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사회과학의 전문화와 대중화 = Spe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Social Sciences

김성은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사회과학의 전문화와 대중화 = Spe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Social Scienc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제학
  • 대중화
  • 비판적 인문사회과학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의 공공성
  • 사회학
  • 아카데미즘
  • 아카데믹 저널리즘
  • 저널리즘
  • 전문화
  • 정치학
  • 제도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95 0

0.0%

' 한국 사회과학의 전문화와 대중화 = Spe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Social Sciences' 의 참고문헌

  • 「회고」, 한국사회학회
    변시민 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 15-20쪽 [2007]
  • 「현대 한국사회의 성격과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1): 한국 자본주 의의 성격을 둘러싼 종속이론 비판」
    박현채 창작과 비평 부정기간행물 1호(통 권 57호), 310-345쪽 [1985]
  • 「현대 사회이론의 새로운 지평」, 임희섭 편,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
    임희섭 나남 [1999]
  • 「한말 서구 ‘사회과학’ 수용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문화연구 20집
    이태훈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61-279쪽 [2011]
  • 「한국정치학, 한국정치학자: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재론」, 사회과 학논평 19호
    서병훈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69-94쪽 [2000]
  • 「한국적 사회과학의 정립을 위하여: 사회학과 행정학의 대화」
    이종오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07-111쪽 [2010]
  • 「한국의 학문적 전통과 서양 학문에 대한 반응」, 소광희 외, 현 대의 학문 체계: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이태진 민음사, 74-126쪽 [1994]
  • 「한국의 출판문화: 1922년부터 1945년까지」
    최준 중앙대학교 논문집 9권, 333-361쪽 [1964]
  • 「한국의 초기사회학: 구한말-해방」, 한국사회학 9집
    최재석 한국사회 학회, 5-29쪽 [1974]
  • 「한국의 경제학: 반성과 진로」, 경제학의 역사와 사상 4호
    이지순 한 국경제사학회, 7-40쪽 [2001]
  • 「한국연구재단의 학문 관리와 학문의 몰락」, 문화과학 69호
    고부응 문화과학사, 262-271쪽 [2012]
  • 「한국사회학의 해부: 자아정체성과 유관적합성을 중심으로」, 사 회과학논평 19호
    임현진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41-68쪽 [2000]
  • 「한국사회학의 위기」, 임희섭 편,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
    김문조 나 남, 193-217쪽 [1999]
  • 「한국사회학의 발전과 방향」
    신용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논문집 1집, 43-59쪽 [1976]
  • 「한국사회과학의 탈식민성 담론에 관한 서지연구(Ⅰ,Ⅱ), 1945~1995」, 한국민족문화 10권
    김정근 박인웅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167 쪽 [1997]
  • 「한국대학의 기업화」, 역사비평 92호
    고부응 역사비평사, 16-42쪽 [2010]
  • 「한국 정치학의 현황과 바람직한 방향」, 현상과인식 38호
    최장집 한 국인문사회과학회, 134-146쪽 [1987]
  • 「한국 정치학, 자아준거적 정치학은 영원한 숙제인가」, 일송기념 사업회 편, 한국 인문 사회과학 연구 이대로 좋은가
    박상섭 푸른역사, 169-210쪽 [2013]
  • 「한국 자본주의의 성격에 관하여: 국가독점자본주의론에 붙여」
    이대근 창작과 비평 부정기간행물 1호(통권 57호), 346-373쪽 [1985]
  • 「한국 인류학 연구의 문제」, 사회과학논평 19호
    한경구 한국사회과학 연구협의회, 95-132쪽 [2000]
  • 「한국 사회학장의 낮은 자율성과 한국 사회학자들의 역할 정체성 혼란」, 사회과학연구 18집 1호
