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현대 창극의 공연 기법과 양식적 특성 연구

이진주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현대 창극의 공연 기법과 양식적 특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립창극단
  • 극장르
  • 다성적 음악극
  • 도창
  • 스펙터클
  • 창극
  • 판소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5 2

0.2%

' 현대 창극의 공연 기법과 양식적 특성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 창극사 연구
    백현미 태학사 [1997]
  • 한국 음악극의 미래를 위하여
    진회숙 『객석』 [1988]
  • 편, 『강산제 완판 심청가』
    이용길 미발행
  • 판소리 붙임새 용어연구
    이규호 『판소리 음악의 연구』. 한국종합예술 학교 [2000]
  • 판소리 '이면'의 역사적 이해
    徐鍾文 『국어교육연구』19 /1 [1987]
  • 창극의 소통구조와 언어미학
    禹漢鎔 『국어국문학』145 [2007]
  • 창극음악에 관한 연구-정권진 도창 '춘향전' 아쟁 선율을 중심으로
    유성신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차미례 옮김. 『예술과 환영 : 회화적 재현의 심리학적 연구』
    Gombrich, E. H. 열화당 [2003]
  • 조선일보
  • 앤드류 킬릭. 「국악과 국극: 창극의 음악적 절충주의」
    『동양음악』23 [2001]
  • 상호텍스트성 이론의 형성, 수용 및 적용에 대한 연구
    박건용 『獨語敎 育』32 [2005]
  • 대중성 확보를 위한 창극 극본 창작의 문제점
    김만수 『판소리연구』9 [1998]
  • 다시 보는 판소리
    백대웅 어울림 [1996]
  • 김근식 옮김. 『도스또예프스끼 詩學』
    Bakhtin, M. M. 정음사 [1989]
  • 국립중앙극장. 『國立劇場30年』
    中央國立劇場 [1980]
  • 韓國 판소리와 中國演劇의 公演 藝術的 特性 比較
    鄭元祉 『中國人文科 學』25 [2002]
  • 韓國 民俗藝能의 民族演劇學的 硏究
    김익두 全北大學校 국내박사학위논 문 [1989]
  • 唱劇史硏究
    박황 白鹿出版社 [1976]
  • 『판소리의 理解』
    김흥규 조동일 創作과 批評社 [1979]
  • 『판소리사 연구』
    김종철 역사비평사 [2002]
  • 『젊은 창극 산불』
    국립창극단 [2008]
  • 『장화홍련』
    국립창극단, 2012 [2012]
  • 『음악과 현상』
    서우석 文學과 知性社 [1989]
  • 『우리시대의 창극 6 수궁가』
    미발행
  • 『우리시대의 창극 5 춘향 』
    미발행 [2010]
  • 『서편제』
    이청준 국립창극단, 2013 [2013]
  • 『배비장전』
    김창진 국립창극단, 2012 [2012]
  • 『미르』
  • 『무용과 오페라』
  • 『메디아』
    국립창극단, 2013 [2013]
  • 『동아일보』
  • 『내 이름은 오동구』
    국립창극단, 2012 [2013]
  • 『국가브랜드 대공연 청』
    국립창극단 [2006]
  • 『공연문화의 전통 : 樂 戱 劇』
    사진실 태학사 [2002]
  • 『객석』
  • 『朝鮮唱劇史 復刊本』
    정노식 東文選 [1994]
  • 「판소리의 音樂的 特性」
    이혜구 조동일•김흥규 편. 『판소리의 理解』. 創 作과 批評社 [1979]
  • 「판소리의 演劇性에 關한 硏究」
    전신재 成均館大學校 박사학위논문 [1989]
  • 「판소리 특성과 창극 속의 판소리 구사법」
    이보형 『국립극장 세미나』 [1988]
  • 「판소리 이면에 관하여」
    최동현 『판소리연구』14 [2002]
  • 「판소리 사설의 극적 상황에 따른 장단조의 구성」
    이보형 조동일•김흥규,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비평사 [1979]
  • 「창작창극 <釋迦牟尼 一代記> 선율 분석 연구」
    김예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창작 창극 『제비』의 음악분석 연구」
    최진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7]
  • 「창극의 미래를 위하여」
    전인평 『판소리연구』 9 [1998]
  • 「창극의 대중화 운동 그 성과와 전망」
    이유호 최종민 『한국전통음악학』2 [2001]
  • 「창극, 미래 한국음악극으로서의 도약을 위하여」
    송혜진 『음악동아』 [1987]
  • 「창극 반주에 관한 소고」
    심인택 『國立民俗國樂院 論文集』2 [2002]
  • 「창극 <콩쥐팥쥐>의 음악적 짜임새 연구」
    박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 예술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박사
  • 「아힘 프라이어(Achim Fryer) 연출 창극 〈수궁가(Mr. Rabbit and the Dragon King)〉에서 구현되는 문화적 경계 공간과 생태학 적(Oikos) 합리성」
    김향 『국어국문학』163. 2013 [2011]
  • 「보성소리 <춘향가>」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자료집』, 2007 [2007]
  • 「미래 창극은 어떤 양식을 지향할 것인가?」
    백대웅 『'89 창극 <심청가> 에 대한 학술연찬』. 국립극장 [1989]
  •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창극의 전승과 지속」
