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민사법상 소멸시효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e Korean Civil Law

문봉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민사법상 소멸시효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e Korean Civil Law'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소멸시효
  • 시효기간
  • 시효요건
  • 시효장애
  • 시효효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7 0

0.0%

' 민사법상 소멸시효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e Korean Civil Law' 의 참고문헌

  • 金山直樹, 前揭 時?理論展開の軌跡-民法學における傳統と變革-.
  • 현대민법총론
    장후영 정음사 [1955]
  • 한국법제연구원
    「中國의 民法通則硏究」, , p53 [1991]
  • 한국민법론 총칙편(수정판)
    박영사 [2004]
  • 한국물권법
    법문사 [1990]
  • 친족ㆍ상속법
    박영사 [1986]
  • 채권각론
    대도 준지 박영사 [2005]
  • 채권각론
    김형배 박영사 [2003]
  • 채권각록
    화산미디어 [2009]
  • 주석민법총칙(하)
    주재황 한국사법행정학회 [1980]
  • 제26회 국회정기회의 속기록
    대국회 45호 [1957]
  • 정부 (법무부)
    민법 일부개정법률안 [2011]
  • 유럽의 통일계약법
    박영복 법조 [1999]
  • 신민법총칙
    최식 박영사 [1962]
  • 신민법총칙
    김증한 일한도서출판사 [1963]
  • 신민법총칙
    방순원 법문사 [1958]
  • 신민법총칙
    장경학 한일문화사 [1959]
  • 신물권법(상)
    김현태 일조각 [1975]
  • 소멸시효제도의 목적과 개정 독일민법상의 통상의 소멸시효”, 비교사법 제9권 제2호
    임건면 한국비교사법학회 [2002]
  • 소멸시효와 신의칙
    권영준 재산법연구(제26권 제1호), 한국재산법학회 [2009]
  • 소멸시효 항변의 소송상 취급
    장석조 법조, 48권 1호 [1999]
  •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김증한 서울대 법학 1권 2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12 [1959]
  • 사법상의 권리행사기간-소멸시효기간과 제척기간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
    박영규 민사법학 제18호, 한국사법행정학회 [2000]
  • 법학통록
    최종고 박영사 [1998]
  • 법무부공고 제-241호법률용어사전
    현암사, 2001. 2 [2010]
  • 민의원 법제사법위원회 민의안심의 소위원회
    民法案審議錄(上卷). (註222)
  • 민사소송법
    林田學 박영사 [1997]
  • 민사법연구회, 민법안의견서(방순원 집필부분)
    일조각 [1957]
  • 민법학강의(9판)
  • 민법판례강의(220選)
    법문사 [2009]
  • 민법통론
    법문사 [1998]
  • 민법총칙론
    김용한 박영사 [1997]
  • 민법총칙론
    박재우 박영사 [1993]
  • 민법총칙,(제7판)
    박영사 [2002]
  • 민법총칙(제9판)