    선내규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126-176쪽 [2010]
  • 「한국 사회학의 반성: 새로운 패러다임의 성격」, 현상과 인식 38호
    이기홍 한완상 한국인문사회과학회, 171-216쪽 [1987]
  • 「한국 사회학 60년: 지성사적 성취와 학사적 과제」, 한국학술협 의회, 지식의 지평 4호
    박명규 아카넷, 172-187쪽 [2008]
  • 「한국 사회과학의 논리와 과학성」, 사회과학연구 43집
    이기홍 강원대 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9-57쪽 [2004]
  • 「한국 사회과학의 기본 과제와 방향」,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 구소 편, 한국사회과학론: ‘사회’ 없는 사회과학들이었던가
    황성모 대왕사, 275-297쪽 [1983]
  • 「한국 사회과학과 창비 30년: 민족, 민중 그리고 세계」, 창작과 비평 91호
    김동춘 창작과비평사, 81-107쪽 [1996]
  • 「한국 경제학교육 및 연구의 현황과 과제」, 경제논집 28권 4 호
    이준구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509-540쪽 [1989]
  • 「한국 경제학계의 새로운 동향들」, 현상과인식 38호
    김수행 한국인문 사회과학회, 116-133쪽 [1987]
  • 「한국 경제학계의 과제」, 일송기념사업회 편, 한국 인문 사회과 학 연구 이대로 좋은가
    양준모 푸른역사, 213-251쪽 [2013]
  • 「학술정책과 연구-교육체제의 변동: ‘두뇌 한국(BK) 21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6집 2호
    장세훈 한국사회학회, 113-143쪽 [2002]
  • 「학문과 시장: 사회과학 학술잡지의 번민」
    서병훈 사회비평 20호 [1999]
  • 「학문 후진성에 대한 지성사적 고찰: 사회학 혹은 사회과학의 역 사적 굴레와 출구」, 일송기념사업회 편, 한국 인문 사회과학 연구 이대로 좋은가
    송호근 푸른역사, 89-132쪽 [2013]
  • 「학과제(Academic Department)의 도입과 대학사회」, 신주백 편, 한국 근현대 인문학의 제도화: 1910~1959
    정준영 혜안, 173-219쪽 [2014]
  • 「프랑스 대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 책을 안 읽는 이유」
    김현경 월간 말 1998년 4월호 [1998]
  • 「프랑스 근대 사회과학의 성립: 사회학과 역사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9집
    김경일 한국사회학회, 245-269쪽 [1995]
  • 「책을 펴내면서: 연합심포지움과 서관모 교수 소환사건을 돌아보 며」, 학술단체연합심포지움 준비위원회 편, 80년대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조희연 역사비평사, 2-9쪽 [1988]
  • 「창간호를 내면서」, 문학과 지성 창간호
    김병익 김치수 김현 일조각, 5-8쪽 [1970]
  • 「창간호를 내면서」, 문학과 지성 1권 1호
    김현 일조각 [1970]
  • 「진보적 문학비평과 참여문학론의 연원을 찾아서: 청맥」, 권보 드래 외, 지식의 현장 담론의 풍경: 잡지로 보는 인문학
    전용호 한길사, 191-220쪽 [2012]
  • 「지식의 대중화와 ‘지적 대중’: 지식과 지식인의 미래」, 문화과 학 34호
    노명우 문화과학사, 36-50쪽 [2003]
  • 「지식 장의 구조변동과 대학원생의 계보학, 1980~2012」, 문화 와사회 15권
    정민우 문화사회학회, 7-78쪽 [2013]
  • 「지식 운동의 근대성과 식민성: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사 회와 역사 62집
    박명규 한국사회사학회, 141-168쪽 [2002]
  • 「지성의 변조: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시민 사회의 성장」, 강만길 외, 한국의 지성 100년: 개화사상가에서 지식 게릴라까지
    임현진 민음사, 225-267쪽 [2001]
  • 「지금, 왜 지식인인가?」
    백욱인 동향과전망 41호 [1999]
  • 「정치학」, 변형윤 외, 한국의 학파와 학풍
    민준기 우석, 111-158쪽 [1982]
  • 「정근식: 사회과학의 시대, 그 속살과 결」, 인터뷰: 한국 인문학 지각변동
    김항 이혜령 그린비, 46-87쪽 [2011]
  •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 이데올로기 사회학적 반성」, 이상백 저작집 제3권
    이상백 을유문화사, 524-532쪽 [1978]
  • 「인적자원 개발과 학문의 식민화」, 역사비평 92호
    강수돌 역사비평 사, 43-73쪽 [2010]
  • 「인문 사회과학의 위기와 한국학의 전망」
    이상주 정신문화연구 24권 3호, 301-314쪽 [2001]
  • 「왜, 그리고 무엇이 사회인문학인가」, 김성보 외, 사회인문학이 란 무엇인가?: 비판적 인문정신의 회복
    박명림 한길사, 43-102쪽 [2011]
