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적패션에 표현된 전통미와 숭고미 =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Sublime Beauty Expressed in Korean Fashion

이은정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은정
    • 기타서명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sublime beauty expressed in Korean fashion
    • 형태사항 삽화: ix, 178 p.: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2015. 2, 서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박사)-, 의류학과
    • DDC 646, 22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서울대학교 대학원
    • 주제어 한국적패션
    유사주제 논문( 8)
' 한국적패션에 표현된 전통미와 숭고미 =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Sublime Beauty Expressed in Korean Fash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적패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 0

0.0%

' 한국적패션에 표현된 전통미와 숭고미 =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Sublime Beauty Expressed in Korean Fashion' 의 참고문헌

  • 현대미술과 모더니즘론
    이영철 서울: 시각과 언어 [1997]
  • 한국적패션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김민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한국의 복식미
    김영자 서울: 민음사 [1992]
  • 한국복식사회
    이경자 서울: 일지사 [1983]
  • 한국미학시론
    권영필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4]
  • 한국,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최준식 서울: 효형출판 [2000]
  • 한·일 여성복식의 현대화에 나타난 미적 특성
    이진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패션이즈패션
    이상봉 서울: 민음인 [2013]
  • 판단력비판(Kritik der Urteilskraft). 이석윤 옮김
    Kant, I. 서울: 박영사 [2005]
  • 판단력비판(Kritik der Urteilskraft). 김상현 옮김
    Kant, I. 서울: 책세상 문고 [2005]
  • 파리로 간 한복쟁이
    이영희 서울: 디자인하우스 [2011]
  • 칸트 판단력비판 연구
    김광명 서울: 이론과 실천 [1992]
  • 칸트
    하선규 미학대계1권: 미학의 역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지식백과 http://terms
    두산백과 naver.com/list.nhn?cid=40942&categoryId=40942
  • 조선의 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이인범 서울: 시공사 [1999]
  • 숭고의 미학 - 파괴와 혁신의 문화적 동력
    안성찬 서울: 유로서적 [2004]
  • 숭고와 부정성
    최소인 새한철학회논문집 철학논총 제58집, 4권 [2009]
  • 세계미술용어사전(네이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복식미학 강의2
    김민자 서울: 교문사 [2004]
  • 미학의 시대에서 비평의 시대로
    장민한 현대미술학논문집 vol.10 [2006]
  • 미적 태도와 미적 대상, 가치, 경험의 관계
    최경석 미학대계2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미술대사전(인명편) 지식백과 http://terms
    naver.com/list.nhn?cid=42636&categoryId=42636
  • 미술대사전(용어편) 지식백과 http://terms
    naver.com/list.nhn?cid=42635&categoryId=42635
  • 네이버 캐스트(http://navercast
    naver.com/contents.nhn?rid
  • 구수한 큰 맛 : 한국미술의 이해 2
    고유섭 서울: 다할미디어 [2005]
  • 『미학 강의』
    오병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최세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형식주의와 모더니즘.”
    조주연 현대미술사연구. 16집 [2004]
  • “현대패션의 오리엔탈리즘: 80년대 프레타포르테를 중심으로.”
    윤명자 이화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헤겔의 미학,”
    권대중 미학대계1권: 미학의 역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헤겔 미학에 관한 연구
    이진석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한국복식의 현황과 과제.”
    금기숙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1994]
  • “한국복식과 사회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김민자 한국의류학회지 Vol.17, No. 2 [1993]
  • “한국 문화와 변화의 전망.”
    임희섭 한국사회의 발전과 문화. 서울: 나남출판 [1988]
  • “포스트주의는 무엇을 포스트했는가? - 한국의 ‘포스트’주의 수용에 대한 비판.”
    최종욱 계간 열린지성 – 창간호 여름) [1997]
  •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미술이론과 비평.”
    김영나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8집 [1996]
  • “칸트 미학의 현대적 쟁점들(1).”
    하선규 미학 제65집 [2011]
  • “우리나라 패션 산업의 예술성 찾기.”
    김민자 패션발전포럼. 서울:문화관광부 [2007]
  • “예술의 정의.”
    김요한 미학대계2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예술의 개념, 예술의 정의.”
    이해완 현대문화와 철학의 새 지평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5]
  • “예술과 문화적 삶.”
    하선규 미학 제49집 [2007]
  • “아서 단토의 미술종말론과 그 근거로서의 팝아트의 두 가지 함의.”
    장민한 현대미술사연구. 제19권 [2006]
  • “숭고의 문제.”
    김광명 미학대계2권: 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서구 마르크스주의.”
    정성철 미학대계1권: 미학의 역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생활한복의 모형개발연구.”
