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폐기물 관리 법제에 관한 연구

황계영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폐기물 관리 법제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부산물
  • 분류체계
  • 자원순환
  • 재활용가능자원
  • 토양
  • 폐기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1 2

0.5%

' 폐기물 관리 법제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환경법특강
    홍준형 박영사 [2013]
  • 환경법
    이순자 (제3판), 법원사 [2012]
  • 환경법
    박균성 법률문화원 [2006]
  • 홈페이지 http://www
    gpo.gov/fdsys/)
  • 홈페이지
    http://curia.europa.eu)
  • 현실을 직시하자! 산업폐기물법제를 둘러싼 최근의법정책동향
    키타무라 요시노부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8권 2호, pp.183-194 [2006]
  • 헤더 로저스, 『사라진 내일』, 이수영 옮김
    삼인 [2009]
  • 행정법령을 읽는 법: 폐기물관리법을 소재로
    이계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민주법학』제47호, pp.245-290 [2011]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토양정화체계 개선방안 연구』
    환경부 [2012]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가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http://www
    konetic.or.kr)
  • 한국법철학회, 김도균 엮음, 『한국 법질서와 법해석론』
    세창출판사 [2013]
  • 한국 폐기물법과 정책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김태환 박수혁 최연홍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3권 2호, pp.289-331 [2001]
  • 폐기물정책연구회,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을 위한 포럼 제1권』
    환경부 환경부 [2002]
  • 폐기물정책과, 『폐기물관리법 업무편람』
    환경부 환경부 [2002]
  • 박사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을 위한 관련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손희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학위 논문』 [2009]
  • 폐기물관리와 토양환경보전에 관한 현행법의 규율현황 및 문제점
    정훈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34권 3호, pp.173-193 [2012]
  • 폐기물관리법제의 법적 문제
    조성규 행정법이론실무연구회, 『행정법연구』제27호, pp.49-78 [2010]
  • 폐기물관련법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김상겸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6권 3호, pp.25-42 [2004]
  • 폐기물과 순환자원의 법적 개념의 변화와 적용
    전재경 ( Jae Kyong Chun ) 한국환경법학회,『환경법연구』제30권 3호, pp.609-627 [2008]
  • 폐기물 관련법제의 변화와 전망에 대한 토론문
    고문현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환경법과 정책』제4권, pp.145-148 [2010]
  • 폐기물 관련법령의 기본구조
    박균성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6권 2호, pp.163-185 [2004]
  • 폐기물 관련 법체계와 자원순환기본법의 제정필요성
    정훈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31권 2호, pp.115-143 [2009]
  • 페럴, 『도시의 쓰레기 탐색자 - 소비문화와 풍요의 뒷모습, 쓰레기에관한 인문학적 고찰』, 김영배 옮김
    제프 시대의창 [2013]
  • 판례환경법
    조홍식 박영사 [2012]
  • 토양오염과 법률문제
    박상열 한국토양환경학회, 『한국토양환경학회지』제1권 1호, pp.3-9 [1996]
  • 클라우스 보셀만, 『법에 갇힌 자연 vs 정치에 갇힌 인간』, 진재운 박선영옮김
    도요새 [2011]
  • 중국 순환경제촉진법 제정의 현황과 전망
    유향란 법제처, 『2008 세계법제연구보고서』, pp.5-28 [2008]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의 제정에 따른 폐기물관련 법령의 대응방안
    이종영 『환경법연구』제31권 2호, pp.49-86 [2009]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의 법적 성질 및 다른 법률과의 관계