  • 「오늘의 학술운동, 이대로도 좋은가?: 학단협 10년의 반성적 성 찰과 ‘작은’ 대안 찾기」, 학술단체협의회
    조현연 학단협 10년사, 25-35쪽 [1999]
  • 「언어 질서의 변혁을 바라며」, 시와 경제 1집
    김도연 육문사, 1-6쪽 [1981]
  • 「억압적 정권에 도전한 지식인: 80년대 진보적 학술운동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경제와 사회 41호
    금인숙 비판사회학회, 208-236쪽 [1999]
  • 「어떤 학자와 교수를 키울 것인가: 대학평가와 지식생산」, 커뮤 니케이션 이론 10권 1호
    강명구 한국언론학회, 127-168쪽 [2014]
  •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 융합의 글쓰기」, 신문과방송 2009년 2월호
    강준만 한국언론재단, 110-111쪽 [2009]
  • 「신자유주의시대의 대학과 지식인」
    홍덕률 내일을 여는 역사 25호, 46-59쪽 [2006]
  • 「신자유주의 대학체제의 평가제도와 글쓰기」, 역사비평 92호
    천정환 역사비평사, 185-209쪽 [2010]
  •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 가지 제언」, 한국사회학 35집 2호
    김경만 한국사회학회, 1-28쪽 [2001]
  • 「서평: 사회과학적 사고의 가치에 대한 세 개의 변주」, 경제와 사회 102호
    정준영 비판사회학회, 249-255쪽 [2014]
  • 「서양 학문의 형성과 학문 분류의 기본 원칙」, 소광희 외, 현대 의 학문 체계: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김남두 민음사, 39-73쪽 [1994]
  •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창작과 비평 1호
    백낙청 문우출판사, 5-38쪽 [1966]
  • 「사회학」, 변형윤 외, 한국의 학파와 학풍
    김경동 우석, 201-250쪽 [1982]
  • 「사회학의 위기에 대처하는 또 다른 방법: 울리히 벡의 “새로운 과학 스타일”을 중심으로」, 사회와 이론 18권
    전상진 이론사회학회, 7-44쪽 [2011]
  • 「사회학의 위기 논쟁과 비판사회학의 대응」, 경제와 사회 88 호
    정태석 비판사회학회, 94-119쪽 [2010]
  • 「사회학 비판」, 윤소영 외, 사회과학 비판
    박상현 이태훈 공감, 94-124쪽 [2011]
  • 「사회학 관계 문헌 목록(1964. 9. 21~1965. 12. 13)」, 한국사 회학 2집
    최재석 한국사회학회 [1965]
  • 「사회학 관계 문헌 목록 (1945~1964)」, 한국사회학 1집
    최재석 한국 사회학회, 115-126쪽 [1964]
  • 「사회이론과 공론장」, Turner, B.(ed.), 현대 사회이론의 흐름, 박형신․정헌주․최원기․박선권․고호상․김민규․이택면․고형면․권오헌․홍성 태 역, 한울. (The Blackwell Companion to Social Theory(2nd edition)
    Calhoun, C. Blackwell Publishing.) [2010]
  • 「사회과학이라는 발상」, 사회과학의 빈곤
    Winch, P. 박동천 편역, 모 [2011]
  • 「사회과학의 토착화에 대하여」, 한국사회과학연구소 편, 현대사 회과학방법론
    황성모 민음사, 238-248쪽 [1977]
  • 「사회과학의 철학」, Turner, B. S.(ed), 현대사회이론 의 흐름, 박형신 외 역, 한울. ([2000], The Blackwell Companion to the Social Theory
    Outhwaite, W. Blackwell Publishing.) [2010]
  • 「사회과학에서 생산성 그리고 구상과 실행의 분리」, 경제와 사 회 77호
    이기홍 비판사회학회, 10-32쪽 [2008]
  • 「사회과학에 대한 부르디외의 성찰적 과학사회학: 성과와 한계」, 사회과학연구 16집 2호
    김경만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2-74쪽 [2008]
  • 「사회과학과 사회개발」, 한국사회개발연구 5권
    홍승직 고려대학교 아 세안문제연구소, 1-70쪽 [1981]
  • 「사회과학 출판사 사장들이 사라졌다」
    김재희 월간 말 1994년 5월 호, 127-128쪽 [1994]
  • 「사회과학 비판」, 윤소영 외, 사회과학 비판
    윤소영 공감, 9-68쪽 [2011]
  • 「사상과 운동으로서의 한국 역사학을 위해: 1987년 이후 학술운 동과 한국사연구단체에 대한 단상」
    박한용 역사연구 18호, 63-94쪽 [2008]
  • 「민족적 민중적 학문을 제창한다」, 학술단체연합심포지움 준비위 원회 편, 80년대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김진균 역사비평사, 13-25쪽 [1988]
  • 「문학과지성사의 출범과 70년대」
    김주연 권오룡 성민엽 정과리 홍정선 [2005]
  • 「문학과 지성의 창간」, 권오룡 성민엽 정과리 홍정선 편(2005), 문학과지성사 30년 1975~2005
    김치수 문학과지성사, 27-44쪽 [2005]
  • 「문학과 사회의 창간과 후속 세대의 등장」, 권오룡 성민엽 정과 리 홍정선 편, 문학과지성사 30년 1975~2005
