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내러티브 연구 이론과 성서교육 모형 연구

정동욱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내러티브 연구 이론과 성서교육 모형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ristian education
  • common experience
  • communication
  • miracle narrative
  • narrative
  • narrative bible education
  • narrative criticism
  • sharing dialogue
  • stages of praxis
  • story
  • 공통경험
  • 기적내러티브
  • 나눔의 대화
  • 내러티브
  • 내러티브 성서교육
  • 내러티브비평
  • 소통
  • 실천단계
  • 이야기
  • 이야기 기독교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15 0

0.0%

' 내러티브 연구 이론과 성서교육 모형 연구' 의 참고문헌

  •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김현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이야기의 기독교교육적 차원
    양금희 「기독교교육논총」 23: 191-211 [2010]
  • 요한복음 해석
    서중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 예수
    서중석 서울: 동아출판사 [1992]
  • 성서적 신앙공동체 교육
    박종석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0]
  • 성경의 내러티브 신학과 교회의 공적책임
    이형기 서울: 한들출판사 [2010]
  •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 토도로프에서 데리다까지
    박진 서울: 랜덤하우 스 중앙 [2005]
  • 복음서의 예수와 공동체의 형태
    서중석 서울: 이레서원 [2007]
  • 복음서 해석
    서중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 단속사회
    엄기호 서울: 창비 [2014]
  • 교회의 기독교 교육과정
    고용수 서울: 기독한교 [2005]
  •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양미경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관계적 자아 정체성 개발을 위한 리꾀르의 Narrative 관계성 이론 연구
    강미랑 「기독교논총」 32: 323-356 [2012]
  •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강희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이야기 ? 예술 ? 기독교교육」
    양금희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0]
  • 「사도행전 연구」
    유상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6]
  • 「복음서의 이적해석」
    김득중 서울: 컨콜디아사 [1999]
  • 「고별기도에 반영된 세상과 요한공동체」
    정동욱 서울: 연세대, 미간 행 석사논문 [2000]
  • “종교교과에서의 기독교적 종교교육 실천을 위한 교육모형 연구.”
    김선아 「종교교육학연구」 32: 92-94 [2010]
  • “역동적 독서행위로서의 서사비평”
    이종록 장흥길 편, 「서사로 성경읽기와 수사로 성경읽기」.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08]
  • “성경과 기독교교육: 교수학습에서의 이야기의 재발견.”
    김영래 「신학과 세계」 75: 311-335 [2012]
  • “설화적 접근을 통해서 본 기독교교육의 구조.”
    양금희 「장신논단」 23: 461-488 [2005]
  • “구약 성서시대의 종교교육.”
    김재은 오인탁외 4인 공저. 「기독교교육사」. 서울: 한들출판사, , 15-46 [2007]
  • _______. “Introduction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Narrative.” Susan Sontag ed., A Barthes Reader. New York: Hill and Wang, 1983.
  • ______. “An African-American Pathway to Hope: Belief Formation through uses of Narrative in Christian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91(1996): 316-333.
  • Wimberly, Anne Streaty. Soul Stories: African American Christian education. Nashville: Abingdon Press, 1994.
  • Weaving the New Creation ? Stage of Faith and the Public Church. 박봉수 역.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Culpepper, R. 서울: 한국장로교출 판사 [1996]
  • Via, Dan O. The Parables: Their Literary and Existential Dimens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7.
  • Van der Ven, Johannes. Practical Theology: An Empirical Approach. Kampen: Peeter Press, 1998.
  • Tracy, David. Blessed Rage for Order: The New Pluralism in Theology. New York: Seabury Press, 1975.
  •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vol.1.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3.
  • Theissen, Gerd. Zur Bibel motivieren . 고원석, 손성현 역, 「성서, 어떻게 가 르칠 것인가?: 열린 성서 학습의 길」
    서울: 동연 [2010]
  • Theissen, Gerd. The Miracle Stories of the Early Christian Traditon, Fransis McDonagh tr, John Riches. ed., Edinburgh: T. & T. Clark, 1983.