    김현준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제39집 제2호, pp.489-518 [2010]
  • 자원절약과 환경친화적인 폐기물처리를 위한 폐기물법의 규율방향
    鄭勳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4권 1호, pp.179-211 [2002]
  • 자원순환사회를 향한 환경정책 과제와 방향
    안형기 정회성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33-50 [2008]
  • 자원순환사회 폐기물 관리의 법적?제도적 체계 설계
    오용선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8권 1호, pp.303-329 [2006]
  • 유해성에 따른「폐기물 종료기준」의 해외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양은모 이희선 조지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 왜 법의 지배인가
    박은정 돌베개 [2010]
  • 오염토양과 폐기물의 법적 구별과 그 처리책임
    박종원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환경법과 정책』제8권, pp.99-132 [2012]
  • 엘리자베스 L. 클라인, 『나는 왜 패스트 패션에 열광했는가』, 윤미나옮김
    세종서적 [2013]
  • 에드워드 흄즈, 『102톤의 물음 : 한없이 인간적이고 어처구니없지만 흥미진진하고 사실인 쓰레기에 대한 모든 고찰』, 박준식 옮김
    낮은산 [2013]
  • 쓰레기로 보는 세상-자원 재활용의 허와 실
    유정수 삼성경제연구소 [2006]
  • 스티븐 버트먼, 『낭만의 고고학기행 - 동굴에서 들려오는 하프소리』,김석희 옮김
    한길사 [1994]
  • 수전 스트레서, 『낭비와 욕망-쓰레기의 사회사』, 김승진 옮김
    이후 [2010]
  • 새누리당, 『세상을 바꾸는 약속
    책임있는 변화』(제18대 대통령선거 새누리당 정책공약) [2012]
  • 산업폐기물의 적정처리를 위한 법적 방안 연구
    채영근 한국환경법학회,『환경법연구』제26권 2호, pp.331-359 [2004]
  • 사전배려원칙과 사법적 통제 - 프랑스 꽁세이데타 판결을 중심으로 -
    전 훈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제15권 제1호, pp.243-261 [2014]
  • 비 존슨, 『나는 쓰레기 없이 산다』, 박미영 옮김
    청림Life [2013]
  • 법치주의 현실 개선과 행정입법의 사법적 통제에 관한 연구
    소병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학위 논문』 [2010]
  • 미국 정부간행물출판국(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 미국 연방법원 판례 DB (http://law
    justia.com)
  • 문언중심적 법해석론 비판
    최봉철 한국법철학회, 『법철학연구』제2권, pp.271-296 [1999]
  • 독일 연방대법원(BGH) 홈페이지 (http//juris
    bundesgerichtshof.de)
  • 대한민국 전자관보 (http://gwanbo
    korea.go.kr)
  • 다음 국어사전 (http://terms
    naver.com)
  •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
    naver.com)
  • 국회 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
    assembly.go.kr)
  • 국립환경연구원?한국폐기물학회,『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의 현황과 전망』
    국립환경연구원 [2004]
  • 국가 법령정보센터 (http://www
    민중서림 law.go.kr) [2011]
  • 구마모토 가즈키, 『일본의 순환형사회 만들기 무엇이 잘못 되었는가』,이승무 옮김
    순환경제연구소 [2012]
  •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내 유해폐기물의 적정관리 방안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7]
  • 高橋信隆, 『環境法講義』, 信山社(2012).
  • 臺灣環保法規資料中心(대만 환경보호성
    http://law.epa.gov.tw)
  • 畑明郞․杉本裕明, 『廢棄物列島․日本』, 世界思想社(2009).
  • 新美育文․松村弓彦․大塚直, 『環境法大系』, 商事法務(2012).
  • 廢棄物管理法上 事業場廢棄物 排出事業者의 法的 責任
    趙弘植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제45권 제2호, pp.97-155 [2004]
  • 大塚直․北村喜宣, 『環境法ケ-スブク』(第2版), 有斐閣(2009).
  • 大塚直, 『環境法』(第3版), 有斐閣(2010).
  • 南博方․大久保規子, 『要說環境法』(第4版), 有斐閣(2009).
  • 北村喜宣, 『環境法』(第2版), 弘文堂(2013).
  • 佐藤泉․池田直樹․越智敏裕, 『實務環境法講義』, 民事法硏究會(2008).