    성민엽 문학과지성사, 75-86 쪽 [2005]
  • 「문명인 양성소의 탄생, 학교 학생 얼개화꾼의 표상」, 전인권 정 선태 이승원, 1898, 문명의 전환
    이승원 이학사, 267-300쪽 [2011]
  • 「몸살 앓는 사회과학 출판업계」
    심성보 월간 말 1990년 11월호, 198-201쪽 [1990]
  • 「매체와 지식세계」, 문화과학 48호
    원용진 문화과학사, 69-89쪽 [2006]
  • 「막스 셸러의 지식사회학: 그 철학적 토대와 전개」, Scheler, M., 지식의 형태와 사회1, 정영도 이을상 역
    이을상 한길사, 7-38쪽 [2011]
  • 「독자적 한국 사회과학, 어떻게 가능한가?: 몇 가지 전략들」, 사 회과학연구 15집 2호
    김경만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8-93쪽 [2007]
  • 「대학평가 학문평가를 평가한다」, 창작과 비평 126호
    홍덕률 창작과 비평사, 64-80쪽 [2004]
  • 「대학 인문학의 제도적 기반과 학술 여건」, 신주백 편, 한국 근 현대 인문학의 제도화: 1910~1959
    강명숙 혜안, 220-251쪽 [2014]
  • 「대조선인일본유학생 친목회회보에 관한 연구: 그 창간취지 경 위 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35권
    차배근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1-56쪽 [1998]
  • 「네트워크 미디어 시대의 ‘대중 지식인’과 지적 대중의 결합체」, 문화과학 69호
    노명우 문화과학사, 272-281쪽 [2012]
  • 「근대적 지식체계의 제도화와 식민지 공공성」, 신주백 편, 한국 근현대 인문학의 제도화: 1910~1959
    신주백 혜안, 19-49쪽 [2014]
  • 「근대 사회의 전개 과정과 사회 과학의 형성 및 변천」, 소광희 외, 현대의 학문 체계: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박상섭 민음사, 153-209 쪽 [1994]
  • 「근대 사회과학 개념구성의 역사성: 한말 국가-사회-개인의 상 호연관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34권
    박명규 문화과학사, 147-161쪽 [2003]
  • 「과학의 발전과 서양 학문 체계의 변천」, 소광희 외, 현대의 학 문 체계: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김영식 민음사, 127-152쪽 [1994]
  • 「과학의 대중화, 실천이 문제다」
    홍덕률 경제와 사회 17호 [1993]
  • 「경제학」, 변형윤 외, 한국의 학파와 학풍
    변형윤 우석, 161-197쪽 [1982]
  • 「경제학의 발전과 최근 동향: 수리화경향 및 그것의 극복을 중심 으로」, 임희섭 편, 사회과학의 새로운 지평
    정운찬 나남출판 [1999]
  • 「경제학 연구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사회과학논평 19호
    정갑영 한국 사회과학연구협의회, 21-39쪽 [2000]
  •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과정」
    鄭圭永 청주교육대학 논문집 35집, 127-163쪽 [1998]
  • 「‘석사장교제도’가 학자인력양성 및 학문성과에 미친 영향 분석」
    김태일 양정모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9권 3호, 273-299쪽 [2009]
  • 「‘독창적 한국사회학’의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사회학 28집
    신용하 한국사회학회, 1-15쪽 [1994]
  • 「8 15 해방 후의 한국정치학계」, 한국정치학회보 1집
    서중석 한국정 치학회, 185-189쪽 [1959]
  • 「7장 현대 사회이론의 전망」, 사회이론의 주요 쟁점, 윤 병철․박병래 역, 문예출판사. ([1979], Central Problems in Social Theory
    Giddens, A. London: Macmillan Press.) [1991]
  • 「5. 31 대학정책 분석: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동향과전망 77 호
    장수명 한국사회과학연구소, 9-49쪽 [2009]
  • 「21세기 한국 사회과학 바로세우기: 반성과 과제」, 사회과학연 구논총 창간호
    임현진 이화여대 사회과학연구소, 181-195쪽 [1997]
  • 「1987년 이후 진보적 지식생산의 변화: 진보적 지식공동체를 중심 으로」, 경제와 사회 77호
    김원 비판사회학회, 33-57쪽 [2008]
  • 「1980년대 vs 비(非)1980년대」, 이진우 외, 2000년, 이 땅에 사는 나는 누구인가
    신현준 푸른숲, 194-205쪽 [1999]
  • 「1960년대와 1970년대 한국사회학계 동향의 수량적 고찰」, 한 국사회학연구 4집
    김경동 서울대학교 사회학연구회, 1-48쪽 [1980]
  • 「1950~60년대 공론장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연구: ‘순수-참여 논쟁’을 중심으로」