  • Temps et r cit Ⅲ: Le temps racont . 김한식 역, 「시간과 이야기 3: 이야기된 시간」
    Reike, B.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4]
  • Teaching for Faith ? A guide for Teachers of Adult Class. 사미자 역, 「신앙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Lewis, C. S.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 Stone, Jerry H. “Narrative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Randolph C. Miller, ed. Theologies of Religious Education, 고용수, 박봉수 공역. 「기독교적 종교교육과 신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 Sherrill, Lewis J. The Gift of Power, 김재은, 장기옥 역, 「만남의 기독교교 육」
    서울: 대한 기독교출판사 [1992]
  • Schmemann, Alexander. The Eucharist, 김아윤, 주종훈 역, 「하나님 나라의 성찬」
    성남: 새세대 [2012]
  • Ricoeur, Paul. Le conflit des interpr tations: essais ?berm neutique. 양명수 역, 「해석의 갈등」
    파주: 한길사 [2012]
  • Rhoads, David., Dewey, Joanna. Mark As Story.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Publishers. 양재훈 역, 「이야기마가」
    서울: 이레서원 [2003]
  • Remus, Harold E. “Miracle(NT),”ABD. ed., David Noel Freedman. Vol.4 New York: Doubleday, 1992.
  • Reed, Esther D., Susannah, Rob., Cornwall, Freathy., Davis, Anna. “Narrative theology in Religious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35(2013): 297-312.
  • Propp, V. Morphology of the Folktale, trans. L. Scott, 2d ed. Austin: University of Texas, 1968.
  • Powell, Mark Allan. What is Narrative Criticism?. Augsburg Fortress, , 이 종록 역, 「서사비평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1993]
  • Porter.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우찬제, 이소연, 박상익, 공성수 공역, 「서사학 강의」
    Abbott, H.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0]
  • Polkinghorne, Donald E.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 강현 석외 5인 공역,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서울: 학지사 [2010]
  • Perrin, Norman. “The Evangelist As Author: Reflections on Method in the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Synoptic Gospels and Acts,” BiblRes 17(1972): 9-10.
  • Perrin, Norman.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New York: Harcourt Brace Jovnovich, 1974.
  • Painter, J. The Quest for the Messiah; The History, Literature and Theology of the Johannine Community. Nashville: Abingdon Press, 1993.
  • Osmer, Richard R. and Schweizer, Friedrich L. eds. Developing a Public Faith: New Directions in Practical Theology. 연세기독교교육포럼 역. 「공적 신앙과 실천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 Osmer, Richard R. Pract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김현애, 김정형 공역, 「실천신학의 네 가지 중심과제」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12]
  • Niebuhr, H. Richard. Faith on Earth: An Inquiry into the Structure of Human Faith., Richard R. Niebuhr., e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9.
  • Neutestamentliche Weitgeshichite: De Blblishe Welt 500v.-100n. Chr, 번역실역「신약성서 시대사」
    Reike, B.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7]
  • Narratology and Biblical Narratives: A practical Guide,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이상규역, 「서사학과 성경 내러티 브」
    Tolmie, D. F.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8 [1999]
  • Murray, Dick. Teaching the Bible to Adult and Youth, 이금만 역, 「영성발달 을 위한 스물다섯 가지 성서교육 이야기」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3]
  • Morris, Leon. Jesus is the Christ. 홍찬혁 역, 「요한신학」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5]
  • Moore, Mary Elisabeth Mullino, “Seminar: Telling and Being the Story.” Impact 5(1980): 15-24.
  • Moore, Mary Elisabeth Mullino, Teaching from the Heart: Theology and Educational Method. 장대현 역. 「심장으로 하는 신학과 교육」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3]
  • Moltmann, J rgen. Gott im Project der modernen Welt. 곽미숙 역, 「세계 속 에 있는 하나님 ; 하나님 나라를 위한 공적인 신학의 정립을 지향하 며」
    서울: 동연 [2009]
  • Miracles. 이종태 역. 「기적」
    Lewis, C. S. 서울: 홍성사 [2011]
  • Miller, Donald E. Story and Context ;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고용수, 장종철 역, 「기독교교육 개론」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국 [1988]
  • McFague, Sallie. 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정애성 역, 「은유신학: 종교 언어와 하느님 모델」
    서울: 다산글방 [2001]
  • Massey, Karen G. “The Narrative Model for Teaching The Bible,” Review and Expositor 107(2010): 197-205.
