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역사회 환경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 on Social Welfare Attitudes

강정규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지역사회 환경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 on Social Welfare Attitud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복지태도
  • 사회적 자본
  • 지역사회환경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70 0

0.0%

' 지역사회 환경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 on Social Welfare Attitudes' 의 참고문헌

  •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희자 동서언론, 16. 59-88. 동서언론학회 [2013]
  •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중섭 사회복지정책, 36(4) [2009]
  •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김신영 한국조사연구학회, 제11호 [2010]
  •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국가의 복지책임지지도를 중심으로
    이성균 한국사회학, 36(2). 205-228 [2002]
  • 한국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연구
    유영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1997]
  • 한국 청소년의 복지의식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후복지 책임주체를 중심으로
    김신영 조사연구 9(1). 한국조사연구학회 [2008]
  •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
    김용민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권 3호, 249-284 [2007]
  • 지속가능 관광개발 및 사회자본과 파트너십, 네트워크, 관광거버넌스 간의 구조관계 연구
    유정우 동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중앙일보사, 『전국 74개시 비교평가 자료집』
    삶의 질 입체분석 [1995]
  • 중고령자의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공동체 의식과 생활환경 인식을 중심으로-
    김근홍 김효정 서문진희 송지원 신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0. 53-81 [2014]
  • 연복지의 논리, 실태 그리고 가능성의 탐색
    홍경준 사회복지연구, 16 [2000]
  • 시장과 사회적 자본
    박찬웅 그린출판사 [2006]
  • 시민단체가 사회적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룡 한국행정학보, 40(3). 한국행정학회 [2006]
  • 삶의 질 측정지표 및 측정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이영균 사회과학연구, 4. pp.203-246. 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7]
  •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89-117 [2004]
  • 사회자본 Social Capital : 불신에서 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박희봉 조명문화사 [2009]
  •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적 자본 연구
    한상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김상준 한국사회학, 38(6). 한국사회학회 [2004]
  •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류진석 한국사회복지학, 54(4).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 복지정치의 사회적 균열구조에 관한 연구: 계급론의 한계와 새로운 분석틀
    안상훈 한국사회복지학회지 vol. 43.한국사회복지학회 [2000]
  • 문화관광개발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강릉원주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두산백과
    doopedia
  •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2012]
  •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미영 사회복지조사연구, vol.18. 25-46.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 기든스, 에이의 현대사회학
    박길성 서울: 을유문화사 [2011]
  • 경로당 이용만족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오현숙 사회복지연구, 24. 197-232.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3]
  • 『지역사회개발학』
    임상봉 정지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지역사회개발론』
    권태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6]
  • 『지방시대 지역사회개발론(개정판)』
    최상호 서울: 박영사 [2004]
  • 『제3의 자본』
    이동원 정갑영 삼성경제연구소 [2010]
  • 『신 지역발전론』
    강현수 김용웅 차미숙 한울 아카데미 [2009]
  • 『사회복지의 역사와 철학』
  • 『관의 논리 민의 논리』
    강형기 서울: 비봉출판사 [1998]
  •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 계급 및 이데올로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영란 승가, 18. pp.165-186. 중앙승가대학교 [2001]
  • “한국대학생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사회과학과 정책연구”
    김상균 6(4).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5]
  • “지역사회특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원동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지역사회 조사 시 환경의 객관적 수준에 대한 지역주민의 주관적 인식 간 격차에 관한 연구”
    서재호 한국공공관리학보, 27(2).81-102. 한국공공관리학회 [2013]
  • “지역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형성 탐색, 사회복지연구”
    김효정 유영주 최종혁 41(3).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김명환 박희봉 한국행정학보, 34(4) [2000]
  • “지역사회 변화전략으로써의 자원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관점 적용”
    홍현미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지역사회 내 생활환경의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송태수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 한국지역개발학회 [2003]
  •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자기이해, 사회화, 이데올로기,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을 중심으로”
    이중섭 함철호 사회과학연구, 26(4). 299-325.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 “지역구조변수가 신뢰로서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이숙종 조현해 최준규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2009]
  • “주민공동체와 지역사회개발”
    崔在元 제3회 지역사회개발학술발표대회 주제 발표집, 183-199. 한국지역사회개발협회 [1993]