    김미정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3]
  • 「1900년대 초반 단행본과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 담론의 특성」,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편,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 지 평의 확대
    박주원 소명출판, 117-144쪽 [2006]
  • 후자폐적 경제학 운동과 비판적 실재론
    홍태희 경제와 사회 74호, 284-318쪽 [2007]
  • 호모 아카데미쿠스, 김정곤 임기대 역, 동문선. ([1984], Homo Academicus
    Bourdieu, P. Paris: Les ditions de Minuit.) [2005]
  • 한말 신문·잡지 언설을 통해 본 근대 서양 ‘사회과학’ 수용의 역사정치적 성격 - 한국 초기 ‘사회과학’ 형성의 문제의식과 특성
    전상숙 담론 201 15권 2호, 45-80쪽 [2012]
  • 한국출판문화협회(각 연도: ~2013)
    한국출판연감 [1971]
  • 한국출판문화운동사 편집위원회, 한국출판문화운동사: 1970년대 말~1990년대 초
    한국출판문화운동동우회 [2007]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3 출판산업 실태조사: 2012년 출판사업체 기준 [2013]
  • 한국정치학회
    편집부(편집자) 한국정치학회 50년사 [2003]
  •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신현석 학지사 [2005]
  •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 현대 한국 인문사회과학연구사
    한울 [1994]
  •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5년: 학회활동자료집 [1990]
  • 한국사회사학회 편, 지식 변동의 사회사
    문학과지성사 [2003]
  • 한국사회과학협의회, Unesco World Social Science Report 연구분석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1]
  •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한국사회과학의 토착화: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979]
  •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사회과학논평 창간호 [1982]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편, 현대사회과학방법론
    민음사 [1977]
  • 한국도서관협회 편
    한국십진분류법, 제3판 [1980]
  •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편,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제1권 본표
    한 국도서관협회 [2013]
  • 한국대학신문
    대학 이슈 25: 고등교육정책 변천사 [2013]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의 성장유형과 학과분화에 관한 연구 [1990]
  •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학과(전공) 분류 자료집 [2004]
  • 한국교육100년사 편집진, 한국교육100년사 2(1880~1999): 자료편
    교육신문사 [1999]
  • 한국고등교육연구
    김기석 교육과학사 [2008]
  • 한국경제학회
    한국경제학회 60년 연표(1952~2012) [2012]
  • 한국 출판산업 실태조사
    윤청광 한국출판연구소 [2000]
  • 한국 잡지 역사
    정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김동춘 창작과비평사 [1997]
  • 한국 사회과학의 근대적 전환과 서구 사회과학의 수용
    진덕규 선 인 [2013]
  •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 립의 방안, 자료집 1
    진덕규 선인 [2012]
  • 한국 공공사회학의 전망: 사회학 전공자들의 학문과, 사 회의식, 사회참여
    김상돈 정일준 새물결 [2010]
  • 학술단체협의회 편, 우리 학문 속의 미국: 미국적 학문 패러다임 이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울 [2003]
  • 학과(전공)분석 및 학과(전공)분류체계 연구(CR2001-40)
    김창환 한국교육개발원 [2001]
  • 프리즘: 문화비평과 사회, 홍승용 역, 문학동네. ([1955], Prismen: Kulturkritk und Gesellschaft
    Adorno, T. W. Frankfurt am Main: Suhrkamp Verlag.) [2004]
  • 편, 문학과지성사 30년 1975~2005
    문학과지성사, 45-61쪽 [2005]