  • Martyn, J. L. History and Theology in the Fourth Gospel. Nashville: Abingdon Press, 1979.
  • Marino, Joseph S. “Religious Education and the Bible: A biblical view,”in Joseph S. Marino ed., Biblical Themes in Religious Education. Birmingham: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3. 62-83.
  • Lee, James Michael.“Religious Education and the Bible: A Religious Educationist’s View,”Joseph S. Marino ed., Biblical Themes in Religious Education, Birmingham: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3. 1-61.
  • Lauritzen, Carol., Jaeger, Michael. Integrating Learning Through Story: The Narrative Curriculum. 강현석, 소경희, 박창언, 박민정, 최윤경, 이자현 공역.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
    서울: 학이당 [2007]
  • Kysar, Robert. John the Maverick Gospel. 나채운 역, 「요한복음서 연구」
    서울: 성지출판사 [1996]
  • Krieger, Murrary. A Window to Criticism: Shakespeare’s sonnets and Modern Poe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4.
  • Krich, Margaret A. “Biblical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 A Partnership,”John Reumann, ed., The Promise and Practice of Biblical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1, 171-184.
  • Kissel-Ito, Cindy. “Currere as Transformative Story Telling in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103(2008): 339-350.
  • Kingsbury, Matthew As Story. 권종선 역, 「이야기 마태복음」
    서울: 요단출 판사 [2000]
  • Kingsbury, Jack Dean. Matthew as Story. Philadelphia: Fortress, 1988.
  • Kelber, Werner H. Mark’s Story of Jesus. Philadelphia: Fortress, 1979.
  • Johnson, Susanne. “하나님 형상 안에서의 교육,”Jack L. Seymour and Donald E Miller, ed., Thelogical Approaches to Christian Education, 김 재은, 임영택 역, 「기독교교육과 신학의 대화」
    서울: 성광문화사 [1994]
  • Jean., Connelly, F. Michael.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소경희 외 3인 역, 「내러티브 탐구: 교 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Clandinin, D. 파주: 교육과학사 [2011]
  • Howe, Reuel L. The Miracle of Dialogue, 김관석 역. 「대화의 기적」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94]
  • Hopkins, Richard L. Narrative School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강현석외 4인 역, 「내러티브, 학교교육을 다시 디자인하 다」. 서울: 창지사, 2013 [1994]
  • Haynes, Stephen R. and McKenzie, Steven L. To each its own meaning: an introduction to biblical criticism and their application. 김은규, 김수남 역 「성서비평방법론과 그 적용」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 Hauwerwas, Stanley., Jones Gregory L. eds. Why Narrative?: Readings in Narrative Theology.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9.
  • Hauwerwas, Stanley. Truthfulness and Tragedy: Further Investigations into Christian Ethics. Notre Dam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77.
  • Hauerwas, Stanley. Community of Character. 문시영 역, 「교회됨」
    서울: 북코리아 [2010]
  • Harris, Maria. Teaching and Religious Imagination. 김도일 역. 「가르침과 종 교적 상상력」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 Groome, Thomas H.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이기문 역, 「기독교적 종교교육」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국 [1989]
  • Goldenberg, Claude. “Instructional conversations: Promotion comprehension through discussion.” The Reading Teacher 46(4), 316-327.
  • Funk, Robert W. Language, Hermeneutic, and the Word of God. New York: Harper & Row, 1966.
  • Frei, Hans W. The Identity of Jesus Christ. Eugene: Wipf and Stock Publisher, 1997.