  • 『환경법』(제6판)
    박균성 함태성 박영사 [2013]
  • 『환경법』
    홍준형 (제2판), 박영사 [2005]
  • 『환경법』
    김홍균 (제5판), 박영사 [2012]
  • 『환경관련 법령해설 및 행정실무』
    환경부 [2008]
  • 『환경30년사』
    환경부 [2010]
  • 『한국헌법론』(全訂3판)
    허 영 박영사 [2007]
  • 『한국헌법론』
    전광석 (신4판), 박영사 [2004]
  • 『폐섬유 및 폐고무의 재활용중간가공물 품질인증기준 설정연구』
    김정대 한국환경공단 [2011]
  •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관련 법령 및 바젤협약 업무편람』
    [2008]
  • 『폐기물관리법중개정법률안 심사보고서』
    [1995]
  • 『폐기물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 심사보고서』
    [2006]
  • 『폐기물관리 규제개선방안 연구(업계 건의사항 및 질의사례 중심)』
    환경부 [2006]
  • 『폐기물 재활용 선진화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박석현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2011]
  • 『팜 껍질?임지 잔재 폐기물의 바이오에너지 활용 촉진방안 검토』
    [2012]
  • 『질의회신 사례집』
    환경부 [2012]
  • 『질의회신 사례집』
    환경부 [2011]
  • 『질의회신 사례집』
    환경부 [2010]
  • 『주요 환경 통계』
    환경부 [2013]
  • 『주요 외국의 폐기물 분류체계 분석』
    한국법제연구원 [2012]
  • 『자원순환형경제사회형성촉진기본법안검토보고서』
    [2005]
  • 『자원순환정책과정』
    신선경 국립환경인력개발원 [2013]
  • 『자원순환정책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 연구』
    이희선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10]
  • 『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안검토보고서』
    대한민국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수석전문위원) [2014]
  • 『자원순환사회 촉진기본법안/자원순환촉진기본법안 검토보고서』
    [2014]
  • 『자원순환사회 어떻게 할 것인가?』
    국회의원 최봉홍 의원실 [2013]
  •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폐기물교환 Asia Network 구축방안연구』
    강만옥 과학기술부/환경부 [2007]
  • 『일본 산업폐기물 행정의 실상과 과제(모니터링 분석)』
    신희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 『유럽연합 학술용어사전』
    한국유럽학회 유럽연합(EU) 학술용어사전 편찬위원회
  • 『순환경제사회형성촉진기본법안 검토보고서』
    [2003]
  • 『산업구조 전환과 자원순환 촉진 법체계의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 『사법통치의 정당성과 한계』
    (제2판), 박영사 [2010]
  • 『박근혜정부 국정비전, 국정목표 및 국정과제』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13]
  • 『민법강의-이론과 사례-』
    김준호 (신정3판), 법문사 [2002]
  • 『독일환경법론』
    한귀현 한국법제연구원 [2002]
  • 『농촌폐기물 적정관리 대책 연구』
    이수철 환경부 [2012]
  • 『농촌폐기물 적정관리 대책 연구』
    환경부 [2012]
  • 『’12년 상반기 법령개선 연구회 운영결과 및 향후추진계획』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 [2012]
  • 『OECD 회수가능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통제를 위한설명서』
    보고서 및 자료집국립환경과학원 [2013]
  • 『2012 환경백서』
    환경부 [2013]
  • 『2012 지정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환경부 [2013]
  • 『2012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환경부 [2013]
  • 「환경법」
    김홍균 (개정판), 청목출판사 [2014]
  • 「폐기물의 정의 문제: 민사법적 폐기물과 사회적 폐기물」
    이승무 (http://blog.daum.net/yjb0802/4379)
  • 「자원순환사회 법제 연구」
    전재경 한국법제연구원 [2012]
  • 「「자원순환사회 전환 촉진법」안의 주요내용과 개선과제」
    김경민 『이슈와 논점』(제699호) [2013]
  • 박사
    “환경정책기본법 제7조의2 해석에 관한 연구”
    윤용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학위 논문』 [2008]
  • “환경법의 해석과 자유민주주의”
    조홍식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제51권 제1호, pp.241-288 [2010]
  • “환경법의 근본이념과 기본원칙”
    박경철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강원법학』제22권, pp.67-100 [2006]
  • “환경법상 사전배려원칙의 적용과 한계”
    김홍균(Kim Hongkyun) 한국법학원, 『저스티스』통권 제119호, pp.262-291 [2010]
  • “환경법 소묘 - 환경법의 원리, 실제, 방법론에 관한 실험적 고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제40권 제2호,pp.318-357 [2000]
  • “행정법의 변천과 기본원리”
    김남진 고시연구사, 『고시연구』제31권 3호, pp.14-23 [2004]
  • “한일폐기물법제에 있어서의 원인자부담원칙”
    김중수 한국환경법학회,『환경법연구』제33권 2호, pp.191-215 [2011]
  • “한일 양국의 생활쓰레기문제를 통해서 본 환경실태에 대한 의식조사”
    안병곤 한국일본근대학회, 『일본근대학연구』제33집, pp.455-476 [2011]
  • “한국 환경행정소송의 최근 동향과 쟁점, 향후 과제”
    정훈(Jeong Hoon) 강원대학교비교법학연구소, 『환경법과 정책』제7권, pp.107-145 [2011]
  • “프랑스 환경법전에 관한 연구”
    이광윤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31권 1호, pp.227-253 [2009]