  • “연구논문 :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시민교육의 방향”
    최종덕 시민교육연구, 39(4). 135-161.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 “여성의 사회적 자본 : 기업조직 내 연결망 분석 사례 중심으로”
    장덕진 황정미 경제와 사회, 59. pp.130-160. 한국산업사회학회 [2003]
  • “삶의 질의 개념, 구성요소 및 측정방법”
    김재홍 이은우 이재기 사회과학논집, 8(2). pp.49-76. 울산대학교 [1998]
  •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경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안태숙 강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사회적 자본이 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무원과 시민단체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희경 이숙종 최준규 한국행정학보, 42권 1호. 한국행정학회 [2008]
  • “사회적 자본의 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허용훈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03년 1호 [2003]
  • “사회적 자본, 민주주의와 거버넌스: 국가차원에서의 다국 비교 연구”
    마득용 한국정치연구, 18(1).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07]
  • “사회복지발전을 위한 시민참가의 의미와 과제”
    전광현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1). 569-580 [2001]
  •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박병현 홍봉선 14(1). 85.110.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95]
  • “복지의식의 계급효과와 공사부문 효과”
    조돈문 산업노동연구, 7(1).157-193. 한국산업노동학회 [2001]
  •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이중성”
    류진석 최균 사회복지연구, 16.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0]
  •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동향”
    변미희 한국가족복지학 7(2). 한국가족복지학회 [2002]
  • “복지국가의 제도적 특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사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복지경험이 도시 빈민의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조혜경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도시생활환경지표와 측정에 관한 연구”
    김병국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1989]
  • 박사
    “노인의 생활환경 만족도와 관련요인 분석”
    배진승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노년기 장애와 지역사회 환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구본미 34(2). 103-1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 “교육부문에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교육의 이론과 실천”
    김천기 김태선 12(1). 한독교육학회 [2007]
  •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배병룡 15(4), 49-74 [2005]
  • “경제위기와 사회위기]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신뢰”
    박찬웅 비교사회기획2. 137-163. 한국비교사회학회 [2000]
  •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양옥경 한국사회복지학, 51. 한국사회복지학회 [2002]
  • Zucker, L. G. (1986). “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 1840-1920.”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53-111.
  • Van Oordchot, W. (1999). “The Legitimacy of Welfare: A Sociological Analysis of Motives for Contributing to Welfare Schemes".
  • Titmuss, M. R. (1975). Social Policy : An Introduction. published by KnoDoubl.
  • Taylor-Gooby, P.(1985). Attitudes to Welfare. Journal of Social Policy, Vol.14. No.1.
  • Tavits, M. (2006). “Making Democracy Work More? Exploring the Linkage betwee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Performance.”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9(2): 211-225.
  • Svendsen G. and Svendsen, G.(2004).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Social Capital: Entrepreneurship, Co-operative Movements, and Institutions (Google eBook).
  • Svallfors, S. (1997). “Worlds of Welfare and Attitudes to Redistribution: A Comparison of Eight Western Nation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3(2): 283-304.
  • Stone, W. (2001), Measuring Social Capital, Research Paper No. 24,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Melbourne.
  • Smith, M. H., A. J. Beaulieu and G. D. Israel.(1992)."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dropping out of school in the south" Journal of Research in Rural Education. 8(1).
  • Sanders, I. T.(1959), Making Community Better. rev.ed, University of Kenterky Press. 86-91.
  • Sampson, R. J., J. D. Morenoff and F. Earls.(1999). Beyond social capital: Spatia ldynamics of collective efficacy for 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
  • Rubin, J. Z. and Brown, B. R.(1975). The Social Psychology of Bargaining and Negotiation. NY: Academic Press.
  • Rokeach, M. (1980),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A Theory of Organization and Change, 1st ed., Jossey-Bass, San Francisco, CA.
  • Rohe, W.(2004). Building Social Capital Through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ation, 70(2).
  • Rimlinger, G. V.(1971). Welfare Policy and Industrialisation in Europe, America and Russia.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 Rank, M. R. and Hirschl, T. A.(1999). Estimating the proportion of Americans ever experiencing poverty during their elderly years, journal of Cerontology; Social sciences, 54B. 184-193.
