 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강간범죄의 피해자화 요인에 관한 연구”
    남재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가정. 비행친구, 비행의 상호인과관계”
    이성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 책연구」, 제13권 제1호 [2002]
  • “ 뒤르껭의 범죄이론에 관한 고찰: 아노미이론인가 사회통제이론인가”
    기광도 형사정책연구원,「형사정책연구소식」, 통권 제42호 [1997]
  • Wiley, W. F., and Weisner, C., “Drinking in Violent and Nonviolent Events Leading to Arrest: Evidence from a Survey of Arrestee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3(5) 1995.
  • Wiatrowski, M. D., Griswold, D. and Roberts, M., “Social Control Theory and Delinquenc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6, 1981.
  • White, H. R., and Chen, P. H., “Problem Drinking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3(2), 2002.
  • Torpey, J., “The Invention of Passport : Surveillance, Citizenship, and the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 Sigfusdottir, D. G., Gudjonsson, H. and Sigurdsson, J. F., “Bullying and delinquency. The mediating role of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8, 2010.
  • Saunders, J. B., Aasland, G. G., Babor, T. F., dele Fuente, J. R. & Grant, M.,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detection of persons with harmful alcohol consumption Ⅱ”, Addiction, 88, 1993.
  • Roman, P. M., & Blum, T. C., “The workplace and alcohol problem prevention” Alcohol Research & Health, 26(1), 2002.
  • Pernanen, K., “Theoretical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Crime”, in J.J. Collins(eds), Drinking and Crime, The Guilford Press, 1981.
  • Paternoster, R., and Mazerolle, P., “ General Strain Theory an d Delinquency :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1, 1994.
  • Nielsen, A. L., and Martinez, R., ”Reassessing The Alcohol-Violence Linkage; Results from a Multiethnic City“, Justice quaeterly 20(3): 445-69, 2003,
  • Merton, R. K.,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 1938.
  • Mazerolle, P., and Piquero, A., “Violent Responses to Strain ; An Examination of Conditioning Influences” Violence and Victims, 12, 1997.
  • Mazerolle, P., and Maahs,J., “General Strain and Delinquency: An Alternative Examination of Conditioning Influences”, Justice Quarterly 17, 2000.
  • Matsueda, R. L., “Testing Control Theory and Differential Association: A Causal Modeling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 1982.
  • Martin, S. E., “The Link between Alcohol, Crime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Explanations, Evidence and Interventions”,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10: 136-158, 2001.
  • Luckenbill, D. F, “ Criminal Homicide as a Situated Transaction”, Social Problems 25, 1977.
  • Liska, A. E., and Reed, M. D., “Ties to Conventional Institutions and Delinquenc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0, 1985.
  • Lindsay, V., “Police officers and their alcohol consumption: Should we be concerned?”, Police Quarterly, 11, 2008.
  • Lanza-Kaduce, L., Bishop, D.M., Winner, L., “Risk/Benefit Calculations, Moral Evaluations, and Alcohol-Crime Connection”, Crime & Delinquency 43(2):222-239, 1997.
  • Lang, A. R., and Sibrel, P. A.,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Alcohol Consumption Aggression: the Potential Role of Individual in Alcohol-Related Criminal Violence”,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16(3), 299-324, 1989.
  • Hoffman, J. and Miller, A., “A Latent Variable Analysis of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14, : 83-111, 1998.
  • Hirschi, T., “On the Compatibility of Rational Choice and Social Control Theories of Crime, in Cornish, D.B. and R.V. Clarke(eds.)”, The Reasoning Criminal : Rational Choice Perspectives on Offending, New York: Springer-Verlag, 1986.
  • Hirschi, T., “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 Greenberg, S. W., “Alcohol and Crime : A Methodological Critique of the Literature, in J.J. Collins(eds), Drinking and Crime”, The Guilford Press, 1981. Kawakami, N., S. Araki, Hararani T. and Hemmi, T., “Relations of woek stress computer factory in Japan”, Environmental Research 62, 1993.
  • Gottfredson, M. R. and Hirschi, T.,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 Dawkins, M. P., “Drug Use and Violent Crime among Adolescents”, Adolescence 32(126): 395-405, 1997.
  • Cox, M. & Klinger, E., “Ihcentive motivation, affective change abd alcohol use A model In M. Cox (Ed), Why people drink?”, New York Gardner Press, 1990.
  • Cernkovich, S. A. and Giordano, P. C., “School Bonding, Rac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 1992.
  • Cernkovich, S. A. and Giordano, P. C., “ Family Relationships and Delinquency, Criminology 25, 1987.
  • Cappell, H. & Greeley, J.,“Alcohol and tension reduction : An update on research and theory. In H. T. Blane & K.E. Leonard(eds), Psychological theories of drinking and aicoholism, New York ; Guiford Press, 1987.
  • Capowich, G. E., Mazerolle, P. and Piquero, A., “General Strain Theory, Situational Anger, and Social Networks: An Assessment of Conditioning Influence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9, 2001.
  • Brezina, T., “Adapting to Strain : An Examination of Delinquent Coping Responses” Criminology, 34 , 1996.
  • Babor, T. F., Higgin, J. C., Saunders J. B. & Monteiro, M.G.,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2nd ed., WHO/MSD/MSB/01.6a, Geneva, 2001.
  • Baber, T. F. and Grant, M., “From clinical research to secondary preven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AUDIT), Alcohol Health & Research World. 13(4), 1989.
  • Agnew, R., “Goal Achievment and Delinquency”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68, 1984.
  • Agnew, R., “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 1992.
  • Agnew, R., “ Building on the Foundation of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8, 2001.
  • Agnew, R., Brezina,T., Wright, J. P. and Cullen, F. T.,“ Strain, Personality Traits, and Delinquency : Extending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40, 2002.
  • Agnew, R. and White, H. R..“An Empirical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30 , 1992.
  • AMOS 170
    배병렬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