  • “폐기물처리에 관한 법적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1]
  • “폐기물재활용 개념 - 폐기물과의 구별 -”
    김홍균 한국법학원, 『저스티스』통권 제84호, pp.53-69 [2005]
  • 박사
    “폐기물의 처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방극채 『전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08]
  • “폐기물의 에너지원화를 위한 입법적 과제”
    최봉석 한국환경법학회,『환경법연구』제31권 3호, pp.349-383 [2009]
  • “폐기물의 개념”
    조현권 환경보전협회, 『환경보전』25권 3호, pp.37-39 [2003]
  • “폐기물의 개념 및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홍동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제3권 제2호, pp.113-137 [2004]
  • “폐기물의 개념 및 분류?처리체계 -독일의 순환관리 및 폐기물법을 중심으로-”
    김연태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5권 1호,pp.165-208 [2003]
  •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있어, 폐기물의 기준”
    김천수 법원도서관,『대법원판례해설』제43호, pp.765-775 [2003]
  • “폐기물법제의 최근 동향에 관한 소고 - 일본의 폐기물처리법을중심으로 -”
    한귀현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제12권 제2호,pp.389-421 [2011]
  • “폐기물법제의 체계 및 개선방안”
    이종영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8권 2호, pp.69-92 [2006]
  • “폐기물법상 폐기물의 개념에 관한 고찰”
    鄭 勳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법률행정논총』제21집 제2호, pp.353-382 [2001]
  • “폐기물관리의 원칙과 체계”
    박균성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0권, pp.16-56 [1998]
  • “폐기물 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광임 환경부 [2003]
  • “폐기물 관련법제의 변화와 전망”
    송동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환경법과 정책』제4권, pp.113-144 [2010]
  • “폐기물 관련 법체계 개선 및 법령 정비 방안”
    이종영 환경부 [2009]
  • “폐기물 관련 법령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채영근 한국환경법학회,『환경법연구』제31권 2호, pp.145-169 [2009]
  •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 관련 법에 대한 고찰”
    李相敦 한국법제연구원, 『법제연구』제22호, pp.55-71 [2002]
  • “판례를 통해서 본 토지임대인에 대한 폐기물처리책임 귀속의문제”
    이기춘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34권 3호, pp.107-137 [2012]
  • “토양환경침해에 관한 법적 책임”
    趙弘植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0권, pp.298-343 [1998]
  • “중국의 환경법제와 순환경제촉진법의 제정”
    김성은 한중법학회,『중국법연구』제13집, pp.235-256 [2010]
  • “중국의 고체폐물오염방치법”
    노청석 최동일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6권 3호, pp.69-94 [2004]
  • “자원순환형사회 구축의 일환으로서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에 관한 소고”
    김세규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제12권 제4호,pp.501-529 [2011]
  •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을 위한 법제도”
    金敞祚(Kim Chang-Jo)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법학논고』제19집, pp.25-51 [2003]
  • “자원순환사회 전환 촉진법 제정안, 국무회의 통과”
    (환경부 보도자료 [2014]
  •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폐기물관련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손상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학위 논문』 [2009]
  • “자원순환기본법 제정의 필요성 및 방향”
    국회의원 이완영 한국자원순환단체연대회의,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pp.11-18 [2013]
  • “자원순환 추진과 국민건강 확보 추구 - 폐기물관리법”
    이병길 대한민국국회, 『국회보』2010.10월호, pp.96-97 [2010]
  • “자원순환 시대로 가야 한다”
    (정연만, 한국일보, , 29면) [2013]
  • “자원순환 사회 발전을 위한 기본법 제정방향”
    이승무 국회의원 전병헌국회의원 오영식 국회의원 홍영표 국회의원 이상직 자원순환거버넌스, 『자원순환사회발전을 위한 기본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자료집』, pp.17-21 [2013]
  • “자원순환 사회 만들려면”
    (이종영, 서울경제, , 39면) [2013]
  • “일본의 폐기물재활용관련법의 제?개정 동향에 관한 고찰”
    오길종 환경부,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포럼』제1권, pp.21-41 [2002]
  • “일본의 순환형사회 형성추진 사례의 연구”
    이시재 한국환경사회학회,『환경사회학연구(ECO)』제11권 2호, pp.7-44 [2007]
  • “음식물쓰레기 정책의 변천과 재활용 정책의 실태분석”
    김월중 이진원 정윤수 최창원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pp.731-757 [2012]