  • 파우스트의 거래, 김홍덕․박재흠․윤주영․홍정환 역, 성균관대학 교 출판부. ([2003], University in the Marketplace
    Bok, 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 책의 미래, 성동규 고은주 김승완 역
    Darnton, R. 교보문고 [2011]
  • 지식의 불확실성, 유희석 역, 창비. ([2004]
    Wallerstein, I. The Uncertainties of Knowledge.) [2007]
  • 지식과 소설의 연대
    구장률 소명출판 [2012]
  • 지식 사회학
    전태국 사회문화연구소 [1994]
  • 절망의 인문학: 반제도 비평가의 인문학 현장 보고서
    오창은 이매진 [2013]
  • 전국국공립사회과학대학장협의회 편, 위기의 시대: 사회과학의 역할을 묻는다
    학술대회 자료집(2009년 3월 27일) [2009]
  •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이재규 역
    Drucker, P. 한국경제신문사 [1993]
  • 자료 한국경제학발달사
    이기준 일조각 [1980]
  •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 글항아리.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편(2004), 근대계몽기 지식 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이택광 소명출판 [2010]
  • 유토피아의 종말, 강주헌 역, 모색. ([1999], The End of Utopia
    Jacoby, R. Persus.) [2000]
  •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백승욱 역, 창비. ([1999]
    Wallerstein, I.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Social Scien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2001]
  • 외, 사회과학의 개방, 이수훈 역, 당대. ([1995]
    Wallerstein, I. Open the Social Sciences.) [1996]
  •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 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
    천정환 마음산책 [2014]
  •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및 성과관리 방향(2002-특 -11)
    권욱현 교육인적자원부 [2002]
  • 서유견문: 조선 지식인 유길준, 서양을 번역하다, 허경 진 역
    유길준 서해문집2004[1895] [2004]
  • 서울대학교사회학과50년사간행위원회,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50년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1996]
  • 서울대학교5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50년사(상, 하권)
    서울대학 교출판부 [1996]
  • 서울대학교3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30년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76]
  • 서울대학교2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20년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 서울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60년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강정인 아카넷 [2004]
  • 새로운 사회과학철학, 이기홍 역, 한울아카데미. ([1987], New Philosophies of Social Science: Realism, Hermeneutics and Critical Theory
    Outhwaite, W. Macmillan [1995]
  • 사회학적 상상력, 강희경 이해찬 역, 돌베개. ([1959],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N.Y
    Mills, C. W. :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 사회학의 문제들, 신미경 역, 동문선. ([1984], Questions de Sociologie
    Bourdieu, P. Paris: Les ditions de Minuit.) [2004]
  • 사회연구의 철학, 이기홍 역, 한 울아카데미. ([1999], The Philosophy of Social Research
    Hughes, J. A. Sharrock, W. W. London: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0]