    김혜정 유영대 국립문화재연 구소, 『 도동곡 창극 옹기장』,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 「국립창극단사」
    유영대 『 국립극장 60년史』. 국립중앙극장 [2010]
  • 「국립창극단사」
    전성희 국립극장. 『국립극장 50년사』. 태학사 [2000]
  • 「고전 양식의 현대화: 판소리 <사천가>와 창극 <로미오와 줄리엣 >」
    이미원 『연극포럼』 [2009]
  • 「唱劇의 청 運用樣相과 方向摸索」
    윤명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6]
  • 「唱劇의 발전과 세계화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한옥근 『드라마 論叢』8 [1997]
  • 「唱劇의 舞臺化에 관한 硏究」
    박병도 中央大學校 新聞放送大學院 석사학 위논문 [1998]
  • 「唱劇의 作唱技法 考察」
    김은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唱劇 沈淸歌의 소리構成과 音樂에 대한 硏究」
    김만석 漢陽大學校 大學 院 석사학위논문 [1995]
  • 「<춘향전 (春香傳)> 공연과 창극의 지향」
    정병헌 『판소리연구』9 [1998]
  • 「, 60 년대 한국연극사의 전통 담론 연구」
    백현미 『한국연극학』14 /1. 2000 [1950]
  • 「'판소리춤'으로서의 발림 분석과 창극에서 안무자의 역할 연구」
    이현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신연극'과 〈은세계〉 공연의 의미」
    양승국 『한국현대문학연구』6 [1998]
  • 「'사랑가'의 판소리와 창극 특성 연구」
    이연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5]
  • ———. 천병희 옮김. 『詩學』
    문예 [2002]
  • ———. 전승희•서경희•박유미 옮김.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 ———. 『(세계화 시대의)창극』
    연극과인간 [2002]
  • ———. 「한국적 음악극의 지향」
    『연극평론』복간11호 [2003]
  • ———. 「창극(唱劇) <청>과 <춘향 >의 공공(公共) 의식」
    『국어국문학』 161. 2012 [2010]
  • Sartre, Jean Paul. 박형범 옮김. 『상황극』. 영남대학교 출판부
    논문 [2008]
  • Poizat, Michel. The Angel's Cry :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in Opera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 Kleinberg-Levin, David Michael•Martin Jay. 정성철•백문임 옮김. 『모더 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
    시각과언어 [2004]
  • Kerman, Joseph. Opera as Drama (New and Rev. E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 Herman, David•Manfred Jahn•Marie-Laure Ryan. Routledge Encyclopedia of Narrative Theory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5).
  • Gouhier, Henri Gaston. 박미리 옮김. 『연극의 본질』
    집문당 [1996]
  • Genette, G rard. 권택영 옮김, 『서사담론』
    敎保文庫 [1992]
  • Citron, Stephen. 정재왈•정명주 옮김. 『뮤지컬 : 기획 제작 공연의 모든 것』
    미메시스 [2007]
  • Brockett, Oscar Gross. 김윤철 옮김.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98]
  • Boykan, Martin. Silence and Slow Time : Studies in Musical Narrative (Lanham, Md.: Scarecrow Press, 2004).
  • Bergson, Henri. 박종원 옮김.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 Aumont, Jacques. 오정민 옮김. 『이마주 : 영화 사진 회화』
    東文選 [2006]
  • Aristotle. 김한식 옮김. 『시학』
    펭귄클래식 코리아 : 웅진씽크빅 [2010]
  • Abbate, Carolyn. Unsung Voices : Opera and Musical Narrative in the Nineteenth Centur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 <춘향 >, DVD
    국립창극단, 2010. 4. 8 [2010]
  • <청>, DVD
    국립창극단 [2009]
  • <청>, <춘향 >, <수궁가>
    <산불> 미발행 [2010]
  • <창극 서편제 >와 창극의 새로운 가능성
    서재길 『공연문화연구』28 [2014]
  • <수궁가>, DVD
    국립창극단 [2011]
  • <서편제>, DVD
    국립창극단 [2013]
  • <배비장전>,DVD
    국립창극단 [2013]
  • <메디아>, DVD
    국립창극단 [2013]
  • <로미오와 줄리엣>, DVD
    국립창극단 [2009]
  • 1900년대 창극의 생성에 대한 연구
    김재석 『한국연극학』38. [2009]
  • '창극 <메디아>의 실험은 정당한가', 이동연의 문화읽기 문화빵
    이동연 (http://www.culturalaction.org/xe/newsletter/21100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