  • 박사
    “유해폐기물 법제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안종오 『경희대학교 대학원법학박사 학위논문』 [2004]
  • “유럽연합의 통합환경관리지침과 독일법으로의 전환 -폐기물법을 중심으로 -”
    Michael Kotulla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9권 2호, pp.237-252 [2007]
  • “유럽법에 따른 독일의 유해폐기물 관련 법률”
    조희원 한국법제연구원,『최신 외국법제정보』2009-09호, pp.42-50 [2009]
  • “유럽공동체의 폐기물법체계”
    鄭勳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7권 4호, pp.203-224 [2005]
  • “우리나라 유해폐기물법제의 개선방향”
    안종오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경희법학』제40권 제2호, pp.231-274 [2005]
  • “오염토양에 대한 적용 법률”
    신현범 법원도서관, 『대법원판례해설』제88호, pp.914-960 [2011]
  • “어쨌든 발생하는 폐기물, 어떻게 재활용하느냐 ‘발상의 전환’”
    (전자신문,, 44면) [2014]
  • “쌈무 만들고 난 깨끗한 자투리 연 3억 들여 폐기해야 합니까”
    (동아일보,, 종합 1면 및 8면) [2013]
  • “수도권매립지 연장 갈등.. 인천시민 55% ‘연장 반대’”
    (매일경제 [2013]
  • “서울시-인천시, 수도권매립지 연장 두고 갈등 심화”
    (교통방송 [2013]
  • “서울 도심에 방사성폐기물 방치돼 있다”
    (시사저널 1233호,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629) [2013]
  • 박사
    “생활계 유해폐기물의 적정 관리방안”
    김창권 『상명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 “불확정개념의 해석과 환경법의 퇴보”
    이비안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34권 1호, pp.259-292 [2012]
  • “미래를 준비하고, 국민행복을 완성하는 ‘환경복지’ 실현”
    년도 환경부업무보고 보도자료, 2013. 4) [2013]
  • “매년 9만t 쌓이는 폐기물에… 농촌들녘 신음”
    (국민일보, ,사회 10면) [2013]
  • “리스크法- 리스크관리체계로서의 환경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제43권 제4호, pp.27-128 [2002]
  • “독일의 폐기물법 개정이 우리나라 폐기물 정책에 주는 시사점”
    김광수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3권 2호, pp.211-234 [2001]
  • “대도시 쓰레기문제와 쓰레기 관리공간에 대한 연구”
    류효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석사 학위논문』 [2014]
  • “다이옥신 초과 부천 등 3곳 소각장 가동중단”
    (문화일보 [1997]
  • “기업 구조조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 미국의 폐기물관리 제도를 중심으로”
    정서용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5권1호, pp.401-431 [2003]
  • “국회 계류 자원재활용 법안만 5개, ‘폐기물 정의’부터 달라 업계 혼란”
    (전자신문, , 17면) [2014]
  • “국제환경법의 원칙”
    盧明濬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24권 1호, pp.369-395 [2002]
  • “국제환경법상 오염자부담원칙의 우리나라 환경법에의 수용”
    박병도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제34권 1호, pp.331-359 [2012]
  • “공익과 사익의 이익형량과 선택 - 폐기물관리법 규정과 발치한치아를 소재로 -”
    정이근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제52권제3호 (통권 69호), pp.83-102 [2011]
  • “공법과 사법간의 갈등에 대한 분석연구 -환경사례를 중심으로-”
    이유봉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학위논문』 [2008]
  • “경제학적 논증의 법적 지위 - 배제적 법실증주의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제48권 제4호,pp.124-178 [2007]
  • “경계물로서의 쓰레기”
    박효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매립지연장 중단하라’ 집단행동 나설 듯”
    (SBS [2013]
  • “OECD Council Decision on the Control of TransfrontierMovements of Waste Destined for Recovery Operations”(Decision C(92)39/FINAL)
  • e-Gov (日本전자정부 포털
    http//law.e-gov.go.jp)
  • Zellner, Rachel, “Recovering RCRA: How the Ninth CircuitMischaracterized Burning Agricultural Byproducts as Reuse inSafe Air for Everyone v. Meyer”, 29 Environs: EnvironmentalLaw & Policy J ournal 251 (2006).
  • Wilkinson, David, “Time to Discard the Concept of Waste?”, 1Environmental Law Review 172 (1999).
  • Waite, Andrew, “Waste and the Waste Hierarchy in Europe”, 26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53 (2012).
  • Villanueva, Alejandro, et. al., Study on the Selection of WasteStreams for End-of-Waste assessment, Institute forProspective Technological Studies (2010).
  • Versteyl, Ludger-Anselm; Mann, Thomas; Schomerus, Thomas,Kreislaufwirtschaftsgesetz : Kommentar , Verlag C. H. BeckMunchen (2012).