    채금석 복식, 21 [1993]
  • “사회과학에서의 근대성 논의-‘근대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임현진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문제연구소 편. 서울: 역사비평사 [1996]
  • “비엔날레와 문화 창조.”
    임영방 경계를 넘어-광주비엔날레 전시도록. 광주: 도서출판 삶과꿈, 1995 [1995]
  • “복식에 표현된 초공간 패러다임.”
    이윤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복식에 표현된 숭고미에 관한 연구.”
    최수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발터벤야민의 숭고론.”
    김동훈 미학 제52집 [2007]
  • “면복의 십이지장문에 관한 연구.”
    이혜경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멀리서 바라보기–영화속의 숭고.”
    이윤영 미학 제62집 [2010]
  •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전반적 흐름.”
    신혜경 미학대계1권: 미학의 역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리오타르의 뉴먼.”
    배철영 새한철학회논문집 철학논총 제39집,1권 [2005]
  • “독일 근대 미학의 전반적 성격.”
    이창환 미학대계1권: 미학의 역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글로벌리즘(Globalism)의 본질.”
    김채수 새한철학회 논문집 철학논총 제69집 제3권 [2012]
  • “근대미학의 성립기반으로서의 라이프니츠 사상 연구.”
    윤미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근대 미학의 사상적 기원에 관한 논의.”
    오병남 예술과 비평. , 가을) [1986]
  • “그 이후의 영미미학.”
    오종환 미학대계1권: 미학의 역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국립국어원.”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서울: 예림 [2007]
  • “감성능력의 재평가와 독일 근대미학의 초기적 성립과정.”
    박배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Vivienne Westwood, Issey Miyake, Hussein Chalayan 패션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
    윤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20세기말 현대패션에 나타난 다문화주의 현상에 관한 연구.”
    임영자 최혜정 복식 Vol.51 No.2 [2001]
  • http://www.youtube.com
  • http://www.wikiart.org
  • http://www.vogue.co.kr
  • http://www.samsungdesign.net
  • http://www.firstviewkorea.com
  • http://www.fashionbiz.co.kr
  • http://www.elle.co.kr
  • http://news.donga.com
  • http://news.chosun.com
  • Werbner, Pnina. 2005. "The translocation of culture : Community Cohesion and the force of multiculturalism in history." The Editorial Board of The Sociological Review. Oxford : Blackwell Publishing Ltd.
  • Tatarkiewica, Wladyslaw. 여섯가지 개념의 역사. 이용대옮김
    서울: 이론과 실천 [1990]
  • Sandler, Irving.. The Triumph of American Painting. N.Y.: Harpers&Row Publishers, 1970.
  • Said, Edward W. 오리엔탈리즘. 박홍규옮김
    서울: 교보문고 [2007]
  • Robertson, R. and Chirico, J. “Humanity, globalization and world religious resurgence : a theoretical exploration.” Sociological Analysis, 1985/46(3).
  • Newman, Barnett. “The Sublime is now.” in Barnett Newman-Selected wrintings and Interviews. ed. By John P. O’Neill, U of California Press, 1990.
  • Nancy, Jean-Lu. “숭고한 봉헌,“ 숭고에 대하여, 김예령 옮김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2]
  • Martin, R. and Koda., H. Orientalism. New York : The Metropollitan Museum of Art. 1993
  • Lyotard, Jean-Francois. 포스트모던적 조건. 이현복옮김
    서울: 서광사 [2010]
  • Lyotard, Jean-Francois. 지식인의 종언. 이현복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2011]
  • Lyotard, Jean-Francois. “Introduction t the postmodern condition.” Art in Theory 1900-1990. C.Harrison & P.Wood (Eds). Cambridge: Blackwell, 20000.
  • Huntington, Samuel P.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
    서울: 김영사 [1997]
  • Giddens, Anthony. 제 3의 길. 한상진 옮김
    서울: 생각의 나무 [2001]
  • Eagleton, Terry. “Capital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New Left Review. No.152, (1985).
  • Dickie, George. 미학입문. 오병남옮김
    서울: 서광사 [1980]
  • Danto, Arthur C. 예술의 종말이후, 이성훈, 김광우 옮김
    서울: 미술문화 [2012]
  • Danto, Arthur C. The Abuse of Beauty. Chicago : Opencourt. 2005.
  • Crow, Thomas. The Rise of the Sixti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6.
  • Cassirer, Ernst. 문화과학의 논리, 박완규옮김
    서울:코기토 [2007]
  • Burke, Edmund.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김동훈 옮김
    서울: 마티 [2006]
  • Bolton, Andrew. Anglomania : Tradition and Transgression in British Fashion. New York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 21세기 문화 미리보기
    이영철 서울: 시각과 언어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