  • Frei, Hans W. The Eclipse of Biblical Narrative: A Study in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Hermeneutics. New Haven, Conn
    : Yale University Press, 이종록역, 「성경의 서사성 상실 ? 18세기 유럽의 성경해 석학 연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1980]
  • Fowler, James W. Stages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사미자 역. 「신앙의 발달단계」
    서울: 한 국장로교출판사 [1987]
  • Espinoza, Benjamin D. “The Christian Story and Our Stories: Narrative Pedagogy in Congregational Life.” Christian Education Journal 10(2013): 432-443.
  • Edwards, Richard A. Matthew’s Story of Jesus Gospel. Philadelphia: Fortress, 1985.
  • Edwards, O. C. Luke’s Story of Jesus. Philadelphia: Fortress, 1981
  • Education for Continuity and Change: A New Model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이정근, 박혜성 역, 「연속성과 변화를 위한 교육 -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Lewis, C. S.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 Edlin, Richard J. The Cause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학문연구회 교육 학분과 역. 「기독교교육의 기초」
    서울: 그리심 [2004]
  • Die Glauw rdigkeit der Schriften des Neuen Testaments. 조성로 역, 「역사적 판단에 의한 재검토 - 신약성서의 신빙성」
    Bruce, F. F. 서울: 심지 [1994]
  • Dewey, John. Experience and Education. 강윤중 역, 「경험과 교육」
    서울: 배영사 [2004]
  • Denzin, Norman K. and Lincoln.Yvonna S.,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0.
  • Das Evangelium des Johannes. 허혁 역, 「요한福音書 硏究」
    Bultmann, R. 서울: 성광문화사 [1979]
  • Cully, Iris V. The Bible in Christian Education. 김도일 역, 「성경과 기독교교 육」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 Crossan, John D. In Parables. New York: Harper & Row, 1973.
  • Comstock, “Two types of Narrative The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55(1987): 687-717.
  • Cobley, Paul. Narrative. 윤혜준 역, 「내러티브」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 원 [2013]
  • Clark, David K. “Narrative Theology and Apologetics.”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y Society 36(1993): 499-515.
  • Chatman, Seymour.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김경수 역, 「이야기와 담화-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서울: 민 음사 [1990]
  • Chatman, Seymour.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 Bruner, Jerome.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 Brueggemann, Walter. The Creative Word: Canon as Model for Biblical Educa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 Brown, Raymond 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vol 1. New York: Doubleday & Company, Inc., 1970.
  • Brown, Raymond E. The Community of the Beloved Disciple, 최홍진 역, 「요 한공동체의 역사와 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98]
  • Brown, Raymond E, Francis J Moloney ed., An Introduction to the Gospel of John. 최홍진 역, 「요한복음 개론」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9]
  • Bright, John. A History of Israel, 박문재 역, 「이스라엘 역사」제 3 증보판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5]
  • Blevins, Dean G. “Story telling or Storied Telling? Media’s Pedagogical Ability to share Narrative as a Form of “Knowing”.”Religious Education 102(2007): 250-263.
  • Blair, Christine Eaton. The Art of Teaching the Bible: A Practical Guide for Adults. Louisville, Geneva Press, 2001.
  • Beasley-Murray, G. R. John 1-21,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36. Waco: Word Book Publisher, 1987.
  • Beardslee, William A. Literary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0.
  • Barthes, Roland. “The Death of the Author.”The Rustle of Language. New York: Hill and Wang, 1986.
  • Bal, Mieche.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한용환, 강 덕화 역「서사란 무엇인가」
    서울: 문예출판사 [1999]
  • Ashton, J. Understanding the Fourth Gospel. Oxford: Claendon Press, 1993.
  • Anderson, Bernhard W. 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강성열, 노항규 역, 「구약성서이해」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 Aland, Kurt. ed., Synopsis Quattuor Evangeliorum. Deutsche Bibelstiftung Stuttgart, 1976.
  • Alan. Anatomy of the Fourth Gospel: A Study in Literary Design
    Culpepper, R. Minneaplois: Fortress Press, 권종선 역, 「요한복음해 부」. 서울: 요단, 2011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