  • U.K.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Guidanceon the legal definition of waste and its application (2012).
  • Tromans, Stephen, “EC Waste Law-A Complete Mess?”, Journal ofEnvironmental Law 13(2): 133-156 (2001).
  • Sweeney, R. Michael, “Reengineering RCRA: The Command ControlRequirements of the Waste Disposal Paradigm of Subtitle Cand the Act's Objective of Fostering Recycling - Rethinkingthe Definition of Solid Waste, Again”, 6 Duke EnvironmentalLaw & Policy Forum 1 (1996).
  • Sunstein, Cass R., “Incomensurability and Valuation in Law”, 92Michigan Law Review 779 (1994).
  • Sunkin, Maurice; Ong, David M; Wight, Robert, Sourcebook onEnvironmental Law(2nd ed.), Cavendish Publishing Ltd.(2001).
  • Somers, Michael, “RCRA's New Causation Question: LinkingUbiquitous Wastes to Specific Defendants”, 38 Boston CollegeEnvironmental Affairs Law Review 193 (2011).
  • Sneddon, Simon, Environmental Law, Pearson (2013).
  • SmithⅡ, John Thomas, “The Solid Waste Definitional Dilemma”, 9Natural Resources & Environment 3 (1994).
  • Senior, Katherine E., “Safe Air For Everyone v. Meyer: WeedingThrough The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sDefinition of "Solid Waste"”, 17 Villanova Environmental LawJ ournal 217 (2006).
  • Scotford, Eloise, “Trash or Treasure: Policy Tensions in EC WasteRegulation”, J ournal of Environmental Law 19(3): 367-388(2007).
  • Reynolds, Steven P., “The German Recycling Experiment and ItsLessons for United States Policy”, 6 Villanova EnvironmentalLaw Journal 43 (1995).
  • Purdue, Michael, “The Distinction between Using Secondary RawMaterials and the Recovery of Waste: The DirectiveDefinition of Waste”, J ournal of Environmental Law 10(1):116-145 (1998).
  • Pugsley, Arthur, “The Myth of EPA Overregulation”, 39 Ecology LawQuarterly 475 (2012).
  • Portney, Paul R., & Stavins, Robert N. ed., Public Policies forEnvironmental Protection(2nd ed.), RFF Press (2000).
  • Poli, Sara, “The Definition of Waste: Joined Cases C-304/94 EuroTombesi and Adino Tombesi, C-330/94 Roberto Santella,C-342/94 Giovanni Muzi and Others, C-224/95 AnselmoSavini”, Review of European Community & InternationalEnvironmental Law 7:1, 97-98 (1998).
  • Pike, Jeremy, “Waste Not Want Not: An (Even) Wider Definition of'Waste'”, J ournal of Environmental Law 14(2): 197-208(2002).
  • Pedersen, Ole W., “Environmental Principles and EnvironmentalJustice”, 12 Environmental Law Review 26 (2010).
  • OECD, “OECD Council Decision on the Transfrontier Movements ofHazardous Wastes” (Decision C(88)90(Final)),
  •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2007).
  • OECD Waste Management Policy Group, “Final Guidance Documentfor Distinguishing Waste from Non-waste” (ENV/EPOC/WMP(98)1/REV1)
  • Nickovich, Jim, “EPA Broadens RCRA Definition of "HazardousWaste" to Include Mixtures and Derivatives”, 31 Ecology LawQuarterly 781 (2004).
  • Nash, Jonathan 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The Essentials,Aspen Publishers (2010).
  • Nash, Hazel Ann, “The Revised Directive on Waste: ResolvingLegislative Tensions in Waste Management?”, J ournal ofEnvironmental Law 21(1): 139-149 (2009).
  • Moore, Sarah A., “Garbage matters: Concepts in new geographies ofwast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6(6), 780-799 (2012).
  • McIntyre, Owen, “The All-Consuming Definition of 'Waste' and theEnd of the 'Contaminated Land' Debate?”, J ournal ofEnvironmental Law 17(1): 109-127 (2005).
  • McEldowney, John & McEldowney, Sharron, Environmental Law,Pearson (2010).
  • McCrea, Hannah, “Germany's "Take-Back" Approach to WasteManagement: Is There a Legal Basis for Adoption in theUnited States?”, 23 The Georgetown International EnvironmentalLaw Review 513 (2011).
  • Manus, Peter, “Seems Like Old Times For Environmental Law: TheSupreme Court's Conservative Turn In 2008-2009”, 1 GeorgeWashington J ournal of Energy & Environmental Law 40(2010).