    김증한 김학동 박영사 [1995]
  • 민법총칙(제5판)
    삼영사 [2001]
  • 민법총칙(제4판)
    김주수 삼영사 [1996]
  • 민법총칙(전정판)
    고상룡 법문사 [1999]
  • 민법총칙(전정판)
    김상용 법문사 [1998]
  • 민법총칙 신정(수정판)
    박영사 [1998]
  • 민법총칙 (신정판)
    박영사 [1990]
  • 민법총칙
    천영 박영사 [2007]
  • 민법총칙
    박재우 교문사 [1978]
  • 민법총칙
    석본아남 박영사 [1966]
  • 민법총칙
    석전양 박영사 [1992]
  • 민법총칙
    원등호 법문사 [1985]
  • 민법총칙
    송근양 박영사 [2001]
  • 민법총칙
    정환담 박영사 [2003]
  • 민법총칙
    나현태 박영사 [2004]
  • 민법총칙
    서광민 신론사 [2007]
  • 민법총칙
    명순구 법문사 [2005]
  • 민법주해(Ⅲ)(편집대표 곽윤직),-총칙(3)
    윤진수 박영사 [1992]
  • 민법주해(Ⅲ)(편집대표 곽윤직)
    박영사 [2002]
  • 민법주해 Ⅲ(대표집필 곽윤직)
    박영사 [1998]
  • 민법입문
    양창수 박영사 [1994]
  • 민법개론
    삼영사 [2006]
  • 민법강의(하)
    박영사 [2007]
  • 민법강의(전정판)
    김준호 법문사 [2007]
  • 민법강의(상)
    송덕수 박영사 [2004]
  • 민법강의(상)
    이근식 법문사 [1975]
  • 민법강의(11판)
    홍문사 [2013]
  • 민법강의
    송덕수 홍문사 [2007]
  • 민법(총칙ㆍ물권)
    현승종 일신사 [1965]
  • 민법 1
    이광식 박영사 [2003]
  • 물권법론
    박영사 [1996]
  • 물권법강의
    김증한 박영사 [1984]
  • 물권법
    이등진 법원사 [2004]
  • 물권법
    홍성재 박영사 [2006]
  • 물권법
    이광식 법문사 [1990]
  • 물권법
    이광병 법문사 [2003]
  • 로마법원론
    현승종 일조각 [1982]
  • 로마법
    현승종 법문사 [1996]
  • 독일 개정민법상 소멸시효제도
    이상영 비교사법 제9권 제2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2]
  • 게르만법
    현승종 박영사 [2001]
  • 鳩山秀夫, 日本債權法總論, 岩波書店, 大正5(1916).
  • 船田亨二, ロ?マ法入門, 有斐閣, 1956.
  • 福井政草, 民法原論(Ⅰ), 明治37年(1903).
  • 梅謙次郞, 民法要義券之一總則編, 有斐閣書房, 明治42年(1909).
  • 松久三四彦, “時效制度”, 星野英一編輯代表「民法講座第一券民法總則」,有斐閣, 1984.
  • 會野和明, 國際的動産賣買における時效に關する條約“年)註譯, 國際法外交雜誌, 제87권, 3호, 1998
    (이하 時效協約 註釋) [1974]
  • 星野英一, “時效に關する覺書-その存在理由な中心としで”, 民法論集 第4券, 有斐閣, 1978.
  • 我妻 榮, 民法總則, 岩波書店, 1957.
  • 我妻 榮, 新訂民法總則, 岩波書店, 1965.
  • 幾代 通, 民法總則, 靑林書院新社, 1984,內他慶四浪. 消滅時效法 の原理と歷史的課題」, 成文當, 1993.
  • 川島武宣, 註釋民法(5), 有斐閣, 1980.
  • 川島武宣, 民法總則, 有斐閣, 1965.
  • 奧田道昌, 請求權槪念の生成と展開. 創文社, 1980.
  • 原田慶吉, 日本民法典의 史的素描
    創文社, , p84 [1981]
  • 半田吉信, 消滅時效法改正に關するぺ一夕一ス,ツィンマ一マンの提案(一),「西ドィツ債券法改正鑑定意見の硏究」, 日本評論社, 1988.