  • 사회사상사, 신용하 박명규 역, 시그마프레스. ([1977], Masters of Sociological Thought: Ideas i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Coser, L. A. Harcourt.) [2003]
  • 사회과학의 역사, 박정호 역, 한울. ([1954], “Social Sciences, Past and Present”, Science in History, C. A. Watts & Co
    Bernal, J. D. Ltd.) [1984]
  •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 성백용 역, 창비. ([1991]
    Wallerstein, I. Unthinking Social Science.) [1994]
  • 사회과학원론
    김낙중 한길사 [1986]
  • 사회과학과 민족현실
    김진균 한길사 [1988]
  • 미국 정신의 종말, 이원희 역, 범양사 출판부. ([1987], The Closing of the American Mind
    Bloom, A. Simon&Schuster.) [1989]
  • 미국 사회과학의 기원(1, 2권), 백창제 정병기 역, 나남. ([1991], The Origins of American Social Science
    Ross, 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말, 권력, 지식인
    김호기 아르케 [2002]
  • 말 삶 글 1
    김정한 열음사 [1992]
  • 듀이십진분류법 제23판
    김연경 편역 글로벌콘텐츠 [2012]
  • 도서분류법개론
    정필모 한국학술정보 [2005]
  • 대학의 몰락
    서보명 동연 [2011]
  • 대학교육연구소
    대교연 통계(기본) 1호(2013. 3. 13.) [2013]
  • 대학 주식회사, 김주연 역, 후마니타스.([2005], University, Inc., N.Y
    Washburn, J. : Sterling Lord Literistic.) [2011]
  • 대교연 통계(기본) 2014-2015년 1호(2014. 11. 23.). 문교부(각 연도: 1961~1990), 문교통계연보. 문학과 사회 편집동인(1988), 「문학과 사회를 엮으며」, 문학과 사회 1권 1호
    문학과지성사, 14-17쪽 [2014]
  •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김묵한 외 역
    Castells, M. 한울아카데미 [2003]
  • 근대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
    구장률 케포이북스 [2012]
  • 그 많던 지식인들은 다 어디로 갔는가: 21세기의 무교양주 의에 맞서다, 정병선 역, 청어람미디어. ([2004], Where have all the intellectuals gone?: Confronting 21st Century Philistinism
    Furedi, F. Continum Press.) [2005]
  • 교육인적자원부 한국학술진흥재단
    1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백서 [2007]
  • 교육신문사
    한국교육100년사: 교육사건편 [1999]
  •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2013)
    교육통계연보 [1991]
  • 교육개혁의 학문전략: 신자유주의 지식생산을 넘어서
    강내희 문화과 학사 [2003]
  • 과학의 사회적 사용: 과학장의 임상사회학을 위하여, 조 홍식 역, 창작과비평사. ([1997], Les usages sociaux de la science
    Bourdieu, P. Paris: INRA.) [2002]
  • 과학사회논쟁과 한국사회
    서이종 집문당 [2005]
  •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조한상 책세상 [2009]
  • 경성제국대학연구
    정선이 문음사 [2002]
  •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헤게모니
    정준영 서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9]
  • 갑오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의 사회사
    신용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 馬越徹(우마코시 토오루)[1997]), 한국 근대대학의 성립과 전개, 한용진 역
    교육과학사 [2001]
  • 石田雄(이시다 다케시)[1984]), 일본의 사회과학, 한영혜 역
    소화 [2003]
  • 水田洋(미즈다 히로시)․長洲一二(나가스 카즈지)[1962]), 사회과학 강의: 사회과학 발달사, 장명국 역
    석탑 [1982]
  • 梶村秀樹(카지무라 히데키), 「한국의 사회과학은 지금」, 정재정 역
    창작 과 비평 66호, 283-304쪽 [1989]
  • 『사상계』와 1950년대 문학
    김건우 소명출판 [2003]
  • 『또 하나의 기적을 향한 짧은 시련: IMF 사태를 겪는 한 지식인의 변명』
    송호근 나남 [1998]
  • “The Woman Book Industry”