  • Madsen, Catherine A., “Feminizing Waste: Waste-Picking as anEmpowerment Opportunity for Women and Children inImpoverished Communities”, 17 Colorado J ournal of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165 (2006).
  • Macauley, Molly K. and Walls, Margaret A., “Solid Waste Policy”,Public Polici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2nd Ed.),Resources for the Future, 261-286 (2000).
  • Lown, Jo Jeanne, “Eco-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esourceConservation and Recovery Act: Examining the BarrierPresumption”, 30 Boston College Environmental Affairs LawReview 275 (2003).
  • Lee, Maria, “Resources, Recycling and Waste”, 6 Environmental LawReview 49 (2004).
  • Lange, Bettina, “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A Case-Study ofWaste Management in England and Germany”, Journal ofEnvironmental Law 11(1), 59-86 (1999).
  • Kutz, Jennifer, “You've Got Waste: The Exponentially EscalatingProblem of Hazardous e-Waste”, 17 Villanova EnvironmentalLaw Journal 307 (2006).
  • Kunig, Philip; Paetow, Stefan; Versteyl, Ludger-Anselm, Kreislaufwirtschafts-und Abfallgesetz : Kommentar , Verlag C. H.Beck Munchen (2003).
  • Kubasek, Nancy K. & Silverman, Gary S., Environmental Law(8thed.), Pearson (2014).
  • Kramer, Ludwig, EU Environmental Law(7th ed.), Sweet & Maxwell(2012).
  • Kraft, Joseph, “How to Take Recycling One Step Forward, TwoSteps Back: The EPA's Proposal to Revise the Definition ofSolid Waste Under RCRA”, 18 Tulane Environmental LawJ ournal 385 (2005).
  • Koch, Hans-Joachim ed., 『ドイツ環境法(Umweltrecht, 3.)』, 岡田正則(Okada Masanori) 監譯, 早稻田大學比較法硏究所叢書38(2012).
  • Klausen, Johannes, Das neue Kreislaufwirtschaftsgesetz , ecomedSicherheit (2012).
  • Kiss, Alexandre & Shelton, Dinah, International EnvironmentalLaw(3rd ed.),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4).
  • Keele, Helen, “When Does Waste Cease to be Waste?”, 3Environmental Law Review 212 (2001).
  • Juris - Das Rechtsportal (獨逸법령 포털
    www.juris.de)
  • Institute for Prospective Technological Studies, End Of WasteCriteria, IPTS (2008).
  • Hansmann, Klaus & Sellner, Dieter, Grundzuge des Umweltrechts,Erich Schmidt Verlag (2007).
  • Guinn, Linda, “Pollution Prevention and Waste Minimization”, 9Natural Resources & Environment 10 (1994).
  • Gosselink, Paul G., “Solid Waste Update”, 40 Texas EnvironmentalLaw Journal 1 (2009).
  • Getliffe, Kate, “European Waste Law: Has Recent Case Law Impactedupon the Mess?”, 4 Environmental Law Review 171 (2002).
  • Gaba, Jeffrey M., “Rethinking Recycling”, 38 Environmental Law 1053(2008).
  • Foster Jr., Mark Harrison, “Ash Holes: The Failure to Classify CoalCombustion Residuals as a Hazardous Waste under RCRAand the Burden Borne by a Minority Community inAlabama”, 12 Vermont J ournal of Environmental Law 735(2011).
  • Fisher, Elizabeth; Lange, Bettina; Scotford, Eloise, Environmental Law- Text, Cases, and Materials, Oxford University Press(2013).
  • Ferrey, Steven, Environmental Law, Aspen Law & Business (1997).
  • Fauchald, Ole Kristian; Hunter, David; Xi, Wang, Yearbook of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2008, Oxford UniversityPress (2009).
  • Farber, Daniel, “Sustainable Consumption and Communities: Bringingthe American Way of Life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29Pace Environmental Law Review 344 (2011).
  • European Commission, Guidelines on the Interpretation of KeyProvisions of Directive 2008/98/EC on waste (2012).
  • Edwards, Vanessa, “A Review of the Court of Justice's Case Law inRelation to Waste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1992-2011”,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25(3), 515-530(2013).
  • EU의 폐기물관련 환경규제의 변화와 전망
    박지현 『국제경제법연구』제8권 2호, pp.115-143 [2010]
  • Dippel, Martin; Garrelmann, Andrea; Kersandt, Peter; Klages,Christoph; Kleve, Guido; Krappel, Thomas; Muggenborg,Hans-Jurgen; Schink, Alexander; Versteyl, Andrea;Webersinn, Michael; Windelen, Urban, KrWG - Kemmentarzum Kreislaufwirtschaftsgesetz , Lexxion (2012).