  • 「한국민법총칙」
    김기선 법문사 [1985]
  • 「민법총칙」
    홍성재 대영문화사 [2005]
  • 「민법총칙」
    천영 법문사 [2006]
  • “형성권 논의의 의미”
    金榮喜(Kim Young-Hee) 비교사법 제11권 4호(상) (통권27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4]
  • “한국 민법에 있어 소멸시효 법제의 선진화를위한 법리연구”
    이기용 임건면 임상순 한국민사법학회, 법무부 [2007]
  • “피고의 방어방법과 시효의 중단”
    이시윤 민사판례연구 제3권
  • “채권자의 권리행사가 객관적으로 불가능한 사실상의 장애사유가있음에 불과한 경우 채무자의 소멸시효 항변이 신의칙에 반한다는 이유로 허용되지 않을 수 있는지 여부”
    이주현 대법원판례해설(제42호), 법원도소관 [2003]
  • “조선왕조의 채권법 제도에 관한 연구”
    李在睦(Lee Jae-Mok) 「Juris Forum」제3호,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 “제척기간에 관한 소고 -소멸시효와 제척기간을 중심으로-”
    이기용 이홍렬 성균관법학 제19권 제3호, 비교법연구소 [2007]
  • “유럽계약법원칙(PECL) 서설(1)”
    김재형 저스티스 [2003]
  • “유럽계약법 원칙에 대한 일고 및 그 번역”
    「법학」제40권 1호,서울대법학연구소 [1999]
  • “유럽계약법 원칙 제3부 번역”
    「법학」제44권 1호, 서울대법학연구소
  • “실효의 원칙”
    김학동 판례월보 152호
  • “시효제도의 기초적사상과 시효완성의 효과에 관한 연구”
    徐達周 韓光錫 「사회과학연구」 제5집 , 순천대학 사회고학연구소 [1993]
  • “시효에 관한 민법개정안”
    송덕수 법무부, 법인 시효제도 개선을 위한민법개정안 공청회 [2010]
  •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金允求 법학연구 제11권,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 “소멸시효제도의 비교법적 연구”
    오소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박사
    “소멸시효의 중단에 관한 연구 -재판상의 청구를 중심으로”
    김흥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소멸시효의 완성과 시효의 원용”
    김윤구 법학연구 제14권, 충북대학교법학연구소 [2003]
  • “소멸시효의 완성과 시효의 원용”
    최종길 법조, 17권 12호
  • “소멸시효의 기산점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배기원 사법논집 제12집, 법원정처 [1981]
  • “소멸시효완성의 효과”
    「한국민법이론의 발전(Ⅰ)-총칙ㆍ물권편」, 박영사 [1999]
  • “소멸시효완성의 법률효과”
    서달주 이기우 영남대인문사회과학연구 제5집 [1998]
  • “소멸시효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김학동 민사법학 제11ㆍ12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95]
  • “소멸시효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민사법학회 년도 학술발표회, 1993 [1993]
  • “소멸시효에 관한 연구,”
    이홍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소멸시효에 관한 역사적 고찰”
    金榮喜(Kim Young-Hee) 법사학연구 제31호, 도서출판 민속원 [2005]
  • “소멸시효법의 과제와 개정방향”
    장석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소멸시효법의 개정동향”
    최수정 제3회 한국법률가대회 [2002]
  • 박사
    “소멸시효론”
    김증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67]
  • “소멸시효론”
    민법논집, 박영사 [1982]
  • “소멸시효”
    윤진수 「민법학의 회고와 전망」, 민법시행 30주년 기념논문집 [1993]
  • “소멸시효 항변의 소송상취급”
    민사재판의 문제점(제10권) [2000]
  • “소멸시효 항변에 대한 법원의 석명의무, 법적 관점 표명의무”
    인권과 정의, 270 [1999]
  • “소멸시효 완성된 채무의 일부변제의 효력”
    서광민 고시계 39권 3호(445호), 국가고시학회 [1994]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연구 -기산점에 관한 사례의 유형적 분석을 중심으로”
    최윤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부동산이 이전등기 없이 양도된 경우의 등기청구권과 소멸시효”
    이기용 成均館法學 제13권 제1호, (성균관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1]
  • “민사소송상 법적 청문권, 채권법에 있어서의 자유와 책임”
    박영사 [1994]
  • “민법안의 성립과정에 관한 소고”
    「법학」제30권 3,4호, 서울대법학연 구소 [1989]
  • “민법안의 성립과정에 관한 소고”
    「민법연구」제1권 박영사 [1991]
  • “민법안에 대한 국회의 심의”