  • Putnam, Robert D.(1995). Making democracy work :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olanyi, K.(1945).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London: Gollancz.
  • Perloff, Harvey S., Edgar S. Dunn, Jr., Eric E. Lampard, and Richard Muth. (1960). Regions, Resources, and Economic Growth. The Johns Hopkins Press.
  • Pagden, A.(1988). The di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puence. Trust Making Cooperative Relations. Oxford:Blackwell.
  • Olsen, Marvin E. and Donna J. Merwin(1977). Toward a Methodology for Conducting Social Impact Assessments using quality of social life indicators. Battelle Pacific Northwest Laboratories Richland, Washington.
  • Olsen, E.(1961). School and community, 2nd ed. Englewood Cliffs N. Y : entice Hall, Inc..
  • OECD(2001).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Paris:OECD.
  • McCormack, B. (2004) ‘Person-centredness in gerontological nursing: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Vol. 13, 31–8.
  • Mayer, R. C., Davis, J. H. and Schooman, F. D.(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2).
  • Markusen, A. (1987). Regions: The economics and politics of territory. Totowa, N.J.: Rowman & Littlefield.
  • Macintyre, S., Maciver, S. and Sooman, A. (1993). Area, class and health; should we be focusing on places or people? Journal of Social Policy, 22, 213–234.
  • Lin, Na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Kluegel, J. R. and M. Miyano. 1995. “Justice Beliefs and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in Advanced Capitalism". In J.R. Kluegel et al.. Social Justice and Political Change: Public Opinion in Capitalist and Post-Communist States. New York: Aldine de Gruyter.
  • Kahana, E., Lovegreen, L., Kahana, B., and Kahana, M.(2003), Person, environment, and person-environment fit as influenc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elders, Environment and Behavior, 35(3):434-453.
  • Kahana, E.(1982). A congruence model of person-environment interaction Aging and the environment: Theoretical approaches, 97-121.
  • IMF관리체제이후 한국인의 사회복지 의식에 관한 연구
    이인재 사회복지연구, 36(2).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1998]
  • Hansenfled, Y. and Jane A. R.(1989). The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 toward the welfare state. Social Forces, 67(4):1027-1048.
  • Grootaert Christian, Deepa Narayan, Nyhan V. Jones and Michael Woolcock. 2004. "Measuring Social Capital: An integrated Questionaire." WorldBank Working Paper No. 18. World Bank, Washington, DC.
  • Granovetter, Mark. (1973).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 Glanville, J. L.(2001). Ties and trust: Can we rely on voluntary associations to produce social capital?.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1)
  • Fukuyama(1999). Trust : The Social Virtuse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Free Press.
  • Esping-Andersen(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Polity
  • Ensminger, M. E., Lamkin, R. P., & Jacobson, N. (1996). School leaving: A longitudinal perspective including neighborhood effects. Child Development, 67, 2400-2416
  • Cummings, R. A. (2000).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 Interactive Model. Social Indicators Research, 52: 5-72.
  • Cook, L. A. (1950). A SociologicalApproach Education, New York : McGraw-Hill. 48-49.
  • Coleman, J.(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 Bullen, P and Onyx, J.(1997). Measuring Social Capital in Five Communities in NSW. Retrieved from http://www.map1.com.au/A2.htm on 3/22/2011.
  • Bourdieu, P.(1986).,The form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 Han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education, New York: Greenwood, 241-1258.
  • Blekesaune, M, and Quadagno, J. (2003).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tate polic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24nation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9:415-27.
  • Bhandari, H. and Yasunobu, K. (2009). What is Social Capit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cept.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7: 480 – 510.
  • Ahn, T. K., and E. Ostrom.(2008).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Action.” In The Handbook of Social Capital, edited by Dario Castiglione, Jan W. van Deth, and Guglielmo Wolleb, 70–10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Adler, Paul S. and Kwon, Seok-Woo(2000). Social Capital: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89-115. In Eric L. Lesser (ed.).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Foundation and Application. Boston: Burtworth Heine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