  • Deutz, Pauline & Frostick, Lynne E., “Reconciling policy, practice, andtheorisations of waste management”, The GeographicalJ ournal Vol. 175 No. 4, 247 (2009).
  • De Wit, Elisa,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Waste" in Europe and theUnited Kingdom”, 16 Natural Resources & Environment 125(2001).
  • De Sadeleer, Nicolas, “Liability for Oil Pollution Damage versusLiability for Waste Management: The Polluter Pays Principleat the Rescue of the Victims”, J ournal of Environmental Law21(2): 299-307 (2009).
  • Davison, Steven G., “EPA's Definition of "Solid Waste" under SubtitleC of the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 Is EPAadequately protecting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while promoting recycling?”, 30 J ournal of Land Resourcesand Environmental Law 1 (2010).
  • Craig, Robin Kundis, Environmental Law in Context (3rd ed.), WEST(2012).
  •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ommunication from theCommission to the Council and the European Parliament onthe Interpretative Communication on waste and by-products”(COM(2007) 59 final)
  • Cheyne, Ilona, “The Definition of Waste in EC Law”, J ournal ofEnvironmental Law 14(1): 61-73 (2002).
  • Cheyne, Ilona & Purdue, Michael, “Fitting Definition to Purpose: TheSearch For a Satisfactory Definition of Waste”, Journal ofEnvironmental Law 7(2): 149-168 (1995).
  • Bulkeley, Harriet & Askins, Kye, “Waste interfaces: biodegradablewaste, municipal policy and everyday practice”, TheGeographical J ournal Vol. 175 No. 4, 251 (2009).
  • Bowers, Kate R., “Saying What the Law Isn't: LegislativeDelegations of Waiver Authority in Environmental Laws”, 34Harvard Environmental Law Review 257 (2010).
  • Binder, Denise, “Perspectives on Forty Years of Environmental Law”,3 George Washington Journal of Energy & Environmental Law143 (2012).
  • Bell, Stuart, “Refining the Definition of Waste”, 1 Environmental LawReview 283 (1999).
  • Basel Action Network, “Electronics Recycler convicted for IllegalExports to Developing Countries” (http://www.ban.org//12/22/electronics-recycler-convicted-for-illegal-exports-todeveloping-countries, 2013. 9
    29 최종방문) [2012]
  • Barak, Aharon, PURPOSIVE INTERPRETATION IN LAW (Translatedfrom the Hebrew by Sari Bashi), Princeton University Press(2005).
  • Babich, Adam, “Too Much Science in Environmental Law”, 28Columbia J ournal of Environmental Law 119 (2003).
  • Applegate, John S., “The Temporal Dimension of Land Pollution:Another Perspective on Applying the Breaking the LogjamPrinciples to Waste Management”, 17 New York UniversityEnvironmental Law J ournal 757 (2008).
  • Adler, Jonathan H., “Reforming Our Wasteful Hazardous WastePolicy”, 17 New York University Environmental Law Journal 724(2008).
  • Adams, Kate & Israel, Brian D., “Waste in the 21st Century: AFramework for Wiser Management”, 17 New York UniversityEnvironmental Law J ournal 703 (2008).
  • Abbott, Emily, “When the Plain Meaning of a Statute is not so Plain:The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of RCRA's Clarificationof the Household Waste Exclusion: City of Chicago v.Environmental Defense Fund”, 6 Villanova Environmental LawJ ournal 345 (1995).
  • ?한국폐기물협회, 『폐기물분야 질의?회신 사례집』
    환경부 환경부 [2010]
  • (주)
    리얼리티 리더스 클럽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제6판 제6쇄) [2014]
  • (http://www
    환경부 me.go.kr)
  • “The New Waste Directive - Trying to Do it All ...An Early Assessment”, 11 Environmental Law Review 76(2009).
  • “The Challenges of Environmentally Soundand Efficient Regulation of Waste-The Need for EnhancedInternational Understanding",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5:1,91-107 (1993).
  • “Conflicting Values in Law”, 62 Fordham LawReview 1661 (1994).
  • “A New Garden of Eden? Stimuli to Enforcementand Compliance in Environmental Law”, 24 PaceEnvironmental Law Review 343 (2007).
  • Environmental Law(3rded.), Prentice Hall (2000).