    「민법연구」제3권 박영사 [1995]
  • “민법개정안과 세계화의 경향”
    윤석찬 법학연구 제47권 제2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 “민법 제186조의 적용범위와 한계”
    강석창 민법학의 회고와 전망 [1993]
  • “민법 개정법률안 시효편 토론문”
    김천수 법무부 법인 시효제도 개선을위한 민법개정안 공청회 [2010]
  • “독일채권법현대화법안- 채권불이행법을 중심으로”
    김형배 저스티스 제34권 제5호, 한국법학원 [2001]
  • “독일의 채권법개정”
    「법학」 제42권 제1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1]
  • “독일의 새로운 민법개정안 - 연방법무부의 「채권법쇄신법」의토론용 초안에 대하여”
    양창수 「법학」 제41권 4호, , 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 [2001]
  • “독일민법의 문제점과 개정제안(하)”
    정종휴 사법행정 [1992]
  • “독일개정민법의 시효제도와 우리민법 소멸시효제도의 개선방안”
    이용박 민사법학 제23호 [2003]
  • “독일 개정민법상의 소멸시효에 관한 연구”
    박건욱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003]
  • “남한과 북한의 민법의 비교연구”
    김항중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국제물품매매에서의 소멸시효에 관한 협약”
    李海一 연세법학연구 제4집, 연세법학회 [1997]
  • “국제물품매매에서의 소멸시효에 관한 UN,협약”
    오세창 (하), 중재, 제193호 [1988]
  •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유엔 시효협약”
    최흥섭 비교사법 통권 13권, 한국비교사법학회 [2000]
  • “국가의 소멸시효 완성 주장이 신의칙에 반하여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기준”
    이범균 대법원 판례해설(제54호), 법원도서관 [2006]
  • “국가공권력의 인권침해에 대한 민사적구제에 관한 법률적검토”
    이은혜 민사법연구(제18집), 대한민사법학회 [2010]
  • “계약책임과 불법행위 책임의 경합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규범통합이론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Windscheid/Kipp, Lehrbuch des Pandektenrechts, 9. Aufl., 1906, 106.
  • Pollock and Maitland, "The History of English Law", 2nd ed., 1952,vol. Ⅱ, S. 81, 141.
  • Olson,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Indemnification when NoCharges Filed; How Soon is a Director Required to Make aClaim", 31 Jounal of Corporation, 1035, 1040(2006)
  • Munchener Kommentar zum Burgerlichen Gesetzbuch(von Feldmann),3Aufl., Bd, 1, 1993, 195 Rn. 12(zit.; Muunchkomm./Bearbeiter).
  • Motive I : Motive zu dem Entwurfe eines Burgerlichen Gesetzbuchsfur das deutsche Reich, Bd, Ⅰ, 1888.
  • Mansel, Heinz-Peter, "Die Neuregelung Verjahrungsrechts", NJW 2002.
  • Larenz, Allgemeiner Teil des burgerlichen Rechts, 9. Aufl. 2004, S.304.
  • La Fave, "Remedying the Confusion between Statutes of Limitationsand Statutes of Repose in Wisconsin", 88 Marq. L. Rev. 927,928(2005).
  • H ans Smit, "The Convention on Limitation Period in the InternationalSale of Goods UNCITRAL'S First-Born", Am J Comp. L,vol.23, 1975, pp 347-348.
  • Gierke, Deutsches Privatrecht I, 1905, S, 313. ff.
  • Comment, "Developments in the Law of Statutes of Limitations", 63Harv. L Rev. 1177, 1185(1950).
  • Buckland-Stein. "A Text-Book of Roman Law", Cambridge UniversityPress, 2nd ed. 1975.
  • 2002년 개정된 독일채권법의 주요내용 - 소멸시효법과 채무불이행법을 중심으로
    송호영 인권과 정의 통권 제312호, 2002..8 [2002]
  • 19세기 독일에 있어서의 청구권개념의 생성과 변천, 「손해배상제문제」성헌황적인박사 화갑기념논문집
    호문혁 박영사 [1990]
  • (역), 정당한 법의 원리
    양창수 칼 라렌즈 저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