    Ehrlich, C.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78, No. 4, 1030-1044쪽 [1973]
  • [1982]), 「문화산업: 문화발전의 장애인가 새로운 가능성인가」, UNESCO, 문화산업론, 도정일 역
    Girard, A. 나남 [1987]
  • [1970]), 사회과학의 논리, 박성수 역
    Habermas, J. 문예출판사 [1986]
  • [1961]),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한승완 역
    Habermas, J. 나남 [2001]
  • [1947]),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김유동 역
    Adorno, T. W. Horkheimer, M. 문학과지성사 [2001]
  • [1929]),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임석진 역
    Mannheim, K. 김영사 [2012]
  • [1919]), 직업으로서의 학문, 전성우 역
    Weber, M. 나남 [2006]
  • UNESCO and ISSC(2010), World Social Science Report: Knowledge Divides.
  • Stehr, N.(1994), Knowledge Societies, Sage.
  • Slaughter, S. and Rhoades, G.(2004), Academic Capitalism and the new economy: markets, state, and higher educa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Revel, Jacuqes, 「인간과학의 통일성 구축을 위하여」, 불어문화권연구 4집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165-184쪽 [1994]
  • Prophets and Patrons: The French University and the Emergence of the Social Sciences, Harvard University Press. Clemens, E. S., Powell, W. W., McIlwaine, K. and Okamoto, D.(1995)
    Clark, T. N. “Careers in Print: Books, Journals, and Scholarly Reputatio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101, No. 2, 433-494쪽 [1973]
  • Popper, Karl R.[1978]), 사회과학의 논리, 김종호 역
  • Peek, R. and Newby, G.(eds.)(1996), Scholarly Publishing: The Electronic Frontier, The MIT Press.
  • Miller, L.(2007), Reluctant Capitalists: Bookselling and the Culture of Consump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KDC 제5판의 이해
    박진희 한국학술정보 [2009]
  • K bler, Hans-Dieter, 지식사회의 신화: 정보, 미디어와 지식의 사회 변동, 이남복 역
    한울아카데미 [2008]
  • Haskell, T. L.(2000[1977]),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Social Science: The American Social Science Association and the Nineteenth-Century Crisis of Authorit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Furner, M. O.(2011[1975]), Advocacy and Objectivity: A Crisis in the Professionalization of American Social Science, 1865-1905, Transaction.
  • Freund, J.(1978), “German Sociology in the Time of Max Weber”, Bottomore, T. and Nisbet, R.(eds.), A History of Sociological Analysis, London: Heinemann.
  • Fox, M.(ed.)(1985), Scholarly Writing and Publishing: Issues, Problems, and Solutions, Boulder: Westview Press.
  • Burawoy, M(2005), “2004 ASA Presidential Address: For Public Sociolog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70, No. 1, pp. 4-28.
  • Abel, R. and Newlin, L.(eds.)(2002), Scholarly Publishing: Books, Journals, Publishers, and Libraries in the Twentieth Century, N.Y.: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